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5929B1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929B1
KR102465929B1 KR1020160019842A KR20160019842A KR102465929B1 KR 102465929 B1 KR102465929 B1 KR 102465929B1 KR 1020160019842 A KR1020160019842 A KR 1020160019842A KR 20160019842 A KR20160019842 A KR 20160019842A KR 102465929 B1 KR102465929 B1 KR 10246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opening
flexible circuit
bending area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373A (ko
Inventor
이강원
박희웅
유영석
이정헌
이춘협
이인남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929B1/ko
Priority to CN201710083209.2A priority patent/CN107102762B/zh
Priority to US15/434,534 priority patent/US10268241B2/en
Publication of KR2017009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일측 단부가 표시 패널 위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제1 연성 회로 기판, 표시 패널 및 제1 연성 회로 기판 위에 위치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그리고 일측 단부가 터치 패널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를 가지는 제2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TOUCH SCREEN PANEL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REOF}
본 개시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는 추세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는 터치 스크린, 카메라 및 센서와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 또는 출력 장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는 주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고,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주로 출력 장치로 기능하는 표시 패널과 입력 장치로 기능하는 터치 패널로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은 각각 필름들, 일례로,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또는 연성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을 통해 회로 기판과 연결된다.
또한, 필름의 일단은 터치 스크린의 패드부와 연결되고, 필름의 타단은 회로 기판의 패드부와 연결된다. 회로 기판은 베젤(bezel)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주로 터치 스크린의 배면에 위치하므로, 필름은 이동 단말기 내부에서 굴곡된 형태로 배치된다. 회로 기판과 연결된 필름이 굴곡된 형태로 배치됨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 내부에 카메라, 센서 등과 같은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제약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에 다양한 소자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부품들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는 베젤 영역의 크기가 감소된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일측 단부가 표시 패널 위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제1 연성 회로 기판, 표시 패널 및 제1 연성 회로 기판 위에 위치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그리고 일측 단부가 터치 패널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를 가지는 제2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가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는 제1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제2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가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는 제2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이 제1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구부러지고, 제2 연성 회로 기판이 제2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구부러진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는 제1 벤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제1 벤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필름, 제1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신호 배선, 그리고 제1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1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집적 회로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는 제2 벤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제2 벤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베이스 필름, 그리고 제2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신호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터치 제어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 상 함몰된 형태를 갖는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일측 단부가 표시 패널 위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가 위치한 제1 연성 회로 기판, 그리고 일측 단부가 터치 패널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가 위치한 제2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가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는 제1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제2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가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는 제2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는 제1 연성 회로 기판이 제1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때, 적어도 하나의 제1 홈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는 제2 연성 회로 기판이 제2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때, 적어도 하나의 제1 홈의 위치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는 제1 벤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제1 벤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필름, 제1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신호 배선, 그리고 제1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1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집적 회로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는 제2 벤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제2 벤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베이스 필름, 그리고 제2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신호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 상 함몰된 형태를 갖는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의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에 결합된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에 결합된 제2 연성 회로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의 일부와 카메라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고, "평면"은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된 xy 평면을 포함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은 표시 패널(900),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접착 부재(902), 터치 패널(910), 제2 연성 회로 기판(800), 편광 부재(920) 및 윈도우(9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하의 터치 스크린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표시 패널(900)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900)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패널이면, 복수의 화소는 유기 발광 소자들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 패널(900)은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패널일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표시 패널(90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한 표시 패널(900)의 패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일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집적 회로 칩(150)을 실장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칩 온 필름(COF)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110)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이 표시 패널(900)의 배면 방향으로 굴곡될 때, 제1 개구부(110)도 함께 굴곡될 수 있다. 굴곡된 제1 개구부(110)에는 이동 단말기 내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복수의 부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0)를 가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이 하나의 제1 개구부(110)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개구부(110)와 상기 부품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900)과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위에는 접착 부재(902)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 부재(902)는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점착재료로서, 수지(resin) 또는 광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902)는 표시 패널(900)과 터치 패널(910)을 접착하고, 제1 연성 회로 기판(100)과 터치 패널(910)을 접착할 수 있다.
터치 패널(910)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접착 부재(902)에 의해 표시 패널(900)과 부착되고, 표시 패널(90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패널(910)은 터치 감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치 감지 전극들과 상기 제1 터치 감지 전극들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 구조는 표시 영역(DA)에 위치한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서, 터치 패널(910)의 일단은 표시 패널(900)의 일단보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910)의 일단은 표시 패널(900)의 일단과 비교하여 제1 소정 길이(a)만큼 연장된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터치 패널(91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한 터치 패널(910)의 패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또는 칩 온 필름(COF)일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집적 회로 칩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이하에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810)를 가질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제2 개구부(810)는 제1 개구부(11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개구부(810)의 가장자리는 제1 개구부(110)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2 길이(d)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이 표시 패널(900)의 배면 방향으로 굴곡될 때, 제1 개구부(110)와 유사하게 제2 개구부(810)도 함께 굴곡될 수 있다. 굴곡된 제2 개구부(810)에는 이동 단말기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0)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810)를 가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이 하나의 제2 개구부(810)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개구부(810)와 상기 부품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도 후술하기로 한다.
편광 부재(920)는 터치 패널(91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 부재(920)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 중에서 표시 패널(900) 또는 터치 패널(910)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910)이 표시 패널(900)과 편광 부재(9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터치 감지 구조에 의한 비침 방지 및 반사율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구 강도 향상을 위해 편광 부재(920)의 위에는 윈도우(930)(window)가 추가로 구비된다. 윈도우(930)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아크릴(acryl),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900)과 터치 패널(9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의 표시 패널(900) 및 터치 패널(9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900),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및 구동 회로 기판(300)이 차례로 결합될 수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910), 제2 연성 회로 기판(800) 및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이 차례대로 결합될 수 있다.
터치 패널(910)의 일단이 표시 패널(900)의 일단에 비해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1 소정 길이(a)만큼 더 연장되도록, 터치 패널(910)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910)의 일단에 결합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표시 패널(900)의 배면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터치 패널(910)이 표시 패널(900) 보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더 짧거나, 표시 패널(900)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경우,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접착 부재(902) 및 표시 패널(900)의 두께를 포함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터치 패널(910)이 표시 패널(900) 보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1 길이(a)만큼 더 긴 경우,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접착 부재(902) 및 표시 패널(900)의 두께에서 제1 길이(a)를 뺀 길이를 가지게 된다.
즉, 터치 패널(910)이 표시 패널(900) 보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1 길이(a)만큼 더 긴 경우,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길이가 감소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시 패널(900)과 결합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는 제1 개구부(110)를 가지고,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내에 집적 회로 칩(150)이 위치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집적 회로 칩(150)이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집적 회로 칩(150)은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하면에 배치되거나,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내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와 집적 회로 칩(150)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의 부품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의 평면 형상은,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일부가 원형인 다각형일 수 있다. 임의의 형태는 일부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형태를 포함한다. 다각형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의 평면 형상 및 제1 개구부(110)의 평면상의 면적은 제1 개구부(110)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부품의 형상 및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 평면은 xy 평면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집적 회로 칩(150)은 구동 신호를 표시 패널(9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집적 회로 칩(150)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는 제1 패드부(도 3의 130)를 통해 표시 패널(900)로 전달될 수 있다. 집적 회로 칩(150)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복수의 화소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들이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적 회로 칩(150)은 스캔 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구동 회로 또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에 대해서는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일부(100a)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한다.
구동 회로 기판(300)은 제1 연성 회로 기판(100)과 결합될 수 있다. 구동 회로 기판(300)은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이 구부러짐에 따라, 표시 패널(90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회로 기판(300)은 표시 패널(900)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 기판(300)에는 신호 제어부가 실장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는 표시 패널(900)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 신호는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을 통해 집적 회로 칩(15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 기판(300)에는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더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900)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카메라 모듈과 스피커 모듈, 및 메모리 칩 등이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회로 기판(30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910)과 결합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제2 개구부(810)를 가진다. 제2 개구부(810)의 위치는 제1 개구부(11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개구부(810)의 평면 형상은,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일부가 원형인 다각형일 수 있다. 임의의 형태는 일부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형태를 포함한다. 이때, 다각형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부(810)의 평면 형상은 제1 개구부(11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110)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제2 개구부(810)의 평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810)의 평면 형상 및 제2 개구부(810)의 평면상의 면적은 제1 개구부(110)의 평면 형상 및 평면상의 면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810)의 평면상의 면적은 제1 개구부(110)의 평면상의 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810)의 가장자리는 제1 개구부(110)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2 길이(d)로 이격될 수 있다.
표시 패널(900)의 일단에 결합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과, 터치 패널(910)의 일단에 결합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표시 패널(900)의 배면 방향으로 함께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810)의 가장자리가 제1 개구부(110)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지 않는 경우, 제1 연성 기판과 제2 연성 기판 사이에 위치한 접착 부재(902) 및 터치 패널(910)의 두께에 의해, 구부러진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의 위치와 구부러진 제2 연성 회로 기판(800) 제2 개구부(810)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접착 부재(902) 및 터치 패널(910)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2 개구부(810)의 가장자리가 제1 개구부(110)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2 길이(d)로 이격되는 경우, 구부러진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의 위치와 구부러진 제2 연성 회로 기판(800) 제2 개구부(810)의 위치가 일치할 수 있다. 즉, 구부러진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와 구부러진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제2 개구부(810)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810)의 가장자리가 제1 개구부(110)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2 길이(d)로 이격되는 경우, 구부러진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 및 구부러진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제2 개구부(810)의 위치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 및 제2 개구부(810)에는 부품이 삽입되거나 실장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1 연성 회로 기판(800)에 대해서는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일부(800a)를 도시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한다.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은 제2 연성 회로 기판(800)과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은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이 구부러짐에 따라, 표시 패널(90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은 터치 패널(910)을 구동하는 터치 제어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제어 회로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제어 회로는 터치 감지 구조로 출력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터치 감지 구조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제어 회로는 구동 신호 및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 여부, 터치 입력 개수, 터치 입력의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터치 패널(910) 및 터치 제어 회로와 연결되어 터치 제어 회로에서 생성된 구동 신호를 터치 감지 구조에 전달할 수 있고, 터치 감지 구조에서 출력된 신호를 터치 제어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900)에 결합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일부(100a)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베이스 필름(190), 복수의 신호 배선(140), 정전기 방전 링(145), 제1 패드부(130), 제2 패드부(170), 집적 회로 칩(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190)은 가요성(flexible)을 가진 필름일 수 있다. 베이스 필름(190)은 폴리이미드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가요성을 가진 공지의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190)에 복수의 신호 배선, 집적 회로 칩(15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90)은 벤딩 영역(bending area, BA1)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1)은 베이스 필름(190)이 구부러지는 영역으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은 벤딩 영역(BA1)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1)에는 베이스 필름(190)을 관통하는 제1 개구부(110)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벤딩 영역(BA1)에는 전자 부품 등의 부재가 베이스 필름(19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이 구부러졌을 때, 제1 개구부(110) 내에 이동 단말기의 내부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링(145)은 제1 개구부(110)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링(145)은 소정 저항값을 갖는 금속 물질로 형성되고, 제1 개구부(110)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링(145)은 접지되어, 제1 개구부(110)로 유입되는 정전기 에너지에 의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신호 배선(140)은 베이스 필름(19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140)은 제1 개구부(110) 주변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140a) 중 이웃하는 두 신호 배선 사이에 제1 개구부(110)가 위치하도록, 복수의 신호 배선(140a)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140a)의 일측 단부에는 제1 패드부(130a)가 위치하고, 복수의 신호 배선(140b)의 일측 단부에는 제1 패드부(130b)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호 배선(140a, 140b)의 타측 단부에는 집적 회로 칩(15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신호 배선(140c)의 일측 단부에는 제2 패드부(170a)가 위치하고, 복수의 신호 배선(140d)의 일측 단부에는 제2 패드부(170b)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140c, 140d)의 타측 단부에는 집적 회로 칩(15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패드부(130)는 표시 패널(9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패드부(170)는 구동 회로 기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부(130)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배선(140a, 140b)은 제1 패드부(130)로부터 벤딩 영역(BA1)을 거쳐 집적 회로 칩(1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패드부(170)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배선(140c, 140d)은 제2 패드부(170)로부터 집적 회로 칩(1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표시 패널(900)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는 구동 회로(미도시)에서 생성되고, 복수의 신호 배선(140)을 통해 표시 패널(9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패드부(130) 및 제2 패드부(170)는 구동 회로의 전력 제어,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드부(130)는 표시 패널(900)의 화소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출력 패드일 수 있으며, 제2 패드부(1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입력받기 위한 신호 입력 패드일 수 있다.
집적 회로 칩(150)은 제2 패드부(170)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배선(140c, 140d)을 통해, 구동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집적 회로 칩(150)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신호는 제1 패드부(130)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배선(140a, 140b)을 통해 표시 패널(900)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910) 및 터치 패널(910)에 결합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일부(800a)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910) 및 터치 패널(910)에 결합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일부(80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910)의 일측에는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베이스 필름(890), 복수의 신호 배선(840), 정전기 방전 링(845), 제3 패드부(830) 및 더미 패드부(832)를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890)은 가요성을 가진 필름일 수 있다. 베이스 필름(890)은 폴리이미드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가요성을 가진 공지의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890)에 복수의 신호 배선(840), 집적 회로 칩(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890)은 벤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2)은 베이스 필름(890)이 구부러지는 영역으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벤딩 영역(BA2)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2)에는 베이스 필름(890)을 관통하는 제2 개구부(810)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벤딩 영역(BA2)에는 전자 부품 등의 부재가 베이스 필름(89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개구부(810)가 형성된다. 제2 개구부(810)는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이 구부러졌을 때, 제2 개구부(810) 내에 이동 단말기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부(810)는 터치 패널(910)의 가장자리(912)와 평면 상으로 중첩하지 않는다. 제2 개구부(810)는 터치 패널(910)의 가장자리(912)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부(810)에 인접한 터치 패널(910)의 가장자리(912)는 평면 상으로 y축과 대체적으로 평행한 직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링(845)은 제2 개구부(810)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링(845)은 소정 저항값을 갖는 금속 물질로 형성되고, 제2 개구부(810)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링(845)은 접지되어, 제2 개구부(810)로 유입되는 정전기 에너지에 의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링(845)은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에 위치한 정전기 방전 링(1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될 수도 있다. 이때, 정전기 방전 링(845)과 정전기 방전 링(145)을 연결하는 금속 부재(미도시)가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및 제2 연성 회로 기판(8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신호 배선(840)은 베이스 필름(89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840)은 제2 개구부(810) 주변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840) 중 이웃하는 두 신호 배선 사이에 제2 개구부(810)가 위치하도록, 복수의 신호 배선(84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840)의 일측 단부에는 제3 패드부(83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신호 배선(840a)의 일측 단부에는 제3 패드부(830a)가 위치하고, 복수의 신호 배선(840b)의 일측 단부에는 제3 패드부(830b)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3 패드부(830)는 터치 패널(910)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840)은 제3 패드부(830)로부터 벤딩 영역(BA2)을 거쳐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910)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는 터치 제어 회로(미도시)에서 생성되고, 복수의 신호 배선(840)을 통해 터치 패널(9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3 패드부(830)는 터치 제어 회로의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패드부(830)는 터치 패널(910)의 터치 감지 구조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출력 패드 및 터치 감지 구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입력 패드를 포함한다.
더미 패드부(832)는 터치 패널(910)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는 않는다. 더미 패드부(832)는 터치 패널(910)과의 본딩(bonding) 기능만 제공한다. 만약, 더미 패드부(832)가 존재하지 않으면, 터치 패널(910)과 제2 연성 회로 기판(800) 간의 결합력이 약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910')의 일측에는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5의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도 4에서 설명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과 동일, 유사한 구성이므로, 서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벤딩 영역(BA2)에는 베이스 필름(890)을 관통하는 제2 개구부(81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부(810)는 터치 패널(910')의 가장자리(912')와 평면 상으로 중첩하지 않는다. 제2 개구부(810)에 인접한 터치 패널(910')의 가장자리(912')는 평면 상으로 제2 개구부(81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810)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터치 패널(910')의 가장자리(912')의 평면 형상은 상기 원형에 대응되는 호(arc)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개구부(810)에 인접하지 않은 터치 패널(910')의 가장자리는 평면 상으로 y축과 평행한 직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제2 개구부(810)에 인접한 터치 패널(910')의 가장자리(912')는 상기 직선으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평면 상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과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이 구부러질 때, 제2 개구부(810)와 제1 개구부(110)는 이동 단말기의 부품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 내부의 터치 스크린 및 카메라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의 터치 스크린의 일부와 카메라(700)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5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500)는 프론트 케이스(501)와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론트 케이스(501)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부품들이 배치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5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500)가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이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윈도우(930)는 프론트 케이스(5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5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 단말기(500)의 프론트 케이스(501)에 터치 스크린, 카메라(700), 스피커,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는, 프론트 케이스(501), 프론트 케이스(501)에 실장된 터치 스크린(미도시), 표시 패널(900)에 연결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 구동 회로 기판(300), 터치 패널(910)에 연결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 터치 제어 회로 기판(850) 및 카메라(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론트 케이스(501)에는 스피커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510), 조도 센서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530)와 근접 센서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5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이 벤딩 영역(BA1)에서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의 측면에 홈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110)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제1 개구부(110)를 중심으로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이 구부러지면, 제1 개구부(110)의 평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변경된다. 즉, 구부러진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을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1 개구부(110)가 홈 형상으로 변경된다.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은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에 포개진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이 벤딩 영역(BA2)에서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의 측면에 홈이 형성된다.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에 형성된 홈과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에 형성된 홈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700)는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에 형성된 홈과 제2 연성 회로 기판(800)에 형성된 홈이 포개진 영역(TA, 도 6 참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연성 회로 기판(800)과 제1 연성 회로 기판(100)이 구부러질 때, 제2 개구부(810)와 제1 개구부(110)는 카메라(7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50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제1 연성 회로 기판 110: 제1 개구부
500: 이동 단말기 700: 카메라
800: 제1 연성 회로 기판 810: 제2 개구부
900: 표시 패널 910: 터치 패널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일측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 위에 결합되며, 제1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제1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 위에 위치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그리고
    일측 단부가 상기 터치 패널에 연결되며, 제2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벤딩 영역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를 가지는 제2 연성 회로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 영역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는 서로 일부 중첩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상기 제2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구부러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
  5. 삭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신호 배선, 그리고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집적 회로 칩,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8. 삭제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그리고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신호 배선,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 상 오목한 형태를 갖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일측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 위에 결합되며, 제1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제1 연성 회로 기판, 그리고
    일측 단부가 상기 터치 패널에 연결되며, 제2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벤딩 영역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를 가지는 제2 연성 회로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벤딩 영역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는 서로 일부 중첩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는 이동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상기 제2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지는 이동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이 상기 제1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2 연성 회로 기판이 상기 제2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홈을 이루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을 이루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은 서로 중첩하 는 이동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16. 삭제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신호 배선, 그리고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집적 회로 칩,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18. 삭제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제2 베이스 필름, 그리고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신호 배선,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 상 오목한 형태를 갖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19842A 2016-02-19 2016-02-19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ctive KR10246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42A KR102465929B1 (ko) 2016-02-19 2016-02-19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N201710083209.2A CN107102762B (zh) 2016-02-19 2017-02-16 触摸屏面板和包括其的移动终端
US15/434,534 US10268241B2 (en) 2016-02-19 2017-02-16 Touch screen panel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42A KR102465929B1 (ko) 2016-02-19 2016-02-19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73A KR20170098373A (ko) 2017-08-30
KR102465929B1 true KR102465929B1 (ko) 2022-11-10

Family

ID=5963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842A Active KR102465929B1 (ko) 2016-02-19 2016-02-19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68241B2 (ko)
KR (1) KR102465929B1 (ko)
CN (1) CN107102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931070U (zh) * 2017-06-09 2018-01-26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绑定区连接结构、触摸屏和显示装置
CN107393422B (zh) * 2017-09-04 2019-09-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设备
CN109286701A (zh) * 2017-09-18 2019-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显示模组和移动终端
KR102400712B1 (ko) 2017-10-12 2022-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111650B (zh) * 2018-01-10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Lcd显示模组及移动终端
CN108322572B (zh) * 2018-03-21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563356A (zh) * 2018-03-27 2018-09-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WO2019184361A1 (en) * 2018-03-27 2019-10-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8521479B (zh) * 2018-03-27 2024-01-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563355A (zh) * 2018-03-27 2018-09-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322573B (zh) * 2018-03-27 2024-02-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600425B (zh) * 2018-03-27 2024-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881540B (zh) * 2018-06-22 2021-03-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881539B (zh) * 2018-06-22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666356A (zh) * 2018-06-29 2018-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移动终端
KR102497285B1 (ko) * 2018-07-03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만입된 형상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735094A (zh) * 2018-07-25 2018-11-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US10824203B2 (en) * 2018-08-17 2020-11-03 Google Llc Routing of flex circuit for touch panel
KR102573704B1 (ko) * 2018-09-06 2023-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만입된 형상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686759B (zh) * 2018-12-05 2020-11-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屏组件
US10923542B2 (en) 2018-12-05 2021-02-1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assembly having a flexible circuit board with curved portions
KR102803326B1 (ko) * 2019-03-26 202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한 전자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777685B1 (ko) 2019-05-02 2025-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7241622B2 (ja) 2019-06-24 2023-03-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気機器、表示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2673336B (zh) * 2019-06-27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覆晶薄膜cof、触控模组及显示装置
CN110299072A (zh) * 2019-06-28 2019-10-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600523B (zh) * 2019-09-27 2021-08-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3467120B (zh) * 2020-03-30 2023-05-16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320922B1 (en) * 2020-10-29 2022-05-03 Tpk Advanced Solutions Inc. Electronic product and touch-sensing display module thereof including slot in bending portion of film sensing structure
US20240206269A1 (en) * 2021-08-31 2024-06-20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5550484B (zh) * 2022-03-31 2024-04-05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柔性电路板焊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218Y2 (ko) * 1985-02-01 1992-02-20
JP2006060396A (ja) * 2004-08-18 2006-03-02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4251129B2 (ja) * 2004-10-25 2009-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259079B2 (en) * 2006-06-14 2012-09-04 Alps Electric Co., Ltd. Input panel having flexible circuit board inserted into passage through base and input device having the input panel
JP4109707B1 (ja) * 2007-05-30 2008-07-02 新藤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365013B (en) * 2008-05-23 2012-05-21 Au Op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JP5496013B2 (ja) * 2010-08-11 2014-05-21 京セラ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ユニット枠および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KR101181926B1 (ko) 2011-01-28 2012-09-11 주식회사 토비스 Fpc 전면본딩에 의한 저항막식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항막식 터치패널
KR101800669B1 (ko) * 2011-09-07 2017-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TWI419631B (zh) 2011-12-05 2013-12-11 Au Optronics Corp 多層電路板以及靜電放電保護結構
KR101881389B1 (ko) * 2012-03-13 2018-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946985B2 (en) * 2012-05-07 2015-02-03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1631122B1 (ko) * 2013-04-29 2016-06-16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장치
TW201530400A (zh) * 2014-01-22 2015-08-01 Wintek Corp 觸控裝置
CN204595800U (zh) * 2014-12-26 2015-08-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及其触控装置
KR20160110861A (ko) 2015-03-13 2016-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04425784U (zh) * 2015-03-30 2015-06-24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印刷电路板及触控前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2762B (zh) 2021-11-02
US10268241B2 (en) 2019-04-23
US20170242457A1 (en) 2017-08-24
KR20170098373A (ko) 2017-08-30
CN107102762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92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N110299381B (zh) 显示装置
US11503749B2 (en) Display including shielding member arranged to cover at least part of display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120119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panel
TWI646371B (zh) 拼接螢幕、顯示裝置和行動終端
US9377643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604070B1 (ko) 표시 장치
US10615239B2 (en) Integration of display screen and optical fingerprint sensor
KR102400712B1 (ko)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4087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05068333U (zh) 电子显示模块及电子装置
KR102409855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3676366A (zh) 具有减小的驱动器电路架的显示器
CN110021231A (zh) 显示装置
CN108132563B (zh) 背光模组、显示屏及电子设备
US20180302994A1 (en) Frame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KR20180049418A (ko) 표시장치
KR20140122879A (ko) 표시 장치
CN117796172A (zh) 包括屏蔽结构和防水结构的柔性显示模块及包括柔性显示模块的电子装置
CN204155244U (zh) 触摸显示模组和电子显示产品
KR20200067270A (ko) 표시 유닛,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102061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818734A (zh) 包括光学传感器的电子装置
EP429057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display
TWI521401B (zh) 軟性觸控裝置及其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