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5226B1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226B1
KR102415226B1 KR1020210156270A KR20210156270A KR102415226B1 KR 102415226 B1 KR102415226 B1 KR 102415226B1 KR 1020210156270 A KR1020210156270 A KR 1020210156270A KR 20210156270 A KR20210156270 A KR 20210156270A KR 102415226 B1 KR102415226 B1 KR 102415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nopy
coupled
wagon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예진
Original Assignee
최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예진 filed Critical 최예진
Priority to KR102021015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226B1/ko
Priority to US17/580,236 priority patent/US114724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2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1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 B62B7/10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with the wheels staying in a fixed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7Coaster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6Carriages supporting a rigi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for two or more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1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 B62B2205/104Detachable wheel units, e.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기존의 웨건은 접어서 보관되어 있는 웨건 프레임을 펼치기 위해 잠금·풀림 버튼을 누르고 프레임을 회전시키는데 본체 프레임 구조상 최소한 3~4단계 이상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고, 부수적으로 분리되는 캐노피나 수납 바구니까지 따로 설치해야 함으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 신속한 설치가 어려워 휴대·이동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사용을 마친 웨건을 접을 때에도 용이하지 않아 웨건을 접해보지 않은 보호자나 지인들이 설치 및 보관에 따른 조작시 어려움을 겪고, 바퀴 및 캐노피의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탈착 및 결합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고, 특히 캐노피를 탈착한 상태에서만 웨건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하거나 보관시 캐노피를 매번 탈결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단 지지 프레임, 상단 지지 프레임, 측면 프레임으로 구성됨으로써, 프레임의 접이식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보관되어 있는 웨건을 설치시 단시간에 펼치고 접을 수 있어 휴대·이동성이 우수하고, 전체적인 프레임을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캐노피와 차륜부의 탈결합이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유아용 웨건을 접거나 펼치는 것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접이식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보관되어 있는 웨건을 설치시 단시간에 펼치고 접을 수 있고 절첩시 부피를 최소화하고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이동성이 우수하고, 피보호자가 컨디션에 따라 형태를 가변하여 편안한 자세로 앉거나 누울 수 있고, 필요에 따라 2가지 캐노피를 선택적으로 탈결합할 수 있고, 유아용 웨건에 결합된 캐노피를 따로 분리할 필요없이 접거나 펼치는 것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웨건은 접어서 보관되어 있는 웨건 프레임을 펼치기 위해 잠금·풀림 버튼을 누르고 프레임을 회전시키는데 본체 프레임 구조상 최소한 3~4단계 이상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고, 부수적으로 분리되는 캐노피나 수납 바구니까지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등 설치가 불편하여 휴대·이동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사용을 마친 웨건을 접을 때에도 용이하지 않아 웨건을 접해보지 않은 보호자나 지인들이 설치 및 보관에 따른 조작시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웨건은 바퀴 및 캐노피의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탈착 및 결합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고, 특히 캐노피를 탈착한 상태에서만 웨건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하거나 보관시 캐노피를 매번 탈결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아용 웨건 시트가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져 탑승한 피보호자가 유지할 수 있는 자세가 한정적이여서 계속 뒤척이게 되고, 장시간 앉아있는 것을 불편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8-0146478호(2019.06.26. 등록)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접이식 구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프레임의 뒤틀림이나 휘어짐 등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접고 펼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피보호자가 장시간 탑승하더라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고, 캐노피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프레임의 접이식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유아용 웨건을 폴딩시 단시간에 펼치고 접을 수 있어 휴대·이동성이 우수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캐노피와 차륜부의 탈결합이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 차륜부, 시트부, 캐노피부로 구성되어 유아의 이동수단 역할을 하는 유아용 웨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본체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사각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하단 일측에 차륜부가 결합되는 하단 지지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상단 둘레를 형성하는 사각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시트부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하단 지지 프레임, 상단 지지 프레임과 축 결합되어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측면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접이식 구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프레임의 뒤틀림이나 휘어짐 등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접고 펼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피보호자의 컨디션 및 요구에 따라 시트의 형상을 입식 의자 및 좌식 의자 형태로 가변하여 앉거나 누울 수 있어 장시간 탑승하더라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고, 캐노피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프레임의 접이식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유아용 웨건을 폴딩시 단시간에 펼치고 접을 수 있어 휴대·이동성이 우수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캐노피와 차륜부의 탈결합이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캐노피부를 결합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캐노피부를 포함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캐노피부를 결합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캐노피부를 포함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과 차륜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일부분이 가변되는 형상을 표시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측면 지지 프레임의 구성요소 결합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측면 지지 프레임의 측면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상단 핸들 프레임의 제1 안전 잠금 버튼, 제2 안전 잠금 버튼을 해제하여 길이조절 잠금핀이 탈착되며 상단 핸들 프레임이 하단 핸들 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고, 폴딩 잠금핀이 탈착되며 폴딩 잠금이 해제된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측면을 도시하고, 측면 잠금 프레임의 내측 구조 일부분의 절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측면을 도시하고, 측면 잠금 프레임의 내측 구조 일부분의 절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측면 지지 프레임이 접혀지는 형상을 표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전륜부, 후륜부로 구성된 차륜부가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하고, 결합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륜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결합되는 일부분을 분해하고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트레이가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지지 프레임의 다리받침 지지 프레임이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시트부의 하단 중앙에 입식 의자 형성부가 이루어지는 것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지지 프레임의 다리받침 지지 프레임이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시트부의 하단면이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캐노피부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내측 부분을 투영하여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외피가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진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내측 부분을 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내피가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진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내측 부분을 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캐노피부가 결합된 유아용 웨건이 순차적으로 접혀지는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캐노피부가 결합된 유아용 웨건이 순차적으로 접혀지는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24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 차륜부가 결합되어 폴딩된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 프레임(100), 차륜부(200), 시트부(300), 캐노피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웨건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단 지지 프레임(110), 상단 지지 프레임(120), 측면 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단 지지 프레임(110)은 본체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사각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하단 일측에 차륜부가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륜 결합부(111), 후륜 결합부(112),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113),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 결합부(111)는 하단 지지 프레임의 전방 좌·우측에 대칭 구조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하단면 중앙에 전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회전방지 스위치(111a), 전륜 탈착 스위치(11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방지 스위치(111a)는 전륜 결합부의 전방 하단 중앙에 위치한 스위치 형상으로, 내측에 회전방지 핀(111a-1)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 스위치(111a)는 하단으로 이동시키면 내측에 형성된 회전방지 핀(111a-1)이 전륜 탈착 프레임의 회전방지 홈(211a)에 삽입되어 전륜 탈착 프레임의 수평방향 회전을 방지하여 정면 방향으로만 전륜 바퀴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단으로 이동시키면 내측에 형성된 회전방지 핀(111a-1)이 전륜 탈착 프레임의 회전방지 홈(211a)에서 분리되어 전륜 탈착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유아용 웨건의 이동시 전륜 바퀴의 방향전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전륜 바퀴가 정면 방향으로 고정될 경우 유아용 웨건의 직진 이동시 보호자가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전륜 바퀴의 수평방향 회전이 될 경우 유아용 웨건을 자유롭게 방향전환하며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륜 탈착 스위치(111b)는 전륜 결합부의 외측면 하단 중앙에 위치한 스위치 형상으로, 내측에 탈착 프레임 홈(111b-1)이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륜 탈착 스위치(111b)는 내측으로 누르면 내측에 형성된 탈착 프레임 홈(111b)이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맞물려 있던 전륜 탈착봉의 탈착홈(211b-1)이 분리되어 전륜부(210)를 하단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전륜 탈착봉을 전륜 결합부의 하단면에 형성된 홈에 밀어넣으면 탈착 프레임 홈(111b)에 탈착홈(211b-1)이 체결되어 전륜부(210)가 고정된다.
이를 통해 전륜부(210)를 본체 프레임에서 탈결합할 수 있어 유아용 웨건의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전륜부의 일부분이 파손되어 교체시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하여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후륜 결합부(112)는 하단 지지 프레임의 후방 좌·우 일측에 대칭 구조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하단 일측에 후방으로 경사진 브래킷이 형성되어 후륜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고, 후륜 지지 프레임 내측에 삽입되는 충격완화 탄성스프링(221a)을 상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113)는 사각 틀 구조의 하단 지지 프레임 내측 전방에 좌·우측을 연결하며 시트부(300)의 하단 전방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114)는 사각 틀 구조의 하단 지지 프레임 내측 후방에 좌·우측을 연결하며 시트부(300)의 하단 후방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지지 프레임(110)은 다리받침 지지 프레임(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받침 지지 프레임(115)은 수평으로 눕혀진 사각 틀 구조의 좌·우 내측을 연결하며 전·후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며 지지하는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에 각각 직각으로 탈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받침 지지 프레임(115)은 전방 프레임이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에 일측이 축 결합되고, 후방 프레임이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에 일측이 축 결합되며, 시트부의 하단을 평평하게 하는 좌식 의자 모드나, 입식 의자 형성부(320)를 형성하는 입식 의자 모드를 형성함에 따라서 회전 결합되는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때, 시트부의 하단을 좌식 의자 모드로 형성할 경우, 2개의 다리받침 지지 프레임을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과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켜주도록 직각 구조로 형성하여 시트부의 하단을 단단하게 지지하고, 입식 의자 형성부가 펼쳐진 입식 의자 모드로 형성할 경우, 2개의 다리받침 지지 프레임을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과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에 각각 수평 구조로 결합하여 입식 의자 형성부가 하단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트부(300)의 내측 하단을 가변시 가변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트부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거나 입식 의자 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어 탑승한 피보호자의 요구에 따라 편안한 자세를 취하며 안정적으로 시트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단 지지 프레임(120)은 본체 프레임의 상단 둘레를 형성하는 사각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시트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지지 프레임(120)은 전방 손잡이부(121), 바구니 프레임(122), 링크 보조 프레임(123)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손잡이부(121)는 상단 지지 프레임의 전방 중앙에 회전 축 구조로 결합된 프레임으로, 끝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전방 손잡이부(121)는 유아용 웨건의 전방에 보호자가 위치시 손잡이를 잡고 끄는 방식으로 보호자가 전방에 위치할 경우 안정적으로 유아용 웨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잡아 끌며 유아용 웨건을 이동시킬 수 있고, 전방 손잡이가 결합되는 회전 축을 기준으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져 유아용 웨건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바구니 프레임(122)은 상단 지지 프레임의 후방 중앙에 회전 축 구조로 결합된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사각 바구니백 형상의 바구니 시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구니 프레임(122)은 상단 지지 프레임의 결합된 회전 축을 기준으로 후방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바구니 시트가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수직으로 펼쳐지고, 회전 축을 기준으로 전방 내측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바구니 시트가 본체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져 본체 프레임의 외곽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부피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다.
상기 링크 보조 프레임(123)은 상단 지지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좌·우측에 대칭 구조로 형성된 3단 링크 구조의 프레임으로, 상단에 위치한 제1 링크 프레임(123a)은 상단 지지 프레임의 측면 일측에 축 결합되고, 중단에 위치한 제2 링크 프레임(123b)은 측면 지지 프레임의 측면 일측에 축 결합되고, 하단에 위치한 제3 링크 프레임(123c)은 하단 지지 프레임의 측면 일측에 축 결합된다.
이는 본체 프레임을 접거나 펼칠시 제1 링크 프레임(123a), 제2 링크 프레임(123b), 제3 링크 프레임(123c)이 축 회전구조로 동시에 회전되어 접혀지며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1)의 하단 지지 프레임(110), 상단 지지 프레임(120), 측면 지지 프레임(130)의 좌·우 대칭의 일측 부분을 축 결합하여 접거나 펼치는 접이식 모드로 가변시 안정적인 본체 프레임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유아용 웨건(1)를 사용 모드로 고정시에도 본체 프레임을 보조적으로 지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본체 프레임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하단 지지 프레임, 상단 지지 프레임과 축 결합되어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측면 프레임(131), 제2 측면 프레임(132), 측면 잠금 프레임(133), 하단 핸들 프레임(134), 상단 핸들 프레임(1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31)은 전방 하단에 경사진 프레임으로, 하단이 하단 지지 프레임의 전방 일측과 축 결합되고, 상단이 측면 잠금 프레임과 결합된다.
이는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홈(131a)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홈에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하단부 일측 상단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134c)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며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홈(131a)은 본체 프레임을 접거나 펼치는 폴딩시 제1 측면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단 핸들 프레임의 길이방향 이동시 제1 측면 프레임과 하단 핸들 프레임의 간격이 서로 벌어지거나 이격되지 않고 평행을 이루며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체 프레임의 폴딩시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원활한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32)은 후방 하단에 형성된 프레임으로, 하단이 하단 지지 프레임의 후방 일측과 축 결합되고, 상단이 하단 핸들 프레임과 축 결합된다.
이는 측면 지지 프레임(130)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본체 프레임을 지지하거나, 본체 프레임의 폴딩시 하단 지지 프레임과 하단 핸들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여 접혀저거나 펼쳐지는 가변에 따른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 잠금 프레임(133)은 상단이 제1 측면 프레임과 결합되고, 하단이 제1 측면 프레임과 평행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일측이 관통결합되고, 하단 핸들 프레임의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잠금 프레임(133)은 내측 상단 일측에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폴딩 잠금핀(133a)이 형성되고, 폴딩 잠금핀의 상단에 핀 스프링(133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폴딩 잠금핀(133a)은 하단 핸들 프레임의 하단부분 상단 일측에 형성된 폴딩 잠금핀 삽입홀(134a)에 탈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폴딩 잠금핀(133a)은 하단 핸들 프레임이 길이방향 이동범위 최상단에 위치하면 폴딩 잠금핀 삽입홀(134a)의 위치와 일치하며 핀 스프링(133b)의 탄성에 의해 삽입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여 유아용 웨건의 사용 모드가 형성되고, 하단 핸들 프레임이 길이방향 이동범위 하단으로 이동하면 폴딩 잠금핀 삽입홀(134a)에서 탈착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이 이동되어 유아용 웨건의 접이식 모드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잠금 프레임(133)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보조 프레임(133c)이 형성된다.
여기서, 링크 보조 프레임(133c)은 하단 일측이 측면 잠금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단 일측이 상단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단 지지 프레임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고, 본체 프레임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가변시 상단 지지 프레임의 축방향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단 핸들 프레임(134)은 중공형 프레임으로, 상단 길이방향으로 상단 핸들 프레임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단 일측이 측면 잠금 프레임의 후방에 관통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폴딩 잠금핀 삽입홀(134a), 길이조절 잠금핀 삽입홀(134b), 슬라이드 돌기(134c)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폴딩 잠금핀 삽입홀(134a)은 하단 핸들 프레임의 하단부 상단면 일측에 형성된 홀 형상으로, 폴딩 잠금핀(133a)이 탈착 및 결합된다.
여기서, 길이조절 잠금핀 삽입홀(134b)은 하단 핸들 프레임의 하단부 하단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홀 형상으로, 길이조절 잠금핀(135c)이 탈착 및 결합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돌기(134c)는 하단 핸들 프레임의 하단 끝단부분 상단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제1 측면 프레임의 슬라이드 홈(131a)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하단 핸들 프레임이 제1 측면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며 이동되도록 한다.
이는 측면 잠금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관통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단 핸들 프레임(134)이 제1 측면 프레임(131)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평행을 이루며 상승 및 하강하며 이동된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의 접이식 모드나 사용 모드의 변환시 마찰을 최소화하며 원활한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상단 핸들 프레임(135)은 좌·우측 하단이 하단 핸들 프레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좌·우측 상단이 핸들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제1 안전 잠금 버튼(135a), 제2 안전 잠금 버튼(135b), 길이조절 잠금핀(135c)가 포함된다.
여기서, 제1 안전 잠금 버튼(135a)은 상단 핸들 프레임의 중앙 하단면에 돌출된 버튼 형상으로, 제2 안전 잠금 버튼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안전 잠금 버튼을 누를 경우 제2 안전 잠금 버튼이 눌러지고, 제1 안전 잠금 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 제2 안전 잠금 버튼이 눌러지지 않는다.
여기서, 제2 안전 잠금 버튼(135b)은 상단 핸들 프레임의 중앙 내측면에 돌출된 버튼 형상으로, 내측에 와이어를 통해 길이조절 잠금핀(135c)이 연결되어 길이조절 잠금핀(135c)을 이동시켜 길이조절 잠금핀 삽입홀(134b)에 탈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길이조절 잠금핀(135c)은 상단 핸들 프레임의 하단 내측면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돌출 및 삽입되는 핀 형상으로, 제2 안전 잠금 버튼(135b)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의 길이조절 잠금핀 삽입홀(134b)에 탈착 및 삽입된다.
이때, 길이조절 잠금핀(135c)이 길이조절 잠금핀 삽입홀(134b)에서 분리되면 하단 핸들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된 상단 핸들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길이조절 잠금핀 삽입홀(134b)에 삽입되면 상단 핸들 프레임이 하단 핸들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단 핸들 프레임(135)은 상단 핸들 프레임의 제1 안전 잠금 버튼(135a), 제2 안전 잠금 버튼(135b)을 동시에 누르면 내부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길이조절 잠금핀(135c)이 길이조절 잠금핀 삽입홀에서 탈착되어 상단 핸들 프레임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고, 보호자의 신장에 따라 적합한 위치의 길이조절 잠금핀 삽입홀에 길이조절 잠금핀을 삽입하면 상단 핸들 프레임의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자의 신장에 따라 상단 핸들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합한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상단 핸들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돌출된 제1 안전 잠금 버튼(135a)과, 중앙 전방에 돌출된 제2 안전 잠금 버튼(135b)을 동시에 누르면 와이어에 연결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내측과 체결된 제1 잠금핀(135c)이 이동하며 해제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에 고정된 상단 핸들 프레임(135)이 잠금 해제되어 이동된다.
이와 같이, 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제1 안전 잠금 버튼(135a)과, 제2 안전 잠금 버튼(135b)을 동시에 눌러야 상단 핸들 프레임(135)의 잠금이 해제되는 이중 안전 잠금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보호자의 실수로 의도치않게 상단 핸들 프레임의 길이가 가변되거나 본체 프레임이 접혀지는 상황을 방지하여 피보호자가 안전하게 유아용 웨건에 탑승하여 이동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상단 핸들 프레임(135)이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내측 끝단까지 삽입될시 측면 잠금 프레임(133)의 내측 일측에 형성된 폴딩 잠금핀(133a)이 이동하며 해제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134)이 제1 측면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며 측면 잠금 프레임(133)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며 폴딩된다.
이는 측면 지지 프레임의 폴딩시 제1 측면 프레임(131)과 하단 핸들 프레임(134)이 평행을 이루며 접혀지도록 하여 본체 프레임의 접이식 모드에서 이격되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유아용 웨건의 폴딩시 하단 핸들 프레임의 길이방향 이동시 제1 측면 프레임과 하단 핸들 프레임의 간격이 서로 벌어지거나 이격되지 않고 평행을 이루며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체 프레임의 폴딩시 전체적으로 접혀지는 프레임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원활한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륜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차륜부(200)는 본체 프레임의 하단 전면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전륜부(210)와, 후면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후륜부(220)로 유아용 웨건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륜부(210)는 전륜 탈착 프레임(211),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12), 전륜 바퀴(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륜 탈착 프레임(211)은 본체 프레임의 하단 지지 프레임 전방 하단 좌·우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단에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회전방지 홈(211a), 전륜 탈착봉(2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방지 홈(211a)은 전륜 탈착 프레임의 상단면 전방 일측에 형성된 수직홈 형상으로, 전륜 결합부의 회전방지 스위치(111a) 내측 하단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 핀이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방지 홈(211a)에 회전방지 스위치의 회전방지 핀이 삽입되면 결합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륜 바퀴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며 정면방향으로 고정되어 유아용 웨건이 직선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방지 스위치의 회전방지 핀이 분리되면 전륜 구동바퀴가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360° 회전되어 원활한 방향전환을 유도하고, 방향전환시 필요한 힘을 줄여주어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준다.
여기서, 전륜 탈착봉(211b)은 전륜 탈착 프레임의 상단면 중앙에 직립된 원형 봉 형상으로, 전륜 결합부의 하단면 중앙에 탈결합되며 회전축을 형성하고 전륜부를 본체 프레임에 탈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륜 탈착봉(211b)은 상단 일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탈착홈(211b-1)에 전륜 탈착 스위치(111b)의 탈착 프레임 홈(111b-1) 일측이 삽입되면 고정되고, 전륜 탈착 스위치(111b)가 눌러지며 탈착 프레임 홈(111b-1)과 분리되면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된 전륜부(210)의 탈착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접이식 모드에서 돌출부위가 크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전륜부(210)를 본체 프레임(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유아용 웨건(1)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전륜부(210)의 파손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12)은 하단 중앙에 전륜 바퀴가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단 후방 일측에 전륜 탈착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충격완화 탄성스프링(212a)이 형성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충격완화 탄성스프링(212a)은 전륜 탈착 프레임(211)과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형성하여 전륜부(2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며 서스펜션 역할을 한다.
상기 전륜 바퀴(213)는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에 결합되고, 유아용 웨건의 전면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어 유아용 웨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륜부(220)는 후륜 지지 프레임(221), 브레이크 회전축(222), 후륜 바퀴(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륜 지지 프레임(221)은 하단 일측에 후방으로 경사진 프레임으로,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단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되고, 내측에 후륜 탈착 스위치(221a), 충격완화 탄성스프링(221b)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륜 탈착 스위치(221a)은 내측의 탈착 프레임 홈(221b-1) 일측이 후륜 탈착봉의 탈착홈(223a-1)에 삽입되면 후륜 바퀴가 결합되고, 후륜 탈착 스위치(221a)를 눌러 탈착 프레임 홈(221b-1)을 이동시키면 후륜 탈착봉의 탈착홈(223a-1)과 탈착되며 후륜 바퀴가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이식 모드에서 돌출부위가 크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후륜 바퀴(223)를 분차 프레임(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유아용 웨건(1)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후륜 바퀴의 파손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완화 탄성스프링(221b)은 후륜 결합부(112)와 후륜 지지 프레임(221)의 사이에 형성되어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형성하여 후륜부(2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며 서스펜션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지지 프레임(221)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내측면 일측에 브레이크 회전축(222)이 결합되어 연결되고, 외측면 중앙홈에 후륜 바퀴(223)의 후륜 탈착봉(223a)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브레이크 회전축(222)은 원형 봉 형상의 프레임으로 후륜지지 프레임(221)의 내측면 중앙에 좌·우방향이 결합되어 연결되고, 중앙에 브레이크 패드(222a)가 형성되어 후륜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륜 바퀴(223)는 내측면 중앙에 내측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후륜 탈착봉(223a)이 후륜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 중앙에 결합되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어 유아용 웨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내측면 중앙에 후륜 탈착봉(223a)을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륜 탈착봉(223b)은 후륜 바퀴의 내측면 중심축에 직각으로 돌출된 원형 봉 형상으로, 후륜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 중앙에 탈결합되며 회전축을 형성하고 후륜 바퀴를 본체 프레임에 탈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후륜 탈착봉(223a)은 내측 일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탈착홈(223a-1)에 후륜 탈착 스위치(221b)의 탈착 프레임 홈(221b-1) 일측이 삽입되면 고정되고, 후륜 탈착 스위치(221b)가 눌러지며 탈착 프레임 홈(221b-1)과 분리되면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된 후륜 바퀴(223)의 탈착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접이식 모드에서 돌출부위가 크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후륜 바퀴(223)를 본체 프레임(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유아용 웨건(1)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후륜 바퀴(223)의 파손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시트부(300)는 직사각 바구니 형상으로 본체 프레임의 내측 둘레와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피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에서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본체 프레임의 내측에 스냅단추 및 버클, 벨크로 테이프, 지퍼 형태 중 하나 및 하나 이상의 형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300)는 의자 등받이 시트(310), 입식 의자 형성부(320), 트레이(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자 등받이 시트(310)는 시트부의 내측 전방과 내측 후방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5점 결합식 안전벨트가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양쪽 어깨, 허리, 양쪽 허벅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5점 결합식 안전벨트는 상체를 모두 감싸주어 몸을 가누기 힘든 유아부터 어린이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 및 아동의 탑승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의자 등받이 시트(310)는 5점식 안전벨트를 통해 피보호자를 안정적이며 편안한 자세로 고정시켜주어 의자 시트부에 앉은 피보호자가 흔들림 및 외부충격에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자 등받이 시트(310)는 본체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는 길이조절 밸트의 길이조절을 통해 등받이의 고정되는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피보호자의 나이, 신체 성장 등 상황에 따라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켜 피보호자 및 보호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입식 의자 형성부(320)는 시트부의 하단면 중앙 일측 전방 및 후방에 좌·우측으로 지퍼가 형성되고, 지퍼에 의해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형상의 주머니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입식 의자 형태 및 좌식 의자 형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입식 의자 형성부(320)의 지퍼 이빨의 외측은 시트부의 하단면 중앙 일측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지퍼 이빨의 내측은 하단으로 펼쳐지는 사각 바구니의 하단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다.
이때, 입식 의자 형성부(320)의 지퍼를 열고 하단으로 사각 바구니가 형성되도록 펼치면 유아용 웨건에 탑승한 피보호자가 시트부(300) 내에서 입식 의자 형태로 앉을 수 있고, 사각 바구니 형태를 상단으로 접은 후 지퍼를 닫아 시트부의 하단면을 평평하게 형성하면 좌식 의자 형태로 앉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에 탑승한 피보호자의 컨디션 및 요구에 따라 시트의 형상을 입식 및 좌식 형태로 가변하여 앉거나 누울 수 있어 장시간 탑승하더라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30)는 사각 트레이 형상으로, 좌·우 외측면에 대칭 수직 하단방향으로 고정 클립(331)이 형성되어 좌·우 대칭의 측면 상단 프레임에 탈결합된다.
이는 고정 클립(331)이 상단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일측에 각각 대칭으로 결합되며 고정된다.
이를 통해 트레이부의 상단에 얹어진 물건이나 장난감, 음식 등이 흔들리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캐노피부(400)는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탈결합되는 것으로, 햇빛, 비, 바람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보호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웨건 캐노피부(410), 유모차 캐노피부(4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는 웨건 캐노피부(410), 유모차 캐노피부(420)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캐노피부가 본체 프레임(1)의 상단에 탈결합된다.
상기 웨건 캐노피부(410)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회전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이는 제1 캐노피 회전축(411)과 결합되는 제1 캐노피 프레임(411a), 제2 캐노피 회전축(412)과 결합되는 제2 캐노피 프레임(412a), 제3 캐노피 회전축(413)과 결합되는 제3 캐노피 프레임(413a), 제4 캐노피 회전축(414)과 결합되는 제4 캐노피 프레임(414a)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캐노피 회전축(411)은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좌·우 대칭으로 이격된 2개의 브래킷 중 전방에 형성된 캐노피 결합 브래킷에 결합되어 웨건 캐노피부(410)의 전방을 지지하고, 반타원 형태로 결합된 제1 캐노피 프레임(411a)을 지지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캐노피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캐노피 회전축(412)은 제1 캐노피 프레임(411a)의 좌·우 대칭으로 고정되어 전방으로 결합되는 제2 캐노피 프레임(412a)을 지지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2 캐노피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3 캐노피 회전축(413)은 제2 캐노피 프레임(412a)의 좌·우 대칭으로 고정되어 전방으로 결합되는 반타원 형상의 제3 캐노피 프레임(413a)을 지지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3 캐노피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4 캐노피 회전축(414)은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좌·우 대칭으로 이격된 2개의 브래킷 중 후방에 형성된 캐노피 결합 브래킷에 결합되어 웨건 캐노피부(410)의 후방을 지지하고, 반타원 형태로 결합된 제4 캐노피 프레임(414a)을 지지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4 캐노피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캐노피 회전축(411), 제2 캐노피 회전축(412), 제3 캐노피 회전축(413), 제4 캐노피 회전축(414)를 통해, 제1 캐노피 프레임(411a), 제2 캐노피 프레임(412a), 제3 캐노피 프레임(413a), 제4 캐노피 프레임(414a)을 회전시키며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웨건 캐노피 시트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웨건 캐노피부(410)는 제1 캐노피 프레임, 제2 캐노피 프레임, 제3 캐노피 프레임, 제4 캐노피 프레임이 웨건 캐노피 시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각각 회전축에 의해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고, 4개의 회전축이 관절 역할을 하며 설치 모드, 접이식 모드의 가변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접이식 모드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웨건 캐노피부의 일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웨건 캐노피 시트에 지퍼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건 캐노피 시트를 탈착 및 결합하여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유모차 캐노피부(420)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회전축(421)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상의 측면을 이루며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이루어고, 본체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상단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2), 제2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3), 제3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4), 고정 클립(425)이 구성된다.
상기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2)은 좌·우 대칭구조의 회전축 외측과 결합된 반타원 형상의 프레임으로,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전방 둘레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3)은 반타원 형상의 프레임으로,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중앙 둘레와 결합되어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4)은 좌·우 대칭구조의 회전축 내측과 결합된 반타원 형상의 프레임으로,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후방 둘레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 클립(425)은 유모차 캐노피부(420)의 좌·우측 하단에 대칭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지지 프레임에 좌·우 대칭으로 탈결합된다.
이는 상단 지지 프레임(120)의 전방과 후방 좌·우 일측에 각각 대칭으로 결합되며 고정된다.
이를 통해 전·후방에 결합된 유모차 캐노피부(420)를 본체 프레임에서 용이하게 탈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캐노피부(420)는 회전축(421)을 기준으로 제3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을 잡아당겨 제2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며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내측면이 외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역방향으로 반전될 수 있다.
이때,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색상이나 재질을 다르게 형성하고, 유모차 캐노피 시트 외측면과 내측면을 반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외측면 색상을 흰색으로 형성하고, 내측면의 색상을 검정색으로 형성할 경우, 외부 온도에 따라 피보호자가 더위를 느낄 경우 외측면을 흰색으로 형성하여 빛을 반사시키고, 추위를 느낄 경우 외측면을 검정색으로 반전시켜 빛을 흡수시키는 등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모차 캐노피부(420)는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외측면, 내측면의 색상이나 재질, 무늬를 다르게 형성하여 보호자의 취향 및 용도에 따라 외측면, 내측면 중 노출되는 면을 반전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캐노피부(420)는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 제2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 제3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이 유모차 캐노피 시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각각 회전축에 의해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고, 회전축이 관절 역할을 하며 설치 모드, 접이식 모드의 가변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접이식 모드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캐노피부의 일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유모차 캐노피 시트에 지퍼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모차 캐노피 시트를 탈착 및 결합하여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접이식 상태로 보관된 유아용 웨건의 상단 핸들 프레임을 들어올리고 후륜부 일측을 보호자의 발로 지지하며 상단 핸들 프레임을 끝까지 잡아당겨 본체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눕혀져 있던 측면 지지 프레임이 세워지며 상단 지지 프레임이 수평으로 상승하여 본체 프레임이 펼쳐진다.
다음으로 제1 안전 잠금 버튼, 제2 안전 잠금 버튼을 동시에 눌러 보호자의 신장에 따라 상단 핸들 프레임의 고정 높이를 가변한다.
다음으로, 유아용 웨건에 탑승한 피보호자의 컨디션 및 요구에 따라 시트부의 하단면 형상을 입식 의자 형태 및 평평한 면을 이루는 좌식 형태로 가변하여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피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에 장시간 탑승하더라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웨건 캐노피부, 유모차 캐노피부 중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캐노피부를 결합하여 펼쳐 유아용 웨건의 상단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유아용 웨건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사용이 끝난 유아용 웨건을 보관시 캐노피 프레임부를 원터치 형태로 접어지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방 손잡이부, 바구니 프레임을 시트 프레임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접는다.
마지막으로, 상단 핸들 프레임의 제1 안전 잠금 버튼, 제2 안전 잠금 버튼을 동시에 누른 후 상단 핸들 프레임을 하단 핸들 프레임의 내측 끝단까지 밀어넣으며 측면 지지 프레임이 회전되어 본체 프레임이 접혀진다.
이때, 보관상황에 따라 공간이 협소할 경우 전륜 바퀴와 후륜 바퀴를 탈착하여 따로 보관이 가능하다.
100 : 본체 프레임 110 : 하단 지지 프레임
120 : 상단 지지 프레임 130 : 측면 지지 프레임
131 : 제1 측면 프레임 132 : 제2 측면 프레임
133 : 측면 잠금 프레임 134 : 하단 핸들 프레임
135 : 상단 핸들 프레임 200 : 차륜부
210 : 전륜부 220 : 후륜부
300 : 시트부 310 : 의자 등받이 시트
320 : 입식 의자 형성부 330 : 트레이
400 : 캐노피 프레임부 410 : 웨건 캐노피부
420 : 유모차 캐노피부 421 : 회전축
422 :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 423 : 제2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
424 : 제3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

Claims (10)

  1. 본체 프레임(100), 차륜부(200), 시트부(300), 캐노피부(400)로 구성되어 유아의 이동수단 역할을 하는 유아용 웨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본체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사각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하단 일측에 차륜부가 결합되는 하단 지지 프레임(110)과,
    본체 프레임의 상단 둘레를 형성하는 사각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시트부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 프레임(120)과,
    본체 프레임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하단 지지 프레임, 상단 지지 프레임과 축 결합되어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측면 지지 프레임(130)으로 구성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전방 하단에 경사진 프레임으로, 하단이 하단 지지 프레임의 전방 일측과 축 결합되고, 상단이 측면 잠금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131)과,
    후방 하단에 형성된 프레임으로, 하단이 하단 지지 프레임의 후방 일측과 축 결합되고, 상단이 하단 핸들 프레임과 축 결합되는 제2 측면 프레임(132)과,
    상단이 제1 측면 프레임과 결합되고, 하단이 제1 측면 프레임과 평행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일측이 관통결합되고, 하단 핸들 프레임의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측면 잠금 프레임(133)과,
    중공형 프레임으로, 상단 길이방향으로 상단 핸들 프레임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단 일측이 측면 잠금 프레임의 후방에 관통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단 핸들 프레임(134)과,
    좌·우측 하단이 하단 핸들 프레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좌·우측 상단이 핸들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상단 핸들 프레임(13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2. 제1항에 있어서 하단 지지 프레임(110)은
    수평으로 눕혀진 사각 틀 구조의 좌·우 내측을 연결하는 1쌍의 프레임으로, 하나의 프레임이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의 일측에 축 구조로 결합되고, 직각으로 회전되며 끝단이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의 일측에 탈결합되고, 또다른 프레임이 하단 후방 내측 프레임의 일측에 축 구조로 결합되고, 직각으로 회전되며 끝단이 하단 전방 내측 프레임의 일측에 탈결합되는 다리받침 지지 프레임(115)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상단 핸들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돌출된 제1 안전 잠금 버튼(135a)과, 중앙 전방에 돌출된 제2 안전 잠금 버튼(135b)을 동시에 누르면 와이어에 연결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내측과 체결된 제1 잠금핀(135c)이 이동하며 해제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에 고정된 상단 핸들 프레임(135)이 잠금 해제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6. 제1항에 있어서 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상단 핸들 프레임(135)이 하단 핸들 프레임(134)의 내측 끝단까지 삽입될시 측면 잠금 프레임(133)의 내측 일측에 형성된 폴딩 잠금핀(133a)이 이동하며 해제되어, 하단 핸들 프레임(134)이 측면 잠금 프레임(133)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며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7. 제1항에 있어서 시트부(300)는
    시트부의 하단면 중앙 일측 전방 및 후방에 좌·우측으로 지퍼가 형성되고, 지퍼에 의해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형상의 주머니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입식 의자 형태 및 좌식 의자 형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입식 의자 형성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8. 본체 프레임(100), 차륜부(200), 시트부(300), 캐노피부(400)로 구성되어 유아의 이동수단 역할을 하는 유아용 웨건에서,
    상기 캐노피부(400)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회전축(421)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상의 측면을 이루며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이루어고, 본체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상단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유모차 캐노피부(420)가 선택적으로 본체 프레임(1)의 상단에 탈결합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캐노피부(420)는
    좌·우 대칭구조의 회전축 외측과 결합된 반타원 형상의 프레임으로,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전방 둘레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2)과,
    반타원 형상의 프레임으로,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중앙 둘레와 결합되어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며 지지하는 제2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3)과,
    좌·우 대칭구조의 회전축 내측과 결합된 반타원 형상의 프레임으로,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후방 둘레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제3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42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유모차 캐노피부(420)는
    회전축(421)을 기준으로 제3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을 잡아당겨 제2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 제1 캐노피 회전축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며 유모차 캐노피 시트의 내측면이 외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역방향으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20210156270A 2021-11-15 2021-11-15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Active KR102415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270A KR102415226B1 (ko) 2021-11-15 2021-11-15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17/580,236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01-20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270A KR102415226B1 (ko) 2021-11-15 2021-11-15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226B1 true KR102415226B1 (ko) 2022-06-29

Family

ID=8227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270A Active KR102415226B1 (ko) 2021-11-15 2021-11-15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72462B1 (ko)
KR (1) KR102415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326892A1 (en) * 2023-03-29 2024-10-03 Dynamic Motion, Llc Wagon with Reclining Seat for Carrying Childr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78A (ko) 2015-06-12 2016-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70049182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0483642Y1 (ko) * 2016-12-21 2017-06-09 신진숙 유아용 웨건
KR101995268B1 (ko) * 2018-07-18 2019-07-0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Family Cites Families (1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7964A (en) 1945-02-16 1947-09-23 George B Hansburg Baby walker
US4272100A (en) 1978-08-29 1981-06-09 Kassai Kabushikikaisha Collapsible baby carriage
KR880000610Y1 (ko) 1985-02-21 1988-03-14 정도식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FR2647743B1 (fr) * 1989-06-02 1991-09-13 Ampafrance Poussette pliante pour enfant
US5184835A (en) 1992-04-21 1993-02-09 Taiwan Charwell Enterprise Co., Ltd. Handle height adjuster for baby carriage
US6189914B1 (en) 1993-10-01 2001-02-20 Worth Pfaff Innovations, Inc. Folding stroller
US5417449A (en) 1993-11-09 1995-05-23 Shamie; Louis Reduced size tandem stroller with different seat heights
JPH1059189A (ja) 1996-08-12 1998-03-03 Combi Corp 折り畳み着座装置
US6139046A (en) 1996-10-25 2000-10-31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with improved features
US5979928A (en) * 1997-04-02 1999-11-09 Taiwan Kidly Children Appliance Ltd. Collapsing device for a stroller
KR100223358B1 (ko) 1997-11-26 1999-10-15 김연진 유모차의 제동장치
US6454340B1 (en) 1999-08-26 2002-09-24 Mark E. Miller Collapsible top for child's vehicle, one-piece method of assembly and packaging design for storage and transport
US6267404B1 (en) 1999-10-13 2001-07-31 Link Treasure Limited Detachable arm structure for a baby stroller
US6260566B1 (en) 1999-11-10 2001-07-17 Lafave Shawn H. Canopy for a child's wagon
US6086087A (en) 1999-11-10 2000-07-11 Ben M. Hsia Multi-seat stroller
US6267406B1 (en) 2000-08-08 2001-07-31 Mien Chen Huang Structure of folding-collapsible double-seat baby stroller
US20020093160A1 (en) 2001-01-12 2002-07-18 Andrew Mendenhall Juvenile stroller with portable cooler
US6478503B1 (en) 2001-06-26 2002-11-12 Pao-Hsien Cheng Locking device for a detachable handrest of a stroller
US6698773B2 (en) 2001-10-15 2004-03-02 Ben M. Hsia Detachable mounting arrangement for stroller front guard
US7017922B2 (en) 2002-04-24 2006-03-2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ith accessory bridge
US6843498B2 (en) 2002-06-06 2005-01-18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
JP4425560B2 (ja) 2002-09-24 2010-03-0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KR200308908Y1 (ko) 2002-11-06 2003-03-31 안병봉 우편물 운반차의 제동장치
US7500692B2 (en) 2003-03-26 2009-03-1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Basket assembly for a stroller
WO2005100127A1 (en) 2004-04-13 2005-10-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including movable basket assembly
JP2005329902A (ja) * 2004-05-21 2005-12-02 Aprica Kassai Inc 幌を備えた育児器具
ES1059064Y (es) * 2004-12-14 2005-06-16 Jane Sa Chasis plegable para cochecitos para niños
US7625033B2 (en) 2006-01-30 2009-12-01 Radio Flyer, Inc. Accessory latching assembly
EP1996441A2 (en) 2006-03-20 2008-12-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having discrete handlebar
US7487977B2 (en) * 2006-09-30 2009-02-10 Radio Flyer Inc. Multiple configuration children's wagon
US7523955B2 (en) 2007-04-17 2009-04-28 Maryann Blair Foldable wagon
US8424900B2 (en) 2007-04-20 2013-04-23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 trays and methods of mounting the same on strollers
JP2009035066A (ja) 2007-07-31 2009-02-19 Graco Childrens Prod Inc 幌付折畳式乳母車
DE102007045068B3 (de) 2007-09-19 2009-04-02 Otto Bock Healthcare Ip Gmbh & Co. Kg Kinder-Sportkarre
FR2931432B1 (fr) * 2008-05-22 2011-01-07 Dorel France Sa Poussette pliante a pliage assiste par elements roulants
FR2972990A1 (fr) * 2008-05-26 2012-09-28 Dorel France Sa Chassis de poussette pour enfant a deux positions pliees, et poussette correspondante
CN102317138B (zh) 2008-08-15 2013-11-20 雅沙娜美国股份有限公司 婴儿车
US7942437B2 (en) 2008-09-25 2011-05-17 Tray Vous Llc Detachable tray accessory for stroller
US8011686B2 (en) 2008-10-10 2011-09-06 Zhaosheng Chen Folding wagon
US8388015B2 (en) 2008-10-10 2013-03-05 Bam Brokerage, Inc. Folding wagon with seats
CN102556138B (zh) 2008-10-30 2014-08-20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
US8033554B2 (en) 2008-12-17 2011-10-11 Monahan Products, LLC Stroller system
CN101844574B (zh) 2009-03-23 2013-02-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推车
US8505958B2 (en) 2009-03-25 2013-08-13 Kolcraft Enterprises, Inc. Sit or stand stroll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179554B1 (ko) 2009-03-26 2012-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
US7963530B1 (en) 2009-04-21 2011-06-21 Oscar Garcia Beach wagon
US20110025005A1 (en) 2009-07-28 2011-02-03 Tracy Howell Beach buggy
CN101987630B (zh) 2009-07-29 2013-01-0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双人座婴儿车架
CN102211602B (zh) * 2010-04-07 2015-09-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US8567866B2 (en) 2010-06-18 2013-10-29 Ascanio Carimati Di Carimate Stroller seat pod
KR20120030621A (ko)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유모차
JP5466683B2 (ja) 2010-10-08 2014-04-09 明門香港股▲フェン▼有限公司 幼児搬送装置用の車輪組立体及びベビーカー
KR200464952Y1 (ko) 2010-11-08 2013-02-01 권민성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US8955855B2 (en) 2011-01-03 2015-02-17 Radio Flyer Inc. Infant wagon
US8888124B2 (en) 2011-01-31 2014-11-18 Kolcraft Enterprises, Inc. Child car seat carriers
US20130083003A1 (en) 2011-09-30 2013-04-04 Kathryn Stone Perez Personal audio/visual system
CN103158746B (zh) 2011-12-19 2015-10-07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
GB2502873B (en) 2012-04-10 2018-11-07 Wonderland Switzerland Ag Tandem stroller with detachable height-adjustable rear seat
CN202541617U (zh) * 2012-04-26 2012-11-21 伍轮实业有限公司 推车及其防脱机构
JP6017184B2 (ja) 2012-05-29 2016-10-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A2820907C (en) 2012-07-10 2020-10-20 Toshihiro Kikui Stroller
EP2719604B1 (en) 2012-10-15 2015-12-09 Thule Child Transport Systems Ltd Security arrangement in a multi-function passenger carrier
US20140159346A1 (en) 2012-10-31 2014-06-12 Patrick William Laffan Stroller with expandable cargo area
CN102923174B (zh) 2012-10-31 2015-10-2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幼儿推车
KR20140106838A (ko) 2013-02-27 2014-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트리밍 기반의 게임 플랫폼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221487B2 (en) * 2013-04-30 2015-12-29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onvertible stroller seat
JP2015016818A (ja) 2013-07-12 2015-01-29 株式会社西松屋チェーン ベビーカー
US8973940B2 (en) 2013-08-05 2015-03-10 Zhaosheng Chen Folding wagon
US9108659B2 (en) 2013-08-07 2015-08-18 Recaro Child Safety Llc Stroller with selectively hidden adapters
US9108656B1 (en) * 2013-09-12 2015-08-18 Dragonfly Gear, LLC Collapsible wagon
CN103693086A (zh) 2013-12-04 2014-04-02 金旭刚 一种可折叠式手推车
EP4113457A1 (en) 2014-01-07 2023-01-04 ML Netherlands C.V. Dynamic updating of composite images
KR200476857Y1 (ko) 2015-01-28 2015-04-08 선경신 햇빛가리개 탈부착이 가능한 유모차
US9376133B2 (en) * 2014-05-14 2016-06-28 Kyung shin SUN Stroller
US9517789B2 (en) 2014-07-03 2016-12-13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stroller apparatus
US9302694B2 (en) * 2014-07-18 2016-04-05 Marina Velichko Convertible baby stroller assembly
US9469324B2 (en) * 2014-07-29 2016-10-18 Dragonfly Gear, LLC Wagon with displaceable wall for installing child seat
IL240494B (en) 2014-08-29 2020-04-30 Britax Child Safety Inc Pivot without freedom for a stroller
GB2529718A (en) 2014-09-01 2016-03-02 Stroller Tech Ltd Handle assembly for a folding perambulator and a folding perambulator incorporating the same
US9145154B1 (en) 2014-09-19 2015-09-29 Brian Horowitz Folding wagon
US9085311B1 (en) 2014-10-03 2015-07-21 Zhaosheng Chen Folding wagon with canopy
HK1243389A1 (zh) 2014-12-18 2018-07-13 康贝株式会社 婴儿车连结装置
KR101658802B1 (ko) 2014-12-31 2016-09-23 (주)한스이엔지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US9580095B2 (en) 2015-05-27 2017-02-28 Academy, Ltd. Mobile cart
US9815355B2 (en) 2015-06-29 2017-11-14 Radio Flyer Inc. Canopy assembly
KR101573235B1 (ko) 2015-07-03 2015-12-02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9517791B1 (en) 2015-07-20 2016-12-13 Gen 7, Inc. Detachable assembly
US9452769B1 (en) 2015-09-15 2016-09-27 George Williams Infant stroller with air conditioner and heater
KR101677214B1 (ko) 2015-10-07 2016-11-17 (주)동인기연 유모차
US9428208B1 (en) 2015-11-19 2016-08-30 Bor Li Co., Ltd. Baby stroller with a suspension unit
ES2898945T3 (es) * 2016-02-03 2022-03-09 Wonderland Switzerland Ag Aparato de cochecito de niños que tiene una estructura extensible
KR101626778B1 (ko) 2016-03-08 2016-06-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N107364483B (zh) * 2016-04-29 2019-08-06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幼儿推车
US9534628B1 (en) 2016-05-16 2017-01-03 Kun Wang Folding device for baby carriage
KR101672853B1 (ko) 2016-06-24 2016-11-04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GB2552465A (en) * 2016-07-19 2018-01-31 Stroller Tech Ltd A foldable stroller frame
CN107662633B (zh) * 2016-07-28 2019-06-04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置物篮及其婴儿车设备
US10850760B2 (en) * 2016-08-03 2020-12-01 Richard Neal Shapiro Foldable wheeled carrier including wheel folding actuation handle
KR101697545B1 (ko) 2016-09-01 2017-01-1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9981679B2 (en) 2016-09-14 2018-05-29 Smart Trike Mnf Pte Ltd. Full folding tricycle
KR101725020B1 (ko) 2016-09-28 2017-04-10 (주)이디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KR101719132B1 (ko) 2016-10-28 2017-03-2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1894955B1 (ko) 2017-01-05 2018-09-05 주식회사 미디어프론트 가상 휴먼 인식 및 실시간 증강 합성 기술을 이용한 라이브 소셜 미디어 시스템 및 증강 합성 서버
US9962011B1 (en) 2017-01-27 2018-05-08 Kolcraft Enterprises, Inc. Recline assemblies for stroller seats
KR101867319B1 (ko) 2017-02-21 2018-06-15 (주)온넷시스템즈코리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FR3063965B1 (fr) * 2017-03-14 2023-07-14 Dorel France Sa Voiture d'enfant pliante a chariots coulissants
KR101826498B1 (ko) 2017-05-02 2018-02-07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TWI635011B (zh) * 2017-08-18 2018-09-11 侯雀厘 寵物推車的可調式支撐桿及頂棚結構
US11647732B2 (en) * 2017-09-07 2023-05-16 Yuanzhen XIANG Pet stroller
US10946885B2 (en) * 2017-09-07 2021-03-16 Yuanzhen XIANG Multi-function pet stroller
KR101834474B1 (ko) * 2017-09-13 2018-03-0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923732B1 (ko) * 2018-07-05 2018-11-29 주식회사 에이케이 접이식 왜건
KR101894463B1 (ko) 2018-02-27 2018-09-05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CN108482467A (zh) * 2018-03-05 2018-09-04 平湖市至爱童车有限公司 一种双人童车
KR101894460B1 (ko) 2018-04-10 2018-09-04 김미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US10829141B2 (en) 2018-07-03 2020-11-10 Zhongshan Aifubao Daily Products Co., Ltd. Trailer for stroller
EP3819188B1 (en) 2018-07-05 2023-11-08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Movable carrier
US10562556B1 (en) * 2018-07-24 2020-02-18 Brian Horowitz Folding wagon having fold-down seats
GB2578954B (en) 2018-09-10 2023-02-15 Wonderland Switzerland Ag Stroller and basket thereof
CN109017956A (zh) 2018-09-18 2018-12-18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一种推车车架
KR102012369B1 (ko) * 2018-11-13 2019-08-20 주식회사 제이엠아이엔티엘 유아용 웨건
US10464588B1 (en) 2019-01-02 2019-11-05 New Century Products Limited Foldable baby stroller
US11001289B2 (en) * 2019-01-10 2021-05-11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convertible for multiple modes of use
KR102095838B1 (ko) * 2019-04-03 2020-04-03 주식회사 제이엠아이엔티엘 유아용 웨건
US10875563B2 (en) 2019-04-03 2020-12-29 Jenny Heckler Convertible stroller assembly
US11370468B2 (en) * 2019-06-06 2022-06-28 David Young Modular stroller platform
US10913478B1 (en) * 2019-08-27 2021-02-09 Xiying Zhou Outdoor stroller for children
US11008035B1 (en) 2019-10-31 2021-05-18 Lynnette Walker All-terrain accessorized stroller apparatus
US10988153B1 (en) * 2020-01-07 2021-04-27 Brian Horowitz Wagon having fold-down seats and a detachable handle
US11498601B2 (en) * 2020-03-17 2022-11-15 Dynamic Motion, Llc Wagon for carrying children
KR102297087B1 (ko) 2020-07-1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US11370467B1 (en) * 2021-02-05 2022-06-28 Brian Horowitz Folding wagon having a height adjustable frame and collapsible hand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78A (ko) 2015-06-12 2016-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70049182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0483642Y1 (ko) * 2016-12-21 2017-06-09 신진숙 유아용 웨건
KR101995268B1 (ko) * 2018-07-18 2019-07-0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72462B1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5664B1 (en)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US12037037B2 (en) Wagon for carrying children
US6082813A (en) Foldable chair
RU2448012C2 (ru) Складная детская коляска
US4886289A (en) Tandem baby carriage with facing seats
CN111907578B (zh) 多人座婴幼儿推车
ES2324550T3 (es) Inserto convertible de asiento o tumbona para cochecitos de niños o muñecas.
RU2628981C2 (ru) Кресло-шезлонг
US6615431B2 (en) Portable massage bed
US5911432A (en) Two seat baby carriage
US6557871B2 (en) Stroller with adjustable seat back arrangement
US20130214573A1 (en) Infant bouncer
US20040245747A1 (en) Stroller suitable for seating and reclining of a baby
KR102297087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2415226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2297086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372031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N207191144U (zh) 婴儿推车
JPS5832067B2 (ja) 乳母車のハンモツク
CN205652181U (zh) 一种新型婴儿车
CN108032772A (zh) 一种折叠式具有行李箱功能的婴儿座
CN100463823C (zh) 吊床式婴儿车
ES2358472T3 (es) Silla para niño con hamaca convertible, y hamaca correspondiente.
CN210502836U (zh) 折叠式儿童推车
KR20240034034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