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3671B1 -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 Google Patents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3671B1
KR102703671B1 KR1020210156414A KR20210156414A KR102703671B1 KR 102703671 B1 KR102703671 B1 KR 102703671B1 KR 1020210156414 A KR1020210156414 A KR 1020210156414A KR 20210156414 A KR20210156414 A KR 20210156414A KR 102703671 B1 KR102703671 B1 KR 102703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main body
stocking
dispersing
stocking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633A (ko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널스노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널스노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널스노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36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3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36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에 관한 것으로, 압박 스타킹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체 다리를 압박하는 압박 스타킹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하여 타면적보다 압박력이 낮도록 직조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전면 분산부; 상기 본체의 후면부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하여 타면적보다 압박력이 낮도록 직조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후면 분산부; 및 상기 후면 분산부 하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종아리측에 맞닿으며 압박력이 다단 분산되도록 구성되는 다단 분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단 분산부는, 다수의 분산부가 상기 압박 스타킹 본체 후면부의 폭 길이 전체를 따라 다단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분산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단 분산부는, 각각의 분산부 폭이 스타킹 본체 하부측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압박 스타킹 본체는,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본체 압박력 보다 높은 제 1가압밴드부와 제 2가압밴드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Compression stockings with dispersion compression function}
본 발명은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상 압박성을 분산시켜 착용 편의성을 크게 만족시킬 수 있는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타킹은, 발부분에서 무릎 이상으로 올라오고 탄력 있고 긴 양말을 의미하고, 색깔과 디자인 그리고 투명한 정도에 있어서 다양하다.
오늘날 스타킹은 주로 여성들이 패션이나 미적인 감각을 목적으로 착용하며, 보온 목적으로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스타킹은 땀이 많이 흐르거나 세균이 증식하려고 할 때 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과거에는 비단, 편물 등으로 만들었으나 최근에는 신축성이 좋은 나일론으로 만드는 것이 많다. 그 종류로는 보디 스타킹, 팬티 스타킹, 롱스타킹, 밴드 스타킹 등이 있다.
이러한 스타킹에 여러 가지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타킹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임부용 타이즈는, 탄력성을 가지도록 직조된 직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착용자의 복부, 허리 및 엉덩이 부분을 감싸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착용자의 두 다리를 감싸는 양측 다리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입구와, 입구의 원주를 따라 위치되도록 몸체부에 삽입되는 조임 밴드로 구성된다. 몸체부는 양측다리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좌, 우 측면판과,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의 폭이 좁은 역 삼각 형태의 복부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조임 밴드가 인출될 수 있도록 조임 밴드가 삽입되어 있는 몸체부의 입구원주상에 인출구가 형성된다. 인출구를 통해 일부분이 인출된 조임 밴드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 클립을 포함한다. 착용 시 임산부의 체형에 따라 복부를 편안하게 감싸게 됨으로써 착용감을 한층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형 변화에 따라 적절히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임신 기간 동안 내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고안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70566호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몸체부와 양측 다리부를 감싸는 기능에 한정되어 있으며, 임산부가 임신 기간에 발생하는 임신성 하지 정맥류를 예방하는 기능과, 태아를 외부의 전자파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임산부의 체형 처짐을 방지하고, 몸매의 보정이 가능한 거들기능을 하는 스타킹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타킹은 얇고 탄력성 있는 섬유를 사용하여 무릎 위까지 올라오도록 직조한 것으로서, 주로 방한용으로 사용되거나 여성들의 각선미를 자연스럽게 나타내기 위하여 착용하는 양말의 일종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스타킹은 주로 여성들의 각선미를 표현하거나 방한의 목적으로 착용하는 것이므로 종아리나 허벅지 등을 압박하여 피하지방을 분해시키거나 발을 효과적으로 지압하여 발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등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특히, 현대인들은 비만으로 허벅지나 종아리 등에 피하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심한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가 많고 이때에는 피하지방에서 지방질이 일시에 많이 빠져나감에 따라 지방질 조직 사이가 이완되어 팽팽한 피부를 유지할 수 없었으므로 이를 압박하여 조여 줄 수 있는 압박용 스타킹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압박 스타킹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실용등록번호 제20-0297943호 '스타킹'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스타킹 전체가 탄력성이 높은 섬유로 직조되어 불필요한 피하 지방질을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고, 각각 발등과 발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 탄력성 밴드들에 의하여 발목과 발등 부위가 강하게 지압되어 발의 피로를 회복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탄력성 섬유로 직조된 스타킹의 발 투입부에는 발등과 발목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갖는 고탄력성 밴드들이 각각 형성되고, 발목 밴드의 상부에는 종아리 및 허벅지를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스타킹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지의 선행기술은 보습 효과를 갖는 기능이 없고, 압박부가 발목과 발등에 형성되어 종아리 부분에 가압하는 압박이 일정하게 압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인간의 뇌는 각 부위마다 담당하는 기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런 이유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뇌종양 등에 의해 뇌의 특정 부위가 손상되는 경우, 편측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편측마비(hemiplegia)는 편측(한쪽)의 상하지 또는 얼굴부분에 운동장애가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편측마비의 환자들은 주로 뇌손상(뇌졸중, 뇌외상, 선천성 뇌병증 등 다양한 편측 뇌손상)으로 손상된 뇌의 반대편 팔-다리의 운동-감각성 부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편측 사지문제(팔-다리의 편측마비 및 부종, 하지 정맥혈전, 편측 감각에 대한 무반응성)를 겪게 된다.
다양한 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측마비에서는 움직이지 못하는 편측마비 사지를 빨리 움직여주는 것이 마비의 빠르고 효과적인 회복에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편측마비 사지는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2차적인 부상에 취약하여 반복적인 물리적 자극이나 사지에 미치는 중력 등으로 인한 피부손상이나 압박성 궤양 등이 잘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하지지역은 정맥이 흐르는 속도가 느려지고 저류가 일어나기 쉬워져서 하지정맥혈전등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방한, 미용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다리의 부종, 정맥염 및 혈전증과 같은 정맥 장애의 발생을 예방과 치료를 위해 하체에 단계별 압박을 주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의료용 압박 스타킹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압박 스타킹은 발에서 무릎 아래 또는 허벅지까지 끌어당겨 신는 스타킹이 일반적이며, 하체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발에서 허벅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압력이 감압되는 형태로 제조되고 있는데, 하체에 강한 압박을 유발하기 위해 종래의 양말이나 스타킹에 사용되는 것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설계 과정에서 압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고려된다.
그러나, 의료용 압박 스타킹은 나일론을 기반으로 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착용감을 위해 면이 매끄럽고 얇기 때문에 보행 시 지면 또는 신발 내에서 발이 미끄러지는 불편함이 있으며, 점진적으로 감압되는 단계별 압박을 하체에 제공하는 것 이외에 하체에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압박 스타킹이 갖는 기존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압박 스타킹의 압박력을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163478호 KR 10-1540906호 KR 20-0477786호 KR 10-2020-0078338호 KR 20-0370566호 KR 20-029794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였을 때 다리 부위에 따른 압박력을 최적화되도록 분산시켜 사용자가 착용 시 부담 없이 압박력을 분산시켜 사용상의 편의성과 함께 사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능성 압박 스타킹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박력 분산을 통해 착용시에도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모하고, 통증 완화도 기대할 수 있는 기능성 압박 스타킹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박 스타킹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체 다리를 압박하는 압박 스타킹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하여 타면적보다 압박력이 낮도록 직조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전면 분산부; 상기 본체의 후면부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하여 타면적보다 압박력이 낮도록 직조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후면 분산부; 및 상기 후면 분산부 하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종아리측에 맞닿으며 압박력이 다단 분산되도록 구성되는 다단 분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단 분산부는, 다수의 분산부가 상기 압박 스타킹 본체 후면부의 폭 길이 전체를 따라 다단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분산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단 분산부는, 각각의 분산부 폭이 스타킹 본체 하부측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압박 스타킹 본체는,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본체 압박력 보다 높은 제 1가압밴드부와 제 2가압밴드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가압밴드부는, 상기 압박 스타킹 후면부측을 기준으로 중앙으로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가압밴드분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다리의 부종, 정맥염 및 혈전증과 같은 정맥 장애의 발생을 예방을 위하여 압박 스타킹이 착용되는 다리 부위로 단계별 압박과 분산 압박을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착용 시에도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고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압박력 분산을 위하여 다단형 분산 구조를 갖고 전면부와 후면부측으로 충분한 압박 분산을 가질 수 있도록 대면적 압박 분산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보다 착용성 높은 압박 스타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박 스타킹 착용에도 혈액순화 저해를 방지하지며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높은 기능성의 압박 스타킹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압박 스타킹을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은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의 전/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의 전면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의 후면부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은, 압박 스타킹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체 다리를 압박하는 압박 스타킹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하여 타면적보다 압박력이 낮도록 직조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전면 분산부; 상기 본체의 후면부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하여 타면적보다 압박력이 낮도록 직조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후면 분산부; 및 상기 후면 분산부 하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종아리측에 맞닿으며 압박력이 다단 분산되도록 구성되는 다단 분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단 분산부는, 다수의 분산부가 상기 압박 스타킹 본체 후면부의 폭 길이 전체를 따라 다단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분산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단 분산부는, 각각의 분산부 폭이 스타킹 본체 하부측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압박 스타킹 본체는,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본체 압박력 보다 높은 제 1가압밴드부와 제 2가압밴드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은, 사용자의 착용부위에 해당하는 발목에서부터 무릎 사이에 해당하는 하퇴부의 각 부위별 압박력을 제어함으로써 장시간 착용에도 압박 부담없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압박력이 분산된 압박 스타킹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은 전체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압박 스타킹의 착용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의 발목에서부터 무릎 아래까지에 해당하는 하퇴부에 압박 스타킹이 착용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압박 스타킹은 사용자의 양쪽 하퇴부에 모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압박 스타킹을 장시간 착용하였을 때 오는 압박력에 의한 하퇴부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압박 스타킹의 부위바다 압박력을 달리 구성함으로써 압박력 분산에 따른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과 피로감 없이 착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9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의 전/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도시는 압박 스타킹(10)의 전면부와 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 길이는 사용자의 하퇴부에 착용 시 길이가 대응되도록 약 25cm 내지 40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크기별로 제조된 압박 스타킹을 착용한다.
이때, 상기 압박 스타킹(10)은 전체 면적에 대하여 하퇴부의 부위별로 압박력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착용 시 피로도를 줄여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퇴부 부위별로 압박력에 차이를 두는데, 크게 하퇴부 전면부인 정강이 부위와 하퇴부 후면부에 해당하는 종아리부 그리고 종아리 하부측으로 압박력에 차이를 두고 제조된다.
또한, 상기 압박 스타킹(10)은 본체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착용 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만족도 높은 착용감을 부가하기 위하여 제 1가압밴드부(12)와 제 2가압밴드부(13)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 1가압밴드부(12)와 제 2가압밴드부(13)는 다른 부위보다 압박력이 높도록 구성됨에 따라 착용 시 상부측과 하부측에 높은 압박력을 제공함으로써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 전면부와 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압밴드부(12)와 제 2가압밴드부(13))는 전면부와 후면부 전체부위를 감싸도록 원주상 일정한 폭을 갖고 둘레 전체에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가압밴드부(12)의 후면측으로는 가압밴드 분산부가 별도로 구성되어 종아리 상부측의 압박력을 낮춰주는데, 이는 아래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의 전면부의 상세도이다.
상기 압박 스타킹(10)의 전면부를 살펴보면, 소정 높이의 길이와 폭을 갖는 본체로 구성되고, 본체의 상부측과 하부측으로는 각각 착용 시 벗겨짐이나 흘러내림 방지를 위하여 제 1가압밴드부(12)와 제 2가압밴드부(13)가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으로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전면 분산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면 분산부(20)는 타 면적 부위보다 압박력이 낮게 설계됨에 따라 전면 분산부(20)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하퇴부 중 정강이뼈 부위에 압박력을 줄여줌으로써, 비교적 피부층이 얇은 정강이 부위의 압박 통증을 최소화시키고 피부층이 두꺼운 타 면적으로는 압박력을 높게 제공함으로써 압박 스타킹 착용시 하퇴부의 위치별 특성에 따른 압박력을 분산시켜 장시간 착용에 따른 압박 피로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의 후면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 스타킹의 후면부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요지로써, 기존의 압박 스타킹 착용 시 장시간 압박력으로 인해 가장 불편함이 발생되었던 종아리 부위에 압박력을 최적화되도록 분산시키면서 안정화된 압박력을 제공하여 기능을 부가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후면 분산부(30)와 다단 분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후면 분산부(30)는 하퇴부 후면측인 종아리 부위에서 면적 비중이 가능 큰 종아리 중심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소정의 면적을 갖고 후면 분산부(30)가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 분산부(30)는 원형의 형상을 갖고 구성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킴에 따라 종아리 중심부의 피로도를 크게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압박력 분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단 분산부(40)를 적용하여 압박에 따른 피로도를 크게 낮춰 주는데,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분산부(30) 하부측으로 구성되며 그 형상은 폭 방향을 따라 다단 형상을 갖는 구조의 분산부(41)가 구성됨에 따라 종아리 중심부의 하부측 종아리 부위의 압박력을 분산 제어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 피로감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다단 분산부(40)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분산부(41)는 그 끝단이 전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42)를 통해 종아리 하부측의 압박력을 감싸듯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적인 분산 역할을 구현하며, 압박 스타킹 제조 과정에서도 각각의 상기 분산부(41)가 사용자가 착용 하였을 때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소재의 안정성을 부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리의 부종, 정맥염 및 혈전증과 같은 정맥 장애의 발생을 예방을 위하여 압박 스타킹이 착용되는 다리 부위로 단계별 압박과 분산 압박을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착용 시에도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고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압박력을 분산을 위하여 다단형 분산 구조를 갖고 전면부와 후면부측으로 충분한 압박 분산을 가질 수 있도록 대면적 압박 분산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보다 착용성 높은 압박 스타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압박 스타킹
11 : 본체
12 : 제 1 가압밴드부
13 : 제 2 가압밴드부
14 : 가압밴드 분산부
20 : 전면 분산부
30 : 후면 분산부
40 : 다단 분산부
41 : 분산부
42 : 연장부

Claims (5)

  1. 압박 스타킹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체 다리를 압박하는 압박 스타킹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하여 타면적보다 압박력이 낮도록 직조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전면 분산부;
    상기 본체의 후면부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하여 타면적보다 압박력이 낮도록 직조되어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후면 분산부; 및
    상기 후면 분산부 하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종아리측에 맞닿으며 압박력이 다단 분산되도록 구성되는 다단 분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단 분산부는,
    다수의 분산부가 상기 압박 스타킹 본체 후면부의 폭 길이 전체를 따라 다단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분산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단 분산부는, 각각의 분산부 폭이 스타킹 본체 하부측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압박 스타킹 본체는,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본체 압박력 보다 높은 제 1가압밴드부와 제 2가압밴드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압밴드부는,
    상기 압박 스타킹 후면부측을 기준으로 중앙으로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가압밴드 분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KR1020210156414A 2021-11-15 2021-11-15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Active KR102703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14A KR102703671B1 (ko) 2021-11-15 2021-11-15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14A KR102703671B1 (ko) 2021-11-15 2021-11-15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633A KR20230070633A (ko) 2023-05-23
KR102703671B1 true KR102703671B1 (ko) 2024-09-05

Family

ID=8654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414A Active KR102703671B1 (ko) 2021-11-15 2021-11-15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3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16819A (ko) 2023-07-26 2025-02-04 브이앤비 주식회사 키네시오 테이핑법이 적용된 혈액순환 개선용 y형 밴드 타입 압박 튜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981A (ja) * 2008-10-27 2010-05-06 Okamoto Kk 靴下
CN103564666B (zh) 2013-11-15 2015-06-10 加宝利服装有限公司 一种压力袜、一种压力袜织造工艺和一种无缝圆袜机
CN105614962A (zh) 2016-03-28 2016-06-01 爱谱诗(苏州)服装有限公司 一种多级压力瘦腿袜
KR101642852B1 (ko) * 2010-12-28 2016-07-26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하퇴용 서포터
KR20190032270A (ko) 2016-06-10 2019-03-27 세르게이 마조우리크 기능성 양말
KR102105795B1 (ko) 2019-10-11 2020-04-28 제동욱 압박 레깅스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43Y1 (ko) 2002-09-24 2002-12-12 김성기 스타킹
KR200370566Y1 (ko) 2004-09-24 2004-12-14 양철성 임부용 타이즈
KR200477786Y1 (ko) 2014-05-12 2015-07-22 조현근 보습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KR101540906B1 (ko) 2015-02-03 2015-08-03 (주)아이픽스월드 임산부용 압박스타킹
KR102347992B1 (ko) 2018-12-21 2022-01-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KR102163478B1 (ko) 2019-05-07 2020-10-07 주식회사 오스메딕 기능성 압박 스타킹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981A (ja) * 2008-10-27 2010-05-06 Okamoto Kk 靴下
KR101642852B1 (ko) * 2010-12-28 2016-07-26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하퇴용 서포터
CN103564666B (zh) 2013-11-15 2015-06-10 加宝利服装有限公司 一种压力袜、一种压力袜织造工艺和一种无缝圆袜机
CN105614962A (zh) 2016-03-28 2016-06-01 爱谱诗(苏州)服装有限公司 一种多级压力瘦腿袜
KR20190032270A (ko) 2016-06-10 2019-03-27 세르게이 마조우리크 기능성 양말
KR102105795B1 (ko) 2019-10-11 2020-04-28 제동욱 압박 레깅스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633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547B1 (ko) 스타킹, 양말 또는 팬티 스타킹 형상의 편물된 물건 형태의 하지용 압박 정형보조기구
KR101465104B1 (ko) 기능성 레깅스
US20180318142A1 (en) Lower body support and compression garment
CA2284008A1 (en) Post-pregnancy compression garment
PL186419B1 (pl) Wyrób korygujący i obciskający typu skarpety
US20160113408A1 (en) Pressure Reducing Device
CN104394815A (zh) 用于对象穿戴的治疗性支撑物
KR101540906B1 (ko) 임산부용 압박스타킹
KR102703671B1 (ko)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KR100459653B1 (ko) 압박 붕대
JP2000510743A (ja) 弾性ストッキング型又は弾性タイツ型圧縮性装具
US20090024069A1 (en) Compression wrap and garment
CN208160700U (zh) 一种用于下肢静脉曲张术后加压包扎腿套
CN109498273B (zh) 一种医用静脉曲张弹力袜
CN204949532U (zh) 牵引治疗保暖袜
WO2014188250A1 (en) Lymph drainage trous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9951571U (zh) 改良ssb绷带系统
CN218899926U (zh) 压力带及包括所述压力带的服饰
CN205054593U (zh) 大隐静脉曲张术后治疗袜
CN216091051U (zh) 一种新型减压式弹力袜
Wang 10 Applications in Medical
DE1955539A1 (de) Vorrichtung zum Behandeln hypostatischer Beinleiden
CN220476949U (zh) 一种胶原蛋白养肤塑形踏脚裤
CN218458249U (zh) 一种压力袜
CN211353952U (zh) 分段式弹力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