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49B1 - Plant cultivation using LED irradiation method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on using LED irradi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4749B1 KR102414749B1 KR1020200066010A KR20200066010A KR102414749B1 KR 102414749 B1 KR102414749 B1 KR 102414749B1 KR 1020200066010 A KR1020200066010 A KR 1020200066010A KR 20200066010 A KR20200066010 A KR 20200066010A KR 102414749 B1 KR102414749 B1 KR 102414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rient solution
- plant
- shaft
- main body
- cultiv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7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5 sal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7—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inside rotating drums or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e.g. carous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LED 조사방식을 이용한 식물재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형 LED 조사방식을 통해 빛조사 효율을 증대시키는 식물재배대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재배대본체부와,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되는 양액공급홀을 통해 공급되는 양액을 하부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양액공급부와,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양액공급부에 연통되도록 내측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식물삽입부 및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양액저장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lant growing table using an LED irradi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growing table that increases light irradiation efficiency through a rotational LED irradiation method.
A plant cul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ulture table main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 space therein, and a nutrient solu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ble main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At least on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or transferr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hrough the supply hole to the lower side, a plant insertion unit formed through the outside to communicate wit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rom the outside surface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ultivation table body It includes one or mor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s that are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LED 조사방식을 이용한 식물재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형 LED 조사방식을 통해 빛조사 효율을 증대시키는 식물재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lant growing table using an LED irradi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growing table that increases light irradiation efficiency through a rotational LED irradiation method.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n admission that it is prior art.
인공광 식물공장은 1957년 유럽에서부터 보광을 하여 식물재배를 실시한 태양광 이용형 식물 공장을 거쳐 1960년대 미국에서 인공광만을 이용한 완전 제어형 식물 공장으로 발전을 거쳤고, 그 이후 일본에서 1989년까지 인공 광원의 개발과 샐러드 채소를 시장에 내놓으면서 부흥기를 맞아 현재까지 관련된 기술들을 확보하게 되었다.The artificial light plant factory started in 1957 in Europe, where plants were cultivated using supplementary light, and then developed into a fully controlled plant factory using only artificial ligh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As they put salad vegetables on the market, they were able to secure the related technologies to date.
상기와 같이 식물을 인공적으로 키우는 식물공장에서는 텃밭과 같은 넓은 토지가 아닌 인공 재배대가 사용된다. 상기 재배대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LED광을 사용하는 재배대의 경우, 여러 층에 식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목적뿐만 아니라 LED 및 양액 주입과 회수를 위한 지지대로서의 역할도 병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대의 목적들 중에서도 다단재배라는 목적이 가장 큰데, 최근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순히 다층으로 쌓아 올린 다단재배의 개념에서 더 나아가 이동 가능한 형태의 재배대나 작동방식의 편의성이 증대된 식물재배대 등이 개발되어 왔다.In a plant factory where plants are artificially grown as described above, an artificial cultivation bed is used instead of a large land such as a vegetable garden. The culture be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ut in the case of a culture bed using LED light, it can serve as a support for LED and nutrient solution injection and recovery as well as for the purpose of mounting plants on several layers. Among the purposes of these cultivation beds, the purpose of multi-level cultivation is the biggest. As many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been made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multi-layered cultivation goes beyond the simple concept of multi-layered cultivation. etc. have been developed.
최근 다단재배대로 많이 활용되는 것은 수직방식의 원통형 재배대(이하, 수직재배대라 한다)이다. 상기 수직재배대의 경우, 태양광 등을 통해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수평재배대에 비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고 어느정도 높이를 가지고 있어 사람이 허리를 굽히고 작업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Recently, the most widely used multi-level cultivation table is a vertical type cylindrical cultivation t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ertical cultivation table). In the case of the vertical cultivation table, cultivation is possible through sunlight, etc., and it has an excellent space utilization compared to a horizontal cultivation table and has a certain height,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erson does not need to bend the waist to work.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1454198호)에서는 (A) 수직의 원통 형상 또는 정n각통 형상의 베드프레임(10); (B) 상기 베드프레임(10)의 둘레에 부착되는 둘 이상의 호형[베드프레임(10)이 원통 형상일 때] 또는 n개의 평판형[베드프레임(10)이 정n각통 형상일 때]으로서, 베드프레임(10)에 부착되었을 때 외부를 향하는 면에 ① 작물이 식재된 메디아 또는 ② 작물이 식재된 메디아를 담고 있는 포트가 장착-탈착되는 수직식재베드(20); (C) 상기 베드프레임(10)의 외부 일측 방향에 베드프레임(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직조명부(30); (D) 상기 베드프레임(10)의 수직중앙을 회전축으로하여 상기 베드프레임(1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40);를 포함하는 식물공장에 적용되는 조명-식재베드 세트를 개시하고 있다.In Patent Literature 1 (Registration Patent No. 10-1454198), (A) a
상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는 식재베드는 베드프레임(10)이 중앙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직조명부(30)로부터 광을 조사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나, 식재베드 자체를 회전하게 되면 양액이 분사되어 하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회전으로 인하여 양액이 넘쳐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베드프레임(10)의 중앙축에 위치하는 양액분사관(51)으로부터 관통부(22)를 통해 식물들이 양액을 분사받게 되는데, 이러한 분사방식에 의해서는 다수의 식물들이 골고루 충분한 양의 양액을 전달받아 흡수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식재베드의 경우 공기순환을 통해 식물들의 성장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베드프레임(10)을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시켜 식재된 모든 식물에 대해 공기를 균등하게 전달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공기순환을 위해 별도의 공기순환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The planting be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made in such a way that the
또한, 식물의 경우 낮시간대와 밤시간대를 구분하여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면 특정 시간대에만 빛을 받게되므로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성장을 더디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lants,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light by dividing the daytime and nighttime zones. However, if the plant has a continuously rotating structure, it receives light only during a specific time perio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induce stress and slow growth.
또한, 종래 식물재배대의 경우 복수의 재배단이 다소 이격되어 배치되어 재배공간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재배효율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lant growing table, a plurality of cultivation beds are arranged somewhat spaced apart, and thus the cultivation space is reduced, which has a disadvantage that cultivation efficiency may be somewhat decreased.
양액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식물에 많은 양의 양액을 공급하고, LED광이 회전방식으로 설치되어 빛이 조사되는 식물재배대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plant growing table where a large amount of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plants by smoothing the flow of nutrient solution, and LED lights are installed in a rotating manner to irradiate ligh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재배대본체부와,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되는 양액공급홀을 통해 공급되는 양액을 하부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양액공급부와,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양액공급부에 연통되도록 내측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식물삽입부 및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양액저장부를 포함한다.A plant cul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ulture table main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 space therein, and a nutrient solu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bl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or transferr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hrough the supply hole to the lower side, a plant insertion unit formed through the outside to communicate wit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rom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ultivation table body It includes one or mor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s that are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배대본체부는 상호 대칭되는 두 개의 수직본체부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부는 상호 대칭되는 두 개의 수평저장부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수직본체부가 결합된 복수의 재배대본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is divided into two mutually symmetrical vertical body parts, and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part is divided into two mutually symmetrical horizontal storage parts, and the two vertical body parts are combin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ulture stage main body parts are laminated and bo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물삽입부는, 재배대본체부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삽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상기 양액공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lant insertion part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guide part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to the inside, and the insertion guide par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characterized by being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양액공급부는 재배대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하나의 양액공급부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되, 서로 인접한 양액공급부상에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는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lurality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the insertion guide uni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The insertion guides formed on the adjacent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양액저장부는 상기 삽입가이드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액공급부와 접하는 상기 양액저장부의 측면은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는 측면인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insertion guide, and the side of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in contact wit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side inlet portion that is drawn in toward the inside. do.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인입부상에서 상기 양액공급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부에 저장된 양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측면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on the side inlet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side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수평저장부 사이 중앙에 형성되는 샤프트관통홀과,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중앙에서 상기 샤프트관통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샤프트부 및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상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부가 삽입 고정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haft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between the two horizontal storage units, a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hole from the center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t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ulture tabl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to which the shaft part is inserted and fixed.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방사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부샤프트와,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방사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하부샤프트 및 상기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shaft extending radially from the upper frame, a lower shaft extending radially from the lower frame, and a vertical shaft interconnecting the upper shaft and the lower shaft. characterized in that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샤프트를 중심축으로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식물삽입부에 식재된 식물을 향해 LED를 조사하는 제1LED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install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vertical shaft as a central ax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LED module for irradiating the LED toward the plant planted in the plant insert.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LED모듈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LED를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LED모듈을 중심으로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LED module is configured to irradiate the LEDs in one or more directions, and a heat sink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around the first LED modul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수직샤프트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샤프트에서 상기 재배대본체부를 향해 제2LED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2LED모듈의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vertical shaft is configured to rotate about the shaft portion as a central axis, and a second LED module is installed from the vertical shaft toward the cultivation table body portion, and a heat sink along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LED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샤프트는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되는 작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vertical shaf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shaft portion and the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s repeated.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상기 재배대본체부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샤프트에서 상기 재배대본체부를 향해 제2LED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2LED모듈의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table body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shaft, a second LED module is installed from the vertical shaft toward the cultivation table body, and a heat sink along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LED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배대본체부는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되는 작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ure table main body portion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shaft portion and the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s repeated.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LED모듈이 재대배 주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광원이 필요한 식물에 근접하여 LED를 조사할 수 있으며, 재배대 자체가 회전하지 않아 식물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공기분사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순환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ED module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ed around the cultivar, so that the LED can be irradiated close to the plant requiring a light source, and the cultivating table itself does not rotate, so it does not give stress to the plant, and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air circulation by spraying air from the shaft.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LED모듈이 회전하게 되고, 재배대본체부가 회전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양액이 넘쳐흐를 위험이 없으며, 재배대본체부에 식재된 모든 식물들이 골고루 양액을 전달받으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전체적인 순환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ED module rotates, and there is no risk of overflowing the nutrient solution through the method that the cultivation table body does not rotate, and all plants planted in the cultivation table body receive the nutrient solution evenly. ,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discharged, so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overall circulation.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배대본체부와 LED모듈이 스윙방식을 통해 소정각도씩 회전하고 원위치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모든 식물에 빛이 골고루 조사될 수 있으면서 공기순환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the LED module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swing method and repeat the opera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all plants can be evenly irradiated with light and air circulation can be easily achie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하면, 종래 식물재배대에 형성되는 재배단끼리의 간격을 단축시켜 재배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재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LED가 조사되면서 스팟효과가 발생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방식으로 LED가 조사되면서 재배대 전체에 빛을 균등하게 조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ltiv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shortening the interval between cultivation beds formed in the conventional plant cultivation table to secure a cultivation space, and accordingly, a spot effect is generated while irradiating the L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ght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entire cultivation table while the LED is irradiated in a rotational manner.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하면, 종래 식물재배대에 식재되는 식물들은 식물을 포트에 담은 상태로 재배대에 꽂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스펀지에 뿌리내린 식물 자체를 식물재배대와 포트가 하나로 합쳐진 일체형 식물재배대의 식물삽입부에 삽입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포트를 별도로 제작 및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며 포트를 청소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식물삽입부의 삽입가이드부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약 30°) 구조를 통해 식물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lants planted on the planting bed in the form of inserting the plant into the cultivation table with the plant in the pot, the plant itself rooted in the sponge is integrated with the plant growing table and the pot into one. By having a structure for inserting into the plant insertion part of the plant growing tabl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manufacture and install the port, thereby reducing costs and eliminating the need to clean the port.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lant can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through the inclined (about 30°) structur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양액저장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재배대본체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양액이 공급,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LED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LED장치가 다수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수직샤프트에 LED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수직샤프트에 LED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상세도.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도 8과 도 10에서 도시되는 회전방식에 따라 식물에 빛이 도달되는 거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제2LED모듈이 3개로 이루어진 상태의 개념도.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제2LED모듈과 재배대본체부가 스윙방식으로 회전하는 작동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ultivation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etailed view of a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i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etailed view of a cultivation table main body in a plant cultiv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diagram of an operating state of a plant cultivation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and discharged i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n LED device is installed i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ED devices are disposed o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n LED device is installed on a vertical shaft i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detailed view of a state in which an LED device is installed on a vertical shaft i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view showing a distance at which light reaches a plant according to the rotation method shown in FIGS. 8 and 10 i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ree second LED modules are formed i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n which a second LED module and a main body of a cultivation table are rotated in a swing manner in a plant cultiv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lant cultiva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분해사시도를, 도 3은 단면도를 나타낸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재배대본체부(10)와,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되는 양액공급홀(21)을 통해 공급되는 양액을 하부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양액공급부(20)와,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외측면에서 상기 양액공급부(20)에 연통되도록 내측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식물삽입부(30) 및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양액저장부(40)를 포함한다.The plant cultiv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ultivation table
상기 재배대본체부(10)는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양액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재배대본체부(1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액이 공급되는 양액공급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액공급부(20)는 원기둥의 내측면 또는 다각기둥의 일면 내측부를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양액공급부(20)의 상부에는 양액이 공급되는 양액공급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액은 양액공급홀(21)로부터 양액공급부(2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이후 하부로 이동되는 양액을 양액탱크에 저장하고, 펌프 등과 같은 구성을 통해 다시 양액공급홀(21)에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양액공급홀(21)은 상부프레임(15)의 중앙에 삽입 관통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부로부터 양액이 공급되면 양액공급홀(21)을 통해 재배대본체부(10)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양액이 양액공급부(20)와 양액저장부(40)를 차례로 거치면서 식물에 양액을 공급해주고 이후 하부프레임(17)으로 전달되면서 양액이 응집되면 이를 양액배출홀(23)을 통해 재배대본체부(10)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13)가 재배대본체부(10)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프레임(15)의 구조에 의하여 양액공급홀(21)을 통해 유입된 양액이 샤프트부(13) 상부에서 방사상으로 분산되면서 식물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지고, 이후 하부프레임(17) 또한 상부프레임(15)과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하부에서 응집되는 양액이 샤프트부(13) 하부에 모여 양액배출홀(23)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The cultivation table
다음으로, 상기 양액공급부(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외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식물삽입부(3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식물삽입부(30)에는 식물이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식물의 줄기와 뿌리가 식물삽입부(30) 내부로 관통하여, 뿌리 부위가 상기 양액저장부(40)까지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양액저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액저장부(40)는 상기 양액공급부(20)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는 양액이 식물삽입부(30)에 거치된 식물에 공급되고, 나머지 양액이 식물의 뿌리 등으로부터 흘러내려 상기 양액저장부(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양액저장부(40)는 재배대본체부(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식물로부터 흘러내린 양액이 저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수의 식물이 거치되는 경우 각각의 식물로부터 전달되는 양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재배대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양액저장부(40)에 의하여, 재배대본체부(10)에 식재되는 다수의 식물이 하나의 양액저장부(40)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 재배대에서 하나의 식물에 하나의 양액저장부가 설치된 것에 비하여, 본 개시내용에 따른 식물재배대는 다수의 식물에 하나의 양액저장부(40)가 설치되어 전체적인 양액 사용량이 줄어들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양액저장부(40)를 여러 식물이 공유하여 다수의 뿌리가 밀집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재배대본체부(10)에 형성되는 식물삽입부(30)는 재배대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차 배치되는 구조(또는 지그재그 구조)를 가져 작물의 뿌리가 과하게 밀집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Next, a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배대본체부(10)는 상호 대칭되는 두 개의 수직본체부(11, 12)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부(40)는 상호 대칭되는 두 개의 수평저장부(41, 42)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수직본체부(11, 12)가 결합된 복수의 재배대본체부(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table
상기 수직본체부(11, 12)는 바람직하게는 원기둥형상 또는 다각기둥형상에서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기준으로 절반으로 대칭 분할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두 개일 필요는 없으며, 대칭되는 세 개 또는 네 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본체부(11, 12)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본체부(11, 12)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양액저장부(40)도 대칭 분할되는 두 개의 수평저장부(41, 4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평저장부(41, 42) 및 수직본체부(11, 12)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재배대본체부(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것이다.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물삽입부(30)는, 재배대본체부(1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삽입가이드부(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31)는 상기 양액공급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상기 식물삽입부(30)는 재배대본체부(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 형성되며, 내측부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삽입가이드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삽입부(30)에 식물이 식재되는 경우 줄기나 뿌리 부분은 삽입가이드부(31)를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식재되어, 양액이 자연스럽게 하측부를 향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가이드부(31)는 상기 식물의 부피를 고려하여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은 상기 양액저장부(40)에 밀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양액공급부(20)는 재배대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삽입가이드부(31)는 하나의 양액공급부(20)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되, 서로 인접한 양액공급부(20)상에 형성되는 삽입가이드(31)는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lurality of the nutrient
상기 삽입가이드부(31)는 식물삽입부(30)와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액공급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양액공급부(20) 상에 복수의 삽입가이드부(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양액공급부(20) 상의 삽입가이드부(31)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한 양액공급부(20)상에 형성되는 삽입가이드(31)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두 개의 양액공급부(20) 상에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부(31)는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양액저장부(40)는 상기 삽입가이드(20)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액공급부(20)와 접하는 상기 양액저장부(40)의 측면은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는 측면인입부(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nutrient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인입부(43)상에서 상기 양액공급부(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부(40)에 저장된 양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측면개방부(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ide opening portion ( 4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측면인입부(43)는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내측면에서 일부 돌출된 형상을 가진 양액공급부(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양액저장부(40)의 측면 형상을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측면인입부(43) 상에서 양액공급부(20)와 연통되며, 양액저장부(40)에 공급되는 양액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넘어가게 되면 양액이 측면에 개방된 측면개방부(45)를 통해 하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액저장부(40)의 하나의 수평저장부(41)를 기준으로 상측 중앙에는 하나의 삽입가이드부(31)가 설치되어 양액공급부(20)로부터 전달되는 양액이 삽입가이드부(31)에 의해 양액저장부(40)로 전달되며, 양측에는 양액공급부(20)에 의해 양액이 그냥 통과된다. 상기 수평저장부(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두 번째 수평저장부(41)의 경우 중앙에는 상기 양액공급부(20)만 형성되어 양액이 그냥 하부로 전달되고, 양측에는 삽입가이드부(31)가 각각 설치되어 양액공급부(20)로부터 전달되는 양액이 양액저장부(4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양액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측면개방부(45)를 통해 배출되어 양액공급부(20)로 하부로 이송되고 이하 전술한 원리로 양액이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형성되는 식물삽입부(30) 및 그에 따라 양액이 용이하게 공급되고, 저장되며, 이후 하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액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When it h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 , on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수평저장부(41, 42) 사이 중앙에 형성되는 샤프트관통홀(47)과,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중앙에서 상기 샤프트관통홀(47)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샤프트부(13) 및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상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부(13)가 삽입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5) 및 하부프레임(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haft through-
상기 수평저장부(41, 42)는 중앙에 샤프트부(13)가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샤프트관통홀(47)이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재배대본체부(10)의 중심축을 따라 샤프트부(13)가 설치되며, 이를 상하부에서 고정시키는 상, 하부프레임(15, 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15)에서 방사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부샤프트(50)와, 상기 하부프레임(17)에서 방사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하부샤프트(60) 및 상기 상부샤프트(50)와 하부샤프트(60)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샤프트(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상기 재배대본체부(10)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후술하는 LED모듈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상, 하부샤프트(50, 60)가 방사형으로 연장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 하부샤프트(50, 60)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샤프트(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샤프트(70)는 상기 재배대본체부(10)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육각기둥의 각 측면에 연장하여 6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and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샤프트(70)를 중심축으로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식물삽입부(30)에 식재된 식물을 향해 LED를 조사하는 제1LED모듈(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LED모듈(80)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LED를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LED모듈(80)을 중심으로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1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LED모듈(80)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삽입부(30)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1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installed on the first LED module (8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toward the plant insertion unit (30).
상기 재배대본체부(10) 및 이를 중심으로 한 복수의 수직샤프트(70)를 하나의 모듈로 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식물재배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샤프트(7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식물삽입부(30)를 향해 LED를 조사하는 제1LED모듈(80)에 의하여 LED가 회전되면서 다수의 재배대본체부(10)에 식재된 식물에 LED를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LED모듈(8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상기 제1LED모듈(80)을 중심으로 방열판(1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LED모듈(80)에 설치되어 식물삽입부(30)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1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기분사부에 의하여 식물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 a plurality of plant cultivation modules may be configured by using the cultivation tabl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13)를 중심축으로 상기 수직샤프트(70)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샤프트(70)에서 상기 재배대본체부(10)를 향해 제2LED모듈(90)이 설치되고, 상기 제2LED모듈(90)의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1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LED모듈(90)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삽입부(30)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2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installed on the second LED module (9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toward the plant insertion unit (30).
이는 LED모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샤프트부(13)를 중심으로 복수의 수직샤프트(70)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샤프트(70) 상에서 재배대본체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LED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재배대본체부(10)에 식재된 식물들이 회전하는 LED모듈에 의하여 LED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공기분사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This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ED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샤프트(70)는 샤프트부(13)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되는 작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상기 수직샤프트(70)는 상기 재배대본체부(10)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3개의 수직샤프트(70)가 120° 각도를 두고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개로 이루어지게 되면 수직샤프트(70) 상에 설치되는 제2LED모듈(90)은 3열의 식물에게 12시간 빛을 조사하고 60°를 회전하여 다른 3열의 식물에게 12시간 빛을 조사하고 다시 원위치되는 방식을 통해 전술한 6개의 LED모듈보다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전술한 제1LED모듈(80)에 비하여 보다 많은 동력을 요구하지만, 광원 자체가 움직임으로 인하여 빛의 도달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고 직각으로 조사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LED모듈의 개수를 6개에서 3개로 감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e or more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도 8와 도 10에서 도시되는 회전방식에 따라 식물에 빛이 도달되는 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distance at which light reaches a plant according to the rotation method shown in FIGS. 8 and 10 in a plant grow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2에서는, 전술한 제1LED모듈(80)에 의한 회전방식에서 광이 식물에 도달되는 거리(왼쪽)과 제2LED모듈(90)에 의한 회전방식에서 광이 식물에 도달되는 거리(오른쪽)을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LED모듈(80)이 샤프트축(70)에서 자체적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3열의 식물에 광이 도달하는 거리를 측정하고, 제2LED모듈(90)이 샤프트부(1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3열의 식물에 광이 도달하는 거리를 측정한 결과, LED에 직접 맞닿는 식물의 경우 동일하지만 상기 식물의 좌우측에 식재된 식물에 빛이 도달되는 거리는 제1LED모듈(80)에 비해 제2LED모듈(90)이 더욱 가깝게 이동된 상태에서 빛을 조사함으로써 광합성 효율이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12, the distance at which light reaches the plant in the rotation method by the first LED module 80 (left) and the distance that light reaches the plant in the rotation method by the second LED module 90 (right) are shown in FIG. show More specifically, as the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제2LED모듈이 3개로 이루어진 상태의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대에 있어서, 제2LED모듈과 재배대본체부가 스윙방식으로 회전하는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1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ED module is made up of three in a plant cultivation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4 is a plant cultiv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w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n which the second LED module and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rotate in a swing manner.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13)를 중심으로 상기 재배대본체부(10)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샤프트(70)에서 상기 재배대본체부(10)를 향해 제2LED모듈(90)이 설치되고, 상기 제2LED모듈(90)의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1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tabl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배대본체부(10)는 샤프트부(13)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되는 작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table
상기 수직샤프트(70)는 재배대본체부(10)를 중심으로 3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라 수직샤프트(70)에 설치되는 제2LED모듈(90) 또한 3개로 이루어져 3개열의 식물에 빛이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배대본체부(10)에 식재된 식물들은 제2LED모듈(90)로부터 빛을 조사받게 되는데 우선 3개열(도 14의 왼쪽 상단에 도시된 재배대에서 2,4,6열)에 식재된 식물들에 소정시간 LED를 조사한다. 이후 상기 제2LED모듈(90)은 샤프트부(1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60° 회전하여 1,3,5열에 식재된 식물들을 향해 LED가 조사되고, 소정시간 광합성이 이루어진 이후 다시 원위치되는 스윙방식으로 재배대본체부(10)에 식재된 식물들 전체에 대해 광합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회전방식을 갖는 LED모듈에 의하여 식물에 낮과 밤을 설정해줄 수 있는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 간격으로 이격된 LED에서 빛이 분산되면서 식물에 조사하게 되면, LED모듈에 근접한 식물들은 낮으로 인식하여 광합성이 이루어지고 근접하지 않은 나머지 식물들에 대해서도 조사되는 빛이 상대적으로 적을 뿐 LED에서 좌우측으로 분산되는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다음으로, 상기 재배대본체부(10)가 샤프트부(1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향해 120° 회전하고 소정시간 이후 다시 원위치되는 스윙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재배대본체부(10) 회전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상기 재배대본체부(1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조기 등으로부터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재배대본체부(10)가 회전하게 되면서 식물에게 공기가 균등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Next, the cultivation tab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재배대본체부
11, 12 : 수직본체부
13 : 샤프트부
15 : 상부프레임
17 : 하부프레임
19 : 결합부
20 : 양액공급부
21 : 양액공급홀
23 : 양액배출홀
30 : 식물삽입부
31 : 삽입가이드부
40 : 양액저장부
41, 42 : 수평저장부
43 : 측면인입부
45 : 측면개방부
47 : 샤프트관통홀
50 : 상부샤프트
60 : 하부샤프트
70 : 수직샤프트
80 : 제1LED모듈
90 : 제2LED모듈
100 : 방열판10: cultivation stand body part
11, 12: vertical body part
13: shaft part
15: upper frame
17: lower frame
19: coupling part
20: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1: Nutrient solution supply hole
23: Nutrient discharge hole
30: plant insertion part
31: insertion guide part
40: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41, 42: horizontal storage unit
43: side entry
45: side open part
47: shaft through hole
50: upper shaft
60: lower shaft
70: vertical shaft
80: first LED module
90: second LED module
100: heat sink
Claims (14)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되는 양액공급홀을 통해 공급되는 양액을 하부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양액공급부;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양액공급부에 연통되도록 내측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식물삽입부; 및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양액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대본체부는 상호 대칭되는 두 개의 수직본체부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부는 상호 대칭되는 두 개의 수평저장부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수직본체부가 결합된 복수의 재배대본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a cultivation tabl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 space therein;
one or mor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transferr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hrough a nutrient solution supply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 plant insertion part formed through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toward the insid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and
At least on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ble main body, the upper part is open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and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ulture table main part; includes; do,
The cultivation stand body portion is divided into two vertical body por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is divided into two horizontal storage units symmetrical to each other,
A plant cultur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table body parts to which the two vertical body parts are coupled are laminated and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식물삽입부는,
재배대본체부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삽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상기 양액공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According to claim 1,
The plant inser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n insertion guide portion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to the inside,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s a plant grow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ortion.
상기 양액공급부는 재배대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하나의 양액공급부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되,
서로 인접한 양액공급부상에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는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4.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 plurality of the insertion guide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The insertion guides formed on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상기 양액저장부는 상기 삽입가이드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액공급부와 접하는 상기 양액저장부의 측면은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는 측면인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5. The method of claim 4,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insertion guide,
A side surface of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in contact wit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side inlet portion that is drawn in toward the inside.
상기 측면인입부상에서 상기 양액공급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부에 저장된 양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측면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ant cultur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on the side inlet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side opening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두 개의 수평저장부 사이 중앙에 형성되는 샤프트관통홀;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중앙에서 상기 샤프트관통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샤프트부; 및
상기 재배대본체부의 상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부가 삽입 고정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According to claim 1,
a shaft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between the two horizontal storage units;
a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in the center of the cultivation table body portion and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Plant grow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방사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부샤프트;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방사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하부샤프트; 및
상기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샤프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8. The method of claim 7,
an upper shaft extending radially from the upper frame;
a lower shaft extending radially from the lower frame; and
a vertical shaft interconnecting the upper shaft and the lower shaft;
Plant grow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수직샤프트를 중심축으로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식물삽입부에 식재된 식물을 향해 LED를 조사하는 제1LED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9. The method of claim 8,
Plant grow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LED module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with the vertical shaft as a central axis and irradiating an LED toward the plant planted in the plant insertion unit.
상기 제1LED모듈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LED를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LED모듈을 중심으로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LED module is made to irradiate the LED in one or more directions,
Plant cultivation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sink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first LED module as a center.
상기 샤프트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수직샤프트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샤프트에서 상기 재배대본체부를 향해 제2LED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2LED모듈의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9. The method of claim 8,
The vertical shaft is made to rotate about the shaft portion as a central axis,
A second LED module is installed from the vertical shaft toward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a heat sink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LED module.
상기 수직샤프트는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되는 작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vertical shaf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shaft and the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s repeated.
상기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상기 재배대본체부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샤프트에서 상기 재배대본체부를 향해 제2LED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2LED모듈의 외측부를 따라 방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9. The method of claim 8,
The cultivation table body is made to rotate around the shaft,
A second LED module is installed from the vertical shaft toward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and a heat sink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LED module.
상기 재배대본체부는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되는 작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대.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lant cultur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ltivation table main body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shaft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re repeat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010A KR102414749B1 (en) | 2020-06-01 | 2020-06-01 | Plant cultivation using LED irradiation method |
PCT/KR2021/001683 WO2021246614A1 (en) | 2020-06-01 | 2021-02-09 | Plant cultivation board using led radi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010A KR102414749B1 (en) | 2020-06-01 | 2020-06-01 | Plant cultivation using LED irradia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8738A KR20210148738A (en) | 2021-12-08 |
KR102414749B1 true KR102414749B1 (en) | 2022-06-30 |
Family
ID=7883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6010A Active KR102414749B1 (en) | 2020-06-01 | 2020-06-01 | Plant cultivation using LED irradiation metho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4749B1 (en) |
WO (1) | WO202124661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21050B1 (en) * | 2022-09-02 | 2025-06-18 | 정린네 주식회사 | smart plant grower |
CN115413503A (en) * | 2022-09-28 | 2022-12-02 | 深业农科装备技术(深圳)有限公司 | A modular indoor planting device |
KR102618512B1 (en) * | 2022-11-04 | 2023-12-27 | 주식회사 하이퍼그린 | Rotating plant growing bed |
CN117208416B (en) * | 2023-10-11 | 2025-06-24 | 新疆天物生态环保股份有限公司 | Organic cultivation matrix storage equipment and preparation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7553B1 (en) * | 2013-09-13 | 2015-10-07 | 신안철 | Tow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raising and keeping vegetable and fruit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52697B2 (en) * | 1999-11-04 | 2009-04-08 |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KR101136032B1 (en) * | 2011-07-20 | 2012-04-18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Plant factory system |
KR101454198B1 (en) * | 2012-12-05 | 2014-11-03 | (주)대영프로파일 | Light Source for Plant Factory-Planting Bed Set Having Improved Utilization Rate for Light Source and Space and Container Type Plant Factory Applying It |
DE102015004112B3 (en) * | 2015-03-31 | 2016-05-12 | Manticore IT GmbH | Column element for a device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
-
2020
- 2020-06-01 KR KR1020200066010A patent/KR102414749B1/en active Active
-
2021
- 2021-02-09 WO PCT/KR2021/001683 patent/WO202124661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7553B1 (en) * | 2013-09-13 | 2015-10-07 | 신안철 | Tow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raising and keeping vegetable and frui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8738A (en) | 2021-12-08 |
WO2021246614A1 (en) | 2021-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4749B1 (en) | Plant cultivation using LED irradiation method | |
KR101125247B1 (en) | A water culture device having had multilayer structure | |
KR101423127B1 (en) |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 |
KR101414261B1 (en) | Prefabricated vertical aquaponic system | |
CN202050769U (en) | Vegetable growing shelf for household three-dimensional production | |
JP6249153B2 (en) | Vertical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JP2008154512A (en) |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apparatus for straw | |
KR101321441B1 (en) | Green barley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and device | |
KR101581432B1 (en) | Water culture device of Rotation type | |
CN102511330B (en) | Planting frame | |
KR20140122821A (en) | Hydroponic culturing device | |
KR20120128526A (en) |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 |
JP5330162B2 (en) | Closed plant factory | |
CN104871951A (en) | Rotary water culturing device | |
KR20200140747A (en) | multi stage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coco culture medium | |
KR20160101455A (en) | Hydroponic cultivating apparatus | |
TWI641312B (en) | Hydroponic plant device with adjustable plant spacing | |
TWM437047U (en) | Light-emitting diode optic plate three-dimensional multi-layer membrane hydroponic cultivation rack | |
CN202958384U (en) | Lamp tube hidden type environment-friendly water tillage cultivation system | |
KR20210038131A (en) | Hydroponic plant | |
CN207185522U (en) | A kind of circulating soilless culture system of nutrient solution | |
KR101789810B1 (en) | Rotation water culture machine | |
CN112088769B (en) | Soilless culture vegetable planting cabinet and use method thereof | |
WO2023172120A1 (en) | Vertical hydroponic system with climate control for horticultural production | |
KR102492425B1 (en) | System for plant cultiv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