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5767B1 -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 Google Patents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767B1
KR102425767B1 KR1020197010946A KR20197010946A KR102425767B1 KR 102425767 B1 KR102425767 B1 KR 102425767B1 KR 1020197010946 A KR1020197010946 A KR 1020197010946A KR 20197010946 A KR20197010946 A KR 20197010946A KR 102425767 B1 KR102425767 B1 KR 102425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g
socket
connector part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098A (ko
Inventor
볼프강 뉴만
토마스 쉘러
Original Assignee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7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U자 형태로 구부러진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U자 형태의 레그가 2개의 맞은편에 위치된 접촉 암들을 형성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접촉 암들은 접촉 암의 길이의 중앙 섹션에서 서로를 향해 접근하며, 접촉 암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형성되는 만입부에 의해 2개의 평행하고 서로 인접한 접촉 웹들로 분리된다. 접촉 암들이 서로에 대해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영역에서, 접촉 만입부가 종방향으로 각각의 접촉 웹에 형성되고, 각각의 접촉 만입부는 각각의 접촉 암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만입부보다 짧으며, 각각의 접촉 웹은 접촉 만입부의 양쪽 면의 몇몇 섹션에서 두 접촉 스키드를 형성한다. 각각의 접촉 만입부들은 각각의 동일한 접촉 암의 중앙을 향하는 횡단방향 돌출부를 가지며, 외부 접촉 스키드는 각각의 접촉 암 상에서 함께 넓은 섹션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입의 접촉 블레이드를 가진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U자 형태로 구부러진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U자 형태의 레그가 2개의 맞은편에 위치된 접촉 암들을 형성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접촉 암들은 접촉 암의 길이의 중앙 섹션에서 서로를 향해 접근하며, 접촉 암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형성되는 만입부에 의해 2개의 평행하고 서로 인접한 접촉 웹들로 분리된다. 접촉 암들이 서로에 대해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영역에서, 접촉 만입부가 종방향으로 각각의 접촉 웹에 형성되고, 각각의 접촉 만입부는 각각의 접촉 암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만입부보다 짧으며, 각각의 접촉 웹은 접촉 만입부의 양쪽 면의 몇몇 섹션에서 두 접촉 스키드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접촉 블레이드를 가진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타입의 접촉 블레이드와 이러한 접촉 블레이드를 가진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은, 이전에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독일 특허출원번호 DE 10 2016 007 117호에 기술되어 있다.
접촉 블레이드가 독일 특허 명세서 DE 44 39 105 C1호로부터 이미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접촉 블레이드는 실질적으로 U자 형태로 구부러진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2개의 맞은편에 위치된 접촉 암들을 형성한다. 각각의 접촉 암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만입부에 의해 두 접촉 웹들로 분리된다.
독일 특허출원번호 DE 10 2016 007 117호에 기술된 접촉 블레이드에 대해, 접촉 만입부로 지칭되는 기다란 개구(elongated opening)가 종방향으로 각각의 접촉 웹의 섹션에 형성되며, 몇몇 섹션들에서는, 특정 접촉 웹을 평행한 두 스트립들로 분리하며, 두 스트립들은 접촉 스키드로 지칭된다. 접촉 만입부를 가진 섹션들은 접촉 암 또는 접촉 웹들이 서로를 향해 구부러져 그에 따라 서로에 대해 가까이 위치되는 영역에 배열된다. 그에 따라, 접촉 블레이드가 접촉 암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짝을 이루는(mating) 플러그-인 커넥터와 전기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기 연결부는 본 명세서에서 접촉 지점(contact point)들로 지칭된다. 이러한 접촉 암들은 각각 접촉 만입부의 길이의 거의 중앙에 위치된다. 짝을 이루는 플러그-인 커넥터로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진 플러그 핀이 제공된다.
독일 특허 명세서 DE 44 39 105 C1호로부터 알려져 있는 접촉 블레이드와 비교해 보면, 접촉 지점들의 개수가 독일 특허출원번호 DE 10 2016 007 117호에서 제안된 접촉 블레이드의 디자인의 2배가 되며, 그에 따라 짝을 이루는 플러그-인 커넥터에 대한 전기 연결 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열악한 환경 상태(충격, 진동) 하에서도, 작은 접촉 저항 및 활성적인 전기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독일 특허출원번호 DE 10 2016 007 117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몇몇 섹션에서 접촉 웹들이 서로 평행한 두 접촉 스키드들로 분리되기 때문에, 외부 접촉 스키드에 위치된 접촉 지점들은 접촉 암들의 측면 에지(side edge)에 가까이 위치되어야 한다. 이렇게, 서로에 대해 접촉 블레이드 또는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과 플러그 핀의 바람직하지 못한 오차 위치(tolerance position)로 인해, 접촉 블레이드의 외부 접촉 지점은 플러그 핀의 표면 대신에 플러그 핀의 오직 한 에지와 접촉할 수 있다. 하지만, 표면 접촉과는 달리, 에지에서 플러그 핀이 이렇게 접촉하면 안정적인 접촉 지점을 형성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블레이드(contact blade) 및 이러한 접촉 블레이드를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촉 안정성을 간단하면서도 비용-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데, 각각의 접촉 만입부(contact indentation)들은 각각의 동일한 접촉 암(contact arm)의 중앙을 향하는 횡단방향 돌출부(transverse bulge)를 가지며, 외부 접촉 스키드(contact skid)는 각각의 접촉 암 상에서 함께 넓은 섹션(widened section)을 형성한다.
따라서, 독일 특허출원번호 DE 10 2016 007 117호에 기술된 디자인으로부터, 접촉 만입부를 완전하게 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횡단방향 돌출부를 가지도록 변형된다.
이렇게 접촉 만입부들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접촉 스키드들의 형태도 변형되는데, 접촉 만입부들의 횡단방향 돌출부들로 인해, 돌출부 옆에 있는 외부 접촉 스키드들은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 접촉 지점(contact point)들은 내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즉 접촉 암들의 에지(edge)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접촉 지점들은 플러그 핀(plug pin)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접촉 만입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펀칭 스탬프(punching stamp)의 윤곽(contour)도 기존의 직선 스탬프(straight stamp)에 비해 훨씬 더 활성적인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탬프의 작동 수명을 길어지고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변형예들은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한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접촉 블레이드,
도 2 및 3은 각각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의 부분 횡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 블레이드,
도 5 및 6은 종방향에 따른 접촉 블레이드의 상부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접촉 블레이드의 상부도.
본 발명에 따라, 소켓(socket)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을 위한 탄성의 접촉 블레이드(10)가 도 1에 예시된다. 접촉 블레이드(10)는, 스탬핑(stamping)되거나 구부러진(bent) 부분으로서, 시트 금속 스트립(20)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접촉 블레이드(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탬핑에 의해 사전형성된(preshaped) 시트 금속 스트립(20)은 U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그에 따라 U자 형태의 레그(leg)가 2개의 맞은편에 위치된 접촉 암(31, 32)들을 형성한다. 접촉 암(31, 32)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지 않고 그 대신 종방향으로 상이한 크기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spaced apart). 접촉 암(31, 32)들 사이의 공간은 각각의 경우 접촉 암들의 길이의 중앙 섹션(33, 34)에서 최소가 된다.
도 1에 추가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접촉 암(31, 32)들의 중앙 섹션(33, 34)들은 접촉 암(31, 32)들의 기하학적 중심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단부 섹션(61, 62)들, 및 접촉 암(31)을 연결하는 굽힘 영역(22) 사이에서의 섹션(33, 34)들의 위치를 가리킨다.
접촉 암(31, 32)들의 단부 섹션(61, 62)들은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일체형의 형성된 웹(63, 64)들에 의해 서로 횡방향으로 연결되며(laterally connected), 상호보완적인(complementary)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의 일부분인 플러그 핀을 삽입하기 위해 프레임 형태의 삽입 영역(65)을 형성한다.
각각의 접촉 암(31, 32)은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각각의 접촉 암(31, 32)을 두 인접한 접촉 웹(41, 43 및 42, 44)들로 분리하는 만입부(35, 36)를 갖는다. 중앙 섹션(33, 34) 영역에서, 추가적인 만입부가 각각의 접촉 웹(41, 42, 43, 44) 안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만입부들은 본 명세서에서 접촉 만입부(45, 46, 47, 48)들로 지칭되는데 접촉 웹(41, 42, 43, 44)들 사이의 만입부(35, 36)들보다 훨씬 짧으며 각각의 접촉 웹(41, 42, 43, 44)들을 두 접촉 스키드(51-58)들로 분리한다.
도 2 및 3은, 각각,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은 기능적으로 연결 섹션(91)과 접촉 섹션(92)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일체형의 베이스 바디(90)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섹션(91)은 크림핑연결 섹션(crimping section)으로 형성되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연결선(connecting line)을 차단하도록(close off) 사용되는데, 연결선의 컨덕터 리드(conductor lead)는 크림핑 공정에 의해 연결 섹션(9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섹션(91)과 인접한 접촉 섹션(92)은 박스 형태의 디자인을 가지며, 도 3은 종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예시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단열 재료(insulation material)로 형성된 하우징 바디에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을 결합하는 데 보조하는 탄성의 래칭 랜스(93)가 접촉 섹션(92)의 상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박스 형태의 접촉 섹션(92)은 접촉 블레이드(10)가 삽입되는 공동(cavity)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은 2개의 구성요소(component) 즉 베이스 바디(90)와 접촉 블레이드(10)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각각 일체형 디자인을 가진다. 접촉 블레이드(10)의 프레임 형태의 삽입 영역(65)은 베이스 바디(90)의 접촉 섹션(92)의 삽입 개구(entrance opening)와 수평으로 정렬되도록(flush alignment) 끝을 이룬다(end).
도 1의 접촉 블레이드(10)와 비교하기 위하여,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 블레이드(10')를 예시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 블레이드(10')는 이전에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독일 특허출원번호 DE 10 2016 007 117호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4에 예시된 접촉 블레이드(10')는, 도 1에 예시된 접촉 블레이드(10)와는 달리, 접촉 암(31', 32')들의 종방향을 따라 완전히 선형으로 형성되는 만입부(35', 36'), 뿐만 아니라 접촉 웹(41', 42', 43', 44')에서 완전히 선형으로 형성되는 접촉 만입부(45', 46', 47', 48')를 갖는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접촉 스키드(51'-58')들이 배열되는데, 이들은 도 6에서 접촉 암(32')에 대해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도 5 내지 7을 보면, 본 발명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이, 다양한 디자인의 접촉 블레이드(10'', 10', 10)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5 내지 7은, 각각, 삽입된 플러그 핀(2)을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 1', 1)의 수평방향 횡단면도이다. 각각의 플러그 핀(2)은 플러그 핀(2)이 밑에 삽입된 접촉 지점(71, 72, 73, 74, 71', 72', 73', 74', 72'', 74'')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횡단 방향으로 예시된다.
도 5는 독일 특허 명세서 DE 44 39 105 C1호에 기재된 디자인을 가진 접촉 블레이드(10'')를 예시한다. 상기 접촉 블레이드(10'')는, 접촉 암(32'') 내에, 직사각형의 스트립(rectangular strip)들로 형성된 접촉 암(32'')을 두 접촉 웹(42'', 44'')들로 분리하는 만입부(36'')를 가진다. 접촉 블레이드(10'') 내에 삽입된 평평한 플러그(2)와 접촉되는 접촉 지점(74'', 72'')이, 횡단방향 연장선의 중앙에서 각각의 접촉 웹(42'', 44'')들 상에 장착된다.
도 6에 예시된 접촉 암(32')에서, 각각의 접촉 웹(42', 44')은, 두 접촉 스키드(53', 54' 및 51', 52')로 추가로 분리되는데, 이들은, 이전에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독일 특허출원번호 DE 10 2016 007 117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만입부(36')에 대해 평행하게 삽입된 접촉 만입부(46', 48')만큼 더 짧다. 각각의 접촉 스키드(51', 52', 53', 54')들이 접촉 지점(71', 72', 73', 74')을 가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접촉 암(32')마다 4개의 접촉 지점(71', 72', 73', 74')이 구현된다. 이렇게 접촉 지점들의 개수가, 도 5의 접촉 블레이드(10'')의 디자인에 비해 2배가 되기 때문에, 도 5에 예시된 디자인에 비해 전기적 특성들이 기본적으로 향상된다.
하지만, 도 6에서 보면, 접촉 지점(72', 74')들이 접촉 스키드(52', 54') 상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며 즉 접촉 암(32')의 에지(edge)들 가까이에 위치된 것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삽입된 플러그 핀(2)의 바람직하지 못한 오차 위치(tolerance position)로 인해, 외부 접촉 지점(72', 74')들 중 하나 이상의 지점은 표면 위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평평한 플러그 핀(2)의 에지 섹션(edge section) 위에 위치하게 되어, 따라서 전기 연결 특성이 현저하게 나빠진다.
도 7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블레이드(10)에 대해서, 기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외부 접촉 지점(72, 74)들이 접촉 암(32)의 거의 중앙을 향해 이동되도록 제안된다. 이는, 각각의 경우, 두 접촉 만입부(46, 48)들이 완전히 선형의 디자인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내부를 향하는 횡단방향 돌출부(81, 82)를 가짐으로써 구현된다. 돌출부(81, 82)들로 인해, 각각, 돌출부(81, 82) 옆에 있는 접촉 스키드(54, 52)의 섹션(541, 521)이 약간 더 넓은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탬핑된 접촉 지점(74, 71)에 대해 더 넓은 공간이 가능하게 되어, 그와 상응하게 접촉 암(32)의 중앙을 향해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접촉 암(32)의 두 접촉 웹(42, 44)들 상에 돌출부(81, 82)들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부(81, 82)들은 접촉 암(32)의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배열된다(offset). 외부 접촉 스키드(54, 52) 상에 위치된 한 접촉 지점(74, 71; 72, 73)과 내부 접촉 스키드(51, 53) 상에 위치된 한 접촉 지점(74, 71; 72, 73)은,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했을 때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평행한 라인(A, B)에 위치된다.
횡단방향 돌출부(81, 82)들을 가진 접촉 만입부(46, 48)들을 접촉 암(32)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촉 웹(42)들을 분리하는 만입부(36)가 완전히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접촉 만입부(46, 48)들의 경로(course)를 따라가야 한다. 만입부(36)는 자체적으로 두 돌출부(83, 84)를 형성하며, 그 결과, 만입부(36)와 접촉 만입부(46, 48)들은 각각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접촉 지점(71, 72, 73, 74)들은 단일의 공정 단계에서 엠보싱 스탬프(embossing stamp)에 의해 접촉 암(32) 내에 형성된다. 동일한 공정이, 동시에, 또는 그 후에, 도 1에 예시된 접촉 암(31) 상에서 수행되며, 특히, 접촉 블레이드(10)의 굽힘/형성 단계 전에 수행된다.
1, 1', 1'' :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
2 : 플러그 핀
10, 10', 10'' : 접촉 블레이드
20 : 시트 금속 스트립
22 : 굽힘 영역
31, 32, 31', 32', 32'' : 접촉 암
33, 34 : 중앙 섹션
35, 36, 35', 36'; 36'' : 만입부
41, 42, 43, 44, 41', 42', 43', 44'; 42'', 44 : 접촉 웹
45, 46, 47, 48, 45', 46', 47', 48' : 접촉 만입부
51-58, 51'-58' : 접촉 스키드
521, 541 : 넓은 섹션
61, 62 : 단부 섹션
63, 64 : 웹
65 : 삽입 영역
71, 72, 73, 74, 71', 72', 73', 74', 72'', 74'' : 접촉 지점
81, 82, 83, 84 : 돌출부
90 : 베이스 바디
91 : 연결 섹션
92 : 접촉 섹션
93 : 래칭 랜스
A, B : 라인

Claims (7)

  1. U자 형태로 구부러진 시트 금속 스트립(20)으로 형성되며 U자 형태의 레그가 2개의 맞은편에 위치된 접촉 암(31, 32)들을 형성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10)로서,
    접촉 암(31, 32)들은 접촉 암의 길이의 중앙 섹션(33, 34)에서 서로를 향해 접근하며, 접촉 암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형성되는 만입부(35, 36)에 의해 2개의 평행하고 서로 인접한 접촉 웹(41, 42, 43, 44)들로 분리되며,
    접촉 암(31, 32)들이 서로에 대해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영역에서, 접촉 만입부(45, 46, 47, 48)가 종방향으로 각각의 접촉 웹(41, 42, 43, 44)에 형성되고, 각각의 접촉 만입부는 각각의 접촉 암(31, 32)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만입부(35, 36)보다 짧으며, 각각의 접촉 웹(41, 42, 43, 44)은 접촉 만입부(45, 46, 47, 48)의 양쪽 면의 몇몇 섹션에서 두 접촉 스키드(51-58)를 형성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10)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만입부(45, 46, 47, 48)는 각각의 동일한 접촉 암(31, 32)의 중앙을 향하는 횡단방향 돌출부를 가지며, 외부 접촉 스키드(52, 54, 55, 58)는 각각의 접촉 암(31, 32) 상에서 돌출부(81, 82) 옆에 위치된 넓은 섹션(521, 524)을 형성하고,
    4개의 접촉 지점(71, 72, 73, 74)들이 각각의 접촉 암(31, 32) 상에 위치되며, 두 접촉 지점(71, 74; 72, 73)들은 각각 접촉 암(31, 32)의 종방향으로 라인(A, B)에서 서로의 옆에 위치되고, 각각의 라인(A, B)에 대해, 접촉 지점(74, 72)들 중 한 접촉 지점은 하나의 접촉 웹(42, 44)의 외부 접촉 스키드(54, 52)의 넓은 섹션(541, 521)에 위치되고, 다른 접촉 지점(71, 73)은 다른 접촉 웹(44, 42)의 내부 접촉 스키드(51, 53)에 위치되며,
    상기 만입부(35, 36)가 각각 두 돌출부(83, 84)를 형성하며, 그 결과, 만입부(35, 36)와 접촉 만입부(45, 46, 47, 48)들은 각각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10).
  2.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핀(2)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된 접촉 지점(72, 74)이 넓은 섹션(521, 524)에 엠보싱되는(emboss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10).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동일한 접촉 암(31, 32)의 횡단방향 돌출부(81, 82)는 접촉 암(31, 32)의 종방향에 대해 연속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10).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접촉 지점(71, 73)이 각각의 접촉 웹(44, 42)의 각각의 내부 접촉 스키드(51, 53)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10).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블레이드(10)는 일체형의 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10).
  7. 박스 형태의 접촉 섹션(92)과 연결 섹션(91)을 형성하는 일체형의 베이스 바디(90)로 구성된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접촉 블레이드(10)가 박스 형태의 접촉 섹션(9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형태의 플러그-인 커넥터 부분(1).
KR1020197010946A 2017-01-31 2018-01-29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Active KR102425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1166.4A DE102017001166A1 (de) 2017-01-31 2017-01-31 Kontaktlamelle für ein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und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DE102017001166.4 2017-01-31
PCT/EP2018/052109 WO2018141682A1 (de) 2017-01-31 2018-01-29 Kontaktlamelle für ein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und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098A KR20190108098A (ko) 2019-09-23
KR102425767B1 true KR102425767B1 (ko) 2022-07-26

Family

ID=6114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946A Active KR102425767B1 (ko) 2017-01-31 2018-01-29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89054B1 (ko)
EP (1) EP3577723B1 (ko)
JP (1) JP6910449B2 (ko)
KR (1) KR102425767B1 (ko)
CN (1) CN109891678B (ko)
BR (1) BR112019012162A2 (ko)
DE (1) DE102017001166A1 (ko)
ES (1) ES2899298T3 (ko)
MX (1) MX2019008975A (ko)
WO (1) WO2018141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4012B2 (ja) * 2019-10-07 2023-07-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TWI734244B (zh) * 2019-11-04 2021-07-21 大陸商東莞訊滔電子有限公司 電性端子以及電連接器
WO2023213346A1 (de) * 2022-05-06 2023-11-09 Fachhochschule Kiel Leistungshalbleiter-modul mit steckverbindung
CN114883833A (zh) * 2022-06-21 2022-08-09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接线端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9105C1 (de) 1994-11-02 1996-04-25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20221168U1 (de) * 2001-08-17 2005-05-04 Sorig, Ludger Elektrischer Steckkontaktkörper
US20060252294A1 (en) 2005-05-03 2006-11-09 Eduard Cvasa Electrical connector element
US20110250798A1 (en) * 2010-04-08 2011-10-1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connecting structure
DE102016007117A1 (de) 2016-06-11 2017-12-14 Kostal Kontakt Systeme Gmbh Kontaktlamelle für ein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und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3799A (en) * 1983-07-11 1985-11-19 Deters Paul M Electrical connector clip assembly
US4941853A (en) * 1989-09-12 1990-07-1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torsion bar systems
DE19602822C2 (de) * 1996-01-26 1998-02-19 Siemens Ag Kontaktfeder
JP4443017B2 (ja) * 2000-09-25 2010-03-31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接続端子
EP1215763B2 (de) * 2000-10-12 2007-12-05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buchse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20040116002A1 (en) * 2000-12-07 2004-06-17 Dominique Rozet Female contact having a cage structure comprising a blade-holder module
FR2828590B1 (fr) * 2001-08-08 2003-09-26 Framatome Connectors Int Barre de bus
DE10156233A1 (de) * 2001-08-17 2003-03-06 Sorig Ludger Elektrischer Steckkontaktkörper
US20030060090A1 (en) * 2001-09-21 2003-03-27 Allgood Christopher L. High current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DE10248809A1 (de) * 2002-10-19 2004-04-29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in der Ausgestaltung eines Buchsenkontakts mit spezieller Lamellengestaltung
DE102004015345A1 (de) * 2004-03-30 2005-10-27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Steckhülsenkontakt für Hochstromanwendungen
DE202004013160U1 (de) * 2004-07-30 2005-02-10 Lisa Dräxlmaier GmbH Hochstromschnittstelle für Kraftfahrzeuge
EP1643598B1 (de) * 2004-09-27 2007-09-12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CN200941462Y (zh) * 2006-01-26 2007-08-29 艾德盛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弹片夹紧式可热插拔大电流插座端子
JP2008140589A (ja) * 2006-11-30 2008-06-19 Yazaki Corp 雌型端子
US20100029146A1 (en) * 2008-08-04 2010-02-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ocket contact
JP4674874B2 (ja) * 2008-10-27 2011-04-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766706B2 (en) * 2008-11-17 2010-08-03 J. S. T. Corporation Female terminal assembly with compression clip
US7892050B2 (en) * 2009-06-17 2011-02-22 Lear Corporation High power fuse terminal with scalability
US8366497B2 (en) * 2009-06-17 2013-02-05 Lear Corporation Power terminal
CN102414925B (zh) * 2009-07-03 2015-05-27 矢崎总业株式会社 阴端子
JP5381492B2 (ja) * 2009-08-19 2014-01-0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DE102011011151B4 (de) * 2010-11-24 2014-12-04 Lear Corporation Anschlussbuchsenanordnung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8419486B2 (en) * 2010-12-17 2013-04-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terminal with a contact spring
JP5083847B1 (ja) * 2011-06-07 2012-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及びコネクタ
US8911253B2 (en) * 2011-06-13 2014-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CN202259830U (zh) * 2011-08-22 2012-05-30 深圳市拓普联科电子有限公司 压接式弹性端子及具有该弹性端子的压接式连接器
DE102013100493B3 (de) * 2013-01-18 2013-12-2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Buchsenkontakt
US9166322B2 (en) * 2013-02-08 2015-10-20 Lear Corporation Female electric terminal with gap between terminal beams
US9548553B2 (en) * 2013-03-15 2017-01-17 Lear Corporation Terminal with front end protection
CN104143718B (zh) * 2013-05-09 2016-08-31 町洋机电(中国)有限公司 电连接器用低成本大电流夹片端子
DE102014011523B4 (de) * 2013-08-01 2025-06-26 Lear Corporation Elektrische anschlussanordnung
US9190756B2 (en) * 2013-08-01 2015-11-1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EP2866306B1 (de) * 2013-10-23 2020-07-29 Aptiv Technologies Limited Kontaktbuchse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9105C1 (de) 1994-11-02 1996-04-25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20221168U1 (de) * 2001-08-17 2005-05-04 Sorig, Ludger Elektrischer Steckkontaktkörper
US20060252294A1 (en) 2005-05-03 2006-11-09 Eduard Cvasa Electrical connector element
US20110250798A1 (en) * 2010-04-08 2011-10-1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connecting structure
DE102016007117A1 (de) 2016-06-11 2017-12-14 Kostal Kontakt Systeme Gmbh Kontaktlamelle für ein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und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7723A1 (de) 2019-12-11
KR20190108098A (ko) 2019-09-23
EP3577723B1 (de) 2021-09-15
WO2018141682A1 (de) 2018-08-09
US20190237891A1 (en) 2019-08-01
JP2020505726A (ja) 2020-02-20
BR112019012162A2 (pt) 2019-11-05
CN109891678B (zh) 2020-09-11
JP6910449B2 (ja) 2021-07-28
MX2019008975A (es) 2019-09-13
DE102017001166A1 (de) 2018-08-02
CN109891678A (zh) 2019-06-14
ES2899298T3 (es) 2022-03-10
US10389054B1 (en)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556B1 (ko) 커넥터
US10236612B2 (en) Flat contact socket
KR102425767B1 (ko)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US8827756B2 (en) Electrical terminal
US9601854B2 (en) Female terminal
JP5831611B1 (ja)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KR20150047102A (ko)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접촉부 소켓
US10522929B2 (en) Connector to provide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KR20060043206A (ko) 암형 단자 연결구, 복수 개의 단자 연결구용 블랭크 및 암형 단자 연결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966225B1 (ko) 접촉 안정부를 갖춘 전기 소켓 단자
US9083091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for solderless connection of parts to electrical contact holes
US10601161B2 (en) Connection terminal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KR20160076567A (ko) 피메일 단자 스프링
KR101725380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KR20190108070A (ko) 연결 단자
KR102551767B1 (ko) 전기 접점
KR20190035501A (ko) 전기 커넥터 및 단자
US20180375241A1 (en) Female contact with lateral retaining blades for male contact and connection assembly including such female and male contacts
WO2015159964A1 (ja) コネクタ
EP1929586B1 (en) Contact with latch release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KR101493986B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WO2013183301A1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