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0172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172B1
KR102480172B1 KR1020217007813A KR20217007813A KR102480172B1 KR 102480172 B1 KR102480172 B1 KR 102480172B1 KR 1020217007813 A KR1020217007813 A KR 1020217007813A KR 20217007813 A KR20217007813 A KR 20217007813A KR 102480172 B1 KR102480172 B1 KR 10248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rticle
region
top sheet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015A (ko
Inventor
쇼시 고사카
준코 야마모토
도모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85451A external-priority patent/JP69831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85589A external-priority patent/JP6983134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6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2013/4708Panty-l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from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뛰어난 촉감을 유지하면서, 리웨트(re-wetting)를 보다 확실하게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1)으로서,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2)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3)와, 톱 시트와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펄프를 포함하는, 흡수체(4)와, 톱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5)를 구비한다. 세컨드 시트는, 제 1 부분(51)과,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격하면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L)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꺾인 부분(5f, 5f)을 각각 개재하여 제 1 부분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 2 부분(52, 52)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제 2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꺾인 부분을 따르면서, 제 1 부분에 대해, 흡수체측 또는 톱 시트측으로, 폴딩되어 제 1 부분에 겹쳐져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개시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코튼과 같은 보수성(保水性)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톱 시트와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펄프를 포함하는, 흡수체와, 톱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톱 시트에 코튼이 포함되어 있으면, 착용자의 촉감이 좋아진다.
일본국 특개2009-148328호 공보
그런데, 예를 들면 착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흡수체에 압력이 가해지면, 흡수체에 흡수되어 있던, 소변 등의 액체가 흡수체로부터 스며나올 우려가 있다. 그러나, 톱 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코튼은 흡수성이 뛰어나므로, 흡수체로부터 스며나온 액체가 톱 시트로 빨아 올려져서, 톱 시트의 피부측면에 도달하는, 소위 리웨트(re-wetting)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이하가 개시된다.
[구성 1]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펄프를 포함하는, 흡수체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제 1 부분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꺾인 부분을 각각 개재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꺾인 부분을 따르면서,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상기 흡수체측 또는 상기 톱 시트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겹쳐져 있는, 흡수성 물품.
구성 1에 의하면, 톱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 세컨드 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 내에 액체를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한 쌍의 제 2 부분이 제 1 부분에 대해, 같은 측으로 폴딩되어 있으므로, 액체를 홀딩 가능한 공간이 보다 크고, 또한, 보다 확실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뛰어난 촉감이 유지되면서, 리웨트가 보다 확실하게 제한된다.
[구성 2]
상기 톱 시트가 서로 적층된 피부측층 및 비(非)피부측층을 구비하고, 상기 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상기 비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보다도 높은, 구성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2에 의하면, 피부측층에 의해 뛰어난 촉감이 유지되면서, 비피부측층에 의해 액체가 흡수체로 보다 확실하게 향하게 된다.
[구성 3]
상기 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100 질량%인, 구성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3에 의하면, 보다 뛰어난 촉감이 제공된다.
[구성 4]
상기 세컨드 시트가, 서로 겹쳐진 내측 시트 및 외측 시트를 구비하는, 구성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4에 의하면,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의 사이에도, 액체를 홀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웨트가 보다 확실하게 제한된다.
[구성 5]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고흡수 폴리머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 4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5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흡수 능력이 보다 높여진다.
[구성 6]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이 서로 겹쳐 있지 않은, 구성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6에 의하면, 액체를 홀딩 가능한 공간으로의 연통로(漣通路)가 형성되므로, 액체가 이 연통로를 통하여, 액체가 홀딩 가능한 공간 내로 용이하게 유도된다.
[구성 7]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상기 흡수체측으로 폴딩되어 있는, 구성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7에 의하면, 액체가, 액체를 홀딩 가능한 공간으로부터 톱 시트를 향하는 것이 제 1 부분에 의해 제한된다.
[구성 8]
적어도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를 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열 융착 부분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열 융착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보다도 낮은, 구성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8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가 열 융착되므로, 뛰어난 촉감이 유지되면서, 열 융착 부분에 있어서의 접합성이 보다 높여진다. 게다가, 흡수성 물품의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낮으므로, 열 융착 부분이 착용자에게 줄 수 있는 불쾌감이 제한된다. 동시에,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과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서로 다르므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절곡(折曲) 기점이 되어, 제 2 영역이 제 1 영역에 대해 용이하게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피부에 보다 확실하게 계속 피트된다.
[구성 9]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은, 상기 세컨드 시트와 함께 상기 톱 시트 및 상기 백 시트를 서로 접합하고 있고,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은, 상기 세컨드 시트를 포함하는 일 없이 상기 톱 시트 및 상기 백 시트를 서로 접합하고 있는, 구성 8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9에 의하면, 강성이 낮은 열 융착 부분과, 강성이 높은 열 융착 부분이, 간단한 구성으로써 실현된다.
[구성 10]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직선인, 구성 8 또는 9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10에 의하면, 제 2 영역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절곡되므로,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피부에 보다 확실하게 계속 피트된다.
[구성 11]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상기 세컨드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외단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구성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11에 의하면,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과,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간단한 구성으로써 조절된다.
[구성 12]
상기 톱 시트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40 질량% 이상인, 구성 8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12에 의하면, 보다 뛰어난 촉감이 제공된다.
[구성 13]
상기 흡수체는, 고흡수 폴리머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구성 8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13에 의하면, 실금 패드, 특히 경실금 패드에 적합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뛰어난 촉감을 유지하면서, 리웨트를 보다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톱 시트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A)-(D)는,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도 2와 마찬가지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모식적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모식적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 및 모식적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경실금 패드로 구성된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예를 들면, 팬티라이너, 생리용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L, W, T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 CL은 길이 방향(L) 중심선을, CW는 폭 방향(W) 중심선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 중심선(CL) 및 폭 방향 중심선(CW) 각각에 관해 대칭을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2)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3)와, 톱 시트(2)와 백 시트(3)의 사이에 배치되고, 펄프를 포함하는, 흡수체(4)와, 톱 시트(2)와 흡수체(4)의 사이에 배치되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5)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또한, 톱 시트(2)와 세컨드 시트(5)의 사이에 배치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다른 세컨드 시트(6)를 구비한다. 이들 톱 시트(2), 백 시트(3), 흡수체(4), 세컨드 시트(5), 및 다른 세컨드 시트(6)는, 두께 방향(T)으로 서로 적층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톱 시트(2) 및 백 시트(3)는,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 관해, 서로 거의 같은 크기이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체(4), 세컨드 시트(5), 및 다른 세컨드 시트(6)는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 관해, 톱 시트(2) 및 백 시트(3)보다도 작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또한,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 양단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7, 7)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사이드 시트(7, 7)는 각각, 톱 시트(2)와 백 시트(3)를 사이에 두도록 설치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사이드 시트(7, 7)는 각각, 길이 방향(L)으로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7e)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부재(7e)는 2가닥의 고무실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또한, 톱 시트(2)와 반대측에 있어서 백 시트(3)에 설치된 점착부(8)와, 점착부(8)를 덮는 세퍼레이터(9)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점착부(8)는,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격하면서 각각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점착 테이프로 형성된다. 점착부(8)는 흡수성 물품(1)을 착용자의 속옷 등에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점선은 접착제의 층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톱 시트(2)와 다른 세컨드 시트(6)의 사이, 다른 세컨드 시트(6)와 세컨드 시트(5)의 사이, 세컨드 시트(5)와 흡수체(4)의 사이, 흡수체(4)와 백 시트(3)의 사이, 그리고 사이드 시트(7, 7)와 톱 시트(2) 및 백 시트(3)의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설치된다. 접착제의 예에는, 핫멜트 접착제가 포함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또한,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엠보스부(10, 10, 11, 11)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엠보스부(10, 10)는 각각, 폭 방향 중심선(CW)을 향하여 볼록상을 이루는 곡선을 따라 설치되고, 엠보스부(11, 11)는 각각,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향하여 오목상을 이루는 곡선을 따라 설치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엠보스부(10, 10, 11, 11)는 각각, 톱 시트(2)부터 세컨드 시트(5) 또는 흡수체(4)까지, 두께 방향(T)으로 움푹 패여있다. 엠보스부(10, 10, 11, 11)는 예를 들면 열 융착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명료화를 위해, 도 2에는, 엠보스부(10, 11)는 묘사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톱 시트(2)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T)으로 서로 적층된 피부측층(2a) 및 비피부측층(2b)을 구비한다. 피부측층(2a)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비피부측층(2b)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피부측층(2a) 및 비피부측층(2b)은 각각, 시트상의 부직포로 형성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피부측층(2a) 및 비피부측층(2b)은, 교락(交絡)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교락의 예에는, 스펀레이스법, 워터제트법, 에어스루법이 포함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톱 시트(2)는 2층으로 형성된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톱 시트(2)는 1층 또는 3층 이상으로 형성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피부측층(2a)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일 없이 보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피부측층(2a)은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비피부측층(2b)은,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비피부측층(2b)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일 없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보수성 섬유는, 수분을 흡수하여, 홀딩하는 성질을 갖는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물과 친화되기 어려운, 또는 수분을 홀딩하기 어려운 성질, 예를 들면 이온 교환수(예시: 비(比)저항치 10MΩ·cm)와의 접촉각이 80°∼100°정도인 성질을 갖는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보수성 섬유의 성분의 예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포함된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예에는,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및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가 포함된다.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의 예에는, 식물 섬유가 포함된다. 식물 섬유의 예에는, 종자모 섬유, 인피(靭皮) 섬유, 엽맥(葉脈) 섬유, 과실 섬유가 포함된다. 종자모 섬유의 예에는, 코튼이 포함된다. 인피 섬유의 예에는, 마가 포함된다. 엽맥 섬유의 예에는, 마닐라마가 포함된다. 과실 섬유의 예에는, 야자가 포함된다. 코튼의 예에는, 히르수툼종(種) 코튼, 바바덴스종 코튼, 아르보레움종 코튼 및 헤르바케움종 코튼이 포함된다. 히르수툼종 코튼의 예에는, 업랜드 코튼이 포함된다. 또, 코튼의 예에는, 오가닉 코튼, 프리오가닉 코튼(상표), 오가닉이 아닌 코튼이 포함된다. 오가닉 코튼은, GOTS(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의 인증을 받은 코튼을 의미한다.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의 예에는, 레이온이 포함된다. 레이온의 예에는, 비스코스로부터 얻어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모달, 및 셀룰로오스의 구리암모니아염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구리암모니아 레이온(「큐프라」라고도 칭해진다)이 포함된다.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의 예에는, 리오셀, 구체적으로는, 펄프를, N-메틸모르폴린N-옥시드의 수용액에 용해시켜 방사 원액(도프)으로 하고, N-메틸모르폴린N-옥시드의 희박 용액 중에 압출(押出)하여 섬유로 한 것이 포함된다. 정제 셀룰로오스는, 예를 들면, 텐셀(상표)로서 시판되고 있다.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예에는, 반합성 셀룰로오스가 포함된다. 반합성 셀룰로오스의 예에는, 아세테이트 섬유가 포함된다. 아세테이트 섬유의 예에는, 트리아세테이트 및 디아세테이트가 포함된다. 그중에서도, 보수성 및 촉감의 관점에서,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가 바람직하고, 코튼이 보다 바람직하며, 히르수툼종 코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성분의 예에는,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포함된다. 올레핀계 수지의 예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초산(酢酸)비닐 공중합체(EVA)가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예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유산(PLA)이 포함된다.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예에는, 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포함된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구조의 예에는, 복합 섬유, 중공 타입, 이형 단면형 섬유, 입체권축(立體捲縮) 섬유, 분할 섬유가 포함된다. 복합 섬유의 예에는, 심초(core-sheath)형 섬유,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해도(島/海)형 섬유가 포함된다. 이형 단면형 섬유의 예에는, 편평 단면 섬유, Y자형 단면 섬유, C자형 단면 섬유가 포함된다. 입체권축 섬유의 예에는, 잠재(潛在)권축 섬유, 현재(顯在)권축 섬유가 포함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피부측층(2a)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비피부측층(2b)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보다도 높다. 특히,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피부측층(2a)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100 질량%이다. 또한, 어떤 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당해 층의 총 질량에 대한 당해 층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질량으로 표시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백 시트(3)는, 액체 불투과성의 부직포, 합성 수지 필름, 부직포 및 합성 수지 필름의 복합 시트, 또는, SMS 부직포로 형성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체(4)는,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포함하는 일 없이 펄프를 포함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흡수체(4)는, 시트상의 부직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흡수체(4)는, 티슈라고도 칭해진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흡수체(4)는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예에는, 전분계, 아크릴산계, 또는 아미노산계의, 입자상 또는 섬유상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는, 서로 겹쳐진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세컨드 시트(5)는 단일의 시트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세컨드 시트(5)는, 서로 겹치는 3 이상의 시트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는 각각, 시트상의 부직포로 형성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는 각각,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일 없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는 각각,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는 서로 동일하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는 서로 다르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의 추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다른 세컨드 시트(6)는, 시트상의 부직포로 형성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6)는,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일 없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다른 세컨드 시트(6)는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
피부측층(2a)의 보수성 섬유는 오가닉 코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측층(2a)은 보수성 섬유를 100 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피부측층(2b)의 보수성 섬유는 오가닉이 아닌 코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피부측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복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P 및 PE 또는 PP 및 PET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피부측층(2b)은 보수성 섬유를 20에서 80 질량%,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80에서 20 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피부측층(2b)의 평량은 20에서 40gsm이 바람직하고, 25에서 35gsm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부측층(2a)의 평량과 비피부측층(2b)의 평량의 비율은, 1:1에서 1:1.3이 바람직하고, 1:1.15에서 1:1.25가 보다 바람직하다. 톱 시트(2)의 두께(두께 방향(T) 치수)는 0.2에서 1.5mm가 바람직하고, 0.2에서 1.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세컨드 시트(5)는 복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P 및 PE 또는 PP 및 PET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세컨드 시트(5)의 평량은 20에서 40gsm이 바람직하고, 25에서 35gsm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톱 시트(2)의 피부측층(2a)은 오가닉 코튼을 100 질량% 포함하고, 그 평량은 10gsm이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비피부측층(2b)은, 오가닉이 아닌 코튼을 60 질량%, PE 및 PP를 40 질량% 포함하고, 그 평량은 20gsm이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톱 시트(2)의 두께는 0.3에서 0.5mm이다. 한편,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의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는 각각, PE 및 PP를 100 질량% 포함하고, 평량은 각각 20gsm이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의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의 두께는 각각, 1.3에서 1.9mm이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다른 세컨드 시트(6)는 세컨드 시트(5)의 내측 시트(5i) 또는 외측 시트(5o)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 4(A), 4(B), 4(C)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4(A)는 전개 상태에 있는,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를 나타내고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는, 도 4(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폭 방향(W) 중앙의 제 1 부분(51)과,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격하면서 길이 방향(L)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꺾인 부분(5f, 5f)을 각각 개재하여 제 1 부분(51)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 2 부분(52, 52)을 구비한다. 또한, 도 4(A)에 있어서, 512는, 흡수성 물품(1)에 편입되었을 때에 톱 시트(2)를 향하는 제 1 부분(51)의 면을, 514는, 흡수성 물품(1)에 편입되었을 때에 흡수체(4)를 향하는 제 1 부분(51)의 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한 쌍의 제 2 부분(52, 52)은, 각각 대응하는 꺾인 부분(5f, 5f)을 따르면서, 제 1 부분(51)에 대해, 폴딩되어 제 1 부분(51)에 겹쳐진다. 이 경우,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예에서는, 제 2 부분(52, 52)은, 톱 시트(2)측으로 폴딩된다. 환언하면, 제 2 부분(52, 52)은, 제 1 부분(51)의 톱 시트(2)를 향하는 면(512) 상에 겹쳐진다. 도 4(C)에 나타내어지는 예에서는, 제 2 부분(52, 52)은, 흡수체(4)측으로 폴딩된다. 환언하면, 제 2 부분(52, 52)은, 제 1 부분(51)의 흡수체(4)를 향하는 면(514) 상에 겹쳐진다. 어쨌든,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제 2 부분(52, 52)은, 제 1 부분(51)에 관해, 서로 같은 측으로 폴딩된다.
그 결과, 세컨드 시트(5)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간(5s)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한 쌍의 제 2 부분(52, 52)이 제 1 부분(51)에 관해 같은 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공간(5s)이 보다 크고, 또한, 보다 확실하게 형성된다. 이 점, 도 4(D)에 나타내어지는 비교예와 같이, 한쪽의 제 2 부분(52')이 톱 시트를 향하는 면(512') 상에 겹쳐지고, 다른쪽의 제 2 부분(52')이 흡수체를 향하는 면(514') 상에 겹쳐지면, 즉 한 쌍의 제 2 부분(52', 52')이 제 1 부분(51')에 관해 서로 반대측으로 폴딩되면, 세컨드 시트(5')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5s')을 크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에서는, 꺾인 부분(5f, 5f)의 강성에 의해, 제 1 부분(51)과 제 2 부분(52, 52)은 서로 떨어지려고 한다. 이것에 의해, 공간(5s)이 형성된다. 그 결과, 액체가 공간(5s) 내에 보다 확실하게 홀딩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의 공간(5s)은, 서로 겹쳐진 복수의 시트끼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는 성질을 달리한다. 이것에 관해, 세컨드 시트(5) 또는 꺾인 부분(5f, 5f)의 강성이 높은 때에는, 세컨드 시트(5) 또는 꺾인 부분(5f, 5f)의 강성이 낮은 때에 비하여, 제 2 부분(52, 52)이 제 1 부분(51)에 접촉하기 어려워, 보다 큰 공간(5s)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세컨드 시트(5)는, 폭 방향(W)으로 이격하면서 길이 방향(L)으로 각각 연장되는 3 이상의 꺾인 부분을 따라 절곡되어, 겹쳐져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서로 겹쳐져서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된 내측 시트(5i) 및 외측 시트(5o)가 준비된다. 이어서, 한 쌍의 제 2 부분(52, 52)이, 제 1 부분(51)에 대해, 톱 시트(2)측으로 절곡되어, 제 1 부분(51)에 겹쳐진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제 2 부분(52, 52)끼리가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진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제 2 부분(52, 52)끼리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부분(51)에 있어서의 공간(5ss) 내에, 다른 흡수체(5a)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다른 흡수체(5a)는, 펄프를 포함하는 일 없이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시트(5i)와 다른 흡수체(5a)의 사이에 접착제층이 설치된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세컨드 시트(5)는 다른 흡수체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런데,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소변 등의 액체는, 우선 톱 시트(2)에 흡수되고, 이어서 톱 시트(2)의 비피부측층(2b)을 개재해 다른 세컨드 시트(6), 세컨드 시트(5), 및 흡수체(4)에 도달하여, 흡수 또는 홀딩된다. 이 경우, 톱 시트(2)의 피부측층(2a)의 비피부측에,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비피부측층(2b)이 설치되므로, 피부측층(2a)에 흡수된 액체가 양호하게 비피부측층(2b)으로 끌어들여진다. 그 결과, 피부측층(2a)의 드라이성이 높여진다.
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톱 시트(2)부터 세컨드 시트(5) 또는 흡수체(4)에 도달하는 엠보스부(10, 10, 11, 11)가 설치되므로, 액체가 톱 시트(2)로부터 세컨드 시트(5) 또는 흡수체(4)로 양호하게 보내진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톱 시트(2)의 비피부측층(2b), 다른 세컨드 시트(6), 및 세컨드 시트(5)가 PE 및 PP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비피부측층(2b), 다른 세컨드 시트(6), 및 세컨드 시트(5)는 융점이 서로 다른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그 결과, 엠보스부(10, 10, 11, 11)가 열 융착에 의해 형성된 결과, 열 융착이 발생한 부분과, 열 융착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 형성된다. 액체는, 열 융착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흐르기 쉽다. 따라서, 액체가 톱 시트(2)로부터 세컨드 시트(5) 또는 흡수체(4)로 더욱 양호하게 보내진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세컨드 시트(5)에 다른 흡수체(5a)가 설치되므로, 액체가 확실하게 홀딩된다.
그런데, 예를 들면 착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흡수체(4)에 압력이 가해지면, 흡수체(4)에 흡수되어 있던 액체가 흡수체(4)로부터 스며나올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톱 시트(2)와 흡수체(4)의 사이의 세컨드 시트(5)에, 액체를 홀딩 가능한 공간(5s)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4)로부터 스며나온 액체는, 이 공간(5s) 내로 유입되어 홀딩될 수 있다. 그 결과, 뛰어난 촉감을 유지하면서, 액체가 흡수체(4)로부터 톱 시트(2)에 도달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제한되고, 따라서 리웨트가 발생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제한된다.
특히,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에서는, 꺾인 부분(5f, 5f)의 강성에 의해, 제 1 부분(51)과 제 2 부분(52, 52)은 서로 떨어지려고 한다. 이것에 의해, 공간(5s)의 용적이 크게 유지된다. 그 결과, 액체가 공간(5s) 내에 보다 확실하게 홀딩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의 공간(5s)은, 서로 겹쳐진 복수의 시트끼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는 성질을 달리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세컨드 시트(5)의 내측 시트(5i)와 외측 시트(5o)의 사이의 공간(5ss) 내에도 액체가 홀딩될 수 있다. 따라서, 리웨트가 보다 확실하게 제한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세컨드 시트(5)의 제 2 부분(52, 52)이 서로 겹쳐 있으므로, 공간(5s, 5ss) 내에 일단 홀딩된 액체가, 공간(5s, 5ss)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리웨트가 발생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제한된다.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톱 시트(2)로부터 세컨드 시트(5)에 도달한 액체도, 세컨드 시트(5)의 공간(5s, 5ss) 내에 홀딩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용량이 증대된다.
도 5는, 본 개시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의 모식적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는, 흡수체(4) 및 세컨드 시트(5)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와 구성을 달리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의 흡수체(4)는, 두께 방향(T)으로 서로 적층된 피부측의 티슈(4a), 흡수 코어(4b), 및 비피부측의 티슈(4c)를 구비한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의 티슈(4a, 4c)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의 흡수체(4)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의 흡수 코어(4b)는,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흡수 코어(4b)는 펄프를 포함하는 일 없이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흡수 코어(4b)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일 없이 펄프를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피부측의 티슈(4a)와 흡수 코어(4b)의 사이, 흡수 코어(4b)와 비피부측의 티슈(4c)의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에서는, 한 쌍의 제 2 부분(52, 52)이, 제 1 부분(51)에 대해, 흡수체(4)측으로 절곡되어, 제 1 부분(51)에 겹쳐진다. 또,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부분(52, 52)끼리가 서로 겹치지 않는다. 그 결과, 세컨드 시트(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5s)에 연이어 통하는 연통로(5c)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연통로(5c)를 통하여, 액체가 공간(5s) 내로 용이하게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 리웨트가 보다 확실하게 제한된다.
특히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이 연통로(5c)는 흡수체(4)를 지향(指向)한다. 따라서, 흡수체(4)로부터 스며나온 액체가, 연통로(5c)를 통하여 공간(5s) 내로, 보다 용이하게 유도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공간(5s)과 톱 시트(2)의 사이에, 제 1 부분(51)이 위치한다. 제 1 부분(51)은, 제 2 부분(52, 52)과 달리, 폭 방향(W) 및 길이 방향(L)으로 연속해서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공간(5s) 내에 홀딩된 액체가 톱 시트(2)를 향하는 것이 제 1 부분(51)에 의해 제한된다. 게다가,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부분(51)에 다른 흡수체(5a)가 설치된다. 따라서, 공간(5s) 내에 홀딩된 액체가 톱 시트(2)를 향하는 것이 다른 흡수체(5a)에 의해, 더욱 제한된다.
다음으로,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모두(冒頭)에서 설명한 특허문헌 1에는, 코튼과 같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톱 시트와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와, 톱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를 구비하며, 톱 시트와 백 시트를 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열 융착 부분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된다.
그런데, 코튼 등의 보수성 섬유는 열 융착에 의한 접합성이 낮으므로, 코튼을 포함하는 톱 시트와 백 시트를 직접적으로 열 융착함으로써 열 융착 부분을 형성하면, 열 융착 부분에 있어서의 접합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이 점,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를 톱 시트와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하여 톱 시트 및 백 시트와 함께 열 융착하면, 접합성이 높은 열 융착 부분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열 융착되면,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열 융착 부분에 접한 착용자가 불쾌하게 느낄 우려가 있다. 또,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열 융착 부분의 길이를 따라 똑같으면, 흡수성 물품이 절곡되는 것이 곤란해진다. 착용자의 피부에 계속 피트하기 위해, 흡수성 물품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가 제공된다.
[구성 a1]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를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를 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열 융착 부분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보다도 낮은, 흡수성 물품.
구성 a1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가 열 융착되므로, 뛰어난 촉감이 유지되면서, 열 융착 부분에 있어서의 접합성이 보다 높여진다. 게다가, 흡수성 물품의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낮으므로, 열 융착 부분이 착용자에게 줄 수 있는 불쾌감이 제한된다. 동시에,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과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서로 다르므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절곡 기점이 되어, 제 2 영역이 제 1 영역에 대해 용이하게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피부에 보다 확실하게 계속 피트된다.
[구성 a2]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은, 상기 세컨드 시트와 함께 상기 톱 시트 및 상기 백 시트를 서로 접합하고 있고,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은, 상기 세컨드 시트를 포함하는 일 없이 상기 톱 시트 및 상기 백 시트를 서로 접합하고 있는, 구성 a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a2에 의하면, 강성이 낮은 열 융착 부분과, 강성이 높은 열 융착 부분이, 간단한 구성으로써 실현된다.
[구성 a3]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직선인, 구성 a1 또는 a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a3에 의하면, 제 2 영역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절곡되므로,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피부에 보다 확실하게 계속 피트된다.
[구성 a4]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상기 세컨드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외단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구성 a1 내지 a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a4에 의하면,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과,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간단한 구성으로써 조절된다.
[구성 a5]
상기 톱 시트가 서로 적층된 피부측층 및 비피부측층을 구비하고, 상기 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상기 비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보다도 높은, 구성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a5에 의하면, 피부측층에 의해 뛰어난 촉감이 유지되면서, 비피부측층에 의해 액체가 흡수체를 향하게 되고, 게다가 뛰어난 접합성이 얻어진다.
[구성 a6]
상기 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100 질량%인, 구성 a5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a6에 의하면, 보다 뛰어난 촉감이 제공된다.
[구성 a7]
상기 톱 시트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40 질량% 이상인, 구성 a1 내지 a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a7에 의하면, 보다 뛰어난 촉감이 제공된다.
[구성 a8]
상기 흡수체는, 고흡수 폴리머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구성 a1 내지 a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구성 a8에 의하면, 실금 패드, 특히 경실금 패드에 적합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뛰어난 촉감을 유지하면서, 열 융착 부분에 있어서의 접합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열 융착 부분이 착용자에게 줄 수 있는 불쾌감을 제한할 수 있으며, 게다가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피부에 보다 확실하게 계속 피트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를,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의 모식적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다음의 점에서 도 2의 실시 형태와 구성을 달리하고 있다. 즉,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또한, 흡수체(4)와 세컨드 시트(5)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티슈(21)와, 흡수체(4)와 백 시트(3)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티슈(22)를 포함한다. 이들 톱 시트(2), 백 시트(3), 흡수체(4), 세컨드 시트(5), 그리고, 제 1 및 제 2 티슈(21, 22)는, 두께 방향(T)으로 서로 적층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체(4) 그리고 제 1 및 제 2 티슈(21, 22)는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 관해, 톱 시트(2) 및 백 시트(3)보다도 작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세컨드 시트(5)는 길이 방향(L)에 관해 톱 시트(2) 및 백 시트(3)와 거의 같은 크기이며, 폭 방향(W)에 관해 톱 시트(2) 및 백 시트(3)보다도 작고 흡수체(4)보다도 크다. 세컨드 시트(5)는 일례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한 쌍의 꺾인 부분을 따라 폴딩된 부분을 구비한다. 세컨드 시트(5)는 다른 예에서는, 한 쌍의 꺾인 부분을 따라 폴딩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세컨드 시트(6) 및 사이드 시트(7, 7)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세컨드 시트(5)와 제 1 티슈(21)의 사이, 및 제 2 티슈(22)와 백 시트(3)의 사이에 접착제층이 설치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또한, 적어도 톱 시트(2)와 백 시트(3)를 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열 융착 부분(31)을 구비한다. 열 융착 부분(31)은,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 관해 흡수체(4)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그 결과, 흡수체(4)가 톱 시트(2)와 백 시트(3)의 사이에 홀딩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또한,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엠보스부(32)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엠보스부(32)에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선을 따르면서,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격하여 각각 설치되는 엠보스부(32a)와, 예를 들면 꽃 형태의 복수의 엠보스부(32b)가 포함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엠보스부(32)는 각각, 톱 시트(2)에서부터 세컨드 시트(5) 또는 흡수체(4)까지, 두께 방향(T)으로 움푹 패여 있다. 엠보스부(32)는 예를 들면 열 융착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명료화를 위해, 도 7 및 도 8에는, 엠보스부(32)는 묘사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폭(폭 방향(W) 치수)이 비교적 작은 단일의 협폭(狹幅)부(1n)와, 폭이 비교적 큰 한 쌍의 확폭(擴幅)부(1w, 1w)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협폭부(1n)는 길이 방향(L)의 내측 또는 중앙에 위치하고, 확폭부(1w, 1w)는 협폭부(1n)보다도 길이 방향(L)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도 7은 협폭부(1n)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확폭부(1w)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단일의 협폭부(1n) 및 단일의 확폭부(1w)를 구비한다. 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협폭부(1n)는 길이 방향(L)의 일측에 위치하고, 확폭부(1w)는 길이 방향(L)의 타측에 위치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격하여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구획선(LP, LP)에 의해, 폭 방향(W)의 내측 또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영역(1i)과, 제 1 영역(1i)보다도 폭 방향(W)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1o, 1o)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제 1 영역(1i)은 한쪽의 구획선(LP)에서부터 다른쪽의 구획선(LP)까지의 영역이다. 제 2 영역(1o)은 구획선(LP)에서부터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의 외단(1ew)까지의 영역이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 외단(1ew)은, 톱 시트(2) 및 백 시트(3)의 폭 방향(W) 외단에 의해 구성된다.
구획선(LP, LP)은 각각, 열 융착 부분(31)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그 결과, 열 융착 부분(31)의 일부(31o)가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하고, 열 융착 부분(31)의 다른 부분(31i)이 제 1 영역(1i) 내에 위치하게 된다. 또는, 협폭부(1n)에서는 열 융착 부분(31)이 제 1 영역(1i) 내에 위치하고, 확폭부(1w, 1w)에서는 열 융착 부분(31)이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구획선(LP, LP)은 각각, 길이 방향(L)에 평행한 직선이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구획선은 길이 방향(L)에 평행하지 않은 직선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구획선은 곡선이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구획선(LP, LP)은 각각, 세컨드 시트(5)의 폭 방향 외단(5ew)을 따라 연장된다. 이것은, 세컨드 시트(5)는 제 1 영역(1i)에 존재하고, 제 2 영역(1o)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 결과, 제 1 영역(1i)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i)은, 세컨드 시트(5)와 함께 톱 시트(2) 및 백 시트(3)를 서로 접합하고,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o)은, 세컨드 시트(5)를 포함하는 일 없이 톱 시트(2) 및 백 시트(3)를 서로 접합한다. 이 때문에,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o)의 강성은, 제 1 영역(1i)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i)의 강성보다도 낮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구획선(LP, LP)이 세컨드 시트(5)의 폭 방향 외단(5ew)보다도 폭 방향(W) 내측에서 연장되고, 따라서 세컨드 시트(5)가 제 2 영역(1o)에도 존재한다. 단, 이 경우에도,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o)은, 세컨드 시트(5)를 포함하는 일 없이 톱 시트(2) 및 백 시트(3)를 서로 접합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흡수체(4)는,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흡수체(4)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일 없이 펄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흡수체(4)는 펄프를 포함하는 일 없이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제 1 및 제 2 티슈(21, 22)는 각각, 시트상의 부직포로 형성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제 1 및 제 2 티슈(21, 22)는 각각,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일 없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제 1 및 제 2 티슈(21, 22)는 각각,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
피부측층(2a)의 보수성 섬유는 오가닉 코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측층(2a)은 보수성 섬유를 100 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피부측층(2b)의 보수성 섬유는 오가닉이 아닌 코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피부측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복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P 및 PE 또는 PP 및 PET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피부측층(2b)은 보수성 섬유를 20에서 80 질량%,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80에서 20 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피부측층(2b)의 평량은 20에서 40gsm이 바람직하고, 25에서 35gsm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부측층(2a)의 평량과 비피부측층(2b)의 평량의 비율은, 1:1에서 1:1.3이 바람직하고, 1:1.15에서 1:1.25가 보다 바람직하다. 톱 시트(2)의 두께(두께 방향(T) 치수)는 0.2에서 1.5mm가 바람직하고, 0.2에서 1.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톱 시트(2)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 톱 시트(2)의 총 질량에 대한, 피부측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질량과 비피부측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질량의 합계의 비율)은 4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뛰어난 촉감이 얻어진다.
또한, 흡수체(4)는 고분자 폴리머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7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액체가 흡수체(4)에 확실하게 홀딩되므로, 일단 흡수된 액체가 톱 시트(2)로 되돌아오는 리웨트가 제한된다.
그리고,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소변 등의 액체는, 우선 톱 시트(2)에 흡수되고, 이어서 톱 시트(2)의 비피부측층(2b)을 개재하여 제 1 티슈(21), 세컨드 시트(5), 흡수체(4), 및 제 2 티슈(22)에 도달하고, 흡수 또는 홀딩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톱 시트(2)부터 세컨드 시트(5) 또는 흡수체(4)에 도달하는 엠보스부(32)가 설치되므로, 액체가 톱 시트(2)로부터 세컨드 시트(5) 또는 흡수체(4)로 양호하게 보내진다. 도 2의 엠보스부(10, 10, 11, 11)와 마찬가지로, 엠보스부(32)에 의해, 액체가 톱 시트(2)로부터 세컨드 시트(5) 또는 흡수체(4)로 더욱 양호하게 보내진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영역(1i)에 있어서, 열 융착 부분(31i)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5)와 함께, 톱 시트(2) 및 백 시트(3)를 서로 접합한다. 그 결과, 톱 시트(2)와 백 시트(3) 사이의 접합성이 보다 높여진다. 또,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톱 시트(2)에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비피부측층(2b)이 설치되므로, 제 2 영역(1o)에 있어서도, 톱 시트(2)와 백 시트(3) 사이의 접합성이 보다 높여진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o)의 강성은, 제 1 영역(1i)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i)의 강성보다도 낮다. 환언하면,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o)은 비교적 유연하다. 따라서, 열 융착 부분(31o)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이 제한된다.
동시에,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영역(1i)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i)의 강성과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o)의 강성이 서로 다르다. 이 때문에, 열 융착 부분(31i)과 열 융착 부분(31o)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LP)의 부분을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LPx로 표시하면, 이 구획선 부분(LPx)이 절곡 기점이 된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2 영역(1o)이 제 1 영역(1i)에 대해, 용이하게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의 피부에 보다 확실하게 계속 피트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선 부분(LPx)이 길이 방향(L)에 평행한 직선이므로, 제 2 영역(1o)이 길이 방향(L)에 평행하게 절곡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의 피부에 보다 확실하게 계속 피트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제 2 영역(1o) 또는 하나의 열 융착 부분(31o)에 대해, 절곡 기점이 되는 구획선 부분(LPx)이 길이 방향(L)으로 이격하여 2개 설치된다. 따라서, 제 2 영역(1o)의 제 1 영역(1i)에 대한 상대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또한 보다 확실하게 얻어진다.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영역(1i)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i)이 세컨드 시트(5)를 포함하고, 제 2 영역(1o) 내에 위치하는 열 융착 부분(31o)이 세컨드 시트(5)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열 융착 부분(31o)의 강성과 열 융착 부분(31i)의 강성이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하면, 열 융착 부분(31o)과 열 융착 부분(31i)의 사이의 강성 차를, 간단한 구성으로써, 즉 추가 구성을 요로 하는 일 없이,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의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선(LP) 또는 구획선 부분(LPx)이 세컨드 시트(5)의 폭 방향 외단(5ew)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열 융착 부분(31o)의 강성과 열 융착 부분(31i)의 강성을, 간단한 구성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열 융착 부분(31i)에 있어서의 열 융착 처리 조건과, 열 융착 부분(31o)에 있어서의 열 융착 처리 조건이 서로 다름으로써, 열 융착 부분(31o)의 강성과 열 융착 부분(31i)의 강성이 서로 다르다. 열 융착 처리 조건에는, 열 융착 처리의 시간, 온도, 면적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열 융착 부분(31i)에 있어서의 열 융착 처리 조건과, 열 융착 부분(31o)에 있어서의 열 융착 처리 조건은 동일하다.
본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8-185451호 및 제2018-185589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개시 전체는 여기에 원용된다.
1: 흡수성 물품 2: 톱 시트
3: 백 시트 4: 흡수체
5: 세컨드 시트 51: 제 1 부분
52: 제 2 부분 5f: 꺾인 부분

Claims (14)

  1.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펄프를 포함하는, 흡수체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제 1 부분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꺾인 부분을 각각 개재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세컨드 시트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서로 겹쳐진 내측 시트 및 외측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이 서로 겹쳐 있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꺾인 부분을 따르면서,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상기 흡수체측 또는 상기 톱 시트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겹쳐져 있고, 그것에 의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에, 액체를 홀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가 서로 적층된 피부측층 및 비(非)피부측층을 구비하고, 상기 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상기 비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보다도 높은, 흡수성 물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측층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100 질량%인, 흡수성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고흡수 폴리머를 추가로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상기 흡수체측으로 폴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시트 및 상기 외측 시트가 서로 동일한,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를 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열 융착 부분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열 융착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보다도 낮은, 흡수성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은, 상기 세컨드 시트와 함께 상기 톱 시트 및 상기 백 시트를 서로 접합하고 있고,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은, 상기 세컨드 시트를 포함하는 일 없이 상기 톱 시트 및 상기 백 시트를 서로 접합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직선인, 흡수성 물품.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상기 세컨드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외단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보수성 섬유 함유 질량 비율은 40 질량% 이상인, 흡수성 물품.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고흡수 폴리머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3.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펄프를 포함하는, 흡수체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적어도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를 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열 융착 부분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열융착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보다도 낮고,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은, 상기 세컨드 시트와 함께 상기 톱 시트 및 상기 백 시트를 서로 접합하고 있고,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은, 상기 세컨드 시트를 포함하는 일 없이 상기 톱 시트 및 상기 백 시트를 서로 접합하고 있으며,
    상기 세컨드 시트는, 제 1 부분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꺾인 부분을 각각 개재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세컨드 시트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서로 겹쳐진 내측 시트 및 외측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꺾인 부분을 따르면서,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상기 흡수체측 또는 상기 톱 시트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겹쳐져 있고, 그것에 의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에, 액체를 홀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흡수성 물품.
  14.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펄프를 포함하는, 흡수체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세컨드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적어도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를 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열 융착 부분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열융착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이, 상기 제 1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열 융착 부분의 강성보다도 낮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구획선이 상기 세컨드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외단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세컨드 시트는, 제 1 부분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꺾인 부분을 각각 개재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세컨드 시트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서로 겹쳐진 내측 시트 및 외측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꺾인 부분을 따르면서,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상기 흡수체측 또는 상기 톱 시트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겹쳐져 있고, 그것에 의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에, 액체를 홀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흡수성 물품.
KR1020217007813A 2018-09-28 2019-09-09 흡수성 물품 Active KR102480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5451A JP6983133B2 (ja) 2018-09-28 2018-09-28 吸収性物品
JP2018185589A JP6983134B2 (ja) 2018-09-28 2018-09-28 吸収性物品
JPJP-P-2018-185451 2018-09-28
JPJP-P-2018-185589 2018-09-28
PCT/JP2019/035413 WO2020066574A1 (ja) 2018-09-28 2019-09-0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015A KR20210068015A (ko) 2021-06-08
KR102480172B1 true KR102480172B1 (ko) 2022-12-21

Family

ID=6995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813A Active KR102480172B1 (ko) 2018-09-28 2019-09-0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80172B1 (ko)
CN (1) CN112752558B (ko)
WO (1) WO2020066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494617A1 (en) * 2023-07-18 2025-01-22 Ontex BV Assorben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242A (ja) 2008-01-08 2009-07-23 Livedo Corporation 吸収体及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4069006A (ja) * 2012-10-01 2014-04-2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2015027342A (ja) 2013-07-30 2015-02-12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7086349A (ja) * 2015-11-06 2017-05-25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用当て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0249Y2 (ja) * 1991-09-05 1998-05-06 株式会社資生堂 生理用ナプキン
US8039684B2 (en) * 2005-12-21 2011-10-1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permeable material layer
JP2007202575A (ja) * 2006-01-30 2007-08-16 Livedo Corporation 吸収用積層体およ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074913B2 (ja) 2007-12-19 2012-11-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60928B2 (ja) * 2014-06-27 2016-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647015B2 (ja) * 2014-12-16 2020-02-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242A (ja) 2008-01-08 2009-07-23 Livedo Corporation 吸収体及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4069006A (ja) * 2012-10-01 2014-04-2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2015027342A (ja) 2013-07-30 2015-02-12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7086349A (ja) * 2015-11-06 2017-05-25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用当て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015A (ko) 2021-06-08
CN112752558B (zh) 2022-07-12
WO2020066574A1 (ja) 2020-04-02
CN112752558A (zh)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3133B2 (ja) 吸収性物品
CN105455962B (zh) 吸收性物品
JP5075980B2 (ja) 吸収性物品及び生理用ナプキン
US8951239B2 (en) Disposable diaper
US20130267926A1 (en) Absorbent article
ES2983519T3 (es) Artículo absorbente de tipo pantalón desechable adaptado especialmente para un usuario masculino
JP2010221067A (ja) 吸収性物品
JP2009160242A (ja) 吸収体及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21130045A (ja) 吸収性物品
CN104068971B (zh) 吸收性物品
TW201726086A (zh) 吸收性物品
JP6207475B2 (ja) 吸収性物品
CN110913817A (zh) 吸收性物品
KR102480172B1 (ko) 흡수성 물품
JP6983134B2 (ja) 吸収性物品
JP7109403B2 (ja) 吸収性物品
CN108883005A (zh) 吸收性物品
JP4771794B2 (ja) 吸収性物品
KR101829183B1 (ko) 흡수성 물품
CN112533569B (zh) 吸收性物品
JP2021003382A (ja) 吸収性物品
JP2012157641A (ja) 吸収性物品
CN116472014A (zh) 吸收性物品
TW202034873A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