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4101B1 - 요실금 팬티 - Google Patents

요실금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101B1
KR102454101B1 KR1020200034128A KR20200034128A KR102454101B1 KR 102454101 B1 KR102454101 B1 KR 102454101B1 KR 1020200034128 A KR1020200034128 A KR 1020200034128A KR 20200034128 A KR20200034128 A KR 20200034128A KR 102454101 B1 KR102454101 B1 KR 10245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cretions
surface layer
acquisition
pad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653A (ko
Inventor
김동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03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101B1/ko
Priority to PCT/KR2020/008861 priority patent/WO2021187678A1/ko
Publication of KR2021011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1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3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 A61F13/49006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the reusable article being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e.g. slip or panty for light incontinenc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4Knickers for ladies,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4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impermeable sheet or impermeable part of a sheet placed on or under the top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실금 팬티로써, 보다 상세하게 패드부가 구비되는 요실금 팬티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신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입수층과 상기 입수층으로 유입된 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입수층 및 흡수층의 분비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층, 입수층 및 방수층 순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양측 단부가 봉제되고, 상기 방수층이 봉제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흡수층을 감싸도록 뒤집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실금 팬티{Incontinence panty}
본 발명은 요실금 팬티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분비물의 흡수력을 보다 더 향상시키고, 분비물의 외부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감을 개선하는 요실금 팬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원하지 않는 장소와 시간에 소변이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소변이 배출되어 속옷을 적시게 되는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자신감 상실과 의욕저하, 대인 기피증을 느끼게 하며, 당혹감이나 수치심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를 야기될 뿐만 아니라 요실금에 대한 걱정 때문에 일상적인 생활 활동이 감소하게 되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어 사회 활동으로부터 고립되게 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속옷에 소변이 묻어 있게 됨으로써 속옷 주위의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요실금으로 인한 냄새로 가족들로부터 멀어 지게 되는 하나의 실제적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요실금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그 증상을 치료함과 동시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지 않기 위하여, 팬티의 음부 접촉부위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패드를 구비하며, 교체시기에 따라 흡수력을 가진 패드를 삽입시키는 패드 삽입식 팬티, 또는 벨크로 테이프를 패드에 부착시켜 이를 팬티의 내부에 필요에 따라 접착시키는 패드 부착식 팬티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삽입식이나 부착식의 요실금 팬티는 요실금으로 인하여 오염된 패드를 매번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해야하고, 혹은 일회용이 아닌 패드일 경우라도 물세탁에 약한 특성을 보여 몇 차례의 물세탁 후에는 사용이 힘들 정도로 외관이 손상되고 그 기능에 많은 저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3975호(2004.03.06.)를 살펴보면, 팬티에서 인체의 음부가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인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함수하지 않고 통과시키며, 피부질환의 원인균에 대한 살균 기능을 갖는 항균섬유를 소정 비율 함유하여 구성되는 드라이쉬트와 상기 드라이쉬트의 배면으로 밀형성되어, 투습되는 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수하지 않고 타측으로 확산시켜 타측으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는 드라이층과 상기 드라이층으로부터 확산되는 분비물들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에 라미네이팅 접착되어 흡수층의 함수된 분비물의 외부 방출을 막는 코팅작용을 하는 방수층을 포함하는 분비물 흡수용 기능성 팬티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층이 단순히 1겹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어느 정도의 흡수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지만, 요실금 증상을 가진 사람이 야외에서 활동을 할 정도로 많은 양의 분비물을 흡수 처리하는 효과는 기대하기는 힘들다. 또한, 팬티의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원단을 단순히 적층시킨 경우, 팬티의 두께가 증가하여 일반적인 팬티와 비교하여 외관상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분비물의 측방향 누출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통기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3975호(2004.03.0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비물의 흡수력을 보다 더 향상시키고, 분비물의 외부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감을 개선하는 요실금 팬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가 구비되는 요실금 팬티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신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으로 유입된 분비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입수층과 상기 입수층으로 유입된 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 입수층 및 흡수층의 분비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면층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엠보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엠보를 기준으로, 하측 엠보가 상측 엠보의 하단부 직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엠보는, 아령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비물이 하방으로 유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면층은, 상기 표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방수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코팅부는, 상기 표면층으로 유입된 분비물이 상기 표면층의 측면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는, 방수층이 입수층의 내측에 놓인 상태에서, 단부가 소정의 길이로 입수층과 흡수층의 단부를 감싸도록 봉제되며, 봉제된 부분을 기준으로 흡수층의 외측으로 뒤집어진 형상으로 구비되어, 분비물의 측방향 유출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는, 입수층이 빠르게 분비물을 통과시켜 수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입수층에 접촉되는 신체가 분비물로 인하여 짖무르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질환이나 피부습진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는, 높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며, 암모니아 성분에 대한 방취기능을 가지게 되어, 인체의 분비물이 함수되어 유지되는 일상생활에서 분비물에 의한 냄새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는, 흡수층을 제거하여 일반적인 팬티와 같은 두께 및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고, 흡수층의 교체가 용이하며, 흡수층을 별도로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는, 분비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분비물로 인한 축축한 느낌이 드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는, 방수코팅부를 고주파 압착시켜 제작하는 동시에, 표면층, 입수층 및 흡수층의 고주파 압착을 수행하며, 패드부와 밴드가 고주파 열압착되면서, 동시에 표면층에 복수개의 엠보가 제작되도록 하여, 제작공정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밴드부가 구비된 정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밴드부가 구비된 측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측면도와 요실금 패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엠보가 구비되는 표면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엠보가 구비되는 표면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내측은 신체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외측은 신체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100)가 구비되는 요실금 팬티(10)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0)는, 신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표면층(140)과 상기 표면층(140)으로 유입된 분비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입수층(110)과 상기 입수층(110)으로 유입된 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흡수층(120)과 상기 입수층(110) 및 흡수층(120)의 분비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층(1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패드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팬티(10)의 중앙부에 음부와 접촉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패드부(100)는 여성용 팬티(10)나 남성용 팬티(10)에 모두 적용될 수 있고, 드로즈 타입, 삼각 타입 및 트렁크 타입 등과 같이 모든 팬티(10)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패드부(100)는 수분을 함수하지 않고 분비물을 통과시키는 표면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층(140)은 상기 입수층(110)과 같이 흡습성이 낮은 합성섬유로 제작되어, 신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빠르게 외측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표면층(140)은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소재로 이루어져 분비물을 피부의 반대편으로 빠르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140)은 복수개의 홀(도면 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홀은 상기 표면층(14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층(140)은 빠르게 분비물을 통과시켜 수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상기 표면층(140)에 접촉되는 신체가 분비물로 인하여 짓무르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질환이나 피부습진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입수층(110)은 상기 표면층(140)의 외측에 상기 표면층(140)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140)으로부터 통과된 분비물을 상기 흡수층(120)으로 통과시키는 동시에 통과된 분비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분비물로 인한 축축한 느낌이 드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표면층(140)으로 한 번에 많은 양의 분비물이 통과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분비물이 상기 표면층(140)과 입수층(1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분비물이 유동하는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흡수층(120)에 분비물이 서서히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많은 양의 분비물이 한 번에 스며들더라도 분비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분비물로 인한 축축한 느낌이 드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면층(140)은 상기 표면층(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수코팅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코팅부(141)는 상기 표면층(140)으로 유입된 분비물이 상기 표면층(140)의 측면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방수코팅부(141)는 폴리에틸렌, 부직포, 및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형성되는 액체 불투과성 필름이나, 폴리올레핀 필름, 열가소성 필름 등과 같이 방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코팅부(141)는 상기 표면층(140)에 고주파 열압착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표면층(140), 입수층(110) 및 흡수층(120)을 고주파 열압착시킴으로써, 상기 패드부(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코팅부(141)를 고주파 압착시켜 제작하는 동시에, 상기 표면층(140), 입수층(110) 및 흡수층(120)의 고주파 압착을 수행할 수 있어 제작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주파 열압착 기기를 1회 사용하여 상기 방수코팅부(141)을 제작하며, 열과 압력에 의한 상기 표면층(140), 입수층(110) 및 흡수층(120)의 압착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10)는 남성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팬티(10)의 전면 상부에는 음경이 안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음경주머니(310)가 구비되고, 상기 팬티(10)의 전면 하부에는 음난이 안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음낭주머니(3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100)의 상부에 밴드부(200)가 구비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10)를 착용하기 용이하며,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음경주머니(310)의 내부에는 상기 패드부(100)가 구비되며, 상기 음경주머니(310)의 하부에는 상기 음경주머니(310)와 구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음낭주머니(320)가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음경과 음낭을 상호 분리하며, 신체와 이격되도록 하여 음경으로부터 나온 분비물이 음낭과 같은 신체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경과 음낭이 각각 상기 음경주머니(310)와 음낭주머니(320)에서 외부환경이나 신체상태에 따라 신축되더라도 이탈되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원하면서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경주머니(310) 또는 음낭주머니(320)는 상기 팬티(1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봉제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팬티(10)의 전면부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음경주머니(310) 또는 음낭주머니(320)가 제조된 후 봉제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홀은 상기 팬티(10)의 전면부위 전체일 수 있다. 일례로, 신체에 달라붙는 드로즈 타입의 팬티(10)의 경우, 음경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내피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작되더라도, 외피가 상기 내피를 신체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내피가 볼록한 형태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외피가 상기 내피를 지속적으로 압박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내피는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10)에 있어서, 상기 음경주머니(310)는 음경을 감싸는 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본 발명의 팬티(10)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홀을 따라 봉제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즉, 착용자의 음경은 상기 홀의 일측을 통과하여 상기 음경주머니(310)에 감싸지는 형식으로 착용되어, 상기 팬티(10)가 신체에 달라붙는 드로즈 타입의 팬티(10)이더라도 상기 음경주머니(310)가 압박되지 않고 볼록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음경주머니(310)가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고, 상기 팬티(10)의 홀 전면을 감싸도록 봉제됨으로써, 상기 음경주머니(310)가 볼록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고, 통기성이 증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층(140) 또는 입수층(110)은 신체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엠보(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엠보(142)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엠보(142)가 아령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엠보(142)를 기준으로, 하측 엠보(142)가 상측 엠보(142)의 하단부 직하방에 위치된다. 즉,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한 제1엠보(142-1)의 하단부 직하방에 제2엠보(1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엠보(142-2)의 하단부 직하방에 제3엠보(142-3)가 구비되는 방식으로, 분비물이 하부로 흐르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아령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엠보(142)는 분비물이 상기 엠보(142)의 중앙부에 일시적으로 맺히게 되어, 분비물이 하방으로 유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엠보(142)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사선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즉, 상기 엠보(142)는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마련되어 분비물이 하방으로 흐르는 속도를 최소화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엠보(142)는 요실금이 발생한 경우, 분비물이 하방으로 흐르는 느낌을 감소시킴으로써, 분비물이 흐르는 찝찝함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드부(100)는 신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외측으로 통과시키는 상기 입수층(110)을 포함한다.
상기 입수층(110)은 음부 및 항문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로 구비되며, 흡습성이 낮은 합성섬유로 제작되어, 신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빠르게 외측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입수층(110)은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직물로 이루어져 분비물을 피부의 반대편으로 빠르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층(110)은 복수개의 홀(도면 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홀은 상기 입수층(1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층(110)은 빠르게 분비물을 통과시켜 수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상기 입수층(110)에 접촉되는 신체가 분비물로 인하여 짓무르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질환이나 피부습진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패드부(100)는 분비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방수층(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입수층(110) 및 흡수층(120)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130)의 단부가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의 단부를 감싸도록 봉제되며, 봉제된 부분(131)을 기준으로 상기 흡수층(120)의 외측으로 뒤집어진 형상으로 구비되어, 분비물의 측방향 유출을 이중으로 방지한다. 즉, 상기 입수층(110)의 내측에 놓인 상태에서, 단부가 기설정된 길이로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의 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봉제되며, 상기 봉제된 부분(131)을 기준으로 상기 흡수층(120)의 외측으로 뒤집어진 형상으로 구비되어, 분비물의 측방향 유출을 이중으로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이 평행하게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층(130)이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을 감싸는 형태로 적층된다.
즉, 상기 방수층(130)은 단부가 기설정된 길이로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의 단부를 감싸도록 봉제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흡수층(120)의 외측방향으로 뒤집어져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에 평행한 상태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의 측면부에 두 겹으로 구비되어, 분비물의 측면 누출을 보다 더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방수층(130)의 단부와 상기 봉제된 부분(131)이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에 일체형으로 봉제되고, 상기 봉제된 부분(131)을 기준으로 상기 방수층(130)이 뒤집어져 상기 흡수층(120) 아래로 구비되게 됨으로써, 분비물이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의 측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입수층(110)의 외측에 구비되고, 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상기 흡수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층(120)은 상기 입수층(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입수층(110)의 외측에 적층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수층(120)은 높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분비물의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흡수층(120)은 실크, 면 및 마 등과 같은 천연섬유의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섬유의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레이온 등과 같은 재생섬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120)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및 재생섬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질을 달리할 수 있다. 일례로, 고급형의 요실금 팬티(10)의 경우 실크 소재를 채택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보급형 요실금 팬티(10)의 경우 내구성이 높으며 저렴한 합성섬유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층(120)은 신소재 흡수섬유인 벨오아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오아시스 소재는 우수한 원형 회복력을 갖는 것과 동시에 높은 수분 흡수율을 갖는 신소재 섬유이며, 암모니아 성분에 대한 방취기능을 가지게 되어, 인체의 분비물이 함수되어 유지되는 일상생활에서 분비물에 의한 냄새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층(130)은 나노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고체 및 액체 상태의 분비물에 대한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기체는 통과시켜 통기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 재질은 투습방수 소재로 수분은 통과시키고 물은 배출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10)에 적용될 경우, 분비물의 누출은 방지하고, 수분은 배출시켜(breathable) 사용자의 쾌적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층(140)에 형성되는 엠보(143)는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으로 구비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분비물이 흐르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엠보(143)는 상기 표면층(140) 또는 입수층(110)의 표면에 구비되어, 분비물이 하부로 흐르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엠보(143)는 상기 표면층(140)의 표면에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신체로부터 분비물이 분출된 경우, 하방으로 흐르는 속도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엠보(143)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비물이 상기 엠보(143)의 중앙부에 상기 엠보(142) 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맺히도록 함으로써, 분비물이 하방으로 흐르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엠보(143)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비물이 상기 엠보(143)의 중앙부에 상기 엠보(142) 보다 더 많은 양이 맺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시간 내에 분비물이 하방으로 흐르는 양을 보다 더 적게 하여, 분비물이 흐르는 느낌을 감소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부가 구비되는 요실금 팬티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100)가 구비되는 요실금 팬티(1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신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입수층(110)과 상기 입수층(110)으로 유입된 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흡수층(120)과 상기 입수층(110) 및 흡수층(120)의 분비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층(130)이 상기 흡수층(120), 입수층(110) 및 방수층(130) 순으로 놓이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흡수층(120), 입수층(110) 및 방수층(130)의 양측 단부가 봉제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방수층(130)이 봉제된 부분(131)을 기준으로 상기 흡수층(120)을 감싸도록 뒤집어지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흡수층(120), 입수층(110) 및 방수층(130)이 평행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입수층(110)이 상기 흡수층(120) 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면, 상기 입수층(110)을 통과한 분비물이 상기 흡수층(120)에 흡수되지 않는 지점이 발생하여, 분비물이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입수층(110)이 상기 흡수층(120) 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짧게 형성되면, 분비물이 상기 흡수층(120)의 특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흡수되게 되고, 분비물이 도달하지 않는 지점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흡수층(120)의 흡수력이 감소하며, 많은 양의 분비물이 흡수될 경우, 분비물이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흡수층(120), 입수층(110) 및 방수층(130)의 양측 단부가 봉제되는 제2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방수층(130)이 봉제된 부분(131)을 기준으로 상기 흡수층(120)을 감싸도록 뒤집어지는 제3단계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흡수층(120)의 하부에 상기 흡수층(120)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수층(120)의 분비물이 신체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실금 팬티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입수층(110) 및 흡수층(120)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130)의 단부가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의 단부를 감싸도록 봉제되는 제2-1단계와, 봉제된 부분(131)을 기준으로 상기 흡수층(120)의 외측으로 뒤집어지는 제3-1단계를 수행하여, 분비물의 측방향 유출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방수층(130)은 ‘ㄷ’자 형태로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에 일체형으로 봉제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의 분비물이 측면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봉제된 부분(131)은 상기 방수층(1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봉제된 부분(131)을 축으로 상기 방수층(130)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뒤집어짐으로써,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흡수층(120)의 하부에 구비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입수층(110)과 흡수층(120)의 측면에 두 겹으로 구비됨으로써, 분비물이 측면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드부가 구비되는 요실금 팬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패드부(100)에 상기 밴드(200)가 결합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패드부(100)와 밴드(200)가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는 제4-1단계와, 상기 제4-1단계 이후, 상기 밴드(200)가 외력에 의해 인장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는 제4-2단계와, 상기 제4-2단계 이후, 상기 패드부(100)와 밴드(200)가 고주파 열압착되는 제4-3단계와, 상기 제4-3단계 이후, 상기 밴드(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고, 상기 패드부(10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밴드(200)를 커팅하는 제4-4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밴드(200)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고주파 열압착 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200)는 상기 밴드(200)의 중심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패드부(100)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밴드(200)가 외력에 의해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부(100)와 고주파 열압착된 이후 상기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패드부(100)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밴드(200)가 인장된 상태로 상기 패드부(100)와 고주파 열압착되며, 이후에 상기 밴드(200)가 압축되면서 상기 밴드(200)의 압축력으로 인하여 상기 패드부(100)에 주름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패드부(100)에 주름이 형성되면, 상기 패드부(100)와 분비물이 접촉되는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패드부(100)의 흡수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4-3단계에서, 상기 패드부(100)와 밴드(200)가 고주파 열압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면층(140)의 표면에 상기 복수개의 엠보(14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고주파 열압착 기기를 1회 사용하여, 상기 패드부(100)와 밴드(200)가 고주파 열압착되면서, 동시에 상기 표면층(140)에 상기 복수개의 엠보(142)가 제작됨으로써, 제작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고주파 열압착 기기를 1회 사용하여 상기 방수코팅부(141)를 고주파 압착시켜 제작하는 동시에, 상기 표면층(140), 입수층(110) 및 흡수층(120)의 고주파 압착을 수행하며, 상기 패드부(100)와 밴드(200)가 고주파 열압착되면서, 동시에 상기 표면층(140)에 상기 복수개의 엠보(142)가 제작되도록 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제작공정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팬티
100 : 패드부
110 : 입수층
111 : 포켓부
120 : 흡수층
121 : 고리부
130 : 방수층
131 : 봉제된 부분
140 : 표면층
141 : 방수코팅부
142 : 엠보
143 : 엠보
200 : 밴드부
310 : 음경주머니
320 : 음낭주머니

Claims (4)

  1. 패드부;가 구비되는 요실금 팬티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신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표면층;
    상기 표면층으로 유입된 분비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입수층;
    상기 입수층으로 유입된 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흡수층;
    상기 입수층 및 흡수층의 분비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층; 및
    상기 패드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가 외력에 의해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부와 고주파 열압착된 이후 상기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패드부에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입수층 및 표면층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엠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엠보는, 각각 신체의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엠보를 기준으로, 하측 엠보가 상측 엠보의 하단부 직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표면층에 구비되는 엠보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비물이 하방으로 흐르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표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방수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코팅부는, 상기 표면층으로 유입된 분비물이 상기 표면층의 측면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팬티.
  3. 삭제
  4. 삭제
KR1020200034128A 2020-03-20 2020-03-20 요실금 팬티 Active KR10245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28A KR102454101B1 (ko) 2020-03-20 2020-03-20 요실금 팬티
PCT/KR2020/008861 WO2021187678A1 (ko) 2020-03-20 2020-07-07 요실금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28A KR102454101B1 (ko) 2020-03-20 2020-03-20 요실금 팬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653A KR20210117653A (ko) 2021-09-29
KR102454101B1 true KR102454101B1 (ko) 2022-10-14

Family

ID=7776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128A Active KR102454101B1 (ko) 2020-03-20 2020-03-20 요실금 팬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4101B1 (ko)
WO (1) WO2021187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3093A (zh) * 2021-10-21 2022-01-07 川田卫生用品(浙江)有限公司 一种三角型卫生裤及制造方法
KR102670387B1 (ko) 2022-01-28 2024-05-30 주식회사 디알컴퍼니 흡한 및 속건성 동시 발현 편물 원단을 이용한 요실금 팬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9415B1 (fr) * 1993-08-31 1996-03-29 Kimberly Clark Co Culotte périodique jetable.
KR200343975Y1 (ko) 2003-12-02 2004-03-06 장세재 분비물 흡수용 기능성 팬티
KR20050053397A (ko) * 2003-12-02 2005-06-08 장세재 분비물 흡수용 기능성 팬티
JP4880596B2 (ja) * 2005-05-30 2012-02-22 株式会社ワコール 尿失禁者用パッド及び尿失禁者用下着
JP3156150U (ja) * 2009-10-05 2009-12-17 株式会社南都衛材製作所 女性用ボトム下着
US8847002B2 (en) * 2011-05-19 2014-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pertures arranged in registration with an embossed wave pattern
US9237975B2 (en) * 2013-09-27 2016-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ide barriers and decolorizing agents
JP5938440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200478064Y1 (ko) * 2014-10-02 2015-08-25 김상현 요실금 팬티
BR112018068105A2 (pt) * 2016-03-31 2019-01-15 Kimberly Clark Co material de folha tridimensional, e, artigo absorvente para cuidados pessoa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678A1 (ko) 2021-09-23
KR20210117653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0596B2 (ja) 尿失禁者用パッド及び尿失禁者用下着
KR102454101B1 (ko) 요실금 팬티
KR102455513B1 (ko) 요실금 팬티
KR102451986B1 (ko)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KR102405032B1 (ko) 샘 방지 처리된 슬림형 위생팬티
KR200356911Y1 (ko) 여성용 생리대
KR102445786B1 (ko) 요실금 팬티
KR102540578B1 (ko) 요실금 팬티
KR102204889B1 (ko) 천공 생리대
KR102544967B1 (ko) 남성용 요실금 이너웨어
KR102219363B1 (ko) 남성용 요실금 패드
KR100755459B1 (ko) 여성용 생리대
KR102464631B1 (ko) 요실금 팬티 및 그 제조방법
JP4408795B2 (ja) ショーツ
KR102528835B1 (ko) 생리용 팬티
CN222265548U (zh) 一种防侧漏经期裤
CN219423155U (zh) 一种区块复合芯体的成人纸尿裤
KR20200007442A (ko) 입체형 생리대
JP2004261331A (ja) 吸収性物品
CN222929932U (zh) 一种裤腰围可以吸收汗液的卫生吸收裤
KR102779250B1 (ko) 요실금 팬티
KR102665941B1 (ko) 생리용 팬티
US20230112617A1 (en) Absorbent garment
CN221672338U (zh) 一种方便穿脱的卫生裤
JP2968957B1 (ja) 尿吸収シート及び失禁対策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