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38162B1 - 선박용 이중각 탱크 및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이중각 탱크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162B1
KR102438162B1 KR1020187013097A KR20187013097A KR102438162B1 KR 102438162 B1 KR102438162 B1 KR 102438162B1 KR 1020187013097 A KR1020187013097 A KR 1020187013097A KR 20187013097 A KR20187013097 A KR 20187013097A KR 102438162 B1 KR102438162 B1 KR 10243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ner tank
tank
dom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608A (ko
Inventor
타츠야 이마이
아츠시 사노
오사무 무라기시
료스케 유라구치
유조우 에구치
유이치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1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8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vacuum spaces, e.g. Dewar fl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025/087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omprising self-contained tanks installed in the ship structure as separa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 B63B27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3Orientation
    • F17C2201/035Orientation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mai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4Size medium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4Suspension means
    • F17C2203/015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75Thermal insulations by gas
    • F17C2203/0379In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91Thermal insulations by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17C2205/0149Vessel mounted inside another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8Protective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6Noble gases (Ar, Kr, Xe)
    • F17C2221/017Hel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선박용 이중각 탱크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내측 탱크 본체부 및 내측 탱크 본체부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되는 내측 탱크 돔을 포함하는 내측 탱크와, 내측 탱크 본체부를 둘러싸는 외측 탱크 본체부 및 내측 탱크 돔을 둘러싸는 외측 탱크 돔을 포함하는 외측 탱크와, 내측 탱크와 외측 탱크 사이에서, 내측 탱크 돔의 둘레에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지지 기구 각각은, 내측 탱크와 외측 탱크 중 한쪽에 고정된, 내측 탱크 돔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기준면과 평행한 제1 지지면을 가지는 제1 지지 부재와; 내측 탱크와 외측 탱크 중 다른 한쪽에 고정된, 제1 지지면과 마주보는 제2 지지면을 가지는 제2 지지 부재와;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지지면에 고정되고 제1 지지면을 따라서 미끄러짐 운동하는 단열 부재; 를 포함하며,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중 내측 탱크에 고정되는 쪽은, 기준면 상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이중각 탱크 및 선박
본 발명은, 선박에 탑재되는 선박용 이중각(二重殼, DOUBLE-SHELL) 탱크, 그리고 그 선박용 이중각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화가스 운반선 등의 선박에는, 액화가스용 이중각 탱크가 탑재되어 있다. 이 선박용 이중각 탱크에서는, 내측 탱크와 외측 탱크 사이에 단열층(예를 들면, 진공 단열층)이 형성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더 자세하게는, 내측 탱크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내측 탱크 본체부와, 내측 탱크 본체부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되는 내측 탱크 돔(dome)을 포함하고, 외측 탱크는, 내측 탱크 본체부를 둘러싸는 외측 탱크 본체부와, 내측 탱크 돔을 둘러싸는 외측 탱크 돔을 포함한다. 내측 탱크 돔은 내측 탱크를 관통하는 배관을 집약하기 위한 것으로, 그 배관은 내측 탱크 돔 및 외측 탱크 돔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JP 2015-004383 A
그런데 선박용 이중각 탱크에서는, 내측 탱크 돔의 지름 방향에서의 내측 탱크 돔과 외측 탱크 돔의 상대위치(이하 '돔 간 상대위치'라고 함)를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돔 간 상대위치가 구속되어 있지 않으면, 배가 동요할 때 관성력에 의해서 내측 탱크가 외측 탱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내측 탱크 돔 및 외측 탱크 돔을 관통하는 배관에 반복 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내측 탱크 안에 액화가스가 투입되었을 때에는, 내측 탱크 전체가 저온이 되어 내측 탱크 돔이 축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열 수축 하기 때문에, 이 내측 탱크 돔의 열 수축을 허용하면서 돔 간 상대위치를 구속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내측 탱크 돔의 열 수축을 허용하면서 돔 간 상대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및 이 선박용 이중각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용 이중각 탱크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내측 탱크 본체부 및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되는 내측 탱크 돔을 포함하는 내측 탱크와,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를 둘러싸는 외측 탱크 본체부 및 상기 내측 탱크 돔을 둘러싸는 외측 탱크 돔을 포함하는 외측 탱크와, 상기 내측 탱크와 상기 외측 탱크 사이에서, 상기 내측 탱크 돔의 둘레에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기구 각각은, 상기 내측 탱크와 상기 외측 탱크 중 한쪽에 고정된, 상기 내측 탱크 돔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기준면과 평행한 제1 지지면을 가지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내측 탱크와 상기 외측 탱크 중 다른 한쪽에 고정된, 상기 제1 지지면과 마주보는 제2 지지면을 가지는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2 지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면을 따라서 미끄러짐 운동하는 단열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중 상기 내측 탱크에 고정되는 쪽은, 상기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탱크 돔의 둘레에 적어도 3개의 지지 기구가 배치되고, 각 지지 기구에 포함되는 단열 부재가 내측 탱크 돔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내측 탱크 돔의 축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의 열 수축을 허용하면서 돔 간 상대위치를 구속할 수가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면을 한쪽의 면으로 하는 판 형상이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면을 한쪽의 면으로 하는 판 형상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외측 탱크 돔 또는 상기 외측 탱크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외측 탱크 돔 또는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지지면이 거의 상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열 부재와 제1 지지면 사이의 미끄러짐 운동 성능을 상온 상태에서 설계할 수가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기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열 부재를 통한 외측 탱크 바깥으로부터 내측 탱크 안으로의 열 침입을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 지지 기구 각각은, 상기 관 형상의 단열 부재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붙들어 유지하는 제1 홀딩 부재 및 제2 홀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 형상의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홀딩 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1 지지면에 접하여 있고, 상기 제2 홀딩 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2 지지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홀딩 부재를 사용하여, 단순한 형상의 관형 단열 부재의 일단을 간단하게 제2 지지면에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관 형상의 단열 부재의 타단을 붙들어 유지하는 제1 홀딩 부재를 제1 지지면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 형상의 단열 부재를 제1 홀딩 부재와 함께 부드럽게 미끄러짐 운동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제1 홀딩 부재와 상기 제1 지지면 사이에는, 윤활 라이너가 끼워져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호한 미끄러짐 운동성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열 부재를 통한 열 침입을 한층 더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면을 한쪽의 면 및 다른 한쪽의 면으로 하는 판 형상이며,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한 쌍이 설치되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지지 기구 단독으로, 내측 탱크 돔을 둘레 방향으로 구속할 수가 있다.
상기 지지 기구 각각은,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하나씩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지지 기구끼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돔 간 상대위치를 구속함과 함께, 내측 탱크 돔을 둘레 방향으로 구속하면서, 각 지지 기구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지지 기구 간의 위치 조절이 용이해 진다.
상기 지지 기구 각각은,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하나씩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구의 수는 4개 이상이고, 적어도 4개 세트(組)의 이웃하는 상기 지지 기구끼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도, 돔 간 상대위치를 구속함과 함께, 내측 탱크 돔을 둘레 방향으로 구속하면서, 각 지지 기구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상기 내측 탱크와 상기 외측 탱크 사이의 공간은 진공 공간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시간에 걸쳐 액화가스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이며, 4개의 상기 지지 기구가, 상기 내측 탱크 돔과 상기 외측 탱크 돔 사이에서, 상기 내측 탱크 돔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의 축 방향에 대해 45도 각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측 탱크 본체부로부터 모든 지지 기구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모든 지지 기구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화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은, 상기 선박용 이중각 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탱크 돔의 열 수축을 허용하면서 돔 간 상대위치를 구속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용 이중각 탱크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지지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지지 기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의 VA-VA 선 및 VB-VB 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에서의 지지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용 이중각 탱크에서의 지지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용 이중각 탱크에서의 지지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 등의 선박(1)에 탑재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2A)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이중각 탱크(2A)는, 내측 탱크(3)와, 내측 탱크(3) 주위의 공간(20)을 감싸는 외측 탱크(4)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탱크(3)와 외측 탱크(4) 사이의 공간(20)은 진공 공간이다. 다만, 내측 탱크(3)와 외측 탱크(4) 사이의 공간(20)에는, 아르곤 가스 등의 열전도율이 낮은 기체가 충전되어 있어도 좋다.
내측 탱크(3)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내측 탱크 본체부(31)와, 내측 탱크 본체부(31)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되는 내측 탱크 돔(32)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이 연직 방향과 평행이지만, 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은 연직 방향에 대해서 다소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탱크 돔(32)에 내측 탱크 내부 점검용 맨홀(30)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맨홀(30)은 내측 탱크 본체부(31)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탱크 본체부(31)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이다. 다만, 내측 탱크 본체부(31)는, 예를 들면, 구(球) 형상이어도 좋고, 사각 형상이어도 좋다. 더 자세하게는, 내측 탱크 본체부(31)는,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양측 개구를 막는 반구형의 폐색부를 포함한다. 다만, 폐색부는, 몸통부와 수직인 평면이어도 좋고, 접시 형상이어도 좋다.
내측 탱크 본체부(31)에 저장되는 액화가스는, 예를 들면, 액화 석유가스(LPG, 약 -45℃), 액화 에틸렌 가스(LEG, 약 -100℃), 액화 천연가스(LNG, 약 -160℃), 액화 수소(LH2, 약 -250℃), 액화 헬륨(LHe, 약 -270℃)이다.
외측 탱크(4)는, 내측 탱크 본체부(31)를 둘러싸는 외측 탱크 본체부(41)와, 내측 탱크 돔(32)을 둘러싸는 외측 탱크 돔(42)을 포함한다. 즉, 외측 탱크 본체부(41)는 내측 탱크 본체부(31)를 대형화한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외측 탱크 돔(42)은 내측 탱크 돔(32)을 대형화한 형상을 지니고 있다. 다만, 외측 탱크 돔(42)의 형상은, 내측 탱크 돔(32)의 형상과 다소 차이가 있어도 좋다. 외측 탱크 돔(42)에는, 내측 탱크 돔(32)과 대응하는 위치에 맨홀(40)이 설치되어 있다.
선저(11)에는, 외측 탱크 본체부(41)의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띄운 한 쌍의 외부 받침대(12)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 받침대(12)에 의해서 외측 탱크 본체부(41)가 지지 되어 있다. 한편, 내측 탱크 본체부(31)와 외측 탱크 본체부(41) 사이에는, 외부 받침대(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내부 받침대(21)가 배치되어 있다. 내부 받침대(21)는, 내측 탱크 본체부(31)를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내측 탱크(3)에 액화가스가 투입되었을 때의 내측 탱크 본체부(31)의 축 방향 열 수축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중각 탱크(2A)에는, 액화가스 배관이나 전기 배관 등의 각종의 배관(13)이, 내측 탱크 돔(32) 및 외측 탱크 돔(4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대표로 1개의 배관만이 그려져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내측 탱크 돔(32) 및 외측 탱크 돔(4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탱크 돔(32) 및 외측 탱크 돔(42)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다. 다만, 내측 탱크 돔(32) 및 외측 탱크 돔(42)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타원형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탱크 돔(32)의 중심축(36)과 외측 탱크 돔(42)의 중심축이 일치하고 있지만, 그것들은 어긋나 있어도 좋다.
내측 탱크 돔(32)은, 내측 탱크 본체부(31)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되는 둘레 벽(33)과, 둘레 벽(33)의 상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부풀어오른 접시 형상의 천장 벽(34)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외측 탱크 돔(42)은, 외측 탱크 본체부(41)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되는 둘레 벽(43)과, 둘레 벽(43)의 상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부풀어오른 접시 형상의 천장 벽(44)을 가진다. 또한, 천장 벽(34, 44)은, 예를 들면 반구(半球) 형상이나 평판 형상 등,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천장 벽(34, 44)에는, 상술한 맨홀(30, 4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탱크 돔(42)의 둘레 벽(43)에 벨로우즈 관(45)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벨로우즈 관(45)에 의해서 둘레 벽(43)이 근원부(43A)와 선단부(43B)로 분할되어 있다. 상술한 배관(13)은,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 벽(33) 및 외측 탱크 돔(42)의 둘레 벽(43)의 선단부(43B)를 관통하고 있다. 다만, 배관(13)은, 내측 탱크 돔(32)의 천장 벽(34) 및 외측 탱크 돔(42)의 천장 벽(44)을 관통하고 있어도 좋다. 혹은, 배관(13)은, 내측 탱크 돔(32)과 외측 탱크 돔(42) 사이에서 절곡 되어,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 벽(33) 및 외측 탱크 돔(42)의 천장 벽(44)을 관통하고 있어도 좋고, 내측 탱크 돔(32)의 천장 벽(34) 및 외측 탱크 돔(42)의 둘레 벽(43)을 관통하고 있어도 좋다.
외측 탱크 돔(42)의 둘레 벽(43)의 선단부(43B)의 내주면에는, 제1 환형 판(22)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 벽(43)의 외주면에는, 제1 환형 판(22)과 마주보는 제2 환형 판(23)이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환형 판(23)이 제1 환형 판(22)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지만, 제2 환형 판(23)이 제1 환형 판(22)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제1 환형 판(22)과 제2 환형 판(23)이 복수의 연결 부재(2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부재(25)는, 기둥 형상이어도 좋고 블록 형상이어도 좋다. 이 때문에, 내측 탱크(3) 안에 액화가스가 투입되어 내측 탱크 본체부(31)가 열 수축하여, 내측 탱크 돔(32)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벨로우즈 관(45)이 짧게 수축되면서 외측 탱크 돔(42)의 위쪽 부분도 내측 탱크 돔(32)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제1 환형 판(22)과 제2 환형 판(23)의 사이에는, 외측 탱크 돔(42) 내에서, 공간(20)을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으로 칸막이하는 관 형상의 차단 부재(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차단 부재(24)는, 맨홀(40)이 열렸을 때 대기로 개방되는 용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다만, 차단 부재(24)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내측 탱크 돔(32)의 천장 벽(34) 및 외측 탱크 돔(42)의 천장 벽(44)에, 맨홀(30, 40)을 둘러싸는 이중 관을 형성하도록 관 형상의 돌기를 각각 설치하고, 이 돌기들 사이에 환형 판인 차단 부재(24)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1 환형 판(22) 대신에, 둘레 방향으로 점점이 존재하는 복수의 제1 돌출편을 설치하는 한편, 제2 환형 판(23) 대신에, 제1 돌출편을 마주보는 복수의 제2 돌출편을 설치하여도 좋다.
더 나아가,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 벽(33)과 외측 탱크 돔(42)의 둘레 벽(43)의 근원부(43A) 사이에는,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로 적어도 3개의 지지 기구(5)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기구(5)는, 돔 간 상대위치(내측 탱크 돔(32)의 지름 방향에서의 내측 탱크 돔(32)과 외측 탱크 돔(42)의 상대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기구(5)가 4개 설치되어 있다. 지지 기구(5)는, 내측 탱크 돔(32)의 중심축(36)으로부터 내측 탱크 본체부(31)의 축 방향(D)에 대해 45도의 각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지지 기구(5)의 각도 간격은, 반드시 균등할 필요는 없고, 불균등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지지 기구(5)가, 외측 탱크 돔(42)에 고정된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6)와, 내측 탱크 돔(32)에 고정된 하나의 제2 지지 부재(7)를 포함한다. 제2 지지 부재(7)는, 내측 탱크 돔(32)의 중심축(36)을 포함하는 기준면(50)(즉, 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규정되는 면) 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 지지 부재(6)는 제2 지지 부재(7)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지지 부재(6)는, 제2 지지 부재(7) 측에, 기준면(50)과 평행한 제1 지지면(61)을 가지고 있다. 제2 지지 부재(7)는, 제1 지지면(61)과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지지면(71)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1 지지 부재(6)가, 제1 지지면(61)을 한쪽의 면으로 하는 판 형상이고, 제2 지지 부재(7)가, 제2 지지면(71)을 한쪽의 면 및 다른 한쪽의 면으로 하는 판 형상이다. 다만, 각 제1 지지 부재(6)는, 반드시 판일 필요는 없고, 제1 지지면(61)을 가지는 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다만, 제1 지지 부재(6) 및 제2 지지 부재(7)가 판이라면, 그것들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7)는, 내측 탱크 돔(32) 둘레 벽(33)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즉, 제2 지지면(71)은 기준면(50)과 평행하다. 지지 기구(5)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 벽(33)에 더블링(doubling) 판(35)이 접합 되어 있으며, 제2 지지 부재(7)는 더블링 판(35)을 통해서 둘레 벽(33)에 고정되어 있다. 다만, 더블링 판(35)이 생략되고, 제2 지지 부재(7)가 둘레 벽(33)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각 제1 지지 부재(6)는, 외측 탱크 돔(42)의 둘레 벽(43)의 근원부(43A)에 고정되어 있으며, 근원부(43A)로부터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 벽(33)을 향해서 제2 지지 부재(7)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4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지지 부재(6)의 제1 지지면(61)과 반대 측의 면(외측 면)의 선단에는, 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62)이 제1 지지면(61)과 수직으로 접합 되어 있고, 보강판(62)과 근원부(43A) 사이에는, 제1 지지 부재(6)의 외측 면의 상단 및 하단에 접속된 리브(6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7)의 각 제2 지지면(71)의 선단에는, 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72)이 제2 지지면(71)과 수직으로 접합 되어 있고, 보강판(72)과 더블링 판(35) 사이에는, 제2 지지면(71)의 상단 및 하단에 접속된 리브(7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면(61)과 각 제2 지지면(71) 사이에는, 단열 부재(55)가 개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열 부재(55)가 기준면(5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이다. 또한, 단열 부재(55)의 축 방향은, 반드시 기준면(50)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할 필요는 없으며, 기준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다소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어도 좋고, 다각형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를 구성하는 재료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이나 다른 FRP(예를 들면, 천 강화 페놀수지)이어도 좋고, 금속이어도 좋다.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의 일단 및 타단은, 제1 홀딩 부재(8A) 및 제2 홀딩 부재(8B)에 의해서 각각 붙들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 부재(55)는, 제1 홀딩 부재(8A)를 통해서 제1 지지면(61)에 접하여 있고, 제2 홀딩 부재(8B)를 통해서 제2 지지면(7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 부재(55)는, 제1 홀딩 부재(8A) 함께, 제1 지지면(61)을 따라서 미끄러짐 운동한다. 이전에 참조한 도 3은, 지지 기구(5)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단열 부재(55)가 제1 지지면(61)을 따라서 미끄러짐 운동하는 것을 그것들 사이의 간극으로 표현하고 있다(도 3에서는, 리브(63, 73)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한편, 홀딩 부재(8A, 8B)는 생략함).
또한, 내측 탱크(3) 안에 액화가스가 투입된 경우에는, 제2 지지 부재(7), 제2 홀딩 부재(8B) 및 단열 부재(55)가 저온이 되어 열 수축하여, 제1 홀딩 부재(8A)와 제1 지지면(6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도 한다. 즉, '미끄러짐 운동'은, 2개의 물체가 물리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대적인 이동뿐만 아니라, 비접촉 상태에서의 상대적인 이동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홀딩 부재(8A) 및 제2 홀딩 부재(8B) 각각은,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가 내부에 삽입되는 형상을 지니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 홀딩 부재는,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와 끼워 맞춰지는 통 형상부(82)와,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의 끝면과 맞닿는 바닥부(81)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81)의 중앙에 개구(opening)가 형성되어 있지만, 개구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통 형상부(82)는 핀(56)에 의해 단열 부재(55)와 결합 되어 있다. 다만, 각 홀딩 부재는 해당 홀딩 부재가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상을 지니고 있어도 좋다. 또한, 각 홀딩 부재와 단열 부재(55)는 나사나 리벳 등으로 결합 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홀딩 부재(8A)와 제1 지지면(61) 사이에는, 윤활 라이너(51)가 끼워져 있다. 윤활 라이너(5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윤활 라이너(51)는 얇아도 좋고 두꺼워도 좋다. 윤활 라이너(51)는,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제1 지지면(61)에 고정된다. 다만, 윤활 라이너(51)는, 제1 홀딩 부재(8A)에 고정되어도 좋다. 윤활 라이너(51)는, 미끄러짐 운동성이 양호한 재료(예를 들면, 불소 수지, 이황화 몰리브덴)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선박용 이중각 탱크(2A)에서는,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에 적어도 3개의 지지 기구(5)가 배치되고, 각 지지 기구(5)에 포함되는 단열 부재(55)가 기준면(50)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의 열 수축을 허용하면서 돔 간 상대위치(내측 탱크 돔(32)의 지름 방향에서의 내측 탱크 돔(32)과 외측 탱크 돔(42)의 상대위치)를 구속할 수가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열 부재(55)가 GFRP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열 부재(55)를 통한 열 침입을 한층 더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각 지지 기구(5)에서는,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6)가 제2 지지 부재(7)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지지 기구(5) 단독으로 내측 탱크 돔(32)을 원주 방향으로 구속할 수가 있다.
또한, 내측 탱크(3)와 외측 탱크(4) 사이의 공간(20)은 진공 공간이므로, 장시간에 걸쳐 액화가스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변형 예>
이하,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를 설명하지만, 이하의 변형 예는, 2번째의 변형 예를 제외하고서는, 후술하는 제2 및 제3 실시형태의 변형 예로서도 적용 가능하다.
내측 탱크 본체부(31)의 축 방향(D) 및 폭 방향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이라고 했을 때, 4개의 지지 기구(5)는, 내측 탱크 돔(32)의 중심축(36)으로부터 전후로 2개, 좌우로 2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이 경우에는, 내측 탱크 본체부(31)의 상면은 전후 방향으로는 직선이지만 좌우 방향으로는 굴곡 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탱크 본체부(31)로부터 좌우의 지지 기구(5)까지의 거리가 내측 탱크 본체부(31)로부터 전후의 지지 기구(5)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진다. 이것에 비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레이아웃이라면, 내측 탱크 본체부(31)로부터 모든 지지 기구(5)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모든 지지 기구(5)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화할 수가 있다.
도 6에 나타낸 변형 예의 선박용 이중각 탱크(2B)와 같이, 각 지지 기구(5)는, 내측 탱크 돔(32)에 고정된, 기준면(50) 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1 지지 부재(6)와, 외측 탱크 돔(42)에 고정된, 제1 지지 부재(6)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7)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제2 지지 부재(7)는, 반드시 판일 필요는 없고, 제2 지지면(71)을 가지는 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처럼, 제1 지지 부재(6)가 외측 탱크(4)에 고정되고, 제2 지지 부재(7)가 내측 탱크(3)에 고정되어 있다면, 제1 지지면(61)이 거의 상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열 부재(55)와 제1 지지면(61) 사이의 미끄러짐 운동 성능을 상온 상태에서 설계할 수가 있다.
제2 지지 부재(7)의 제2 지지면(71)은, 반드시 기준면(50)과 평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단열 부재(55)의 단부가 대각선으로 잘려있을 경우에는, 제2 지지면(71)이 단열 부재(55)의 단부를 따르도록 기준면(50)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기준면(50) 상에 위치하는 제2 지지 부재(7)는, 그 제2 지지 부재(7)의 적어도 일부를 기준면(50)이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단열 부재(55)는, 중실(中實)의 블록이어도 좋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처럼 단열 부재(55)가 관이라면, 단열 부재(55)를 통한 외측 탱크(4) 밖으로부터 내측 탱크(3) 안으로의 열 침입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단열 부재(55)가 중실의 블록일 경우에는, 단열 부재(55)를 직접적으로 제2 지지면(71)에 고정함과 함께, 제1 지지면(61)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미끄러짐 운동시켜도 좋다.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의 양단에 플랜지를 형성한 경우에는, 단열 부재(55)를 직접적으로 제2 지지면(71)에 고정함과 함께, 제1 지지면(61)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미끄러짐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라면, 제2 홀딩 부재(8B)를 이용하여, 단순한 형상의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의 일단을 간단하게 제2 지지면(71)에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의 타단을 붙들어 유지하는 제1 홀딩 부재(8A)를 제1 지지면(61)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를 제1 홀딩 부재(8A)와 함께 부드럽게 미끄러짐 운동시킬 수가 있다.
제1 홀딩 부재(8A)와 제1 지지면(61) 사이에는 반드시 윤활 라이너(51)가 끼워져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1 홀딩 부재(8A)를, 미끄러짐 운동성이 양호한 수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제1 홀딩 부재(8A)를 금속으로 구성한 경우에도, 제1 홀딩 부재(8A)가 접하는 제1 지지면(61) 상에 윤활제를 도포하여도 좋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처럼 제1 홀딩 부재(8A)와 제1 지지면(61) 사이에 윤활 라이너(51)가 끼워져 있으면,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호한 미끄러짐 운동성을 얻을 수가 있다.
지지 기구(5)는,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 벽(33)과 외측 탱크 돔(42)의 둘레 벽(43)의 선단부(43B)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단열 부재(55)는 내측 탱크 돔(32)의 중심축(3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미끄러짐 운동하여도 좋다.
외측 탱크 돔(42)의 둘레 벽(43)에는 반드시 벨로우즈 관(45)이 포함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 경우, 내측 탱크(3) 안에 액화가스가 투입되어 내측 탱크 본체부(31)가 열 수축했을 때의 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배관(13)의 휨에 의해서 허용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용 이중각 탱크(2C)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및 후술하는 제3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지지 기구(5)가, 외측 탱크 돔(42)에 고정된 하나의 제1 지지 부재(6)와, 내측 탱크 돔(32)에 고정된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7)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7)는, 제1 지지 부재(6)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측 탱크 돔(32)의 중심축(36)을 포함하는 기준면(50) 상에 위치되어 있다. 각 제2 지지 부재(7)는, 내측 탱크 돔(32)의 둘레 벽(33)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을 향해 돌출되는 판으로, 기준면(50)과 평행한 제2 지지면(71)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제1 지지 부재(6)는, 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기준면(50)과 평행한 한 쌍의 제1 지지면(61)을 가지고 있다.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가 제1 홀딩 부재(8A)를 통해서 제1 지지면(61)에 접하여 있고, 제2 홀딩 부재(8B)를 통해서 제2 지지면(71)에 고정되어 있는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각 지지 기구(5)는, 내측 탱크 돔(32)에 고정된, 기준면(50)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6)와, 외측 탱크 돔(42)에 고정된, 제1 지지 부재(6)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제2 지지 부재(7)(내측 탱크 돔(32)의 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제1 지지 부재(6)는, 반드시 판일 필요는 없고, 제1 지지면(61)을 가지는 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지지 부재(6)가 외측 탱크(4)에 고정되고, 제2 지지 부재(7)가 내측 탱크(3)에 고정되어 있다면, 제1 지지면(61)가 거의 상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열 부재(55)와 제1 지지면(61) 사이의 미끄러짐 운동 성능을 상온 상태에서 설계할 수가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용 이중각 탱크(2D)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지지 기구(5)가, 외측 탱크 돔(42)에 고정된 하나의 제1 지지 부재(6)와, 내측 탱크 돔(32)에 고정된, 기준면(50) 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2 지지 부재(7)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지지 기구(5)는 번갈아서 거울에 비친 것처럼 반대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웃하는 지지 기구(5)끼리 제1 지지 부재(6)와 제2 지지 부재(7)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다. 관 형상의 단열 부재(55)가 제1 홀딩 부재(8A)를 통해서 제1 지지면(61)에 접하여 있고, 제2 홀딩 부재(8B)를 통해서 제2 지지면(71)에 고정되어 있는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1 지지 부재(6)는, 반드시 판일 필요는 없고, 제1 지지면(61)을 가지는 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 부재(7)는, 반드시 판일 필요는 없고, 제2 지지면(71)을 가지는 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돔 간 상대위치를 구속하는 한편, 내측 탱크 돔(32)을 원주 방향으로 구속하면서, 각 지지 기구(5)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지지 기구(5) 사이의 위치 조정이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 기구(5)의 수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기구(5)의 수가 짝수이면, 모든 이웃하는 지지 기구(5)끼리(예를 들면, 지지 기구(5)의 수가 4개라면, 4개 세트의 이웃하는 지지 기구(5)끼리) 제1 지지 부재(6)와 제2 지지 부재(7)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된다. 한편, 지지 기구(5)가 홀수이면, 1개조의 이웃하는 지지 기구(5)를 제외하고는 이웃하는 지지 기구(5)끼리(예를 들면, 지지 기구(5)의 수가 5개라면, 4개 세트의 이웃하는 지지 기구(5)끼리) 제1 지지 부재(6)와 제2 지지 부재(7)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각 지지 기구(5)는, 내측 탱크 돔(32)에 고정된, 기준면(50) 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1 지지 부재(6)와, 외측 탱크 돔(42)에 고정된 하나의 제2 지지 부재(7)를 포함하여도 좋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지지 부재(6)가 외측 탱크(4)에 고정되고, 제2 지지 부재(7)가 내측 탱크(3)에 고정되어 있다면, 제1 지지면(61)이 거의 상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열 부재(55)와 제1 지지면(61) 사이의 미끄러짐 운동 성능을 상온 상태에서 설계할 수가 있다.
또한, 지지 기구(5)는, 반드시 번갈아서 거울에 비친 것처럼 반대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지지 기구(5)의 수가 4개 이상일 경우에는, 적어도 4개 세트의 이웃하는 지지 기구(5)끼리 제1 지지 부재(6)와 제2 지지 부재(7)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다면, 돔 간 상대위치를 구속하는 한편, 내측 탱크 돔(32)을 원주 방향으로 구속하면서, 각 지지 기구(5)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기구(5)의 수가 6개이고, 지지 기구(5)를 방향의 차이에 따라 A와 B로 분류했을 경우, 둘레 방향으로, A1 → A2 → B1 → A3 → B2 → B3 → (A1)으로 줄지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4개 세트의 이웃하는 지지 기구(5)끼리(A2와 B1, B1과 A3, A3과 B2, B3와 A1), 제1 지지 부재(6)와 제2 지지 부재(7)의 위치 관계가 반대가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 기구(5)는, 반드시 내측 탱크 돔(32)과 외측 탱크 돔(42) 사이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내측 탱크 본체부(31)와 외측 탱크 본체부(41)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1 지지 부재(6)가 내측 탱크 본체부(31)와 외측 탱크 본체부(41) 중 한쪽에 고정되고, 제2 지지 부재(7)가 내측 탱크 본체부(31)와 외측 탱크 본체부(41) 중 다른 한쪽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지지 부재(6)와 제2 지지 부재(7) 중 내측 탱크 본체부(31)에 고정되는 쪽이 기준면(50) 상에 위치한다.
또한, 모든 지지 기구(5)는, 반드시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번갈아서 상하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1 : 선박
2A ~ 2D : 선박용 이중각 탱크
3 : 내측 탱크
31 : 내측 탱크 본체부
32 : 내측 탱크 돔
36 : 중심축
4 : 외측 탱크
41 : 외측 탱크 본체부
42 : 외측 탱크 돔
5 : 지지 기구
50 : 기준면
51 : 윤활 라이너
55 : 단열 부재
6 : 제1 지지 부재
61 : 제1 지지면
7 : 제2 지지 부재
71 : 제2 지지면
8A : 제1 홀딩 부재
8B : 제2 홀딩 부재

Claims (13)

  1.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내측 탱크 본체부 및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되는 내측 탱크 돔을 포함하는 내측 탱크와,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를 둘러싸는 외측 탱크 본체부 및 상기 내측 탱크 돔을 둘러싸는 외측 탱크 돔을 포함하는 외측 탱크와,
    상기 내측 탱크와 상기 외측 탱크 사이에서, 상기 내측 탱크 돔의 둘레에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기구 각각은,
    상기 내측 탱크와 상기 외측 탱크 중 한쪽에 고정되며, 상기 내측 탱크 돔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기준면과 평행한 제1 지지면을 가지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내측 탱크와 상기 외측 탱크 중 다른 한쪽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지지면과 마주보는 제2 지지면을 가지는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지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면을 따라서 미끄러짐 운동하는 단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중 상기 내측 탱크에 고정되는 쪽은, 상기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면을 한쪽의 면으로 하는 판 형상이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면을 한쪽의 면으로 하는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외측 탱크 돔 또는 상기 외측 탱크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내측 탱크 돔 또는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기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 각각은, 상기 관 형상의 단열 부재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붙들어 유지하는 제1 홀딩 부재 및 제2 홀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 형상의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홀딩 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1 지지면에 접하여 있고, 상기 제2 홀딩 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2 지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 부재와 상기 제1 지지면 사이에는, 윤활 라이너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면을 한쪽의 면 및 다른 한쪽의 면으로 하는 판 형상이며,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한 쌍이 설치되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 각각은,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하나씩 포함하고,
    이웃하는 상기 지지 기구끼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 기구 각각은,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하나씩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구의 수는 4개 이상이고, 적어도 4개 세트의 이웃하는 상기 지지 기구끼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탱크와 상기 외측 탱크 사이의 공간은 진공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이며,
    4개의 상기 지지 기구가, 상기 내측 탱크 돔과 상기 외측 탱크 돔 사이에서, 상기 내측 탱크 돔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내측 탱크 본체부의 축 방향에 대해 45도 각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중각 탱크.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선박용 이중각 탱크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187013097A 2015-10-20 2016-10-20 선박용 이중각 탱크 및 선박 Active KR102438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6223 2015-10-20
JP2015206223 2015-10-20
PCT/JP2016/081095 WO2017069196A1 (ja) 2015-10-20 2016-10-20 舶用二重殻タンクおよび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608A KR20180070608A (ko) 2018-06-26
KR102438162B1 true KR102438162B1 (ko) 2022-08-31

Family

ID=5855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097A Active KR102438162B1 (ko) 2015-10-20 2016-10-20 선박용 이중각 탱크 및 선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66568B1 (ko)
JP (1) JP6634090B2 (ko)
KR (1) KR102438162B1 (ko)
CN (1) CN108137135B (ko)
WO (1) WO2017069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1293B2 (ja) * 2018-03-02 2022-10-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二重殻タンク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
KR102714494B1 (ko) 2020-03-23 2024-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화재 진압 장치
JP7538654B2 (ja) 2020-08-21 2024-08-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
KR102315489B1 (ko) 2020-09-01 2021-10-21 에스탱크엔지니어링(주) 액화수소 저장탱크
KR20240030090A (ko) 2022-08-29 2024-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저장탱크
KR20240048681A (ko) 2022-10-07 2024-04-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저장탱크
FR3146503A1 (fr) * 2023-03-10 2024-09-13 Airbus Operations (S.A.S.) Réservoir comprenant des enceintes interne et externe ainsi qu’au moins un système de liaison linéaire annulaire reliant lesdites enceint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4383A (ja) * 2013-06-19 2015-01-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二重殻タンク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0759Y1 (ko) * 1965-12-28 1968-05-10
JPS4831784U (ko) * 1971-08-20 1973-04-17
JPS5314766B2 (ko) * 1972-04-21 1978-05-19
JPS50121986A (ko) * 1974-03-09 1975-09-25
JPH0447520Y2 (ko) * 1985-10-18 1992-11-10
JPH06159593A (ja) * 1992-11-13 1994-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二重貯槽における内槽支持構造
WO2010020431A1 (de) * 2008-08-21 2010-02-25 Tge Marine Gas-Engineering Gmbh Vorrichtung zur lagerung eines tanks für tiefkalte medien
CN202046614U (zh) * 2011-04-27 2011-11-23 徐云祥 埋地式双层储罐
KR101414787B1 (ko) * 2011-12-13 2014-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독립형 탱크 지지구조 시스템
KR101802397B1 (ko) * 2013-04-23 2017-11-28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선박용 2중각 탱크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KR101739427B1 (ko) * 2013-04-23 2017-05-2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선박용 탱크의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CN103453311A (zh) * 2013-09-05 2013-12-18 邓渊 双层保护低温液体压力储罐
WO2015068383A1 (ja) * 2013-11-07 2015-05-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タンクとそれを備えた水上構造物
CN204062463U (zh) * 2014-09-02 2014-12-31 张家港中集圣达因低温装备有限公司 Lng船用运输罐
CN204606152U (zh) * 2015-02-17 2015-09-02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江海直达型液化天然气运输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4383A (ja) * 2013-06-19 2015-01-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二重殻タンク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7135B (zh) 2020-04-07
CN108137135A (zh) 2018-06-08
JPWO2017069196A1 (ja) 2018-07-26
KR20180070608A (ko) 2018-06-26
EP3366568A4 (en) 2019-05-22
WO2017069196A1 (ja) 2017-04-27
EP3366568A1 (en) 2018-08-29
EP3366568B1 (en) 2022-04-13
JP6634090B2 (ja)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162B1 (ko) 선박용 이중각 탱크 및 선박
EP3012508B1 (en) Double-shelled tank and liquefied gas transport vessel
JP6134211B2 (ja) 二重殻タンク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
KR101739427B1 (ko) 선박용 탱크의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US10259538B2 (en) Liquefied gas tank and on-water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JP6670328B2 (ja) 舶用二重殻タンク
KR101861756B1 (ko) 선박용 탱크 지지 구조
KR20230047192A (ko) 액화 가스 운반선
JP5968985B2 (ja) タンク支持構造及び船舶
KR102340889B1 (ko) 이중각 탱크 및 액화 가스 운반선
JP2023061916A (ja) 液化流体を貯蔵するための極低温タンク
KR102585055B1 (ko) 선박용 탱크
JP7144202B2 (ja) 液化ガス用タンク及び船舶
KR20240048681A (ko) 선박용 저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