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9250B1 - 요실금 팬티 - Google Patents

요실금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9250B1
KR102779250B1 KR1020240087736A KR20240087736A KR102779250B1 KR 102779250 B1 KR102779250 B1 KR 102779250B1 KR 1020240087736 A KR1020240087736 A KR 1020240087736A KR 20240087736 A KR20240087736 A KR 20240087736A KR 102779250 B1 KR102779250 B1 KR 10277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rt
present
area
incontinence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8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지영
Original Assignee
봉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지영 filed Critical 봉지영
Priority to KR102024008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9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92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3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 A61F13/49006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the reusable article being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e.g. slip or panty for light incontinenc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4Undergarments characterized by the cro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mild incontin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실금 팬티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착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사용자의 다리가 통과되도록 하면 양측에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 및, 착용공간의 하면에 부착되어 삽입구의 사이 간격에 위치되고, 인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상면을 통해 흡수시키는 패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실금 팬티{Incontinence panty}
본 발명은 요실금 팬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어 요실금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요실금 팬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나오는 증상으로서, 대부분 중년 여성에게 빈번히 일어나는 증상이었으나 최근에는 젊은 여성에게서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국내 출산 여성의 약 40% 이상이 요실금과 관련하여 일상 생활에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고, 개인적인 수치심으로 인하여 사회생활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요실금으로 인하여 팬티의 회음부와 접촉하는 부위가 젖어 있어서 습기로 인하여 냄새 및 세균이 발생하는 등 위생이 불결하고 불쾌감을 느낌과 동시에 건강도 악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비물이나 수분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요실금 팬티, 생리대, 기저귀 등과 같은 흡습성 패드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흡수성 패드는 흡습성을 갖는 면, 솜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 등이 하나 이상 겹쳐진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흡습성 패드는 전체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므로 인체에 착용시 형태가 의복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었고, 팬티의 내부에 겹쳐진 상태로 착용하는 경우 활동에 불편함을 줄 수 있었으며, 착용감이 좋지 않아 장시간 착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3203호(2019년 10월 3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요실금 팬티에 부착한 기능성 천 패드의 배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어 요실금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성 팬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는 내부의 착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사용자의 다리가 통과되도록 하면 양측에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착용공간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삽입구의 사이 간격에 위치되고, 인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상면을 통해 흡수시키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는 상하로 적층되어 다수의 층을 이루며, 가장자리가 상기 착용공간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삽입구의 사이 간격에 위치되어 인체의 회음부와 접촉되는 연결영역과, 상기 연결영역의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음부의 전방과 접촉되고, 양측이 상기 연결영역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는 전방영역 및, 전단이 상기 연결영역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음부의 후방과 접촉되고, 양측이 상기 전방영역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는 후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영역의 후단과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착용공간의 후면에 결합되는 배면 커버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면 커버영역은 상부로 갈수록 좌우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는 섬유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어 팬티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분비물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요실금 환자의 불편함과 수치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몸체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패드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패드부에 배면 커버영역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패드부에 배면 커버영역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패드부에 배면 커버영역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배면 커버영역을 보여주기 위해 몸체의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위한 전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배면 커버영역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보강 흡수층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보강 흡수층을 보여주기 위해 몸체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보강 흡수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보강 흡수층과 방수필름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방수필름을 보여주기 위해 몸체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방수필름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탈부착 패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탈부착 패드부를 보여주기 위해 몸체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탈부착 패드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몸체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패드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패드부에 배면 커버영역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패드부에 배면 커버영역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패드부에 배면 커버영역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배면 커버영역을 보여주기 위해 몸체의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위한 전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배면 커버영역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보강 흡수층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보강 흡수층을 보여주기 위해 몸체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보강 흡수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보강 흡수층과 방수필름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방수필름을 보여주기 위해 몸체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방수필름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탈부착 패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탈부착 패드부를 보여주기 위해 몸체 양측을 절개하여 수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의 탈부착 패드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는 사용자의 인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소변 등)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에 착용되는 몸체(100) 및, 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인체에 접촉되는 패드부(2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착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다리가 통과되도록 하면 양측에 삽입구(12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100)는 전면부 및, 전면부의 후방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후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전면부와 후면부의 양측과 하측을 봉재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탄성사(彈性絲)를 직조한 스판(span) 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삽입부(120)는 착용자(10)의 다리(허벅지 등) 둘레를 감싸는 부분으로, 삽입부(120)의 사이 간격에는 후술될 패드부(200)가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팬티를 착용하는 경우 몸체(100)의 내측면이 인체를 감쌀 수 있고, 삽입부(120)는 사용자의 다리 둘레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상단에는 밴드부(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밴드부(100)는 몸체(100)의 상단을 따라 길이를 갖고, 사용자가 몸체(100)를 착용시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외부에서 감쌀 수 있다.
패드부(200)는 사용자의 인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소변 등)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공간(1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삽입구(120)의 사이 간격에 위치되고, 인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상면을 통해 흡수시킨다.
여기서, 패드부(200)는 액체가 내부로 흡수되도록 섬유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부(200)는 일정한 상하 두께를 갖는 천이나 부직포(nonwove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200)는 다수를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결합시켜 다층 흡수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고, 패드부(200)는 가장자리가 봉재 등의 방식으로 착용공간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패드부(200)의 상면으로 흡수되는 분비물은 다수의 패드부(200)에 순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200)는 삽입구(120)의 사이 간격에 위치되어 인체의 회음부와 접촉되는 연결영역(210)과, 연결영역(210)의 전단에 연결되어 회음부의 전방과 접촉되고, 양측이 연결영역(210)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는 전방영역(220) 및, 전단이 연결영역(210)의 후단에 연결되어 회음부의 후방과 접촉되고, 양측이 전방영역(220)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는 후방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영역(210)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방영역(220)과 후방영역(230)보다 좁은 좌우 폭을 형성하고, 전방영역과(220)과 후방영역(230)은 사용자가 몸체(100)를 착용시 상부로 곡면을 이루면서 벤딩되어 인체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200)의 양측은 전방과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증가하도록 오목한 곡선을 이를 수 있다. 이때 전방영역(220)은 연결영역(210)보다 넓은 면적으로 음부 주변을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고, 후방영역(230)은 연결영역(210)보다 넓은 면적으로 엉덩이 주변을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요실금 질환으로 인해 분비물을 배출하는 경우 패드부(200)가 분비물을 즉각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패드부(200)가 즉각적으로 분비물을 흡수하므로 분비물이 몸체(100)의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0 내지 14에서처럼 후방영역(230)의 후단과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착용공간(1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배면 커버영역(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커버영역(240)은 상부로 갈수록 좌우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배면 커버영역(240)이 넓은 면적으로 인체를 커버하므로 분비물이 인체의 후방을 통해 유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는 도 13 내지 15에서처럼 패드부(200)와 몸체(100)의 사이 또는 다수의 패드부(200)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액체가 흡수되는 소재(섬유 등)로 구비되는 보강 흡수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흡수층(300)의 가장자리는 패드부(200)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어 패드부(100)의 설정영역에서 분비물을 집중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흡수측(300)은 패드부(200)의 중심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전후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보강 흡수층(300)이 결합되는 패드부(100)의 설정영역은 분비물이 배출되는 음부 위치가 해당될 수 있다.
즉, 보강 흡수층(300)이 설정영역에 근접한 위치에서 분비물을 집중적으로 흡수하므로 분비물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강 흡수층(300)이 설정영역만이 두껍게 형성되므로 착용감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는 도 16 내지 18에서처럼 패드부(200)와 몸체(100)의 사이 또는 다수의 패드부(200)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보강 흡수층(300)의 하부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고, 액체가 통과되지 않는 소재로 구비되는 방수필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필름(400)은 보강 흡수층(300)과 동일 또는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분비물이 하부로 통과되지 않도록 비닐(vinyl),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방수필름(400)이 보강 흡수층(300)의 하부를 커버하므로 분비물이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는 도 19 내지 21에서처럼 패드부(200)의 상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대응되게 부착되고, 패드부(200)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부에 점착층(501)이 도포되는 탈부착 패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 패드부(500)는 액체가 흡수되는 소재(섬유 등)로 구비될 수 있고, 탈부착 패드부(500)를 패드부(200)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경우 점착층(501)이 패드부(2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점착층(501)은 점착력을 갖는 실리콘(silic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분비물이 배출되는 경우 탈부착 패드부(500)가 분비물을 1차로 흡수할 수 있고, 분비물이 흡수된 탈부착 패드부(500)만을 교체할 수 있어 외출시 쾌적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탈부착 패드부(500)를 통과하거나 외곽으로 확산된 분비물이 패드부(200)로 흡수되는 경우 팬티의 세탁이 필요하지만, 팬티의 세탁이 어려운 환경(외출시 등)에서 팬티를 착용하는 경우 휴대한 탈부착 패드부(500)만을 새것을 교체해주면 되므로 쾌적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어 팬티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분비물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요실금 환자의 불편함과 수치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110: 착용공간
120: 삽입구 200: 패드부
210: 연결영역 220: 전방영역
230: 후방영역 240: 배면 커버영역
300: 보강 흡수층 400: 방수필름
500: 탈부착 패드부 501: 점착층
510: 전방영역 520: 후방영역
530: 배면 커버영역 L: 봉재선

Claims (5)

  1. 내부의 착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사용자의 다리가 통과되도록 하면 양측에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착용공간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삽입구의 사이 간격에 위치되고, 인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상면을 통해 흡수시키는 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는,
    상하로 적층되어 다수의 층을 이루며, 가장자리가 상기 착용공간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삽입구의 사이 간격에 위치되어 인체의 회음부와 접촉되는 연결영역과,
    상기 연결영역의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음부의 전방과 접촉되고, 양측이 상기 연결영역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는 전방영역 및,
    전단이 상기 연결영역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음부의 후방과 접촉되고, 양측이 상기 전방영역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는 후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영역의 후단과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착용공간의 후면에 결합되는 배면 커버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면 커버영역은 상부로 갈수록 좌우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패드부와 몸체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액체가 흡수되는 소재로 구비되는 보강 흡수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흡수층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영역에 위치되어 전후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패드부와 몸체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보강 흡수층의 하부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고, 액체가 통과되지 않는 소재로 구비되는 방수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필름은 상기 보강 흡수층과 동일 또는 더 큰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상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대응되게 부착되고, 상기 패드부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부에 점착층이 도포되는 탈부착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팬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섬유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팬티.
KR1020240087736A 2024-07-03 2024-07-03 요실금 팬티 Active KR10277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87736A KR102779250B1 (ko) 2024-07-03 2024-07-03 요실금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87736A KR102779250B1 (ko) 2024-07-03 2024-07-03 요실금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79250B1 true KR102779250B1 (ko) 2025-03-07

Family

ID=9497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7736A Active KR102779250B1 (ko) 2024-07-03 2024-07-03 요실금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92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52B1 (ko) * 2017-11-29 2019-03-11 주식회사 좋은사람들 패드 일체형 위생팬티
KR102246234B1 (ko) * 2020-10-28 2021-05-03 (주)지디컴퍼니 위생 팬티
KR20210057334A (ko) * 2019-11-12 2021-05-21 (주)레머디랩 여성용 위생팬티
JP3241263U (ja) * 2023-01-17 2023-03-14 Mnインターファッション株式会社 女性用下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52B1 (ko) * 2017-11-29 2019-03-11 주식회사 좋은사람들 패드 일체형 위생팬티
KR20210057334A (ko) * 2019-11-12 2021-05-21 (주)레머디랩 여성용 위생팬티
KR102246234B1 (ko) * 2020-10-28 2021-05-03 (주)지디컴퍼니 위생 팬티
JP3241263U (ja) * 2023-01-17 2023-03-14 Mnインターファッション株式会社 女性用下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241263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4597A (en) Absorbent product for receiving body fluids
PL176086B1 (pl) Wkład chłonny
WO2012086307A1 (ja) 男性用下着
KR101880530B1 (ko) 속옷 일체형 밀착식 바지
JP4191257B2 (ja) 吸収物品
KR102165510B1 (ko) 기능성 속옷
KR102779250B1 (ko) 요실금 팬티
KR102451986B1 (ko)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JP2023031179A (ja) 液溜め機能を有する布地およびそれを備えるズボン
JP2023037804A (ja) 吸水サニタリーショーツ
JP3174596U (ja) 男性用下着
US20220313499A1 (en) Absorbent and Leak Proof Garments for Incontinence, Menstruation and Reproductive System Discharge
KR102569332B1 (ko) 위생 팬티
KR102383318B1 (ko) 입체형 생리대
JP2013227686A (ja) 下着
KR101218270B1 (ko) 여성용 위생 팬티
JP4642750B2 (ja) 改良された適合性を有するパンツ形状物品
KR102528835B1 (ko) 생리용 팬티
KR20220071478A (ko) 여성용 속옷
JP2005087538A (ja) おむつ用パッド
KR102665941B1 (ko) 생리용 팬티
KR102683382B1 (ko) 여성용 위생 팬티
CN220025401U (zh) 一种水洗式尿裤及组合尿裤
CN222565133U (zh) 一种内垫裆部的内裤
JP5629124B2 (ja) 尿とりパッド装着用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