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07868A - 의료용 압박양말 - Google Patents

의료용 압박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07868A
KR20250007868A KR1020230087865A KR20230087865A KR20250007868A KR 20250007868 A KR20250007868 A KR 20250007868A KR 1020230087865 A KR1020230087865 A KR 1020230087865A KR 20230087865 A KR20230087865 A KR 20230087865A KR 20250007868 A KR20250007868 A KR 2025000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compression
compression
medical
foot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만
Original Assignee
권기만
강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만, 강선미 filed Critical 권기만
Priority to KR102023008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07868A/ko
Publication of KR2025000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0786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4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6Deodo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압박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은 발 및 다리의 각 부위에 적절한 강도의 압박이 유지되도록 기능하는 장양말에 해당한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발 및 다리 하부를 네 부위로 나누어 단계적 압력을 부여하고, 종아리 부분에는 7단 V자 압력을 부여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다. 또한, 도전사를 혼용하여 혈행 개선 기능과 더불어 항균소취력, 전자파 차단, 정전기 방지 등의 추가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압박양말{medical compression socks}
본 발명은 의료용 압박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착용시 원사가 발끝부터 무릎 바로 아래까지 빈틈없이 고른 압력을 가하는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구현한 제품이다. 이로 인해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고 하지부종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도전사가 적용되어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낸다.
세계적으로 당뇨병 인구의 증가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당뇨 위기인구가 2000만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가 600만명에 육박하였고, 당뇨병 고위험군은 1500만명에 달한다. 당뇨병 환자는 10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했고, 고령자가 아닌 성인층의 당뇨병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당뇨환자의 경우 말초신경 장애만으로도 발 합병증인 족부궤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 질환이 없더라도 평상시 적절한 발관리를 통해서 발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시간 서서 일하거나 계속 움직여야 하는 작업 환경에 처한 근로자들은 여러 건강문제 중 요통 및 관절통과 같은 근골격계 증상과 함께, 발에 물집이 생기거나 붓는 것과 같은 순환계의 문제를 많이 호소한다. 이러한 이유로 간호사, 미용사, 판매원, 골프경기장 보조원과 같이 직업의 특성상 장시간 서서 일해야 하는 경우에 하지부종과 하지통증은 가장 흔한 직무관련 건강문제로 보고되고 있다. 이 문제가 지속될 경우에는 하지정맥류와 같은 질병의 발생도 우려된다.
이와 같이 혈관질환이 발병되면 개인 차원에서는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고 의료비 또한 부담이 된다. 이로 인하여 국가 차원에서도 재정에 큰 손실로 이어지다 보니 정부에서는 의료비 억제와 혈관 문제로 인한 중증질환(심장질환, 신장질환, 뇌질환, 실명, 하지 절단)을 예방하고자 혈관질환 제품인 의료용 압박양말을 예방 목적으로 착용하여도 의료보험 급여로 인정하게 되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6-181호에 따르면, 정맥혈전색전증(DVT)에 있어서 치료 목적일 경우에는 급여, 림프부종(Lymph Edema) 및 정맥류, 정맥혈관기형, 만성정맥부전 등의 정맥질환(Varicose vein)에 있어서 예방 목적 및 치료 목적 모두에 대해 압박스타킹 및 펌프슬리브를 급여로 변경하였다.
장시간 서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직업군에게 압박붕대 또는 압박스타킹과 같이 탄력이 있고 압박을 가해줄 수 있는 풋웨어는 세포에 체액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붓는 것을 막아주며, 움직일 때마다 정맥근육을 자극하여 확장된 혈관내부의 판막기능을 강화시켜 하지부종 및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압박붕대는 압박압(압박하는 압력)이 균일하지 않으며, 붕대를 감을 때마다 압박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풀리기 쉽게 때문에 사용시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압박스타킹은 압박붕대에 비해서 불쾌감이 적으나, 스타킹 상단부가 쉽게 말리는 특성이 있어 국소적인 압박압 상승으로 오히려 혈행장애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압박이 균일하게 가해지지 않아 부종이 특정 부위에 집중될 우려가 있고, 특유의 착용감으로 인해 수면시 착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장시간 서서 근무해야 하는 직업군 및 혈액 순환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의 관련 하지순환계 질병의 예방 및 완화를 위해, 상기 문제들을 해결한 의료용 압박양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90016169호, “견인용 끈이 부착된 혈전 예방용 압박스타킹”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림프부종, 하지정맥, 당뇨병 환자들이 착용함으로써 편안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는 의료용 압박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의료용 압박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적인 압박 기능과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한 의료용 압박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오맥스(biomax) 원사와 도전사로 제직한 의료용 압박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봉제 처리한 의료용 압박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파 차단, 정전기 방지, 논슬립 처리한 의료용 압박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은 착용대상의 발 끝단부터 무릎 하단까지 압박하는 형태로, 발 끝단부터 무릎 하단까지 부위별로 4단계의 단계별 압박을 제공하고, 바이오맥스 원사 및 도전사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단계별 압박은 1단 내지 4단으로 이루어지고, 단계별로 압력을 달리하여 장력(tension)을 가하며, 1단은 발 부위를 감싸고, 1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기본 형태, 패턴 형태, 메쉬 형태 및 파일(pile) 형태이며, 2단은 발의 복숭아 뼈 부위를 감싸고, 2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기본 형태 및 메쉬 형태이며, 3단은 종아리 하단 부위를 감싸고, 3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메쉬 형태 및 패턴 형태이며, 4단은 종아리 상단 부위를 감싸고, 4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메쉬 형태 및 패턴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3단 및 4단을 구성하는 패턴 형태는 V자 패턴이고, V자 패턴은 종아리 후면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V자 형태가 구현되며, V자 패턴은 7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도전사는 항균작용, 소취작용, 원적외선 방출, 전자파 차단 및 정전기 방지를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도전사는 구리(Cu) 도전사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의료용 압박양말은 무봉제 형태로, 발 끝단까지 도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의료용 압박양말의 발바닥 부분에 육각형 형태의 미끄럼 방지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의료용 압박양말은 착용대상의 혈액순환 개선, 당뇨족 예방 및 정맥류, 하지부종 및 말초혈액순환장애를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함으로써 혈행을 개선시키고, 활력을 증진시키며, 피로를 회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함으로써 보온효과 및 통증, 냉증, 자극, 부상에 대한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봉제 처리한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함으로써 발가락 눌림 및 배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함으로써 혈관질환 예방 및 발 보호(foot care)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함으로써 혈류량을 증가시켜 혈액 순환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오맥스(biomax) 원사와 도전사를 제작한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함으로써 뛰어난 항균소취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박 단계가 부종·혈액 순환 단계에 해당하는 의료용 압박양말은 정맥류, 하지부종, 말초혈액순환장애, 당뇨족 예방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전면부 및 측면부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후면부 및 측면부 이미지이다.
도 3은 종래의 일반 압박양말 이미지이다.
도 4는 의료용 압박양말을 다리에 착용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압축방식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은 일반 양말의 원단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 양말의 원단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발바닥 부분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0은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하기 전의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은 의료용 압박양말을 2주간 착용한 후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착용시 발끝부터 무릎까지 단계적 압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의료용 압박에 있어서 압박의 강도는 단계별로 분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의 압박 정도는 부종(edema),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압박용 양말은 압력을 가하는 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단순한 소시지 압축 방식을 사용하였고 이와 같은 단순한 압축 방식은 발등과 같은 부위를 제외한 발목과 종아리 일부만 압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착용 후 피부에 자국이 심하게 남을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인체 역학적인 압축 방식을 적용한 4단계 압축을 통해 발끝에서 무릎까지 단계별로 압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혈액저류증상 및 정맥 혈액 증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부위에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자극성 및 우수한 통기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혈전, 하지정맥 및 당뇨족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의료용 압박양말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압박붕대, 압박스타킹, 일반 탄력양말보다 우수한 압박 작용을 한다. 이로 인해 혈전을 예방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압박붕대는 압박압(압박하는 압력)이 균일하지 않으며, 붕대를 감을 때마다 압박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풀리기 쉽게 때문에 사용시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압박스타킹은 압박붕대에 비해서 불쾌감이 적으나, 스타킹 상단부가 쉽게 말리는 특성이 있어 국소적인 압박압 상승으로 오히려 혈행장애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압박이 균일하게 가해지지 않아 부종이 특정 부위에 집중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특유의 착용감으로 인해 수면시 착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탄력양말은 압박스타킹보다 균일한 압박을 가할 수 있으나 비입체적인 단순 압박으로 발목 등에 부종이 집중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은 착용대상의 발 끝단부터 무릎 하단까지 압박하는 형태로, 발 끝단부터 무릎 하단까지 부위별로 4단계의 단계별 압박을 제공하고, 바이오맥스(biomax) 원사 및 도전사를 포함한다.
바이오맥스 원사와 도전사는 항균 효과가 있고, 세균 및 곰팡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전사는 금속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있다. 본 발명에서 도전사는 도전성을 나타내는 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전면부 및 측면부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후면부 및 측면부 이미지이다. 도 3은 종래의 일반 압박양말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일반적인 압박양말과 달리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정맥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3차원(3D)적인 입체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다리의 형태에 맞추어 입체적으로 압축하는 힘을 가하기 때문에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크다. 또한 발끝 부위, 발목 부위와 종아리 부위를 고르게 압박하여 발목에서 혈류의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압박스타킹 혹은 탄력양말과 달리 발목에 부종이 집중될 가능성이 적다. 또한 균일한 압박으로 인해 수면시에도 착용 가능하며, 이와 같이 발끝부터 무릎까지 오랜시간 지속적인 압박을 가함으로써 혈류 개선 능력이 우수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단계별 압박은 1단 내지 4단으로 이루어지고, 단계별로 압력을 달리하여 장력(tension)을 가할 수 있다.
1단은 발 부위를 감싸고, 1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기본 형태, 패턴 형태, 메쉬 형태 및 파일(pile) 형태일 수 있다.
2단은 발의 복숭아 뼈 부위를 감싸고, 2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기본 형태 및 메쉬 형태일 수 있다.
3단은 종아리 하단 부위를 감싸고, 3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메쉬 형태 및 패턴 형태일 수 있다.
4단은 종아리 상단 부위를 감싸고, 4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메쉬 형태 및 패턴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위별로 압박을 달리한 단계별 압박 방식은 발 및 다리의 입체적인 형태에 맞추어 압박 기능을 부여한다.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한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점진적으로 가압을 제공할 수 있다.
각 부위별로 기능부여를 위한 직물 조직을 설정함으로써 발 및 다리에 조임 정도를 다르게 하여 다리형태가 나오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압박양말의 형태안정성을 위해 텀블 가공을 하는데 가공용 지그 또한 일자가 아닌 다리모양에 가깝게 제작하여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기본 형태는 일반적인 양말의 직물 형태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제직 방법을 사용하여 직조할 수 있다. 상기 파일 형태의 조직을 구성하면 단단하고 논슬립 기능은 강화될 수 있다. 상기 패턴 형태 및 메쉬 형태는 발 및 다리에 원활한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다. 종아리 상단 부위 및 하단 부위의 메쉬 형태는 촘촘한 정밀 메쉬 형태로 원사를 제직함으로써 다리의 혈관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자극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3단 및 4단을 구성하는 패턴 형태는 V자 패턴이고, V자 패턴은 종아리 후면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V자 형태가 구현되며, V자 패턴은 7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의료용 압박양말을 다리에 착용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V자 7단 압축으로 발목부터 무릎까지 꼼꼼한 압축성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리의 하부에 전체적으로 빈틈없이 누르는 힘이 가해져 압박양말을 착용시 발과 다리의 피로 회복 및 피로 완화 효과를 즉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압축방식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를 참고하면, V자 7단 패턴 디자인은 특히 V자 패턴을 따라 압박에 대해 방향성을 부여함으로써 감싸주는 느낌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V자 7단 패턴은 종아리 부위의 두께를 감안하여 부위마다 각기 다른 패턴 크기로 디자인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도전사는 항균작용, 소취작용, 원적외선 방출, 전자파 차단 및 정전기 방지를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전사는 구리(Cu) 도전사일 수 있다.
의료용 압박양말은 정전기 방지 및 항균 작용을 함으로써 반도체 클린룸, 화학물질 관련 산업 현장, 폭발물 관련 산업 현장 등 정전기 주의가 필요한 작업 환경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사를 포함하는 의료용 압박양말은 원적외선(FIR)을 방출할 수 있다.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함으로써 혈류량을 증가시켜 혈액 순환을 도울 수 있다.
압박양말과 관련하여 압력이 높은 양말은 의학적 효과는 뛰어나지만 착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의료용 압박양말은 약압(약한정도 압력) 양말로써 착용감이 편해 일상생활에서 장시간 동안 착용할 수 있다. 대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중압(중간정도 압력)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아래 표 1은 압력 등급, 나라별 압력의 기준, 적응증(사용범위)를 정리한 표이다.
압력 등급 나라별 압력 기준(mmHg) 적응증
미국·일본 유럽 독일
1등급(약압) 15-20 18-21 18-21 부종이 없는 약한 정맥류, 임신 중 초기 정맥류, 정맥류 예방 등
2등급(중압) 20-30 23-32 23-32 부종을 동반하는 중도 정맥류, 하지정맥류 경화요법이나 수술 치료 후, 임신 중 중도 정맥류 등
3등급(강압) 30-40 34-46 34-46 만성정맥부전증, 정맥혈전증, 심한 부종/하지피로/중압감, 피부 변성 및 궤양 등을 동반한 정맥류 등
4등급(초강압) 40-50 49+ 림프부종, 심한 정맥류, 심부정맥혈전 등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18~21mmHg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의료기기이다. 이는 유럽 기준 1등급(약압)에 해당한다. 하지만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도전사를 사용하여 제직함으로써 2등급(중압)에 해당하는 적응증까지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압박양말을 사용하면 약압에 해당하는 착용 편의성으로도 약압보다 더 강한 압력이 필요한 적응증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복숭아뼈(발목)에서 종아리 상단부에 해당하는 2단에서 4단 구간은 전체를 메쉬조직으로 제직하여 압박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겉실은 바이오맥스 원사로 제직할 수 있으며, 바이오맥스 원사는 흡습성, 속건성(빠르게 건조됨) 및 통기성이 매우 우수하다. 바이오맥스 섬유는 150 데니어의 클로버 모양 단면의 필라멘트 섬유로 96 합연한 마이크로 원사이다. 이 클로버 모양의 단면은 합연시 각각의 섬유끼리 달라붙지 않고 공간을 만들어낸다. 이 공간으로 공기가 잘 통할 수 있게 되며, 이 공간을 통해 양말 안쪽에 있는 수분을 일시적으로 머금었다가 바깥으로 빠르게 배출이 가능하다.
바이오맥스(biomax) 원사와 도전사를 제작한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함으로써 뛰어난 항균소취력을 얻을 수 있다. 나일론 구리 도전사(나일론에 구리이온을 코팅한 섬유)를 사용하여 정전지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바이오맥스 소재는 얇고 가벼운 소재로 가벼운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라텍스 소재인 바이오맥스 원사를 코어로 하고, 코어의 외부를 도전사로 감싸는 형태(coverin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밀도높은 커버링 기술로 80% 내지 90%의 전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일반적인 타제품들은 30% 정도의 전도율을 나타낸다. 즉, 구리 도전사를 사용함으로써 구리소재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전사는 양말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활용하여 착용자를 따뜻하게 해주어 혈류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압박양말에 추가로 항균, 소취 후가공을 하여 기본소재의 특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는 항균원사를 사용하여 곰팡이와 박테리아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반 양말의 원단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 양말의 원단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원적외선 구리 원사를 사용한 의료용 압박양말은 일반 양말과 달리 직물이 돌기와 같은 융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수분을 우선적으로 융털 구조에 가둔 뒤 증발시키기 때문에 발에 땀이 차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도전사의 특징인 곰팡이, 박테리아 증식 예방 효과로 인해 의료용 압박양말은 오랜 착용 시간에도 쾌적한 느낌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발톱을 감싸는 발 끝 부분까지 원적외선 도전사를 사용하여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다.
도전사로 제작한 압박양말은 항균 효과로 인해 무좀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하며, 광부, 경찰, 군인, 소방관 등 발 건강에 좋지 않은 작업환경에서 일하는 직업군의 무좀 환자가 장시간 착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0년 칠레의 광산 붕괴사고 당시 매몰된 33명의 광부들이 광산에 갇힌 지 36일 이후 구리 양말을 전달받아 양호한 피부 상태로 구조된 사건으로 인해 구리 전사의 항균 효과가 입증되기도 하였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의료용 압박양말은 무봉제 형태로, 발 끝단까지 도전사를 포함할 수 있다.
무봉제 처리한 의료용 압박양말은 착용시 발가락 눌림 및 배김을 방지할 수 있다. 족부질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양말이기 때문에 압박기능 뿐 아니라 발의 편안함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발가락 부분은 특수 봉조기로 봉제하여 시접 및 실뭉침 없이 마감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무봉제(심리스, seamless) 디자인은 발가락 눌림을 방지하고 배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솔기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발 ?〈倂沮? 빈틈없이 도전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에는 쿠션감 있는 발바닥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발바닥 부분은 파일조직으로 구성하여 단단하고 두툼하게 제직하여 쿠션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의료용 압박양말의 발바닥 부분에 육각형 형태(벌집 형태)의 미끄럼 방지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발바닥 부분에는 파일 형태의 직물 및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용하여 논슬립(non-slip)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발바닥 부분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미끄럼 방지 패드는 발바닥 부분에 프린팅함으로써 착용시 배김없이 제작할 수 있다. 걸음걸이를 고려하여 주요 마찰부위인 엄지발가락 부분까지 프린트할 수 있고, 일반 걸음걸이뿐만 아니라 신발을 신었을 때까지 고려하여 뒤꿈치 부분을 상단 옆부분까지 연장하여 뒤꿈치와 신발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신발과 양말의 일체화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엄지발가락 부분의 논슬립 프린트로 인해 좌우를 구분 가능한 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의 내구성과 기능 향상을 위해 일반 PVC가 아닌 고경도와 고점도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모델명: 8045)과 일반 실리콘(모델명: 5200)을 7:3 비율로 배합하여 인쇄할 수 있다.
의료용 압박양말은 여성용과 남성용 두가지 사이즈로 생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여성용에 해당하는 보다 작은 사이즈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발 크기가 220mm 내지 255mm인 사람의 착용을 위한 것이다. 여성용 압박양말의 발바닥 길이는 20cm 내지 24cm, 발목 부분의 둘레는 5cm 내지 9cm, 양말의 가장 상단부에 해당하고 무릎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의 둘레는 7cm 내지 11cm, 양말의 발가락 끝부분부터 무릎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가장 상단부까지의 전체 길이는 28cm 내지 32cm가 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남성용에 해당하는 보다 큰 사이즈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발 크기가 260mm 내지 290mm인 사람의 착용을 위한 것이다. 남성용 압박양말의 발바닥 길이는 23cm 내지 27cm, 발목 부분의 둘레는 6cm 내지 10cm, 양말의 가장 상단부에 해당하고 무릎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의 둘레는 9cm 내지 13cm, 양말의 발가락 끝부분부터 무릎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가장 상단부까지의 전체 길이는 35cm 내지 39cm가 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의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화이트, 그린, 그레이, 블랙 다양한 색상으로 차별화되고 심미적인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의료용 압박양말은 착용대상의 혈액순환 개선, 당뇨족 예방 및 정맥류, 하지부종 및 말초혈액순환장애를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의 착용은 입원 환자, 장시간 서서 일하거나 앉아서 일하는 작업 환경의 근로자, 혈압 또는 혈액순환에 문제가 있는 사람, 입원 환자, 노년층, 비행기 탑승객, 등산객, 임산부, 장시간 신발을 착용해야 하는 사람 및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작업 환경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환자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림프부종, 하지정맥 질환, 당뇨병, 정맥혈전색전증 환자들이 착용함으로써 편안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는 의료용 압박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만을 착용함으로써 혈관계 문제가 있는 환자들의 하지부종 및 통증을 개선하는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혈관계 문제가 없는 대상자들에게도 의료용 압박양말의 착용은 하지부종 및 통증 예방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의 적용대상은 구체적으로 다리부종, 하지정맥류, 다리 경련(쥐), 심부정맥혈전증, 혈전후증후군, 정맥혈전색전증과 폐색전증, 정맥기능부전증, 당뇨성족부합병증(만성 상처), 말초동맥질환과 말초혈관질환, 임파부종 환자 등이 있다.
다리부종은 하지정맥류와 혈전증후군으로 인해 다리의 혈액을 심장으로 올려줄 수가 없어 다리가 붓고, 임파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생기는 병이다. 다리부종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앉은 자세로 오랫동안 일을 하거나, 생활을 하게 되는 경우, 오랫동안 서 있는 경우, 신경외과, 정형외과, 부인과, 위 등을 수술한 환자, 비만·흡연·임신, 당뇨병이 있는 경우, 다리에 외상이 발생할 경우, 4시간 이상 장시간 비행기를 타는 경우, 호르몬 대체요법(에스트로겐)으로 인한 경우 등이 있다.
하지정맥류는 치료방법으로 가장 먼저 수술을 떠올린다. 수술적 치료에서는 보통 혈관을 없애는데 정맥류가 진행된 혈관을 없애더라도 다른 우회혈관을 이용해 심장 방향으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제는 없지만, 수술에 앞서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하지정맥류에 도움이 되는 보존치료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하지정맥류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오랫동안 서 있거나 하루종일 같은 자세로 앉아서 일하는 사람은 쉬는 시간에 다리를 심장보다 높이 들어 올려 주는 것이 좋다. 실내에서는 발목에서 무릎을 향해 쓸어 올리는 마사지를 해주거나 순환 부전을 개선해줄 수 있는 의료용 압박양말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심장에서 출발한 혈류는 우리의 신체기관을 돌아 다시 심장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다리에 있는 피가 심장으로 다시 되돌아가지 못하게 되면 다리에 경련이나 쥐가 나게 된다. 이러한 경련이나 쥐를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원활하지 못한 혈액순환, 정맥을 붓게 하는 흡연, 하지정맥류를 유발하는 음주, 다리 압력 증가로 혈액순환에 악영향을 미치는 비만, 마찬가지로 다리 압력이 증가하여 혈액순환에 악영향을 끼치는 임신, 정적인 생활, 게으른 생활, 앉아있거나 서있는 일을 오래 하는 생활, 심부정맥혈전증, 하지정맥류 등이 있다.
심부정맥혈전증은 미국에서는 매년 2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진단을 받는 질병으로 심부정맥에 생긴 혈전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수가 유방암, 교통사고, 에이즈(HIV)로 사망하는 사람을 모두 합친 수보다 많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령화, 식습관의 서구화, 수술이나 암환자의 증가 등으로 심부정맥혈전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50% 이상이 심부정맥혈전증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정맥혈전색전증(VTE)은 급성환자를 치료할 때 환자들에게 두번째로 많이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심부정맥혈전증(DVT)이 있는 사람들은 2년 이내에 60%가 혈전후증후군(PTS)으로 전환된다. 혈전후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나면 육체적 고통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일상생활을 하는데 큰 제약이 따르게 된다. 이에 의료용 압박양말을 일정 기간동안 착용하면 혈전후증후군 예방 외에도 혈전후증후군의 증상을 개선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유럽에서는 정맥혈전과 연관되는 질병이 연간 150만건을 넘어서고 있으며, 매년 54만 4천명이 이로 인해 사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서도 전문가들의 견해에 따르면 서양의 발병률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맥혈전색전증(VTE)이 더욱 위험한 것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정형외과 인공관절수술는 정맥혈전색전증과 인과관계가 있다. 인공관절 수술로 인해 혈관이 손상되고 혈류가 느려지고, 혈액응고능력이 항진되어 혈전이 생기게 되며, 수술로 인해 장기간 움직이지 않음으로 혈액순환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형외과 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방지책을 시행하지 않으면 42%~57%의 발생률을 보인다. 다시 말해 인공관절수술과 같은 정형외과 수술을 한 이후에는 정맥혈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의료용 압박양말의 착용이 필요하다.
정맥기능부전증이란 심장에서 온 몸을 경유해서 정맥으로 내려온 피를 다시 심장으로 충분히 되돌려 보낼 수 없는 정맥 혈관의 상태를 말한다. 정맥기능부전증의 증상으로는 만성정맥기능부전증과 혈전후증후군이 있다. 만성정맥기능부전증(CVI)은 종아리의 근육이 뭉치고 묵직함을 느끼며 걸을 때 통증을 느끼는 질환이다. 이는 하지정맥류와 연관이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변색 및 심한 경우 궤양으로도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혈전후증후군(PTS)은 심부정맥혈전(DVT)의 고질적인 합병증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증상들을 가진 환자들이 제때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해 증상이 악화되거나 심해지는 경우 다리가 괴사되어 다리를 절단하게 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따라서 혈전후증후군 또는 만성정맥기능부전증이 나타날 경우 의료용 압박약말을 꾸준히 착용해 증상이 더욱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발은 당뇨병 3대 합병증이다. 당뇨환자의 15%가 당뇨발로 고생하고 있으며 당뇨발 환자는 일반 환자보다 하지 절단 위험이 30배 높다. 당뇨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당뇨발이 발병하면 환자들의 상처를 빠르게 낫게 할 방법들이 현재까지는 한계가 있다.
이와 유사한 만성창상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상처로, 미국에서는 약 600만명이 만성창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당뇨환자나 정맥기능부전인 사람들에게 만성창상은 아주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은 당뇨환자의 발이나 다리의 혈액순환 효과를 증대시키며 발보호(풋케어) 기능이 있어 당뇨로 인한 족부합병증에 대해 환자들이 인지와 사전 예방에 도움이 된다.
말초혈관질환은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걷거나 산책하고 나서 엉덩이나 허벅지 또는 종아리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는 경우, 다리가 저리거나 감각이 무뎌지는 경우, 발과 다리가 차갑게 변하는 경우, 발과 다리에 핏기가 없거나 색이 푸르스름한 경우, 발과 다리의 털이 빠지거나 털이 잘 자라지 않는 경우, 발톱이 잘 자라지 않는 경우, 다리 피부가 번들거리는 경우, 발과 다리의 맥박이 느껴지지 않거나 아주 약하게 느껴지는 경우 등이 있다. 의료용 압박양말은 말초동맥질환으로 인한 증상 그리고 기능 제약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혈류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줄 수 있다.
임파부종은 주로 손이나 발에 임파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것을 말하며, 부종을 일으키고 생활하는데 불편을 초래한다. 임파계의 기능이상으로 임파부종이 발생하며, 세포 사이사이의 공간에 임파액이 고이거나 쌓이게 되면 손이나 발의 말단부위에 부종이 발생한다. 1차적인 임파부종의 원인은 임파시스템의 내재적인 결함이다. 2차적인 임파부종의 원인은 림프관과 림프절의 손상 및 정체, 유방암으로 인한 유방 제거 수술, 부인과 수술, 전립선 수술, 림프절 제거 수술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임파부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을 가진 사람은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하여 임파부종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거나 임파부종이 발생한 후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리부종이 심한 실험대상에게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양말을 2주 동안 착용할 것을 지시하였다.
도 10은 의료용 압박양말을 착용하기 전의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1은 의료용 압박양말을 2주간 착용한 후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의료용 압박양말 착용 2주 후의 사진을 참고하면, 착용 전과 달리 발목과 더불어 종아리의 전체적인 부종이 확연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양말이 종래의 압박양말과 달리 발끝부터 종아리까지 압력을 골고루 가해주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착용대상의 발 끝단부터 무릎 하단까지 압박하는 형태로,
    상기 발 끝단부터 무릎 하단까지 부위별로 4단계의 단계별 압박을 제공하고,
    바이오맥스 원사 및 도전사를 포함하는 의료용 압박양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압박은 1단 내지 4단으로 이루어지고, 단계별로 압력을 달리하여 장력(tension)을 가하며,
    상기 1단은 발 부위를 감싸고, 상기 1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기본 형태, 패턴 형태, 메쉬 형태 및 파일(pile) 형태이며,
    상기 2단은 발의 복숭아 뼈 부위를 감싸고, 상기 2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기본 형태 및 메쉬 형태이며,
    상기 3단은 종아리 하단 부위를 감싸고, 상기 3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메쉬 형태 및 패턴 형태이며,
    상기 4단은 종아리 상단 부위를 감싸고, 상기 4단을 구성하는 직물은 메쉬 형태 및 패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박양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단 및 상기 4단을 구성하는 패턴 형태는 V자 패턴이고,
    상기 V자 패턴은 종아리 후면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V자 형태가 구현되며,
    상기 V자 패턴은 7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박양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사는 항균작용, 소취작용, 원적외선 방출, 전자파 차단 및 정전기 방지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박양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사는 구리(Cu) 도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박양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무봉제 형태로, 상기 발 끝단까지 상기 도전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박양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의 발바닥 부분에 육각형 형태의 미끄럼 방지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박양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압박양말은 상기 착용대상의 혈액순환 개선, 당뇨족 예방 및 정맥류, 하지부종 및 말초혈액순환장애를 예방 및 개선하는 의료용 압박양말.











KR1020230087865A 2023-07-06 2023-07-06 의료용 압박양말 Pending KR20250007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865A KR20250007868A (ko) 2023-07-06 2023-07-06 의료용 압박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865A KR20250007868A (ko) 2023-07-06 2023-07-06 의료용 압박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7868A true KR20250007868A (ko) 2025-01-14

Family

ID=9424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865A Pending KR20250007868A (ko) 2023-07-06 2023-07-06 의료용 압박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078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169A (ko) 2007-08-10 2009-02-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연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169A (ko) 2007-08-10 2009-02-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연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7591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носок
US8034013B2 (en) Compression garment
JP4987975B2 (ja) 圧迫ストッキングあるいはサポートストッキング
EP2399556B1 (en) compressive leg garment
US11849777B2 (en) Energizing garment
US9259373B2 (en) Compression garment
US20070271680A1 (en) Adjustable sock for people with diabetes and injuries
KR20130122608A (ko) 순차 압박 양말류
US20080189829A1 (en) Device For Venous and/or Lymphatic Insufficiency of Lower Limbs
US20110061664A1 (en) Stocking for feet with bunions
US5823195A (en) Ankle pad
US20160361190A1 (en) Undergarment
KR10238121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KR20250007868A (ko) 의료용 압박양말
US11484445B1 (en) Temperature variant stockings
US20060189913A1 (en) Therapeutic dressing
KR102703671B1 (ko)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KR10246542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하여 하지에 압박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박밴드
US8444584B2 (en) Method and compression hose for relieving heel pressure
US20230047698A1 (en) Expansion sock
JP6985653B2 (ja) 弾性ストッキング
KR102482052B1 (ko) 압박용 풋웨어
US11484444B1 (en) Cool compression stockings
EP4212136A1 (en) A garment or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Wang 10 Applications in Medic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40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41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