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9734B1 - 이동식 크레인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734B1
KR102489734B1 KR1020187034968A KR20187034968A KR102489734B1 KR 102489734 B1 KR102489734 B1 KR 102489734B1 KR 1020187034968 A KR1020187034968 A KR 1020187034968A KR 20187034968 A KR20187034968 A KR 20187034968A KR 102489734 B1 KR102489734 B1 KR 10248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fly jib
fly
boom
side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066A (ko
Inventor
신야 도쿠토메
다쓰후미 도무라
료스케 나카무라
에이지 이치무라
미쓰아키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에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에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에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1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7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2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with a jib extension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6Outer or upper end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크롤러 크레인(1)에 있어서 플라이 지브(6)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플라이 지브(6)는, 그 선단측의 부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한 시브(25)에 감긴 지브 기복와이어(27)에 의하여 연결용 플랜지(13)에 매달려 있다. 시브(25)을, 플라이 지브(6)에 부착되어 있는 지브 기복실린더(26)에 의하여 슬라이드시키면, 연결용 플랜지(13)에 지브 기복와이어(27)에 의하여 매달려 있는 플라이 지브(6)가 붐(5)에 대하여 경사진다. 플라이 지브(6)의 기복기구가 플라이 지브측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이 지브의 장출·격납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
본 발명은,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 트럭 크레인(truck crane) 등의 이동식 크레인(移動式 cran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붐(boom)의 선단(先端)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플라이 지브(fly jib)(보조 지브)를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크레인에 있어서는, 붐에 의한 작업범위(作業範圍)를 넓히기 위하여 붐의 선단에 플라이 지브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부착하여 사용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플라이 지브는, 예를 들면 붐에 있어서의 상부 선회체(上部 旋回體)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탑재된 붐의 측면(側面), 하면(下面) 등을 따르는 상태로 격납(格納)된다.
플라이 지브를 사용하여 크레인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플라이 지브가 붐의 최종단(最終段)인 가동 붐(可動 boom)의 선단부(先端部)로부터 붐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부착된다. 또한 플라이 지브를 붐 선단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기복시키기 위한 기복로프(起伏rope)가 붐측으로부터 플라이 지브측에 가설(架設)되거나 또는 플라이 지브 기복실린더(fly jip 起伏cylinder)가 붐과 플라이 지브 사이에 가설된다.
특허문헌1에는, 기복와이어(起伏wire)를 사용하여 플라이 지브를 기복시키는 이동식 크레인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기복실린더를 사용하여 플라이 지브를 기복시키는 크레인의 지브 기복장치(jib 起伏裝置)가 제안되어 있다. 플라이 지브를 격납상태(格納狀態)로부터 장출상태(張出狀態)로 절체(切替)하는 장출작업(張出作業) 및 격납작업(格納作業)에 있어서는, 붐과 플라이 지브 사이에 기복로프 혹은 기복실린더를 가설할 필요가 있어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플라이 지브에는, 경사각, 작용하중, 길이, 거기에 매달리는 보조 훅(補助 hook)의 호이스팅 상태(hoisting 狀態) 등을 검출하기 위하여 각종 계기류(計器類)가 탑재된다. 플라이 지브에 탑재된 계기류에는, 붐측에서 인출(引出)되는 신호선(信號線)·급전선(給電線)이 접속된다. 플라이 지브의 장출·격납작업에 있어서는, 다수 개의 배선의 가이드 및 접속·분리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번잡하다. 또한 붐에 비하여 작은 단면의 플라이 지브에 다수 개의 배선을 적절하게 가이드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케이블의 경우에, 케이블의 지름이 굵게 되어 릴(reel)도 대형화(大型化)되어 버린다.
특허문헌3에는, 신축식(伸縮式)의 다단 붐(多段 boom)인 텔레스코픽 붐(telescopic boom)에 배치하는 데에 적절한 다심(多心)의 도전케이블(導電cable)을 사용한 케이블 와인딩장치(cable winding裝置)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4에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운전실측의 제어장치(制御裝置)와, 상부 선회체의 좌우에 배치되는 유닛측(unit側)의 제어장치 사이가 CAN통신 라인(CAN通信 line)에 의하여 접속된 통신시스템(通信system)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플라이 지브의 장출·격납작업에 있어서 플라이 지브와 붐 사이에 가설하는 다수 개의 신호선·급전선의 접속·분리작업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에 대해서는 조금도 착안되어 있지 않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131975호 공보 : 일본국 특허 제2883860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40107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208525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플라이 지브의 장출·격납작업을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크레인은,
플라이 지브와,
상기 플라이 지브를, 그 후단을 지점으로 하여 기복 가능한 상태로 붐의 선단부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라이 지브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붐의 상기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브 연결부재와,
상기 플라이 지브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플라이 지브의 선단측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시브와,
상기 시브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기복실린더와,
상기 지브 연결부재와 상기 플라이 지브에 있어서의 상기 시브보다 상기 전후방향의 뒤측 부위의 사이에 가설되고, 도중의 와이어 부분이 상기시브에 대하여 상기 플라이 지브의 앞측으로부터 감기는 기복와이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플라이 지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라이 지브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지브 연결부재를 붐의 선단부에 부착하고, 플라이 지브가 붐의 선단부로부터 붐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한다. 지브 기복와이어를, 지브 연결부재로부터 시브를 통하여 플라이 지브까지의 사이에 가설하고, 지브 기복실린더를 소정의 신장상태로 하면, 지브 기복와이어에 의하여 플라이 지브는 일정한 자세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지브 기복실린더를 수축하면, 지브 기복와이어가 가설되어 있는 시브가 플라이 지브의 후단측으로 이동하여 지브 기복와이어가 느슨해진다. 지브 기복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플라이 지브는, 자중에 의하여 지브 기복와이어가 느슨해질 정도만큼, 지브 연결부재에 의하여 규정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선회한 하향자세가 된다.
시브에 가설되어 있는 지브 기복와이어의 느슨해진 양은, 시브의 슬라이드량의 거의 2배가 된다. 따라서 플라이 지브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와이어를 직접 풀어서 플라이 지브를 하향으로 경사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플라이 지브를 동일 각도만큼 경사지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복실린더의 스트로크량이, 와이어를 푸는 양의 반 정도로 끝난다.
또한 지브 기복실린더는 플라이 지브에 부착되어 있고, 지브 기복와이어는, 플라이 지브 및 플라이 지브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지브 연결부재 사이에 가설된다. 따라서 지브 기복와이어 혹은 지브 기복실린더를, 플라이 지브의 장출 시에 플라이 지브와 붐 사이에 부착하고, 격납 시에 이들로부터 떼어낼 경우와 비교하여, 플라이 지브의 장출·격납작업을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플라이 지브가 신축식의 지브인 경우에는, 상기 플라이 지브에는, 당해 플라이 지브를 신축시키기 위한 지브 신축실린더가 탑재된다.
또한 상기 플라이 지브에는, 적어도 상기 플라이 지브의 경사각을 검출하는 경사각 검출기 및 상기 플라이 지브에 작용하는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검출기를 포함하는 계기류와, 상기 기복실린더 및 상기 신축실린더에 대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배관 및 당해 유압배관에 삽입되어 유압의 공급처를 절체하는 실렉트 밸브와, 상기 경사각 검출기 및 상기 하중 검출기로부터의 경사각 및 하중에 관한 정보의 수신 및 상기 실렉트 밸브의 절체제어를 하는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가 탑재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는, 상기 붐이 탑재되어 있는 상부 선회체 혹은 당해 상부 선회체가 탑재되어 있는 하부 주행체에 배치되어 있는 본체측 컨트롤러와의 사이에서, CAN(controller·area·network)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AN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더넷(등록상표)(ethernet)에 의한 통신을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붐에 부착된 코드 릴에 감겨 있는 CAN통신 라인용의 4심 케이블과, 상기 코드 릴로부터 풀린 상기 4심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상기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측에 배치된 케이블 커넥터를 사용한다.
플라이 지브측과 본체측 사이를 CAN통신 라인에 의하여 접속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배선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이 지브의 장출·격납작업을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측 컨트롤러가, 상기 하부 주행체에 탑재되어 있는 운전석에 배치된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상부 선회체에 배치한 선회체측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선회체측 컨트롤러 사이에도, 슬립링을 사이에 두고 CAN통신 라인에 의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선회체측 컨트롤러와 상기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의 사이가 상기 CAN통신 라인용의 4심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롤러 크레인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2는, 크롤러 크레인에 있어서의 플라이 지브를 사용한 작업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지브 기복장치·지브 신축장치 및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플라이 지브의 기복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크롤러 크레인의 제어계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6은, 플라이 지브의 계기류 등의 부착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이동식 크레인(移動式 crane)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에 적용한 예이다. 본 발명은 트럭 크레인(truck crane), 휠 크레인(wheel crane) 등의 이동식 크레인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전체 구성)
도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크롤러 크레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1(b)는 그 측면도이며, 도1(c)는 그 평면도이다. 도2는 플라이 지브(fly jib)를 사용한 작업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크롤러 크레인(1)은, 크롤러식(crawler式)의 하부 주행체(下部 走行體)(2)와, 이 하부 주행체(2)의 앞측 부분의 좌측에 배치된 운전석(3)과, 하부 주행체(2)의 뒤측 부분의 중앙에 탑재된 상부 선회체(上部 旋回體)(4)와, 상부 선회체(4)에 탑재된 다단식의 붐(boom)(5)과, 붐(5)의 측면에 격납되는 플라이 지브(6)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의 네 모퉁이에는 각각 아우트리거(outrigger)(7)가 부착되어 있다. 4개의 아우트리거(7)는, 도1(c)에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들의 내측 단부(內側 端部)를 중심으로 하여 수직축선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또한 각 아우트리거(7)는, 외측으로 장출(張出)시킨 상태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油壓cylinder)(7a)에 의하여 선단의 접지판(接地板)(7b)을 접지시킨 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면, 하부 주행체(2)의 크롤러가 부상(浮上)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4개의 아우트리거에 의하여 크롤러 크레인(1)을 소정의 작업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4)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고, 상부 선회체(4)와 붐(5)의 제1단의 고정 붐(固定 boom)(9) 사이에는 붐 기복실린더(boom 起伏cylinder)(8)가 걸쳐져 있다. 고정 붐(9)에는, 복수 단의 가동 붐(可動 boom), 예를 들면 3단의 가동 붐(10, 11, 12)이 수납되어 있고, 내장(內藏)된 붐 신축실린더(boom 伸縮cylinder) 혹은 붐 신축와이어(boom 伸縮wire) 등의 기구(機構)에 의하여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라이 지브(6)는 붐(5)의 측면을 따르는 상태로 격납되어 있다. 플라이 지브(6)의 후단부(後端部)는, 연결용 플랜지(連結用 flange)(13)(지브 연결부재(jib 連結部材))에 부착된 수평 연결핀(14)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기복 가능하게 당해 연결용 플랜지(13)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용 플랜지(13)는, 붐(5)의 최종단(最終段)인 가동 붐(12)의 선단부(先端部)(12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용 플랜지(13)는, 가동 붐(12)의 선단부(12a)에 대하여, 수직 연결핀(15)을 중심으로 하여 붐(5)의 측면(5a)으로부터 선단면의 측을 향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선회할 수 있다.
플라이 지브(6)를 사용하는 로딩작업(loading作業) 등에 있어서는, 플라이 지브(6) 및 연결용 플랜지(13)를, 수직 연결핀(15)을 중심으로 하여 붐(5)의 측면(5a)으로부터 측방 외측(側方 外側)으로 선회시켜서, 붐(5)의 선단으로부터 붐 전방을 향하여 플라이 지브(6)가 장출하는 상태로 절체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용 플랜지(13)는 선회되지 않도록 가동 붐(12)의 선단부(12a)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연결핀에 의하여 연결고정된다.
플라이 지브(6)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붐(12)의 선단부(12a)에 부착된 연결용 플랜지(13)의 수평 연결핀(14)을 지점으로 하여 기복 가능한 고정측 지브(固定側 jib)(21)와, 이 지브(21)의 선단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상태로 지브(21)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측 지브(可動側 jib)(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라이 지브(6)에는 지브 기복장치(jib 起伏裝置)(23) 및 지브 신축장치(jib 伸縮裝置)(24)가 배치되어 있다. 지브 기복장치(23)에 의하여 플라이 지브(6)는, 붐(5)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초기자세(初期姿勢)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자세(傾斜姿勢)까지의 사이를 기복할 수 있다. 지브 신축장치(24)에 의하여 플라이 지브(6)의 가동측 지브(22)는, 고정측 지브(21)에 인입(引入)된 수납위치(收納位置)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신장위치(伸長位置)까지 신장(伸長)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브 기복장치·지브 신축장치)
도3(a)는 플라이 지브(6)에 부착되어 있는 지브 기복장치(23) 및 지브 신축장치(24)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3(b)는 그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지브 기복장치(23)는, 연결용 플랜지(13), 한 쌍의 시브(sheave)(25), 지브 기복실린더(jib 起伏cylinder)(26) 및 지브 기복와이어(jib 起伏wire)(27)를 구비하고 있다. 지브 신축장치(24)는, 고정측 지브(21)의 뒤측의 부분에 내장되어 있는 지브 신축실린더(jib 伸縮cylinder)(24a)를 구비하고 있다.
지브 기복장치(23)에 있어서 연결용 플랜지(1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측 지브(21)의 후단부(21a)를, 수평 연결핀(14)을 지점으로 하여 플라이 지브(6)를 기복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시브(25)는 지브 기복실린더(26)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고, 플라이 지브(6)의 선단측의 부위에 있어서 플라이 지브(6)의 전후방향(지브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플라이 지브(6)에 부착된 좌우의 브래킷(28)에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긴 일정 폭의 슬라이드 홈(28a)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한 쌍의 시브(25)의 중심축(25a)이 통과되어 있다.
지브 기복실린더(26)는, 고정측 지브(21)의 상면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지브 기복실린더(26)의 후단(後端)은 고정측 지브(21)에 고정되고, 그 선단측의 신축단(伸縮端)은 시브(25)의 중심축(25a)에 연결되어 있다. 지브 기복실린더(26)를 신축시키면, 거기에 연결되어 있는 시브(25)는, 슬라이드 홈(28a)을 따라 플라이 지브(6)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stroke)로 슬라이드한다.
지브 기복와이어(27)는, 그 일방(一方)의 와이어단(wire端)이 연결용 플랜지(13)의 상단부(13a)에 연결고정되어 있고, 그 타방(他方)의 와이어단이 고정측 지브(21)의 길이방향의 중간정도의 부위에 연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지브 기복와이어(27)는, 그들의 도중에 있어서 좌우의 시브(25)에 대하여 지브 선단측으로부터 감겨서, 양측의 와이어단이 시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라이 지브(6)를 붐(5)의 선단부(12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부착하여 연결용 플랜지(13)의 수평 연결핀(14)을 지점으로 하여 기복 가능한 상태로 절체하면, 지브 기복와이어(27)에 의하여 플라이 지브(6)가 유지되고 지브 기복와이어(27)는 인장상태(引張狀態)가 된다. 예를 들면 지브 기복실린더(26)를 가장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이 지브(6)가 붐(5)의 선단측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직선모양으로 연장되는 자세가 되도록 지브 기복와이어(27)의 길이가 설정된다.
여기에서 지브 기복실린더(26) 및 지브 신축실린더(24a)는 유압실린더로서, 하부 주행체(2)측에 탑재되어 있는 유압원(油壓源)(유압펌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측으로부터 유압이 공급된다. 도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압(作動油壓)은, 유압원으로부터, 붐(5)의 측면(5a)에 부착된 전자식(電子式)의 실렉트 밸브(select valve)(31)를 통하여, 붐 신장실린더(32) 및 플라이 지브(6)측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호스(油壓 hose)(33, 34)로 공급된다. 플라이 지브(6)측을 향하는 유압 호스(35)는, 붐(5)의 후단측의 측면에 부착된 호스 릴(hose reel)(36)에 감겨 있고, 여기로부터 풀어진다. 유압 호스(35)는 붐(5)의 선단으로부터 인출되어, 플라이 지브(6)의 후단부의 측면에 부착된 전자식의 실렉트 밸브(37)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압은, 실렉트 밸브(37)를 통하여 지브 신축실린더(24a)로 공급되고, 또한 실렉트 밸브(37) 및 유압 호스(38)를 통하여 지브 기복실린더(26)로 공급된다.
도4는 지브 기복장치(23)에 의한 플라이 지브(6)의 기복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a)에 나타내는 초기상태에서는, 지브 기복실린더(26)는 가장 신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플라이 지브(6)는 붐(5)의 선단부(12a)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지브 기복실린더(26)를 수축시키면, 그에 따라 좌우의 시브(25)가 슬라이드 홈(28a)을 따라 플라이 지브(6)의 후단측으로 슬라이드한다.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브(25)가 슬라이드 홈(28a)의 후단까지 슬라이드하면, 그에 따라 플라이 지브(6)가 자중(自重)에 의하여 연결용 플랜지(13)의 수평 연결핀(14)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선회한다. 이에 따라 플라이 지브(6)는 붐(5)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자세가 된다(도2를 참조).
지브 기복와이어(27)는, 지브 기복실린더(26)의 수축량에 대하여 거의 2배의 길이 정도만큼 느슨해지므로, 그 길이 정도만큼 플라이 지브(6)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선회한다. 따라서 플라이 지브(6)에 부착된 지브 기복와이어를 직접, 윈치 등으로 푸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스트로크로 지브 기복실린더(26)를 구동하여 플라이 지브(6)를 경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라이 지브(6)의 선단측의 부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시브(25)에 감긴 지브 기복와이어(27)에 의하여 연결용 플랜지(13)에 매달려 있다. 시브(25)를 플라이 지브(6)에 부착되어 있는 지브 기복실린더(26)에 의하여 슬라이드시키면, 연결용 플랜지(13)에 지브 기복와이어(27)에 의하여 매달려 있는 플라이 지브(6)가 붐(5)에 대하여 경사진다. 플라이 지브(6)의 기복기구가 플라이 지브측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이 지브의 장출·격납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플라이 지브 CAN통신시스템)
다음에, 도5는 크롤러 크레인(1)의 제어계(制御系)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계는, 하부 주행체(2)의 운전석(3)에 배치되어 있는 컨트롤러(conroller)(41)와, 상부 선회체(4)에 배치되어 있는 선회체측의 IO컨트롤러(42)와, 플라이 지브(6)에 배치되어 있는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측 컨트롤러(本體側 controller)인 컨트롤러(41)와 선회체측의 IO컨트롤러(42) 사이는, 슬립링(slip ring)(44)을 통하여 CAN통신 라인(CAN通信 line)(45)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선회체측의 IO컨트롤러(42)와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 사이에도, CAN통신 라인인 4심 케이블(4心 cable)(46)을 통하여 접속되어, CAN통신에 의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4심 케이블(46)은, 붐(5)측에 부착된 코드 릴(cord reel)(47)에 감겨 있고, 여기로부터 풀려서,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측에 배치된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48)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에는, 플라이 지브(6)의 작업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계기류(計器類)가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플라이 지브(6)에 매달리는 보조와이어의 오버와인딩상태(overwinding狀態)를 검출하는 오버와인딩 검출스위치(51), 플라이 지브(6)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측하는 로드셀(load cell)(52), 플라이 지브(6)의 경사각도를 검출하는 각도계(53), 플라이 지브(6)의 길이를 계측하는 길이계(54)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는 신호선을 통하여 실렉트 밸브(37)에 접속되어 있다.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는, 이들의 계기류로부터의 입력값을 변환하여 CAN통신에 의하여 선회체측의 IO컨트롤러(42)를 통하여 주행체측의 컨트롤러(41)로 전달한다. 컨트롤러(41), 선회체측의 IO컨트롤러(42)로부터의 제어신호 등이 CAN통신에 의하여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로 전달된다. IO컨트롤러(43)는 수신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실렉트 밸브(37)의 절체제어(切替制御)를 한다.
도6은 플라이 지브(6)에 배치되어 있는 계기류 등의 부착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는, 플라이 지브(6)의 측면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중간 정도의 부분에 조립되어 있다. 여기에는 각도계(53)도 조립되어 있다. 또한 로드셀용 앰프(load cell用 amplifier)(55), 신호처리회로, 통신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다.
플라이 지브측의 IO컨트롤러(43)에 대하여, 지브의 길이방향으로 앞측의 위치에는, 길이계(54)의 코드 릴(cord reel)(56)이 부착되어 있고, 여기에서 길이측정용 코드(56a)가 풀리어 가동측 지브(22)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브 기복실린더(26)의 후단에 있어서의 플라이 지브(6)의 부착위치에는, 로드셀(52)로서 핀형 로드셀(pin型 load cell)이 조립되어 있다.
붐(5)의 선단측의 측면(5b)에는, CAN통신 라인용(CAN通信 line用)의 4심 케이블(46)이 감긴 코드 릴(47)이 부착되어 있다. 플라이 지브(6)를 사용한 작업 시에는, 여기에서 풀리는 4심 케이블(46)이,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fly jib側 controller)(43)에 접속되어, 본체측과의 사이 통신라인이 확립되도록 되어 있다. 1개의 배선접속을 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므로, 플라이 지브(6)의 장출·격납작업을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할 수 있다.
플라이 지브용의 IO컨트롤러(43)에 대하여, 지브 길이방향의 뒤측의 부위에는 실렉트 밸브(37)가 부착되어 있다. 실렉트 밸브(37)로부터 유압 호스(38) 등이 지브 기복실린더(26) 등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실렉트 밸브(37)에는, 상류측인 붐(5)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유압 호스(35)가 접속되어 있다. 유압 호스(35)는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5)의 반대측의 측면에 부착한 호스 릴(36)로부터 풀려져 있다.
또한 플라이 지브(6)에 있어서의 계기류의 배치위치 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각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플라이 지브(fly jib)와,
    상기 플라이 지브를, 그 후단(後端)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기복(起伏) 가능한 상태로 붐(boom)의 선단부(先端部)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라이 지브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붐의 상기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브 연결부재(jib 連結部材)와,
    상기 플라이 지브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플라이 지브의 선단측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시브(sheave)와,
    상기 시브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기복실린더(起伏cylinder)와,
    상기 지브 연결부재와 상기 플라이 지브에 있어서의 상기 시브보다 상기 전후방향의 뒤측 부위의 사이에 가설(架設)되고, 도중의 와이어 부분(wire 部分)이 상기 시브에 대하여 상기 플라이 지브의 앞측으로부터 감기는 기복와이어(起伏wire)를
    갖고 있는 이동식 크레인(移動式 cran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지브는 신축식(伸縮式)의 지브로서,
    상기 플라이 지브에는, 상기 플라이 지브를 신축시키기 위한 지브 신축실린더(jib 伸縮cylinder)가 탑재되어 있는 이동식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지브의 동작제어(動作制御)를 하기 위하여 상기 플라이 지브에 탑재된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fly jib側 controller)를 갖고,
    상기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는, 상기 붐이 탑재되어 있는 상부 선회체(上部 旋回體) 혹은 상기 상부 선회체가 탑재되어 있는 하부 주행체(下部 走行體)에 배치되어 있는 본체측 컨트롤러(本體側 controller)와의 사이에서, CAN 프로토콜(CAN(controller·area·network) protocol)에 의한 통신(通信) 또는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에 의한 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는
    이동식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는 상기 본체측 컨트롤러의 사이에서 CAN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붐에 부착된 코드 릴(cord reel)에 감겨 있는 CAN통신 라인용(CAN通信 line用)의 4심 케이블(4心 cable)과,
    상기 코드 릴로부터 풀린 상기 4심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측에 배치된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를 갖고 있는
    이동식 크레인.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컨트롤러는, 상기 하부 주행체에 탑재되어 있는 운전석에 배치된 메인 컨트롤러(main controller) 및 상기 상부 선회체에 배치된 선회체측 컨트롤러(旋回體側 controlle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선회체측 컨트롤러 사이는, 슬립링(slip ring)을 사이에 두고 CAN통신 라인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선회체측 컨트롤러와 상기 플라이 지브측 컨트롤러 사이가, 상기CAN통신 라인용의 4심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이동식 크레인.
KR1020187034968A 2016-06-17 2016-06-17 이동식 크레인 Active KR102489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8042 WO2017216944A1 (ja) 2016-06-17 2016-06-17 移動式クレ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66A KR20190019066A (ko) 2019-02-26
KR102489734B1 true KR102489734B1 (ko) 2023-01-17

Family

ID=6066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968A Active KR102489734B1 (ko) 2016-06-17 2016-06-17 이동식 크레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10847B2 (ko)
EP (1) EP3473582B1 (ko)
JP (1) JP6793726B2 (ko)
KR (1) KR102489734B1 (ko)
CN (1) CN109311641B (ko)
TW (1) TW201806844A (ko)
WO (1) WO2017216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5634A (zh) * 2018-05-31 2018-09-18 成都金玉雄辉建筑工程有限公司 具有高空作业功能的吊装设备
JP7220349B2 (ja) * 2019-01-23 2023-02-10 株式会社タダノ クレーン
JP7263964B2 (ja) * 2019-07-30 2023-04-25 株式会社タダノ コントローラ、ブーム装置、及びクレーン車
CN110642164B (zh) * 2019-07-31 2021-08-10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折臂伸缩式起重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4096A (en) * 1976-11-11 1981-07-30 Coles Cranes Ltd Telescopic booms
USRE30905E (en) * 1976-11-11 1982-04-20 Coles Crane Ltd. Multi-section telescopic boom
US4217987A (en) * 1978-12-01 1980-08-19 Harnischfeger Corporation Actuator for telescopic boom
JPS60100390U (ja) * 1983-12-14 1985-07-09 株式会社 多田野鉄工所 補助ジブ付油圧伸縮式ブ−ムにおける補助ジブの可変チルト装置
JPH01286162A (ja) * 1988-05-12 1989-11-17 Nippon Hoso Kyokai <Nhk>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147887A (ja) * 1991-11-27 1993-06-15 Kubota Corp クレーン車
JPH07144884A (ja) * 1993-11-26 1995-06-06 Komatsu Mec Corp 移動式リーチタワークレーン
JP2883860B2 (ja) 1996-04-05 1999-04-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レーンのジブ張出、格納装置及びその張出、格納方法
JP4191824B2 (ja) * 1998-09-17 2008-12-03 株式会社加藤製作所 クレーンのブーム延長体
JP4792161B2 (ja) * 2001-02-14 2011-10-12 株式会社タダノ 補助ジブの張出・格納制御装置
US7341158B2 (en) * 2004-01-09 2008-03-11 Kobelco Cranes Co., Ltd. Traveling crane and assembling/dis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07302352A (ja) * 2006-05-08 2007-11-22 Kobelco Cranes Co Ltd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のブーム起伏装置
JP5422367B2 (ja) 2009-12-22 2014-02-19 株式会社加藤製作所 クレーンのジブ張出し装置
KR101156358B1 (ko) 2010-06-01 2012-06-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반사 고분해능 광학 간섭계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 장치
JP5839067B2 (ja) 2013-03-25 2016-01-06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can通信システム
JP6258633B2 (ja) 2013-08-23 2018-01-10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ケーブル巻取装置、及び建設機械用テレスコブーム装置
KR101975478B1 (ko) 2013-10-04 2019-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자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자성 기판과 절연재의 접합 구조물, 그리고 상기 접합 구조물을 갖는 칩 부품
KR101634798B1 (ko) * 2014-04-15 2016-06-29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크레인의 보조붐 연결구조
JP6520270B2 (ja) * 2015-03-20 2019-05-29 株式会社タダノ ジブ連結構造
JP6531448B2 (ja) * 2015-03-20 2019-06-19 株式会社タダノ ジブ連結構造
JP6578749B2 (ja) * 2015-06-05 2019-09-25 株式会社タダノ ジブ張出格納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00340A1 (en) 2019-10-03
JPWO2017216944A1 (ja) 2019-05-09
KR20190019066A (ko) 2019-02-26
JP6793726B2 (ja) 2020-12-02
TW201806844A (zh) 2018-03-01
CN109311641A (zh) 2019-02-05
EP3473582B1 (en) 2022-02-23
EP3473582A4 (en) 2020-04-08
US10710847B2 (en) 2020-07-14
EP3473582A1 (en) 2019-04-24
WO2017216944A1 (ja) 2017-12-21
CN109311641B (zh)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734B1 (ko) 이동식 크레인
EP36933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rane, and crane
US10336588B2 (en) Mobile crane
CN111747311B (zh) 起重机
US10065841B2 (en) Compact stowable luffing jib for a crane
US2925922A (en) Traveling hydraulic crane structure
JP5300336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H11292471A (ja) ラフィングジブの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
JP4430861B2 (ja) 伸縮ブーム式作業機械
US3933250A (en) Guy crane jib tip prop
GB1128016A (en) Telescopic crane booms
WO2017213516A1 (en) Knuckle boom crane
JP7067123B2 (ja) フック位置制御装置
JP2018090372A (ja) クレーンによるワークの搬送方法
JP2823825B2 (ja) クレーンのブーム起伏装置
JP6911637B2 (ja) 作業車両
US3282440A (en) Rigging slinger embodying an extendable and retractable lazy tong boom
JP6604155B2 (ja) クレーン車
JP2019038667A (ja) 作業機械
JP2017057025A (ja) クレーン
JPH082882A (ja) 滑車式クレ−ン装置
JP2018095448A (ja) 使用フック判定装置
JPH09194190A (ja) ジブ起伏装置
JP2019043690A (ja) 作業車両
JP2002321892A (ja) フック吊下長さ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