[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0697B1 -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 Google Patents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697B1
KR102490697B1 KR1020200024611A KR20200024611A KR102490697B1 KR 102490697 B1 KR102490697 B1 KR 102490697B1 KR 1020200024611 A KR1020200024611 A KR 1020200024611A KR 20200024611 A KR20200024611 A KR 20200024611A KR 102490697 B1 KR102490697 B1 KR 10249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mpression
weave
calf
blood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376A (ko
Inventor
박동석
Original Assignee
박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석 filed Critical 박동석
Priority to KR102020002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6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6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7/00Anti-cellulit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정맥 혈류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지의 일부에 표적 압박을 제공하는 압박밴드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는 종아리에 착용되는 밴드로서 상단밴드와 하단밴드와 상기 상단밴드와 하단밴드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밴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부위별로 다른 압박력을 가해 보다 효과적으로 혈액순환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종아리 근육의 사용에 따라 종아리 근육을 압박하는 압박밴드의 압박력이 변화하여 혈류를 효과적으로 증진 시킬 수 있는 향상된 정맥 혈류 특성을 제공하는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Calf compression band with cellulite relief function by improving blood flow}
본 발명은 향상된 정맥 혈류 특성을 제공하는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내의 혈액순환 장애 해소가 가능하며 특히, 종아리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하지 정맥류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압박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박밴드 및 압박 스타킹은 신체의 특정 부위, 종아리 등에 압박력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데, 이 압력은 발목으로부터 착용자의 다리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점차 감소된다. 이러한 압박밴드 및 압박 스타킹은 다리에 혈액정체(blood pooling)와 특정의 정맥 림프성 질환, 피로, 및 환경으로 인한 좋지 않은 상태에 관련된 그 외의 증상들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압박 밴드 및 압박 스타킹은, 부위별로 동일한 압박력이 가해지므로 근육이 발달하지 않은 영역, 특히 발목부분에 과도한 압박력이 가해져 림프액의 흐름을 제한하고,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발목이 붓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출원특허 제 10-2014-0027191호에 의하면, 강,약 신축 조직과 압박 조직을 적절하여 혼합하여 발, 발목, 종아리 부분을 각각의 특성에 맞게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여성, 노인이나 환자 등과 같이 발과 다리 부분이 취약한 사용자의 발목 손상, 탈골, 근육 손상 등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종아리 근육의 사용에 반응하여 압박력이 조절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직조과정에서 두께 및 밀도를 조밀하게 직조하여 강,약 신축성과 압박성을 부여하도록 제조함에 따라 통기성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위별로 다른 압박력을 제공하며, 특히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변위가 큰 종아리 근육영역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해당 영역에 가해지는 압박력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혈액을 원활하게 순환시키면서 동시에 셀룰라이트를 분해할 수 있는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향상된 정맥 혈류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지의 일부에 표적 압박을 제공하는 압박밴드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는 종아리에 착용되는 밴드로서 상단밴드와 하단밴드와 상기 상단밴드와 하단밴드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밴드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단밴드는 일정높이와 직경을 갖되 모든높이에 대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밴드는 상기 상단밴드와 마찬가지로 일정높이와 직경을 갖되 모든높이에 대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밴드는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상기 상단밴드의 아래단부와 상기 하단밴드의 위쪽단부를 연결하되 상기 중간밴드는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밴드의 압박력은 상기 중간밴드의 중앙부의 압박력을 100이라 했을 때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압박력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밴드에서 종으로 배치된 실을 종직조사라 하고 횡으로 배치된 실을 횡직조사라고 할 때, 상기 중간밴드의 횡직조사는 간격이 다르게 배치되어 상기 횡직조사의 간격차이로 인해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압박력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밴드에 직조된 횡직조사의 간격을 Hi (여기서 i 는 스텝인덱스로서 i = 1, 2, 3, ..., n-1, n) 이라 할 때, 상기 중간밴드의 중앙부 중앙부는 i = 1 이고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상기 스텝인덱스 i 값이 점점 더 증가하되 각 스텝별로 횡직조사의 간격을 다르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각 스텝별 간격은 H1 < H2 < H3 < ... < Hn-1 < Hn 가 되도록 직조하여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Figure 112022022242639-pat00006
직조사의 간격이 크도록 직조함으로써 압박력은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밴드에 상기 중간밴드를 각 구간의 구간인덱스를 j 라고 하며 이때 구간인덱스 j=1, 2, 3, ...., m-1, m 이라 할 때, 각 구간별 Lj에서의 직조된 횡직조사의 간격을 Vj 라 할 때, 각 구간별로 상기 횡직조사의 간격을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밴드의 중앙부을 포함하는 중앙구간 인덱스 j =1 이고 상기 중앙구간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상기 구간인덱스 j 값이 점점 더 증가하고, 이때 각 구간별 횡직조사의 간격 Vj(여기서 Vj는 Lj 구간에서의 횡직조사의 간격)은 V1 < V2 < V3 <... < Vm-1 < Vm 가 되도록 직조하여 중앙구간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각 구간에서의 횡직조사의 간격이 크도록 함으로써 압박력은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를 기술하면, 상기 중간밴드의 종직조사의 폭(W)은 하나의 횡직조사에 직조될 때 동일하게 직조된다.
즉 하나의 획직조사에서의 종직조사의 폭은 동일하지만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쪽으로 갈 수록 획직조사에서의 종직조사의 폭은 점점커진다.
또한, 상기 중간밴드의 압박력은 중앙부를 100이라 할 때, 상기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80, 60, 20, 10으로 감소되도록 횡직조사의 간격을 조절하여 직조한다. 상기 상단밴드나 하단밴드의 압박력은 상기 중앙부의 압박력에 비해 1/10~ 1/20가 되도록 직조한다. 상기 횡직조사와 상기 종직조사는 탄력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과 기능성 원사인 닐릿 이너지(NILIT INNERGY)원사를 조합하여 직조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위별로 다른 압박력을 가해 보다 효과적으로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피부와 피하지방층을 자극하여 셀룰라이트를 분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착용자의 활동 상태에서 종아리 근육의 사용에 반응하여 압박력을 조절함으로써 종아리 근육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종직조사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사용상태에 따른 근육의 자극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향상된 정맥 혈류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지의 일부에 표적 압박을 제공하는 압박밴드(10)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10)는 종아리에 착용되는 밴드로서 상단밴드(11)와 하단밴드(12)와 상기 상단밴드(11)와 하단밴드(12)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밴드(13)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단밴드(11)는 일정높이와 직경을 갖되 모든높이에 대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밴드(12)는 상기 상단밴드(11)와 마찬가지로 일정높이와 직경을 갖되 모든높이에 대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밴드(13)는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상기 상단밴드(11)의 아랫단부(11')와 상기 하단밴드(12)의 위쪽단부(12')를 연결하되 상기 중간밴드(13)는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밴드(13)의 압박력은 상기 중간밴드(13)의 중앙부의 압박력을 100이라 했을 때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압박력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밴드(13)에서 종으로 배치된 실을 종직조사라 하고 횡으로 배치된 실을 횡직조사라고 할 때, 상기 중간밴드(13)의 횡직조사는 간격이 다르게 배치되어 상기 횡직조사의 간격차이로 인해 중앙부에서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압박력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의 압박력은 상기 중앙부의 압박력에 비해 1/10 ~ 1/20가 되도록 직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밴드(13)에 직조된 횡직조사의 간격을 Hi (여기서 i 는 스텝인덱스로서 i = 1, 2, 3, ...., n-1, n) 이라 할 때, 상기 중간밴드(13)의 중앙부 중앙부는 i =1 이고 중앙부에서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상기 스텝인덱스 i 값이 점점 더 증가하되 각 스텝별로 횡직조사의 간격을 다르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각 스텝별 간격은 H1 < H2 < H3 < ... < Hn-1 < Hn 가 되도록 직조하여 중앙부에서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횡직조사의 간격이 크도록 함으로써 압박력은 중앙부에서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배치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종직조사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중간밴드(13)에 상기 중간밴드(13)를 각 구간의 구간인덱스를 j 라고 하며 이때 구간인덱스 j=1, 2, 3, ... m-1, m 이라 할 때, 각 구간별로 직조된 횡직조사의 간격을 Vj 라 할 때, 각 구간별로 상기 횡직조사의 간격을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밴드(13)의 중앙부을 포함하는 중앙구간 인덱스 j =1 이고 상기 중앙구간에서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상기 구간인덱스 j 값이 점점 더 증가하고, 이때 각 구간별 횡직조사의 간격 Vj(여기서 Vj는 Lj 구간에서의 횡직조사의 간격)은 V1 < V2 < V3 <... < Vm-1 < Vm 가 되도록 직조하여 중앙구간에서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각 구간의 횡직조사의 간격이 크도록 함으로써 압박력은 중앙부에서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배치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단밴드와 하단밴드의 압박력이 중앙부보다 약하게 직조되어 원활한 혈액순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간밴드(13)의 종직조사의 폭(W)은 하나의 횡직조사에 직조될 때 동일하도록 직조된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횡직조사에서의 종직조사의 폭(W)는 동일하나,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각 횡직조사에서의 종직조사의 폭은 점점더 커진다
즉 횡직조사 H1 스텝에서의 종직조사의 폭을 W1 이라 하고, 횡직조사 H2 스텝에서의 종직조사의 폭을 W2 이라 하며, 횡직조사 Hn-1 스텝에서의 종직조사의 폭을 Wn-1 이라 하고, 횡직조사 Hn 스텝에서의 종직조사의 폭을 Wn 이라 할때, W1 < W2 < W3 < ... < Wn-1 < Wn 가 된다.
또한, 상기 중간밴드(13)의 압박력은 중앙부를 100이라 할 때, 상기 상단밴드(11)나 하단밴드(12)로 갈수록 80, 60, 20, 10으로 감소되도록 횡직조사의 간격을 조절하여 직조한다. 상기 횡직조사와 상기 종직조사는 탄력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과 기능성 원사인 닐릿 이너지(NILIT INNERGY)원사를 조합하여 직조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압박밴드(10)의 압박력은 각 구간 또는 스텝별로 다르게 형성된 횡직 조사의 간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분해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의 사용상태에 따른 근육의 자극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박밴드(10)는 종아리(1) 압박을 통해 혈류를 증진시키며, 특히 착용자가 스포츠 활동과 같은 동적인 활동 상태일 때 종아리(1) 근육의 사용에 따라 종아리 압박밴드가 신장-수축 과정을 반복하며 압박력이 변화하므로 근육을 도와 확실하게 혈액을 펌핑(Pumping)시켜 향상된 정맥 혈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아리를 압박하면서 사용자의 피부와 피하지방층을 자극하여 셀룰라이트를 분해할 수 있다. 나아가 서로다른 압박력으로 근육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피부를 마사지하는 효과로 인해 셀룰라이트가 원활히 분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종아리 10 : 압박밴드
11 : 상단밴드 12 : 하단밴드
13 : 중간밴드

Claims (8)

  1. 향상된 정맥 혈류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지의 일부에 표적 압박을 제공하는 압박밴드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는 종아리에 착용되는 밴드로서, 상단밴드와 하단밴드와 상기 상단밴드와 하단밴드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밴드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밴드는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상기 상단밴드의 아래단부와 상기 하단밴드의 위쪽단부를 연결하되 상기 중간밴드는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간밴드에서 종으로 배치된 실을 종직조사라 하고 횡으로 배치된 실을 횡직조사라고 할 때,
    상기 중간밴드의 종직조사의 폭(W)은 하나의 횡직조사에 직조될 때 동일하게 직조되고, 상기 중간밴드의 횡직조사는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횡직조사의 간격이 크도록 직조함으로써 상기 횡직조사의 간격차이로 인해 압박력은 중앙부에서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횡직조사와 상기 종직조사는 탄력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과 기능성 원사인 닐릿 이너지(NILIT INNERGY)원사를 조합하여 직조된 구성을 가짐에 따라
    종아리 압박에 의한 혈액 순환 향상을 통해 셀룰라이트의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밴드의 압박력은 상기 중간밴드의 중앙부의 압박력을 100이라 했을 때 상단밴드나 하단밴드로 갈수록 압박력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향상된 정맥 혈류 특성을 제공하는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24611A 2020-02-27 2020-02-27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Active KR10249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11A KR102490697B1 (ko) 2020-02-27 2020-02-27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11A KR102490697B1 (ko) 2020-02-27 2020-02-27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376A KR20210109376A (ko) 2021-09-06
KR102490697B1 true KR102490697B1 (ko) 2023-01-19

Family

ID=7778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611A Active KR102490697B1 (ko) 2020-02-27 2020-02-27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466B1 (ko) 2022-03-14 2022-09-20 조현근 손목용 마그네틱 가압밴드
KR200495912Y1 (ko) 2022-03-14 2022-09-19 조현근 종아리용 마그네틱 가압밴드
KR102721345B1 (ko) * 2022-06-07 2024-10-23 관희 이 신체 압박대
KR20240177443A (ko) 2023-06-20 2024-12-27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기능성 가슴 압박용 밴드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985B1 (ko) * 1996-05-30 2005-07-29 이노떼라 토픽 엥떼르나씨오날 에스.아. 스타킹 또는 타이츠의 압박지지용구
KR101581305B1 (ko) 2014-03-07 2015-12-30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KR101642852B1 (ko) 2010-12-28 2016-07-26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하퇴용 서포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303A (ja) * 1995-11-15 1997-05-27 Hayashi Nitto:Kk 下腿保持用の靴下
US10993842B2 (en) * 2016-06-10 2021-05-04 Sergei MAZOURIK Functional s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985B1 (ko) * 1996-05-30 2005-07-29 이노떼라 토픽 엥떼르나씨오날 에스.아. 스타킹 또는 타이츠의 압박지지용구
KR101642852B1 (ko) 2010-12-28 2016-07-26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하퇴용 서포터
KR101581305B1 (ko) 2014-03-07 2015-12-30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376A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697B1 (ko) 혈류 향상을 통한 셀룰라이트 완화기능을 갖는 종아리 압박밴드.
US6012177A (en) Therapeutic sock with different knitted parts due to yarn and elasticity
US5185000A (en) Ankle joint bandage
US4841647A (en) ACU-pressure massaging insoles
US8540654B2 (en) Therapeutic massage sock
DE69431768T2 (de) Druckkissen für einem aus flexiblem Material bestehenden Büstenhalter zur Verstärkung des Effekts manueller Lymphdrainagebehandlung durch Erhöhung des Drucks auf das Gewebe
EP0495152A2 (de) Schuheinlage zur Bettung von belastungssensiblen Füssen
KR20080036581A (ko) 만성 정맥 부전증 치료를 위한 하지용 편직 압박 보조기
JPS62106762A (ja) 下肢の静脈疾患治療用ストッキング
WO2000047067A1 (en) Support/sport sock and method of use
KR20130122608A (ko) 순차 압박 양말류
KR10238121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JP4693513B2 (ja) 下肢被覆材
US20080195008A1 (en) Therapeudic massage sock
KR102703671B1 (ko)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KR10246542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하여 하지에 압박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박밴드
CN218458249U (zh) 一种压力袜
JP3209738B1 (ja) インナーウェア
US20240366411A1 (en) Pad for an achilles tendon bandage or achilles tendon orthosis
KR20250007868A (ko) 의료용 압박양말
AT412609B (de) Socken- bzw. strumpf
JP6342030B1 (ja) リンパ浮腫ケア用品
CN209347488U (zh) 预防下肢深静脉血栓垫枕
KR20230100080A (ko) 지압 스타킹
WO2024246112A1 (de) Pelotte mit mehreren verbundenen beweglichen erheb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