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4815B1 -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 - Google Patents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815B1
KR102414815B1 KR1020170085720A KR20170085720A KR102414815B1 KR 102414815 B1 KR102414815 B1 KR 102414815B1 KR 1020170085720 A KR1020170085720 A KR 1020170085720A KR 20170085720 A KR20170085720 A KR 20170085720A KR 102414815 B1 KR102414815 B1 KR 10241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ece
contact portion
attachment
exterior material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319A (ko
Inventor
겐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8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e.g. at the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6Edge engaging fastening means, e.g. clamps, clips or border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과제] 부착구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장재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부착구(10)는 구조체(8)에 고정되는 고정부(15)와, 고정부(15)로부터 돌출하여, 외장재(2)를 지지하는 지지편(13)과, 지지편(13)에 설치되어 제 1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2)를 계지하는 제 1 계지편(11L, 11R)과, 지지편(13)에 설치되어 제 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제 2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2)를 계지하는 제 2 계지편(12)과, 지지편(13)에 대하여 제 1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2)의 뒷면(2B)과 당접하는 제 1 당접부(31)와, 지지편(13)에 대하여 제 2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2)의 뒷면(2B)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42)를 구비한다. 제 2 당접부(42)는 지지편(13)을 향해 되접어꺽여 이루어진 되접어꺽임부(40)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ATTACHMENT OF EXTERIOR MATERIALS AND EXTERIOR STRUCTURE OF BUILDING}
본 발명은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내지 4에는 종래의 외장재의 부착구가 개시되어 있다. 각 부착구는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부착구는 지지편에 설치되어 위를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係止)하는 제 1 계지편(係止片)과, 지지편에 설치되어 아래를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2 계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부착구는 지지편보다도 위쪽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접하는 제 1 당접부와, 지지편보다도 아래쪽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고정부의 일부가 잘려 세워짐으로써, 지지편 및 제 1, 2 계지편이 형성되는 동시에, 지지편의 아래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고정부의 하단부가 구부려짐으로써, 지지편 및 제 1, 2 계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당접부는 고정부에서의 지지편보다도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당접부는 고정부에서의 지지편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작은 조각(小片)이 하향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특허문헌 3의 도 1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가 상하 2개소에서 되접어 꺽임으로써, 지지편이 강판의 2장 겹침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계지편은 지지편을 형성하는 2장의 강판 중의 상측의 강판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계지편은 지지편을 형성하는 2장의 강판 중의 하측의 강판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2 당접부는 지지편을 형성하는 2장의 강판인 상측의 강판 및 하측의 강판의 각각에, 또는 지지편을 형성하는 2장의 강판의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고정부의 아래 부분에서 상향으로 U자형으로 구부려진 구부림부에 지지편, 제 1, 2 계지편 및 제 1, 2 당접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65864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32710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48024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87529호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제 2 당접부가 지지편의 아래쪽에서, 또한 개구부보다도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 측면의 당접부를 개구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제 2 당접부와 일체화시키는 등의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여 외장재의 지지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제 2 당접부가 작기 때문에, 외장재의 뒷면에 당접하는 면적도 작아지고, 그 결과,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부착구의 기준면으로부터 제 2 당접부까지의 두께를 조정하는 등의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여 외장재의 지지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지지편이 외장재를 지지할 때의 부하 등에 의해 지지편을 구성하는 2장의 강판이 어긋나도록 변형될 우려가 있고, 그 결과, 제 1, 2 계지편이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어긋난 제 1, 2 계지편에 외장재가 계지됨으로써, 외장재의 단부의 파손이나 요철이 발생하기 쉬워져,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부착구에서는, 지지편의 두께는 2장의 강판의 두께와 강판끼리의 틈새의 합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편을 사이에 둔 위치에 있는 외장재끼리의 틈새가 확대되여, 빗물의 침입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U자형으로 구부러진 구부림부에 지지편, 제 1, 2 계지편 및 제 1, 2 당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구 전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부착구이 변형하기 쉬워,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착구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장재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외장재의 부착구는,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하여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로서,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여,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제 1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1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제 2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2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1 당접부와,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2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당접부는 상기 지지편을 향해 되접어꺽여 이루어진 되접어꺽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형태의 외장재의 부착구에서는, 지지편은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제 1, 2 계지편은 지지편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당접부는 지지편을 향해 되접어꺽여 이루어진 되접어꺽임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부착구에서는 제 2 당접부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제 2 당접부를 지지편의 근방에 배치하기 쉽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 2 당접부를 부착구의 중심선 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부착구에서는 되접어꺽임부를 크게 하기 쉬우므로, 제 2 당접부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에서는 되접어꺽임부에 의해 고정부에서의 되접어꺽임부에 인접하는 부분의 주변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구 전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외장재의 부착구에서는 자기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장재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로서, 제 2 당접부에서의 제 1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는 지지편에 당접하는 위치, 또는 지지편이 휘었을 때에 지지편에 당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되접어꺽임부에 형성된 제 2 당접부에 의해 지지편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외장재를 지지할 때의 부하 등에 의해, 지지편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로서, 되접어꺽임부는 고정부에서의 제 2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에서 제 1 방향을 향해 되접어꺽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되접어꺽임부가 제 1, 2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되접어꺽이는 경우와 비교하여, 되접어꺽임부 및 제 2 당접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당접부를 부착구의 중심선 위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부착구에서는 외장재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로서, 외장재의 부착구는 지지편에 대하여 제 1 방향에 설치되고, 고정부로부터 팽출하는 팽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당접부는 팽출부의 선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팽출부에 의해 제 1 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부착구 전체로서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구의 중심선 위에 제 1 면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부착구에서는 외장재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로서, 외장재의 부착구는 고정부에서의 제 1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제 3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와, 고정부에서의 제 3 방향과 반대 방향의 4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가 구부러져 이루어진 한 쌍의 측판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부러진 한 쌍의 측판부에 의해 고정부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부착구 전체로서의 강도를 한층 확보하기 쉽다. 또한, 한 쌍의 측판부가 고정부를 측방으로부터 끼워 고정부의 측단면을 덮으므로, 부착구 자체의 미관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로서, 제 1 당접부는 한 쌍의 측판부의 선단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부로부터 구부러진 측판부의 두께로 제 2 면을 형성하여, 제 1 당접부의 적어도 일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로서, 제 1 당접부는 한 쌍의 측판부의 선단측이 제 3 방향 또는 제 4 방향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진 제 3 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판부의 선단측의 구부림에 의해, 측판부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 2 면보다도 대면적의 제 3 면을 형성하여, 제 1 당접부의 적어도 일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로서, 한 쌍의 측판부의 선단측은 제 2 당접부의 제 2 방향측에서 제 2 당접부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 쌍의 측판부의 선단측에서의 제 2 당접부의 제 2 방향측에서 제 2 당접부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의해, 제 2 당접부를 지지할 수 있고, 제 2 당접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로서, 외장재의 부착구는 제 2 당접부, 및 제 2 당접부보다도 제 2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立設片)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설편에 의해, 외장재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설편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입설편을 지지편의 근방에 배치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로서, 건물의 외장 구조는, 외장재와,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구비한 외장 구조로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어,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제 1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1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제 2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2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1 당접부와,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2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당접부는 상기 지지편을 향해 되접어꺽여 이루어진 되접어꺽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로서, 건물의 외장 구조에서는, 제 1 형태의 부착구가 나타내는 작용 효과에 의해, 부착구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장재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에서는 부착구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장재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건물의 외장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외벽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인접하는 외벽판끼리 맞붙이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제 1 내지 4 외벽판과 부착구와의 상대 위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부착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부착구의 상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부착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Ⅹ-Ⅹ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XI-X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부착구에 형성되기 전의 강판의 전개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부착구와 제 1, 3 외벽판의 위치 정렬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부착구를 사용한 제 1, 3 외벽판의 부착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부착구를 사용한 제 1 내지 3 외벽판의 부착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XVI-XVI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2의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3의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4의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5의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 1 내지 5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서, 수직 상방향을 상(上)으로 표시하고, 수직 하방향을 하(下)로 표시한다. 또한, 도 1의 옥외로부터 옥내를 향하는 방향에서 수평 좌방향을 좌(左)로 표시하고, 수평 우방향을 우(右)로 표시한다. 그리고, 도 2 이후의 각 도에 나타내는 각 방향은 도 1에 대응시켜 표시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외장 구조는 외장 구조의 구체적 형태의 일례이다. 이 외장 구조는 주택, 시설, 창고 등의 건물을 구성하는 목조의 구조체(8)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 등에 나타내는 복수의 외벽판(2)을 부착한 것이다. 외벽판(2)은 「외장재」의 일례이다. 외벽판(2)은 그 자체가 높은 강도나 강성을 가지고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판재이다. 또한, 외장재는 외벽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표면에 의장성이 높은 화장면을 갖는 화장판 등이라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조체(8)는 목조가구식 공법에 의해 건축되는 것이다. 구조체(8)는 복수의 구조 부재로 구성된다. 구조 부재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늘어선 복수의 기둥재(9) 외에, 기둥재(9) 사이에 배치되는 샛기둥 등의 보조 부재도 포함된다. 각 기둥재(9)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외면에는 띠장이라고 불리우는 지지 부재(7)가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나 못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7)도 구조 부재에 포함된다. 각 기둥재(9)와 지지 부재(7) 사이에는 방수 시트(6)가 부설되어 있다. 또한, 구조체(8)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경량목구조 공법 등에 의해 건축되어도 좋다. 또한, 외장 구조에 외장되는 구조체는, 예를 들어, 철골조, 철근 콘크리트조, 벽돌조 등의 구체(軀體)라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구(10)는 구조 부재로서의 각 기둥재(9)에 고정되어, 구조체(8)에 대하여, 복수의 외벽판(2)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부착구(10)는 각 기둥재(9)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복수 늘어서서 설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구(10)는 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판이 펀칭 가공, 프레스 가공 및 구부림 가공 등이 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부착구(1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재료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구(10)는 각 기둥재(9)에 나사(10B)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부착구(10)는, 예를 들어, 기둥재(9)에 못 등의 다른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고, 도 1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7) 등을 통해 기둥재(9)에 간접적으로 부착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부착구(10)의 자세에 대하여, 도 4 및 도 1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구(10)의 고정부(15)가 기둥재(9)에 고정된 고정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착구(10)의 앞쪽은 옥외 방향을 향하고, 부착구(10)의 뒤쪽은 옥내 방향을 향한다. 부착구(10)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상향의 방향이다. 제 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제 2 방향은 하향의 방향이다. 제 1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제 3 방향은 좌향의 방향이다. 제 3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제 4 방향은 우향의 방향이다.
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구(10)는 고정부(15), 팽출부(30), 지지편(13), 제 1 계지편(11L, 11R), 제 2 계지편(12), 되접어꺽임부(40), 한 쌍의 측판부(38L, 38R), 제 1 당접부(31), 제 2 당접부(42) 및 입설편(49)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는 부착구(10)가 프레스 가공 및 구부림 가공 등이 되기 전의 강판 재료의 형상, 즉 부착구(10)의 전개도를 나타내고 있다. 파선은 산 모양으로 접히는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일점 쇄선은 골짜기 모양으로 접히는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2점 쇄선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팽출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15)는 금속판이 프레스 가공되어 이루어지는 팽출부(30)와, 도 12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30)보다도 아래쪽의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15M)를 에워싸면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는 판상 부분이다. 개구부(15M)는, 도 12에 나타내는 대략 U자형의 절결부(15C)의 내측의 판 부분이 앞쪽을 향해 구부러짐으로써,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있다.
고정부(15)의 상단부(15U), 하단부(15D), 좌단부(15L) 및 우단부(15R)는 부착구(10)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1)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 환상의 주연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재(9) 등과 접촉하는 부착구(10)의 뒤쪽을 향하는 면은 고정부(15)의 기준면(15S)으로 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30)는 고정부(15)로부터 앞쪽을 향해 대략 직사각형 환상을 이루며 팽출하고 있다. 팽출부(30)에 포위된 피포위부(15B)도 고정부(15)의 일부로 되어 있다. 피포위부(15B)에는 복수의 고정 구멍(15H)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관통 설치되어 있다. 고정 구멍(15H)은 나사(10B)가 삽입되어 부착구(10)를 기둥재(9) 등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팽출부(30)의 상변을 구성하는 사면에는 복수의 고정 구멍(15J)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관통 설치되어 있다. 고정 구멍(15J)은 고정 구멍(15H)보다도 소경(小經)이며, 부착구(10)를 기둥재(9) 등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나 못 등의 체결구가 삽입된다.
팽출부(30)의 하변, 좌변 및 우변을 구성하는 선단면에 의해, 고정부(15)의 기준면(15S)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면(3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면(31A)은 제 1 당접부(3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지지편(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절결부(15C)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상 부분이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편(13)은 고정부(15)에서의 개구부(15M)의 상변에 인접하는 위치, 및 팽출부(30)보다도 아래쪽의 위치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계지편(11L, 11R)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의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에 접속하여 상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계지편(12)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의 중앙 부분에 접속하여 하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편(13)에는 복수의 돌기부(17)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부(17)는 지지편(13)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부이다.
또한, 지지편(13)에는 유지편(18L, 18R)이 설치되어 있다. 왼쪽의 유지편(18L)은 왼쪽의 제 1 계지편(11L)과 제 2 계지편(12) 사이에서 상향으로 굴곡하는 소편(小片)이다. 오른쪽의 유지편(18R)은 오른쪽의 제 1 계지편(11R)과 제 2 계지편(12) 사이에서 상향으로 굴곡하는 소편이다.
도 5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편(18L, 18R)에는 탄성체(18)가 양면 테이프 등으로 붙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체(18)는 유지편(18L, 18R)의 각각과 지지편(13)의 위를 향하는 면의 일부를 덮어, 고정부(15)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탄성체(18)는 없어도 좋다.
되접어꺽임부(40)는 굴곡부(41)를 갖고 있다. 도 12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15)의 하단부(15D)에는 되접어꺽임부(40)가 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 부분이 접속되어 있다. 굴곡부(41)는 그 대략 직사각형 판상 부분이 고정부(15)의 하단부(15D)로부터 위쪽을 향해 되접어꺽임으로써 형성되는 대략 U자형의 굴곡 부분이다.
되접어꺽임부(40)는 굴곡부(41)로부터 지지편(13)에 접근하도록 상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되접어꺽임부(40)의 상측 부분에는 크랭크부(43) 및 제 2 당접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부(43)는 지지편(1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간하는 위치에서, 부착구(10)의 앞쪽을 향해 구부러진 부분이다. 제 2 당접부(42)는 크랭크부(43)로부터 상향으로 구부러진 부분이다. 제 2 당접부(42)는 지지편(13)에 접근하도록 상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당접부(42)의 표면은 기준면(15S)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당접부(42)의 가로폭은 지지편(13)의 가로폭보다 크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당접부(42)의 상단부(42U)와 지지편(13)의 하면과의 간격(W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1mm 내지 약 1mm 정도로 설정되어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격(W1)은 지지편(13)이 외벽판(2)을 지지함으로서 아래쪽으로 휘는 경우에, 제 2 당접부(42)의 상단부(42U)가 그 지지편(13)의 하면에 당접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되접어꺽임부(40)에 형성된 제 2 당접부(42)는 지지편(13)을 보강한다. 또한, 간격(W1)을 제로로 하고, 제 2 당접부(42)의 상단부(42U)가 지지편(13)의 하면에 당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접어꺽임부(40)의 굴곡부(41)로부터 크랭크부(43)까지의 부분은 개구부(15M)의 하측 부분을 덮으면서 고정부(15)의 주연부에 인접하고 있다. 이로써, 되접어꺽임부(40)는 고정부(15)에서의 개구부(15M)의 주변을 보강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의 측판부(38L)는 고정부(15)의 좌단부(15L)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오른쪽의 측판부(38R)는 고정부(15)의 우단부(15R)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38L, 38R)는 부착구(10)의 앞쪽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판부(38L, 38R)의 선단 가장자리로서 지지편(13)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고정부(15)의 기준면(15S)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면(31B)이다. 제 2 면(31B)은 제 1 면(31A)과 대략 편평하게 되어 있다. 제 2 면(31B)은 제 1 면(31A)과 함께 제 1 당접부(3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측판부(38L, 38R)의 선단 가장자리로서 지지편(1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 2 당접부(42)의 표면과 대략 편평하게 되어, 제 2 당접부(42)와 함께 외벽판(2)의 뒷면(2B)과 당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입설편(49)은 부착구(10)의 제 2 당접부(42)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되접어꺽임부(40)의 굴곡부(41)로부터 크랭크부(43)까지의 부분의 중앙보다도 약간 왼쪽에 가까운 위치에, 도 12에 나타내는 대략 C자 모양 홈(49C)이 형성되어, 그 대략 C자 모양 홈(49C)의 내측의 판상편이 부착구(10)의 앞쪽을 향해 잘려 세워짐으로써, 도 5 등에 나타내는 입설편(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당접부(42)의 면적이 제 2 방향을 향해 큰 경우에는, 제 2 당접부(42)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입설편(49)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설편(49)은 부착구(10)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 즉, 중심선(C1)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외벽판(2)은 사변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벽판(2)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요업계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벽판(2)의 재질이나 형상은 상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재질은 금속계 재, 목질계재, 수지계재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형상은 사변형상이고 상하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1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외벽판(2)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에서, 방수 시트(6) 및 지지 부재(7)보다도 구조체(8)의 외측에 배치되어, 구조체(8)의 외면(8F)을 덮는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벽판(2)의 표면(2F)은 예를 들어 벽돌 무늬 등의 디자인이 새겨진 외장면으로 되어 있다. 외벽판(2)의 좌단부에는 앞쪽 좌우 접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판(2)의 우단부에는, 안쪽 좌우 접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판(2)의 하단부에는 앞쪽 상하 접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판(2)의 상단부에는 뒤쪽 상하 접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외벽판(2)의 크기에 대하여, 앞쪽 좌우 접합부(21), 뒤쪽 좌우 접합부(22), 앞쪽 상하 접합부(23) 및 뒤쪽 상하 접합부(24)의 크기가 크게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앞쪽 좌우 접합부(21)는 외벽판(2)의 뒷면(2B)에서 표면(2F)을 향해 계단상으로 패이고, 상하 방향, 즉, 외벽판(2)의 좌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뒤쪽 좌우 접합부(22)는 외벽판(2)의 표면(2F)으로부터 뒷면(2B)을 향해 계단상으로 패이고, 상하 방향, 즉 외벽판(2)의 우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뒤쪽 좌우 접합부(22)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평탄면에는 코킹(22S)이 설치되어 있다. 코킹(22S)은 뒤쪽 좌우 접합부(22)를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킹은 필수가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코킹(22S)을 생략할 수도 있다.
앞쪽 상하 접합부(23)는 외벽판(2)의 뒷면(2B)에서 표면(2F)을 향해 계단상으로 패이고, 좌우 방향, 즉 외벽판(2)의 하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앞쪽 상하 접합부(23)에는 상향으로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패인 계합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뒤쪽 상하 접합부(24)는 외벽판(2)의 표면(2F)으로부터 뒷면(2B)을 향해 계단상으로 패이고, 좌우 방향, 즉 외벽판(2)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뒤쪽 상하 접합부(24)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평탄면에는 코킹(24S)이 설치되어 있다. 코킹(24S)은 뒤쪽 상하 접합부(24)를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킹은 필수가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코킹(24S)을 생략할 수도 있다. 뒤쪽 상하 접합부(24)에는 코킹(24S)보다도 위쪽에서 상향으로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돌출하는 계합 볼록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좌우 접합부(21)와 뒤쪽 좌우 접합부(22)가 서로 겹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끼리의 사이에 제 1 반턱쪽매이음부(26)가 형성된다. 도 4,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상하 접합부(23)와 뒤쪽 상하 접합부(24)가 서로 겹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끼리의 사이에 제 2 반턱쪽매이음부(25)가 형성된다.
즉, 각 외벽판(2)은 앞쪽 좌우 접합부(21), 뒤쪽 좌우 접합부(22), 앞쪽 상하 접합부(23) 및 뒤쪽 상하 접합부(24)를 구비하는, 소위 「사방 반턱쪽매이음 구조」의 판재이며, 앞쪽 좌우 접합부(21), 뒤쪽 좌우 접합부(22), 앞쪽 상하 접합부(23) 및 뒤쪽 상하 접합부(24)가 서로 겹쳐서 제 1 반턱쪽매이음부(26) 및 제 2 반턱쪽매이음부(25)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외벽판(2) 중의 임의의 1장의 외벽판(2)을 제 1 외벽판(2A1)으로 하고, 제 1 외벽판(2A1)에 대하여 이하의 관계에 있는 3장의 외벽판(2)을 제 2 외벽판(2A2), 제 3 외벽판(2A3) 및 제 4 외벽판(2A4)으로 한다. 제 2 외벽판(2A2)은 제 1 외벽판(2A1)에 대하여 위쪽부터 인접해 있다. 제 3 외벽판(2A3)은 제 1 외벽판(2A1)에 대하여 오른쪽부터 인접해 있다. 제 4 외벽판(2A4)은 제 3 외벽판(2A3)에 대하여 위쪽부터 인접하며, 제 2 외벽판(2A2)에 대하여 오른쪽부터 인접해 있다.
이러한 구성인 각 외벽판(2)은 이하와 같이 하여 각 부착구(10)에 지지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구조체(8)의 외면(8F)의 가장 아래쪽의 위치에 복수의 외벽판(2)을 좌우 방향으로 인접시킨 상태로 부착한다. 이때, 그 외벽판(2)의 하단부는 구조체(8)의 외면(8F)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 지지 부재(55)에 계지된다.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을 제 1 외벽판(2A1) 및 제 3 외벽판(2A3)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구(10)의 기준면(15S)을 기둥재(9)에 당접시키면서, 부착구(1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제 1 반턱쪽매이음부(26)에 부착구(10)의 입설편(49)을 위쪽에서 삽입한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10B)를 고정 구멍(15H)에 삽입하여 기둥재(9)에 비틀어 박아넣음으로써, 부착구(10)는 기둥재(9)에 고정된 고정 상태가 된다.
이로써, 제 1, 3 외벽판(2A1, 2A3)의 뒤쪽 상하 접합부(24)의 계합 볼록부(24A)는 부착구(10)의 제 2 계지편(12)에 의해 계지된다. 또한, 제 1, 3 외벽판(2A1, 2A3)의 각각의 뒷면(2B)에는 부착구(10)의 제 2 당접부(42)가 당접한다. 이로써, 제 1, 3 외벽판(2A1, 2A3)은 옥내 방향을 향해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된다. 그 결과,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체(8)와 제 1, 3 외벽판(2A1, 2A3)의 뒷면(2B)과의 사이에 통기 공간(S1)이 확보된다.
이렇게 하여, 부착구(10)는 고정 상태에 있어서,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상단부를 지지한다. 또한, 부착구(10)의 입설편(49)은 고정 상태에 있어서,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3 외벽판(2A1, 2A3)이 옆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위쪽에 제 2, 4 외벽판(2A2, 2A4)을 좌우 방향으로 인접시킨 상태로 부착한다.
이로써, 제 2, 4 외벽판(2A2, 2A4)의 앞쪽 상하 접합부(23)의 계합 오목부(23A)는 부착구(10)의 제 1 계지편(11L, 11R)에 의해 계지된다.
이때,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편(13)에 형성되어 있는 각 돌기부(17)가 2, 4 외벽판(2A2, 2A4)의 하단부에 아래쪽부터 접촉함으로써, 지지편(13)이 제 2, 4 외벽판(2A2, 2A4)을 지지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의 제 1 계지편(11L)에 인접하는 탄성체(18)는 제 2 외벽판(2A2)의 하단에 당접하여 압축 변형한다.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오른쪽의 제 1 계지편(11R)에 인접하는 탄성체(18)도 마찬가지로 제 4 외벽판(2A4)의 하단에 당접하여 압축 변형한다. 이러한 좌우의 탄성체(18)에 의해, 제 2 외벽판(2A2)과 지지편(13) 사이, 및 제 4 외벽판(2A4)과 지지편(13) 사이가 씰(seal)된다.
또한, 제 2, 4 외벽판(2A2, 2A4)의 각각의 뒷면(2B)에는 부착구(10)의 제 1 당접부(31), 보다 상세하게는 팽출부(30)의 제 1 면(31A) 및 측판부(38L, 38R)의 제 2 면(31B)이 당접한다. 이로써, 제 2, 4 외벽판(2A2, 2A4)은 옥내 방향을 향해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된다. 그 결과, 구조체(8)와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뒷면(2B)과의 사이에도 통기 공간(S1)이 확보된다.
이렇게 해서, 부착구(10)는 고정 상태에서 제 2, 4 외벽판(2A2, 2A4)을 지지한다.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제 2, 4 외벽판(2A2, 2A4)의 상단부는 다른 부착구(10)에 의해 상술한 수순으로 기둥재(9)에 지지된다. 이러한 작업을 다른 외벽판(2)에 대해서도 실시함으로써, 각 외벽판(2)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에서 각 기둥재(9)에 지지되고, 구조체(8)의 외면(8F)을 덮는다.
또한, 도 4에서 좌우 방향으로 늘어선 임의의 2개의 부착구(10) 사이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착구를 배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끼리를 보다 강고하게 지지시켜도 좋다.
<작용 효과>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서는, 도 5 내지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편(13)은 고정부(15)로부터 돌출하여, 제 1 계지편(11L, 11R) 및 제 2 계지편(12)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당접부(42)는 지지편(13)을 향해 되접어꺽여 이루어진 되접어꺽임부(40)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부착구(10)에서는, 가령 제 2 당접부(42)가 고정부(15)에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당접부(42)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제 2 당접부(42)를 지지편(13)의 근방에 배치하기 쉽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 2 당접부(42)를 부착구(10)의 중심선(C1) 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5 및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접어꺽임부(40)를 크게 하기 쉬우므로, 제 2 당접부(42)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되접어꺽임부(40)에 의해, 고정부(15)에서의 되접어꺽임부(40)에 인접하는 부분의 주변을 보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 도 6 및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접어꺽임부(40)의 굴곡부(41)로부터 크랭크부(43)까지의 부분은 개구부(15M)의 하측 부분을 덮으면서 고정부(15)의 주연부에 인접해 있다. 이로써, 되접어꺽임부(40)는 고정부(15)에서의 개구부(15M)의 주변을 보강하고 있다. 따라서, 부착구(10) 전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 및 외장 구조에서는 부착구(10)의 변형을 방지하고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벽판(2)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11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당접부(42)의 상단부(42U)와 지지편(13)의 하면과의 간격(W1)이 약 0.1mm 내지 약 1mm 정도로 설정됨으로써, 지지편(13)이 외벽판(2)을 지지함으로써 아래쪽으로 휘는 경우에, 제 2 당접부(42)의 상단부(42U)가 지지편(13)의 하면에 당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간격(W1)을 제로로 하여 제 2 당접부(42)의 상단부(42U)가 지지편(13)의 하면에 당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되접어꺽임부(40)에 형성된 제 2 당접부(42)에 의해 지지편(13)을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부착구(10)에서는, 외벽판(2)을 지지할 때의 부하 등에 의해, 지지편(13)이 변형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접어꺽임부(40)는 고정부(15)의 하단부(15D)로부터 위쪽을 향해 되접어꺽이는 굴곡부(41)를 갖고 있다. 이로써, 이 부착구(10)에서는, 가령 되접어꺽임부(40)가 고정부(15)의 좌단부(15L)에서 우향으로, 또는 고정부(15)의 우단부(15R)에서 좌향으로 되접어꺽이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정부(15)의 개구부(15m) 주위의 보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 2 당접부(42)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당접부(42)를 부착구(10)의 중심선(C1) 위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부착구(10)에서는 외벽판(2)을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당접부(31)의 제 1 면(31A)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팽출부(30)의 선단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면(31A)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부착구(10) 전체로서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구(10)의 중심선(C1) 위에 제 1 면(31A)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외벽판(2)의 뒷면(2B)측의 지지가 편심되어 치우치지 않아 한층 안정된다.
또한, 이 부착구(10)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15)의 좌단부(15L) 및 우단부(15R)가 구부러져 이루어진 한 쌍의 측판부(38L, 38R)에 의해 고정부(15)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부착구(10) 전체로서의 강도를 한층 확보하기 쉽다. 또한, 측판부(38L, 38R)가 고정부(15)를 측방에서 끼워 고정부(15)의 측단면을 덮으므로, 부착구(10) 자체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당접부(31)의 제 2 면(31B)이 측판부(38L, 38R)의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부(15)로부터 구부러진 측판부(38L, 38R)의 강판의 두께로 제 2 면(31B)을 형성하고, 제 1 당접부(31)의 일부로 하고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5, 도 13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접어꺽임부(40)에 형성된 입설편(49)에 의해 외벽판(2)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입설편(49)이 고정부(15)에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입설편(49)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입설편(49)을 지지편(13)의 근방에 배치하기 쉽다.
(실시형태 2)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부착구(210)에서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팽출부(30)를 팽출부(230A, 230B, 230C)로 변경하고 있다. 또한, 이 부착구(210)에서는 왼쪽의 측판부(38L)의 선단측이 왼쪽으로 구부러지는 동시에, 오른쪽의 측판부(38R)의 선단측이 오른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리고, 이 부착구(210)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1 당접부(31)를 제 1 당접부(231)로 변경하고 있다. 또한, 이 부착구(210)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입설편(49)을 생략하고 있다. 실시형태 2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팽출부(230A)는 지지편(13)보다도 위쪽의 위치에서 고정부(15)로부터 앞쪽을 향해 팽출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팽출부(230B)는 팽출부(230A)보다도 위쪽의 위치에서 고정부(15)로부터 앞쪽을 향해 팽출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팽출부(230C)는 팽출부(230A)와 팽출부(230B)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각 팽출부(230C)는 고정부(15)로부터 앞쪽을 향해 팽출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팽출부(230A, 230B)에 접속하고 있다.
팽출부(230A)의 선단면에 의해, 고정부(15)의 기준면(15S)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면(23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면(231A)은 제 1 당접부(23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왼쪽의 측판부(38L)의 선단측이 왼쪽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표면으로서, 지지편(13)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오른쪽의 측판부(38R)의 선단측이 오른쪽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표면으로서, 지지편(13)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고정부(15)의 기준면(15S)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3 면(231C)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면(231C)은 제 1 면(231A)과 대략 편평하게 되어 있다. 제 3 면(231C)은 제 1 면(231A)과 함께 제 1 당접부(23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왼쪽의 측판부(38L)의 선단측이 왼쪽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표면으로서, 지지편(1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오른쪽의 측판부(38R)의 선단측이 오른쪽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표면으로서, 지지편(1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 2 당접부(42)의 표면과 대략 편평하게 되어, 제 2 당접부(42)와 함께, 외벽판(2)의 뒷면(2B)과 당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인 실시형태 2의 부착구(210) 및 외장 구조에서도,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 및 외장 구조와 마찬가지로, 부착구(210)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벽판(2)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210)에서는, 측판부(38L, 38R)의 선단측의 구부러짐에 의해, 실시형태 1에 따른 측판부(38L, 38R)의 강판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 2 면(31B)과 비교하여, 대면적의 제 3 면(231C)을 형성하여, 제 1 당접부(231)의 일부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당접부(231)에 의해, 외벽판(2)의 뒷면(2B)을 한층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부착구(310)에서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측판부(38L, 38R)의 선단측에 지지부(337L, 337R)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 3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왼쪽의 측판부(38L)의 선단측에서의 제 2 당접부(42)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오른쪽으로 구부러져, 제 2 당접부(42)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지지부(337L)가 형성되어 있다. 오른쪽의 측판부(38R)의 선단측에서의 제 2 당접부(42)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왼쪽으로 구부러져, 제 2 당접부(42)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지지부(337R)가 형성되어 있다.
왼쪽의 지지부(337L)의 상단부(337LU)와 오른쪽의 지지부(337R)의 상단부(337RU)는 되접어꺽임부(40)의 크랭크부(43)에 당접하는 위치, 또는, 크랭크부(43)와의 사이에 약 0.1mm 내지 약 1mm 정도의 간격을 확보하고, 외벽판(2)을 지지함으로써 크랭크부(43)가 휘는 경우에 왼쪽의 지지부(337L)의 상단부(337LU)와 오른쪽의 지지부(337R)의 상단부(337RU)가 크랭크부(43)에 당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인 실시형태 3의 부착구(310) 및 외부 구조에서도, 실시형태 1, 2의 부착구(10, 210) 및 외장 구조와 마찬가지로, 부착구(310)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벽판(2)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310)에서는, 지지부(337L, 337R)에 의해, 크랭크부(43)를 통해 제 2 당접부(42)를 지지하여, 제 2 당접부(4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당접부(42)에 의해 외벽판(2)의 뒷면(2B)을 한층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4의 부착구(410)에서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되접어꺽임부(40), 제 2 당접부(42) 및 입설편(49)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측판부(38L, 38R)의 선단측에 제 2 당접부(442L, 442R)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 4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왼쪽의 측판부(38L)의 선단측에서의 지지편(1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오른쪽으로 구부러지고, 지지편(13)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 2 당접부(442L)가 형성되어 있다. 오른쪽의 측판부(38R)의 선단측에서의 지지편(1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왼쪽으로 구부러지고, 지지편(13)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 2 당접부(442R)가 형성되어 있다. 왼쪽의 제 2 당접부(442L)의 우단부와, 오른쪽의 제 2 당접부(442R)의 좌단부는 부착구(410)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2 당접부(442L, 442R)의 표면은 기준면(15S)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외벽판(2)의 뒷면(2B)과 당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제 2 당접부(442L, 442R)의 마주 보는 단부의 한쪽을 입설편(49)의 돌출 길이만큼 연장하여, 중앙부에서 앞쪽으로 구부려서 입설편(49)을 형성하여도 좋다.
왼쪽의 제 2 당접부(442L)의 상단부(442LU)와 오른쪽의 제 2 당접부(442R)의 상단부(442RU)는 지지편(13)의 하면에 당접하는 위치, 또는, 지지편(13)의 하면과의 사이에 약 0.1mm 내지 약 1mm 정도의 간격을 확보하고, 지지편(13)이 외벽판(2)을 지지함으로써 아래쪽으로 휘는 경우에 왼쪽의 제 2 당접부(442L)의 상단부(442LU)와 오른쪽의 제 2 당접부(442R)의 상단부(442RU)가 지지편(13)의 하면에 당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지지편(13)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인 실시형태 4의 부착구(410) 및 외장 구조에서도, 실시형태 1 내지 3의 부착구(10, 210, 310) 및 외장 구조와 마찬가지로, 부착구(410)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벽판(2)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5의 부착구(510)에서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되접어꺽임부(40), 제 2 당접부(42) 및 입설편(49)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왼쪽의 측판부(38L)의 선단측에 제 2 당접부(542)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 5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제 2 당접부(542)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입설편(49)을 형성하여도 좋다.
왼쪽의 측판부(38L)의 선단측에서의 지지편(1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오른쪽으로 구부러지고, 지지편(13)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제 2 당접부(542)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당접부(542)의 우단부는 오른쪽의 측판부(38R)의 근방에 위치해 있다. 제 2 당접부(542)의 표면은 기준면(15S)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외벽판(2)의 뒷면(2B)과 당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당접부(542)의 상단부(542U)는 지지편(13)의 하면에 당접하는 위치, 또는, 지지편(13)의 하면과의 사이에 약 0.1mm 내지 약 1mm 정도의 간격을 확보하고, 지지편(13)이 외벽판(2)을 지지함으로써 아래쪽으로 휘는 경우에 제 2 당접부(542)의 상단부(542U)가 지지편(13)의 하면에 당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지지편(13)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인 실시형태 5의 부착구(510) 및 외장 구조에서도, 실시형태 1 내지 4의 부착구(10, 210, 310, 410) 및 외장 구조와 마찬가지로, 부착구(510)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벽판(2)끼리의 틈새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5는 지지편(13)이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지지편(13)은 제 1 계지부(11L)가 접속하는 부분과, 제 2 계지편(12)이 접속하는 부분과, 제 1 계지부(11R)가 접속하는 부분이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지지편(13)에 침입한 빗물이 제 1 계지부(11L, 11R), 제 2 계지편(12)마다 분리되어 있는 지지편(13)의 틈새를 타고 아래쪽으로 흐르므로, 그 빗물이 지지편(13)을 타고 폭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형태를 실시형태 1 내지 6에 입각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6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실시형태 1에서, 입설편(49)은 되접어꺽임부(40)에서의 제 2 당접부(42)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설편(49)은 제 2 당접부(42)의 일부가 잘려 세워짐으로써 형성되어도 좋고, 제 2 당접부(42)와, 제 2 당접부(42)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제 1 방향이 상향이고, 제 2 방향이 하향이며, 제 1 계지편(11L, 11R)이 위를 향하고, 제 2 계지편(12)이 아래를 향하고 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이 하향이고, 제 2 방향이 상향이며, 제 1 계지편이 아래를 향하고, 제 2 계지편이 위를 향하고 있어도 좋다.
8 구조체
2 외장재(외벽판)
10, 210, 310, 410, 510 부착구
15S 기준면
15 고정부
13 지지편
11L, 11R 제 1 계지편
12 제 2 계지편
2B 외장재의 뒷면(외벽판의 뒷면)
31, 231 제 1 당접부
42, 442L, 442R, 542 제 2 당접부
40, 440L, 440R, 540 되접어꺽임부
42U, 442LU, 442RU, 542U 제 2 당접부에서의 제 1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제 2 당접부의 상단부)
15D 고정부에서의 제 2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고정부의 하단부)
41 굴곡부
30, 230A, 230B, 230C 팽출부
31A, 231A 제 1 면
15L 고정부에서의 제 3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고정부의 좌단부)
15R 고정부의 제 4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고정부의 우단부)
38L, 38R 한 쌍의 측판부
31B 제 2 면
231C 제 3 면
49 입설편

Claims (10)

  1.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하여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로서,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여,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제 1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1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제 2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2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1 당접부와,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2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당접부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 위치로부터 180˚ 굴곡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되접어꺽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되접어꺽임부는 상기 지지편을 향해 되접어꺽여 있고,
    상기 부착구는,
    상기 되접어꺽임부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편과 같은 측에 돌출되는 크랭크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 2 당접부는 상기 크랭크부의 선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의 부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당접부에서의 상기 제 1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는 상기 지지편에 당접하는 위치, 또는 상기 지지편이 휘었을 때 상기 지지편에 당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팽출하는 팽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당접부는 상기 팽출부의 선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면을 포함하고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서의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와 상기 고정부에서의 상기 제 3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제 4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가 구부러져 이루어진 한 쌍의 측판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당접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선단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당접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선단측이 상기 제 3 방향 또는 상기 제 4 방향으로 휘어져 이루어진 제 3 면을 포함하고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선단측은 상기 제 2 당접부의 상기 제 2 방향측에서 상기 제 2 당접부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당접부, 및 상기 제 2 당접부보다도 상기 제 2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10. 외장재와,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구비한 외장 구조로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여,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제 1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1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제 2 방향을 향하고, 외장재를 계지하는 제 2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1 당접부와,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상기 제 2 방향에 설치되고, 외장재의 뒷면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당접부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 위치로부터 180˚ 굴곡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되접어꺽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되접어꺽임부는 상기 지지편을 향해 되접어꺽여 있고,
    상기 부착구는,
    상기 되접어꺽임부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편과 같은 측에 돌출되는 크랭크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 2 당접부는 상기 크랭크부의 선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장 구조.
KR1020170085720A 2016-07-12 2017-07-06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 Active KR102414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7748A JP6857978B2 (ja) 2016-07-12 2016-07-12 外装材の取付具及び建物の外装構造
JPJP-P-2016-137748 2016-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19A KR20180007319A (ko) 2018-01-22
KR102414815B1 true KR102414815B1 (ko) 2022-07-01

Family

ID=5903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720A Active KR102414815B1 (ko) 2016-07-12 2017-07-06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08454B2 (ko)
EP (1) EP3272964B1 (ko)
JP (1) JP6857978B2 (ko)
KR (1) KR102414815B1 (ko)
CN (1) CN107605033B (ko)
AU (1) AU2017203768B2 (ko)
CA (1) CA2969434C (ko)
RU (1) RU2743693C2 (ko)
TW (1) TWI6581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84602S (ko) * 2017-03-27 2017-08-28
JP7053206B2 (ja) * 2017-09-29 2022-04-12 ニチハ株式会社 取付具及び建物の壁構造
CA3113077A1 (en) * 2018-09-19 2020-03-26 Fiber Composites, LLC (dba Fiberon) Siding clip
WO2020146900A1 (en) * 2019-01-13 2020-07-16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Ledger connector
AU2019437405B2 (en) * 2019-03-25 2025-06-05 Välinge Innovation AB A set comprising a coupling element, a first building element, and building panels and a method of assembling said set
JP7515312B2 (ja) * 2019-09-30 2024-07-12 ニチハ株式会社 取付具及び壁構造
JP1679082S (ko) 2020-07-22 2021-02-15
JP1679083S (ko) 2020-07-22 2021-02-15
CA3173548A1 (en) * 2022-06-10 2023-12-10 John W. T. Sherman Wall cladding panels, system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372A (ja) * 2000-08-22 2002-02-28 Nichiha Corp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3442373B2 (ja) * 2001-06-21 2003-09-02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350291A1 (ru) * 1985-11-10 1987-11-07 Крымский Филиал Республиканского Проектного Института "Укржилремпроект" Устройство Лещинского В.З.дл креплени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на фасаде здани
KR0148024B1 (ko) 1990-02-14 1998-08-17 카타다 테쯔야 캐터필러차량의 고무벨트
EP0791700A1 (fr) * 1996-02-22 1997-08-27 Euridep Platine-entretoise de fixation pour la réalisation de vêtages dans le domaine du bâtiment, et vêtages ainsi obtenus
JPH102089A (ja) * 1996-06-13 1998-01-06 Asahi Glass Co Ltd パネル材の取付金具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H10148024A (ja) 1996-11-18 1998-06-02 Daiken Trade & Ind Co Ltd サイディング材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JPH1181615A (ja) * 1997-07-08 1999-03-26 Toto Ltd 建材の取付具及び建材施工体
JP2000087529A (ja) * 1998-09-10 2000-03-28 Daiken Trade & Ind Co Ltd 外装材の取付け金具
US6315489B1 (en) * 1998-11-30 2001-11-13 Nichiha Corporation Fastening member
US6279286B1 (en) * 1999-07-28 2001-08-28 Nichiha Corp. Fastening member for vertical board siding, vertical board siding using the fastening member, and vertical siding structure constructed using the fastening member
JP3380522B2 (ja) * 2000-05-29 2003-02-24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
JP3381713B2 (ja) * 2000-09-11 2003-03-04 ニチハ株式会社 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3438723B2 (ja) 2001-01-24 2003-08-18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3624862B2 (ja) * 2001-07-26 2005-03-02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板及び外壁施工構造
JP3798781B2 (ja) * 2003-10-31 2006-07-19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及び該金具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
JP3766398B2 (ja) * 2003-05-13 2006-04-12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
JP3946703B2 (ja) 2004-02-17 2007-07-18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
JP4546301B2 (ja) 2005-03-22 2010-09-15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4241767B2 (ja) * 2006-06-22 2009-03-18 株式会社テスク 通気性断熱複合パネルを張設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外断熱建物の外壁構造
JP3146012U (ja) * 2008-08-20 2008-10-30 ニチハ株式会社 外装材固定金具
JP3148121U (ja) * 2008-11-19 2009-01-29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KR20100005488U (ko) * 2008-11-19 2010-05-27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고정 금구 및 외벽 시공 구조
KR20100130739A (ko) * 2009-06-04 2010-12-14 주식회사 토인애드 광고용 바닥 시스템
PL2447440T3 (pl) * 2010-11-02 2015-05-29 Rockwool Int Wspornik mocujący, układ zawierający taki wspornik mocujący i zastosowanie wspornika mocującego
US8523228B2 (en) * 2010-11-15 2013-09-03 Nsk Ltd. Steering column support apparatus
CN105040819A (zh) * 2015-06-04 2015-11-11 易虹飞 伸缩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372A (ja) * 2000-08-22 2002-02-28 Nichiha Corp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3442373B2 (ja) * 2001-06-21 2003-09-02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03768B2 (en) 2021-10-07
KR20180007319A (ko) 2018-01-22
US20180016797A1 (en) 2018-01-18
RU2743693C2 (ru) 2021-02-24
CA2969434C (en) 2022-03-15
TW201804057A (zh) 2018-02-01
EP3272964B1 (en) 2020-05-06
JP2018009325A (ja) 2018-01-18
RU2017121643A (ru) 2018-12-20
CN107605033B (zh) 2021-03-23
TWI658191B (zh) 2019-05-01
AU2017203768A1 (en) 2018-02-01
JP6857978B2 (ja) 2021-04-14
CA2969434A1 (en) 2018-01-12
CN107605033A (zh) 2018-01-19
US10508454B2 (en) 2019-12-17
RU2017121643A3 (ko) 2020-05-13
EP3272964A1 (en)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815B1 (ko)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
JP2003013524A (ja) 壁スタッドを支持するトラック配置構造、方法および枠組アセンブリー
JP6629109B2 (ja) 外装材の取付具及び外装構造
JP6915998B2 (ja) 壁材の取付具、壁構造、及び取付具の製造方法
JP2009215843A (ja) 受金具
JP2014231701A (ja) 天井下地材及び天井構造
JP2014214432A (ja) 木材接合金具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JP6915997B2 (ja) 壁材の取付具、及び壁構造
JP2008121301A (ja) 二重床用パネル
KR101474747B1 (ko) 스틸 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의 프레임
JPH0237934Y2 (ko)
JP6857988B2 (ja) 外装材の取付具及び建物の外装構造
JP2006090019A (ja) 壁面パネルのコーナー連結構造
JP3074676U (ja) 間仕切り壁
JPH0137047Y2 (ko)
JP5252419B2 (ja) 火打ち部材を用いた天井構造
JP2007085062A (ja) 入隅用部材及び外壁入隅構造
JP2559083Y2 (ja) ユニットハウスにおける壁パネルのジョイント構造
JP4923075B2 (ja) 軒樋支持具、これに用いる取付基板および取付杆
KR20040048805A (ko)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JP2000120220A (ja) 軽量梁とその取り付け構造
JP2007211453A (ja) 建物におけるパネルの結合構造
JP2003227174A (ja) 引寄せ金物
JP2003064845A (ja) コーナー材および該コーナー材を利用した建物コーナー部施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