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6313B1 -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313B1
KR102366313B1 KR1020170115417A KR20170115417A KR102366313B1 KR 102366313 B1 KR102366313 B1 KR 102366313B1 KR 1020170115417 A KR1020170115417 A KR 1020170115417A KR 20170115417 A KR20170115417 A KR 20170115417A KR 102366313 B1 KR102366313 B1 KR 10236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lease layer
adhesive force
display panel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617A (ko
Inventor
최동완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1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313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937,124 priority patent/US10777769B2/en
Priority to CN202311167292.3A priority patent/CN116963521A/zh
Priority to CN201810755433.6A priority patent/CN109473421B/zh
Publication of KR2019002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617A/ko
Priority to US17/007,111 priority patent/US11329256B2/en
Priority to KR1020220021080A priority patent/KR102481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313B1/ko
Priority to US17/726,238 priority patent/US11849600B2/en
Priority to KR1020220180752A priority patent/KR20240098730A/ko
Priority to KR1020220180751A priority patent/KR102677960B1/ko
Priority to US18/356,017 priority patent/US20240215320A1/en
Priority to GB2313245.9A priority patent/GB2625618A/en
Priority to DE102023126548.2A priority patent/DE102023126548A1/de
Priority to CN202311679156.2A priority patent/CN118234281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01L51/5253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01L27/32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접촉하는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형층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다.

Description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PROTECTIVE FILM,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 중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소정의 공정 과정 동안 보호 필름에 의해 표시 패널은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접촉하는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형층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의 두께는 상기 보상층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은 고분자 수지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이형층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은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 및 상기 제1 점착력보다 작은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력 및 상기 제2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의 경계와 중첩하는 상기 쿠션층의 일 영역에는 홈 또는 홀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상층은 상기 보호지 아래에 배치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정전기 방지층, 상기 제1 정전기 방지층 아래에 배치된 유색층, 및 상기 유색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정전기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이형층과 상기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형층과 상기 쿠션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보호지, 상기 보호지 아래에 배치된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형층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의 두께는 상기 보상층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쿠션층은 고분자 수지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이형층의 일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은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 및 상기 제1 점착력보다 작은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의 경계와 중첩하는 상기 쿠션층의 일 영역에는 홈 또는 홀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과 상기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형층과 상기 쿠션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층은 제1 정전기 방지층, 상기 제1 정전기 방지층 아래에 배치된 유색층, 및 상기 유색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정전기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제조 방법은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되며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점착력보다 큰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이형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표시 패널의 배면에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상기 보상층이 접촉되도록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을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된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은 상기 제1 점착력보다 크고 상기 제2 점착력보다 작은 제3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 및 상기 제1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된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의 경계와 중첩하는 상기 쿠션층의 일 영역에 홈 또는 홀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표시 패널의 배면에 정렬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상기 보상층이 접촉되도록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형층을 상기 표시 패널에 접촉된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은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 상기 제1 점착력보다 작은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 중 상기 제2 서브 이형층만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의 경계와 중첩하는 상기 쿠션층의 일 영역에 홈 또는 홀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 아래에 배치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접촉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및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형층 및 상기 쿠션층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2 영역과 비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브래킷의 일 영역에는 오목한 홈이 제공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보호 필름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보호 필름의 외곽 부분은 상기 제2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박형화 됨에 따라, 표시 패널에 보상층만이 부착되는 표시 모듈의 경우, 보상층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세트 조립 전에 다양한 형태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의 이동 중 찍힘 등에 의해 외관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표시 패널이 플렉서블한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갖는 경우, 외관 손상에 의해 표시 패널의 기능에 불량이 발생될 수 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층이 보상층 아래에 부착된다. 따라서, 표시 모듈이 세트와 조립되기 전까지 표시 패널의 배면은 쿠션층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세트 조립 전 표시 모듈로부터 보호 필름의 구성 중 일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트 조립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세트 조립 전 표시 모듈로부터 보호 필름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트 조립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4의 I-I`을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도 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면(IS)을 통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면(IS)이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미도시)의 표시면(미도시)은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에서 표시 장치(DD)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스마트폰, 태블릿,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다.
표시면(IS)은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D-DA) 및 표시 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DD-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영상(IM)의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 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DD-NDA)은 표시 영역(DD-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 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의 전면에 비표시 영역(DD-NDA)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윈도우(100), 표시 패널(200), 감지 유닛(300), 보상층(400), 브래킷(500), 전자 부품(600), 및 후면 케이스(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브래킷(500), 전자 부품(600), 및 후면 케이스(700)가 생략되어 도시되었다.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00)는 유리, 사파이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200)이 제공하는 영상(IM, 도 1 참조)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영상(IM, 도1 참조)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200)의 일 예로 유기발광 표시 패널에 대해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200)은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또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0)은 베이스필름(BS), 회로층(ML), 발광소자층(EL), 및 박막 봉지층(ECL)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필름(BS)은 플렉서블한 필름일 수도 있고, 리지드한 필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필름(BS)은 플라스틱 필름, 유리 필름, 메탈 필름,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ML)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 복수 개의 도전층들 및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ML)의 복수 개의 도전층들은 신호라인들 또는 화소의 제어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발광소자층(EL)은 표시 소자, 예컨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200)의 종류에 따라, 발광소자층(EL)은 무기발광 다이오드 또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CL)은 발광소자층(EL)을 밀봉한다. 박막 봉지층(ECL)은 복수개의 무기 박막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박막들은 수분 및 산소로부터 발광소자층(EL)을 보호하고, 유기 박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소자층(EL)을 보호한다.
감지 유닛(300)은 표시 패널(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 유닛(300)은 외부 입력을 저항막 방식, 상호 정전용량 방식, 자기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감지 유닛(300)의 동작 방식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스타일러스 펜,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지 유닛(300)은 사용자 의 손 등 신체의 일부가 접촉하는 터치는 물론,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공간 터치(예를 들어, 호버링)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유닛(300)은 다양한 형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200)과 감지 유닛(300)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AHL1)가 배치되고, 감지 유닛(300)과 윈도우(100) 사이에는 제2 접착 부재(AHL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AHL1, AHL2)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과 같은 유기 접착층일 수 있다. 유기 접착층은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폭시계, 또는 폴리초산비닐계 등의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층(400)은 표시 패널(2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보상층(400)은 표시 패널(200)의 배면(BL)에 부착될 수 있다. 보상층(40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 또는 ESD 테스트시 유입되는 정전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상층(400)은 유색층을 포함하여 보상층(400)으로 입사된 광이 다시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200) 아래에 배치된 구성이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인쇄회로기판(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은 표시 패널(200)과 인쇄회로기판(PCB)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일단은 박막 봉지층(ECL)에 의해 노출된 베이스 필름(BS)의 일면 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쇄회로기판(PCB)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은 플렉시블하게 제공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200)의 하부로 벤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통해 표시 패널(200)에 신호를 출력하거나 표시 패널(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벤딩됨에 따라 결합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브래킷(500)은 표시 패널(200)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다. 후면 케이스(700)는 표시 패널(200)을 수납하도록 윈도우(100)와 결합될 수 있다. 후면 케이스(7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500)과 후면 케이스(70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공간에는 전자 부품(60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부품(600)은 예를 들어, 배터리, 카메라 모듈 등일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b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a에서 설명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00)과 감지 유닛(300)은 연속된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제1 접착 부재(AHL1)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박막 봉지층(ECL)은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은 감지 유닛(300)과 가장 인접한 층일 수 있다. 버퍼층은 무기층 또는 유기층일 수 있다. 무기층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고분자, 예를 들어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00)이 제공된다. 표시 패널(200)은 앞서 도 3a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다.
도 4에서는 표시 패널(200)만을 도시하였으나, 표시 패널(200)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도 3a) 및 인쇄회로기판(PCB, 도 3a)이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도 3a) 및 인쇄회로기판(PCB, 도 3a)이 부착되기 전 상태에 표시 패널(200)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감지 유닛(300, 도 3a)과 표시 패널(200)이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감지 유닛(300, 도 3a)이 표시 패널(200)과 부착되기 전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감지 유닛(300, 도 3b)이 표시 패널(200)에 형성된 이후의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00)의 배면(BL)에 보호 필름(PF)을 정렬시킬 수 있다. 보호 필름(PF)은 보상층(400), 제1 이형층(410), 접착층(420), 쿠션층(430), 및 제2 이형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층(400) 아래에는 제1 이형층(410)이 배치되고, 제1 이형층(410) 아래에는 접착층(420)이 배치되고, 접착층(420) 아래에는 쿠션층(430)이 배치되고, 쿠션층(430) 아래에는 제2 이형층(44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배면(BL)에 보상층(400)이 접촉되도록 보호 필름(PF)이 표시 패널(200)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배면(BL)이란 영상이 표시되는 면에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배면(BL)에 보호 필름(PF)이 부착되어 표시 모듈(DM)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상층(400) 위에는 보호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00)의 배면(BL)에 보상층(400)을 부착하기 위해 상기 보호지가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층(400)은 정전기를 차단하는 역할 및/또는 표시 패널(200) 아래에 배치된 구성이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광학 보상층일 수 있다.
제1 이형층(410)의 일면에는 보상층(400)이 부착되고, 제1 이형층(410)의 타면에는 접착층(420)에 의해 쿠션층(430)이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430)이 접착층(420)을 포함하는 경우, 접착층(420)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이형층(410)의 점착력은 4gf/25mm이하일 수 있다.
접착층(420)은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폭시계, 또는 폴리초산비닐계 등의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접착층(420)의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쿠션층(430)은 고분자 수지 폼(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층(43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으로 형성된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물질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이형층(440)은 쿠션층(430)에 부착된다. 제2 이형층(440)은 제1 이형층(410)보다 큰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형층(440)은 제1 이형층(410)보다 150배 이상 큰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150배라는 것은 점착력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제2 이형층(440)은 700gf/25mm 이상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형층(440)은 731gf/25mm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이후 다양한 세트와 조립되어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DD, 도 1 참조)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세트에 조립되기 전까지 표시 패널(200)에는 보호 필름(PF)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상층(400)의 제1 두께(TN1)는 쿠션층(430)의 제2 두께(TN2)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층(400)의 제1 두께(TN1)는 0.03mm일 수 있고, 쿠션층(430)의 제2 두께(TN2)는 0.1mm 이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 도 1 참조)가 박형화 됨에 따라, 표시 패널(200)에 보상층(400)만이 부착되는 표시 모듈의 경우, 보상층(400)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세트 조립 전에 다양한 형태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의 이동 중 찍힘 등에 의해 외관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특히, 베이스 필름(BS, 도 3a 참조)이 플렉서블한 필름인 경우, 외관 손상에 의해 표시 패널(200)의 기능에 불량이 발생될 수 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0.1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쿠션층(430)이 보상층(400)아래에 부착된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이 세트와 조립되기 전까지 표시 패널(200)은 쿠션층(43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세트 조립 전에 표시 패널(200)로부터 제1 이형층(410)을 보상층(400)으로부터 분리하여, 제1 이형층(410), 접착층(420), 쿠션층(430), 및 제2 이형층(440)을 표시 패널(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표시 장치(DD, 도 1 참조)를 제공함에 있어서, 세트 조립 전 상태의 표시 모듈(DM)에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층의 단면도이다. 하지만, 보상층(400)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상층(400)은 점착층(401), 제1 정전기 방지층(402), 유색층(403), 및 제2 정전기 방지층(404)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401)은 표시 패널(200)의 배면(BL)에 부착될 수 있다. 점착층(401)은 실리콘 점착제일 수 있다.
제1 정전기 방지층(402) 및 제2 정전기 방지층(404)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 또는 ESD 테스트시 유입되는 정전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정전기 방지층(402) 및 제2 정전기 방지층(404)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고, 제1 정전기 방지층(402) 및 제2 정전기 방지층(404)이 모두 생략될 수도 있다.
유색층(403)은 보상층(400)으로 입사된 광이 다시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200) 아래에 배치된 구성이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유색층(403)은 블루 잉크 또는 블랙 잉크를 포함할 수 있고, 유색층(403)의 색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색층(403)은 블루 잉크 또는 블랙 잉크가 프린트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세트 조립 전 표시 모듈(DM)로부터 보호 필름(PF)의 구성 중 일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PF)의 제1 이형층(410)을 표시 패널(200) 및 보상층(4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200)의 배면을 보호하던 쿠션층(430)은 세트 조립 전 단계에서 보상층(4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박형화에 요구에 따라,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보상층(400)만이 배치되더라도, 표시 패널(200)이 세트에 조립되기 전까지 쿠션층(430)에 의해 표시 패널(200)이 보호된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의 불량 발생률이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PF)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보호 필름(PF)에는 보호층(400) 위에 배치된 보호지(400p)가 더 도시되었다. 보호지(400p)는 표시 패널(200, 도 7 참조)에 보호 필름(PF)이 부착되기 전에 제거될 수 있다. 보호지(400p)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그립부(400p-H)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세트 조립 전에 보호 필름(PF)이 부착된 표시 패널(200, 도 7 참조)로부터 제1 이형층(410), 접착층(420), 쿠션층(430), 및 제2 이형층(440)을 분리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그립부(410-H)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립부(410-H)는 제1 이형층(41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부(410-H)는 평면상에서 제1 이형층(410)의 일 모서리(EG)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립부(410-H)는 제1 이형층(4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그립부(410-H)의 일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립부(410-H)의 위치, 형상, 및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보호지(400p)의 그립부(400p-H)와 제1 이형층(410)의 그립부(410-H)는 평면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트 조립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00)로부터 보상층(400)을 제외한 제1 이형층(410), 접착층(420), 쿠션층(430), 및 제2 이형층(440)을 분리한다. 이후, 보상층(400)이 부착된 표시 패널(200) 배면에 브래킷(500), 전자 부품(600) 및 후면 케이스(700)가 결합되어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세트 조립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 브래킷(50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PFa)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에서 설명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보호 필름(PFa)은 보상층(400), 제1 이형층(410a), 접착층(420-1, 420-2), 쿠션층(430-1, 430-2), 및 제2 이형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형층(410a)은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410-1) 및 상기 제1 점착력보다 작은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4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이형층(410-1)의 제1 점착력은 제2 서브 이형층(410-2)의 제2 점착력보다 크고, 제2 이형층(440)의 점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이형층(410-2)의 제2 점착력은 4gf/25mm이하일 수 있고, 제2 이형층(440)은 700gf/25mm 이상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이형층(410-1)의 제1 점착력은 4gf/25mm 초과 700gf/25mm 미만의 범위 중에 선택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0gf/25mm 이상 300gf/25mm 이하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a)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세트 조립 전 표시 모듈(DMa)로부터 보호 필름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트 조립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보호 필름(PFa)이 부착되어 표시 모듈(DMa)이 형성된다. 보호 필름(PFa)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0에서 설명되었다.
보호 필름(PFa)은 제1 영역(RMA)과 제2 영역(R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보호 필름(PFa)을 바라보았을 때, 제1 영역(RMA)은 제1 서브 이형층(410-1)과 중첩하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영역(RA)은 제2 서브 이형층(410-2)과 중첩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평면상에서 바라본다는 의미는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으로 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접착층(420-1, 420-2) 및 쿠션층(430-1, 430-2) 각각의 제1 영역(RMA)에 중첩하는 부분은 제1 접착층(420-1) 및 제1 쿠션층(430-1)이라 정의되고, 제2 영역(RA)에 중첩하는 부분은 제2 접착층(420-2) 및 제2 쿠션층(430-2)이라 정의된다.
도 12에서는 세트 조립 전에 보상층(400)으로부터 제2 서브 이형층(410-2)이 분리된다. 즉, 제2 서브 이형층(410-2), 제2 접착층(420-2), 제2 쿠션층(430-2), 및 제2 이형층(440)은 표시 패널(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0)에는 보상층(400), 제1 서브 이형층(410-1), 제1 접착층(420-1), 및 제1 쿠션층(430-1)만이 남아있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200) 배면에 브래킷(500-1), 전자 부품(600) 및 후면 케이스(700)를 결합하여 세트를 조립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는 보상층(400)이 전체적으로 부착되고, 보상층(400) 아래에는 일부 영역에만 제1 서브 이형층(410-1), 제1 접착층(420-1), 및 제1 쿠션층(430-1)이 배치된다. 제1 서브 이형층(410-1), 제1 접착층(420-1), 및 제1 쿠션층(430-1)은 평면 상에서 제1 영역(RMA, 도 11 참조)과 중첩하고, 제2 영역(RA, 도 11 참조)과 비중첩할 수 있다.
브래킷(500-1)에는 오목한 홈(500-1H)이 제공될 수 있다. 홈(500-1H)의 위치는 제1 서브 이형층(410-1), 제1 접착층(420-1), 및 제1 쿠션층(430-1)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한 홈(500-1H)은 평면 상에서 제1 영역(RMA, 도 11 참조)과 중첩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배면 중 일부 영역에는 브래킷(500-1) 내에 홈(500-1H)에 의해 쿠션층이 부착될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영역(예를 들어, 제2 영역(RA))에서는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박형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2 서브 이형층(410-2), 제2 접착층(420-2), 및 제2 쿠션층(430-2)이 제거될 수 있고, 다른 일부 영역(예를 들어, 제1 영역(RMA))에서는 제1 서브 이형층(410-1), 제1 접착층(420-1), 및 제1 쿠션층(430-1)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PFa)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호 필름(PFa)의 제1 영역(RMA)과 제2 영역(RA)의 경계에는 홀(HL)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제1 영역(RMA)과 제2 영역(RA)의 경계에 홀(HL)이 실선으로 도시되었으나, 홀(HL)은 보호 필름(PFa)의 모든 구성 또는 최외곽 구성에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a 내지 도 15c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보호 필름(PFa)의 그립부(410-H)는 앞서 설명한 제2 서브 이형층(410-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립부(410-H)를 이용하여 제2 서브 이형층(410-2)이 보상층(4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1 접착층(420-1)과 제2 접착층(420-2) 사이의 경계, 및 제1 쿠션층(430-1)과 제2 쿠션층(430-2) 사이의 경계에는 절취가 용이하도록 홀(HL)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이형층(440)은 세트 조립 전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이형층(440)에는 홀(HL)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홀(HLa)은 연장되어 제2 이형층(440)까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접착층(420-1)과 제2 접착층(420-2) 및 제1 쿠션층(430-1)과 제2 쿠션층(430-2)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420-1)과 제2 접착층(420-2) 및 제1 쿠션층(430-1)과 제2 쿠션층(430-2) 각각은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접착층(420-1)과 제2 접착층(420-2)의 경계 및 제1 쿠션층(430-1)과 제2 쿠션층(430-2)의 경계 중 어느 하나는 분리되어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홀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보호 필름(PFa)의 제1 영역(RMA)과 제2 영역(RA)의 경계에는 홈(HM)이 제공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영역(RMA)과 제2 영역(RA)의 경계에 홈(HM)이 도시되었으나, 홈(HM)은 보호 필름(PFa)의 모든 구성 또는 최외곽 구성에 제공된 것은 아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접착층(420-1)과 제2 접착층(420-2)의 경계 및 제1 쿠션층(430-1)과 제2 쿠션층(430-2)의 경계에 홈(HM)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홈(HM)이 제1 접착층(420-1)과 제2 접착층(420-2) 사이의 경계를 관통하여 제1 쿠션층(430-1)과 제2 쿠션층(430-2)의 경계의 일부분까지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홈(HM)의 깊이(HDT)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17에서는 홈(HM)의 깊이(HDT)가 제1 접착층(420-1)의 두께보다 크고 제1 접착층(420-1)의 두께와 제1 쿠션층(430-1)의 두께의 합보다는 작은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홈(HM)의 깊이(HDT)는 제1 접착층(420-1)의 두께와 제1 쿠션층(430-1)의 두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홈(HM)의 깊이(HDT)는 제1 접착층(420-1)의 두께와 제1 쿠션층(430-1)의 두께의 합보다 커서, 홈(HM)이 제2 이형층(440)까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홈(HM)은 제1 접착층(420-1) 및 제2 접착층(420-2)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제공될 수도 있고, 제1 쿠션층(430-1) 및 제2 쿠션층(430-2)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보호 필름(PFb)의 제1 영역(RMAa)과 제2 영역(RAa)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첨부된 도면이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최외곽 부분의 두께를 줄여 박형의 표시 장치(DD, 도 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중심 부분과 대응하는 영역에는 쿠션층이 배치될 공간의 여유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8과 같이 제1 영역(RMAa)은 보호 필름(PFb)의 중심 부분에 정의되고, 제2 영역(RAa)은 보호 필름(PFb)의 외곽 부분에 정의될 수 있다. 앞서, 도 10 내지 도 1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제1 영역(RMAa)과 중첩하는 보호 필름(PFb)의 제1 이형층, 접착층, 및 쿠션층은 표시 패널(200, 도 4 참조)에 부착되어 제공되고, 제2 영역(RAa)과 중첩하는 보호 필름(PFb)의 제1 이형층, 접착층 및 쿠션층은 보상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영역(RMAa)과 제2 영역(RAa)의 경계에는 도 14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홈 또는 홀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200: 표시 패널
PF: 보호 필름 400: 보상층
410: 제1 이형층 420: 접착층
430: 쿠션층 440: 제2 이형층

Claims (26)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접촉하는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형층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은 표시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의 두께는 상기 보상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표시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고분자 수지 폼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이형층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은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 및 상기 제1 점착력보다 작은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력 및 상기 제2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은 표시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의 경계와 중첩하는 상기 쿠션층의 일 영역에는 홈 또는 홀이 제공되는 표시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층은 제1 정전기 방지층, 상기 제1 정전기 방지층 아래에 배치된 유색층, 및 상기 유색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정전기 방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이형층과 상기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형층과 상기 쿠션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9. 보호지;
    상기 보호지 아래에 배치된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형층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은 보호 필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의 두께는 상기 보상층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쿠션층은 고분자 수지 폼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이형층의 일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은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 및 상기 제1 점착력보다 작은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13. 제12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의 경계와 중첩하는 상기 쿠션층의 일 영역에는 홈 또는 홀이 제공되는 보호 필름.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과 상기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형층과 상기 쿠션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보호 필름.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층은
    상기 보호지 아래에 배치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정전기 방지층;
    상기 제1 정전기 방지층 아래에 배치된 유색층; 및
    상기 유색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정전기 방지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16.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되며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점착력보다 큰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이형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표시 패널의 배면에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상기 보상층이 접촉되도록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을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된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제조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은 상기 제1 점착력보다 크고 상기 제2 점착력보다 작은 제3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 및 상기 제1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된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의 경계와 중첩하는 상기 쿠션층의 일 영역에 홈 또는 홀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제조 방법.
  20.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표시 패널의 배면에 정렬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상기 보상층이 접촉되도록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형층,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제2 이형층을 상기 표시 패널에 접촉된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이형층의 점착력보다 작은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은 제1 점착력을 갖는 제1 서브 이형층 상기 제1 점착력보다 작은 제2 점착력을 갖는 제2 서브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 중 상기 제2 서브 이형층만을 분리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이형층과 상기 제2 서브 이형층의 경계와 중첩하는 상기 쿠션층의 일 영역에 홈 또는 홀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4.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 아래에 배치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접촉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보상층;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된 제1 이형층; 및
    상기 제1 이형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형층 및 상기 쿠션층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2 영역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브래킷의 일 영역에는 오목한 홈이 제공되는 표시 장치.
  26. 제24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보호 필름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보호 필름의 외곽 부분은 상기 제2 영역으로 정의되는 표시 장치.
KR1020170115417A 2017-09-08 2017-09-08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Active KR10236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417A KR102366313B1 (ko) 2017-09-08 2017-09-08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5/937,124 US10777769B2 (en) 2017-09-08 2018-03-27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2311167292.3A CN116963521A (zh) 2017-09-08 2018-07-11 显示模块、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CN201810755433.6A CN109473421B (zh) 2017-09-08 2018-07-11 显示模块、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US17/007,111 US11329256B2 (en) 2017-09-08 2020-08-31 Protective film,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0220021080A KR102481443B1 (ko) 2017-09-08 2022-02-17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7/726,238 US11849600B2 (en) 2017-09-08 2022-04-21 Protective film,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0220180751A KR102677960B1 (ko) 2017-09-08 2022-12-21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20180752A KR20240098730A (ko) 2017-09-08 2022-12-21 발광 표시 장치
US18/356,017 US20240215320A1 (en) 2017-09-08 2023-07-20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GB2313245.9A GB2625618A (en) 2017-09-08 2023-08-31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23126548.2A DE102023126548A1 (de) 2017-09-08 2023-09-28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CN202311679156.2A CN118234281A (zh) 2017-09-08 2023-12-07 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417A KR102366313B1 (ko) 2017-09-08 2017-09-08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80A Division KR102481443B1 (ko) 2017-09-08 2022-02-17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17A KR20190028617A (ko) 2019-03-19
KR102366313B1 true KR102366313B1 (ko) 2022-02-23

Family

ID=6563162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417A Active KR102366313B1 (ko) 2017-09-08 2017-09-08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20021080A Active KR102481443B1 (ko) 2017-09-08 2022-02-17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20180751A Active KR102677960B1 (ko) 2017-09-08 2022-12-21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20180752A Pending KR20240098730A (ko) 2017-09-08 2022-12-21 발광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80A Active KR102481443B1 (ko) 2017-09-08 2022-02-17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20180751A Active KR102677960B1 (ko) 2017-09-08 2022-12-21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20180752A Pending KR20240098730A (ko) 2017-09-08 2022-12-21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777769B2 (ko)
KR (4) KR102366313B1 (ko)
CN (3) CN109473421B (ko)
DE (1) DE102023126548A1 (ko)
GB (1) GB26256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313B1 (ko) * 2017-09-08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388933B1 (ko) * 2017-09-29 2022-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CN109585700B (zh) * 2018-12-14 2020-06-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00138529A (ko) 2019-05-30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799440B1 (ko) 2019-07-26 202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7519A (ko) * 2019-08-0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3883A (ko) *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812646B1 (ko) 2020-02-03 2025-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CN111864115B (zh) * 2020-07-28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23828A (ko) 2020-08-19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형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홀 검사 방법
KR102823680B1 (ko) * 2020-08-27 2025-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CN112341949B (zh) * 2020-11-03 2022-1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保护膜、保护膜贴附方法、显示模组、显示装置
KR20220115647A (ko) * 2021-02-08 2022-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JP7503668B2 (ja) * 2022-01-21 2024-06-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積層体
US12194852B2 (en) * 2022-04-28 2025-01-14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 Ltd. Display device and input device
CN114708800B (zh) * 2022-04-29 2023-11-1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4999328A (zh) * 2022-06-28 2022-09-02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保护结构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19A (ko) * 2006-07-04 2008-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도전성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080070448A (ko)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32985B1 (ko) * 2008-04-17 2009-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10177390A (ja) 2009-01-29 2010-08-12 Sony Corp 素子の移載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0137523A1 (ja) * 2009-05-26 2010-12-02 三菱樹脂株式会社 再剥離性を有する粘着材
US8780579B2 (en) * 2011-01-05 2014-07-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830243B1 (ko) 2011-11-09 2018-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보호필름 박리시스템
KR101931336B1 (ko) * 2012-04-16 2018-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용 전사필름 및 전사필름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076151A (ko) 2012-12-12 2014-06-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방현필름 제조방법
KR101596725B1 (ko) * 2013-05-22 2016-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충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66896B1 (ko) 2014-05-08 2020-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8409B1 (ko) 2014-07-30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용 수지 조성물,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365738B1 (ko) * 2015-03-10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321611B1 (ko) 2015-03-10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N107921738A (zh) * 2015-08-12 2018-04-17 富士胶片株式会社 层叠膜
KR102310101B1 (ko) * 2017-03-27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반사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66313B1 (ko) * 2017-09-08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1800755B2 (en) * 2018-03-30 2023-10-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9600B2 (en) 2023-12-19
US11329256B2 (en) 2022-05-10
CN116963521A (zh) 2023-10-27
GB202313245D0 (en) 2023-10-18
KR102677960B1 (ko) 2024-06-25
GB2625618A (en) 2024-06-26
CN109473421B (zh) 2023-09-29
US20200403183A1 (en) 2020-12-24
US20240215320A1 (en) 2024-06-27
KR20240098730A (ko) 2024-06-28
US20190081274A1 (en) 2019-03-14
KR20230005081A (ko) 2023-01-09
KR102481443B1 (ko) 2022-12-27
DE102023126548A1 (de) 2024-06-27
KR20220026565A (ko) 2022-03-04
US20220246886A1 (en) 2022-08-04
US10777769B2 (en) 2020-09-15
CN118234281A (zh) 2024-06-21
KR20190028617A (ko) 2019-03-19
CN109473421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443B1 (ko)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45623B1 (ko) 표시 장치
CN110853495B (zh) 显示设备和使用显示设备制造电子设备的方法
KR102604070B1 (ko) 표시 장치
KR102604087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07693B1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7384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021231A (zh) 显示装置
US10353430B2 (en)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487600B1 (ko)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222482892U (zh) 显示装置
KR10255796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082805A1 (zh) 电子设备
US20160179257A1 (en) Display apparatus
CN217740539U (zh) 显示装置
KR102350858B1 (ko)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250185197A1 (en) Display device
CN118112697A (zh) 显示装置制造方法以及保护膜组件
CN115938239A (zh) 显示模块及其制造方法
CN119604153A (zh) 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20220030355A (ko) 표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21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