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5631B1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631B1
KR102365631B1 KR1020180002910A KR20180002910A KR102365631B1 KR 102365631 B1 KR102365631 B1 KR 102365631B1 KR 1020180002910 A KR1020180002910 A KR 1020180002910A KR 20180002910 A KR20180002910 A KR 20180002910A KR 102365631 B1 KR102365631 B1 KR 10236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lling part
module
battery cells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775A (ko
Inventor
권동근
송이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0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631B1/ko
Priority to PL19738430.8T priority patent/PL3654445T3/pl
Priority to PCT/KR2019/000228 priority patent/WO2019139316A1/ko
Priority to EP19738430.8A priority patent/EP3654445B1/en
Priority to US16/763,514 priority patent/US11509004B2/en
Priority to JP2020505332A priority patent/JP7045562B2/ja
Publication of KR2019008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6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heat storage or buffering, e.g. heat capacity or liquid-solid phase changes or tran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추가 제어 없이 온도에 따라 스웰링 발생 시 생성되는 스웰링 압력이 상쇄되도록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구조로 변형되거나, 배터리 셀이 효율적으로 냉각되는 구조로 변형되는 충진부가 구비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추가 제어 없이 온도에 따라 스웰링 발생 시 생성되는 스웰링 압력이 상쇄되도록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구조로 변형되거나, 배터리 셀이 효율적으로 냉각되는 구조로 변형되는 충진부가 구비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나 청정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전기화학을 이용한 발전, 축전 분야이다.
현재 이러한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배터리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배터리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사이클 수명이 길고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배터리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파우치형 배터리는 고객 요구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구조 변경이 가능하여 제품응용력이 뛰어나고, 금속캔 형태의 배터리케이스를 사용한 배터리에 비해 다품종 소량생산에 유리하다.
한편, 상기 배터리 셀은 장시간 동안 고온 저장되거나 충전기나 전방 제어 회로 등의 고장으로 인한 과충전, 과방전 또는 내부 단락과 같은 이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전해질의 분해 또는 부반응에 기인한 스웰링 현상으로 부풀게 된다.
이와 같은 스웰링 현상은 파우치 외장재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파우치 외장재의 실링 영역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파우치 외장재의 실링 영역을 통해 전해액을 누출시키거나 전해질의 부 반응의 가속화를 유발되어 파우치 외장재의 내부를 고온 및 고압 환경으로 만듦에 따라 배터리 셀을 발화 또는 폭발시킨다.
또한, 배터리를 고온에서 방치할 경우, 상기 전해질의 분해 또는 부반응이 고온에서 촉진되어 스웰링 현상이 촉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배터리 내의 온도가 상승하면 전해액이 좀 더 활발히 분해되거나 추가적인 부반응이 일어나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와 같은 가스가 다량 생성되어 저온에서보다 빠르게 배터리 셀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웰링 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배터리 모듈들은 도1 및 도2와 같은 대안을 구비하였다.
도1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의 구조도이고, 도2는 종래의 또 다른 배터리 모듈의 구조도이다.
도1의 종래의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 사이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구조로서, 고온에서 가속화되는 스웰링 현상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도1의 냉매 순환구조는 냉매를 수용하고 있는 냉매 수용부가 냉매를 전송하면 배터리 셀 외측에 형성된 냉매 관을 통해 냉매가 통과한다.
그런 후, 상기 관을 통과한 냉매는 냉매 펌프로 모여 냉매 수용부로 전송됨에 따라 냉매 수용부에 다시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냉매를 통해 직접적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를 낮춤에 따라 빠르게 배터리 셀의 온도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지만 저온에서 스웰링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2의 종래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 사이에 격벽이 형성되어 배터리 셀이 케이스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스웰링 현상 시 배터리 셀 내의 증가하는 압력을 격벽이 상쇄시켜 스웰링 현상을 지연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케이스 내에 삽입된 배터리 셀의 넓은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고온 시 각각의 배터리 셀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의 온도에 의한 스웰링 현상을 억제시키는 방법뿐만 아니라 좀 더 효율적으로 스웰링 현상을 억제 또는 저감시키는 대안이 필요하다.
KR 1340365 B1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온도를 용이하게 감소시키며 스웰링 현상에서 발생되는 스웰링 압력을 상쇄시키는 구성이 구비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 사이에 구비되는 충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 미만 경우,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배터리 셀이 지지되도록 충진부의 부피가 증가하는 형태로 구조가 변형되고,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복수개의 셀들 사이에서 냉각 유로가 확보되도록 충진부의 부피가 감소하는 형태로 구조가 변형된다.
상기 충진부는, 온도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는 형상변형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진부는, 판상형 형태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개별적으로 형성된 충진부 몸체 및 상기 충진부 몸체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여 충진부 몸체가 고정되도록 모듈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충진부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진부 몸체는,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배터리 셀이 배치된 방향으로 각각 구부러지는 제1 형상 및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각각 평행하게 펴지는 제2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충진부 고정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충진부 및 배터리 셀 사이의 빈 공간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 사이에 구비되는 충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배터리 셀이 지지되도록 시간에 따라 충진부의 부피가 증가하는 형태로 구조가 변형된다.
상기 충진부는, 충진부 외면을 형성하는 충진부 커버, 상기 충진부 커버 내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유입되는 용액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는 압축성 팽창부재 및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와 연결되어 압축성 팽창부재에 공급되는 용액이 저장된 용액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진부는,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와 상기 용액 저장부 내측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어 용액 저장부로부터 용액을 압축성 팽창부재에 전달하는 용액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단위 모듈로서 포함하고 있는 대용량의 배터리 팩을 형성하며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고온 시 배터리 셀의 냉각을 용이하게 하며, 저온 시 배터리 셀을 지지하여 스웰링 현상이 억제 또는 저감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안전한 모듈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의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배터리 팩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온 상태에서 부피가 감소한 충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온 상태에서 부피가 증가한 충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측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온 상태에서 부피가 증가한 충진부의 상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내 충진부의 상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식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실시 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고온에서 가속화되는 스웰링 현상을 억제 또는 저감시키기 위하여 배터리 셀 사이에 배치되는 충진부의 형태가 온도에 따라 스스로 변형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별도의 제어 없이도 배터리 셀 보호가 가능함에 따라 안전하고 효율적이게 배터리 모듈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온상태에서 부피가 감소한 충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온상태에서 부피가 증가한 충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이 실장되는 모듈 케이스(120), 모듈 케이스(120)와 배터리 셀(110) 사이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들 사이에 구비되는 충진부(130) 및 충진부와 배터리 셀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유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100)에 대한 구성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모듈 케이스(120)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충진부(130)도 내측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듈 케이스(120)는 상기 배터리 모듈(100)을 장착하는 디바이스 또는 배터리 팩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110)은 파우치 형태로 복수개 형성된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다수의 양극전극(알루미늄호일)과 음극전극(구리호일)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거나 양극전극과 음극전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시켜 둘둘 만 후, 양극전극에는 양극탭, 음극전극에는 음극탭을 용접하고, 알루미늄 파우치로 감싸 밀봉한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배터리 셀(110)은 장시간 동안 고온 저장되거나 충전기나 전방 제어 회로 등의 고장으로 인한 과충전, 과방전 또는 내부 단락과 같은 이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전해질의 분해 또는 부반응에 기인한 스웰링 현상으로 부풀게 된다.
상기 스웰링 현상은 전해액 분해 또는 부반응 시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와 같은 가스가 발생되어 배터리 셀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발화 및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웰링 현상은 고온에서 촉진되는데 이러한 전해질의 분해 및/또는 부반응을 억제 또는 저감시키는 방법은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 셀의 표면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배터리 셀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야 한다.
또한, 스웰링 현상이 기 발생되는 경우, 이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 셀 내에서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스웰링 압력을 상쇄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이와 같이 스웰링 압력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 셀이 외부구조를 통해 지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충진부(130)를 통해 용이하게 해결 가능하며 충진부(130)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충진부(130)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 미만 경우,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배터리 셀이 지지되도록 충진부(130)의 부피가 증가하는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복수개의 셀들 사이에서 냉각 유로(140)가 확보되도록 충진부(130)의 부피가 감소하는 형태로 변형된다.
여기서 소정의 온도 값은 일 실시 예로서, 30℃로 설정하여 적정 구동온도인 45℃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충진부(130)는 온도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바이메탈, 형상 기억합금, 형상기억수지 또는 온도감지용 수지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충진부(130)는 일 실시 예로서,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은 일정한 형상을 기억하여 외력에 의해 변형시킨다 해도 일정온도에 이르면 본래의 모습을 되찾는 강자성 합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TiNi, NiAl, CuZn, FeNiTiCo, TiNb, MnCu 및 FeCrNi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TiNi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한 방향의 기억형상 특징을 가지는 일방향 형상기억합금과 두 방향의 기억형상 특징을 가지는 이방향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온도 값 이상에서 수축되고 소정의 온도 값 미만에서 팽창되는 두 가지 형태로 형상이 변형되어야 하므로 이방향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진부의 구성은 도 5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온 상태에서 부피가 증가한 충진부의 상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충진부(130)는 판상형 형태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개별적으로 형성된 충진부 몸체(131) 및 충진부 몸체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여 충진부 몸체가 고정되도록 모듈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충진부 고정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충진부 고정부(132)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충진부 몸체(131)에서의 형태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충진부 몸체(131)의 부피가 증가하면 충진부 고정부(132)의 길이가 소정 범위 연장되고, 충진부 몸체(131)의 부피가 감소하면 충진부 고정부(132)의 길이는 원래 길이로 회복된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일 실시 예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충진부 몸체(131)는 이방향 형상기억합금으로 인하여 두 가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도3내지 도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충진부 몸체(131)의 형태 중 하나는 상기 도4에서의 배터리 모듈 내 충진부의 부피가 증가한 제1 형상으로서, 제1 형상은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 값 미만인 경우, 충진부 몸체(131) 중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배터리 셀이 배치된 방향으로 각각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충진부 몸체(131)의 구부러지는 형태는 상기 도5에서와 같이 마루를 이루며 형성되지만 상태의 배터리 셀의 넓은 면과 충진부 몸체(131)의 마루가 접촉됨에 따라 충진부 몸체(131)가 눌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진부 몸체(131)와 배터리 셀(110)의 접촉은 스웰링 발생 시 배터리 셀 내측에서 발생되는 스웰링 압력이 상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진부 몸체(131)의 형상변형소재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29℃인 경우,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상이 변화하는 값이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하나의 형태는 상기 도3에서의 배터리 모듈 내 충진부의 부피가 감소한 제2 형상으로서,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각각 평행하게 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고온임에 따라 가속화되는 스웰링현상을 억제하고자, 각 배터리 셀의 온도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 감소를 위해서는 배터리 셀의 넓은 면을 공기 중에 노출시켜 배터리 셀 주변의 공기에 열이 전달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도4에서의 제1 형상을 통해서는 충진부 몸체(131)와 맞닿는 배터리 셀의 넓은 면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이 어려우므로 상기 도3에서의 제2 형상으로 형태가 변형되 배터리 셀(110)과 충진부(130) 간에 소정 간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소정 간격은 냉각유로(140)를 형성하여 배터리 셀을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충진부 몸체(131)의 형상변형소재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30℃인 경우, 평행하게 펴지는 형태로 형상이 변화하는 값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14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냉각유로(140)는 상기 충진부(130)와 배터리 셀(110)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충진부(130)와 배터리 셀(110)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흐르는 공기 통로를 의미한다.
즉,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충진부(130)의 부피가 팽창하여 냉각유로(140)의 공간이 줄어들거나 상기 배터리 셀(110)과 충진부(130)가 접하는 경우에는 냉각유로(140)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충진부(130)의 부피가 축소되어 축소된 충진부(130)의 부피만큼의 빈공간이 형성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냉각유로(140)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모듈의 구동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스웰링 발생확률에 맞춰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배터리 모듈 구동 초기의 비효율적인 스웰링 억제 구조 대신 냉각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배터리 모듈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210),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모듈 케이스(220) 및 모듈 케이스(220)와 배터리 셀(210) 사이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210)들 사이에 구비되는 충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200)에 대한 구성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모듈 케이스(220)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충진부(230)도 내측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듈 케이스(220)는 상기 배터리 모듈(200)을 장착하는 디바이스 또는 배터리 팩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210)은 파우치 형태로 복수개 형성된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다수의 양극전극(알루미늄호일)과 음극전극(구리호일)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거나 양극전극과 음극전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시켜 둘둘 만 후, 양극전극에는 양극탭, 음극전극에는 음극탭을 용접하고, 알루미늄 파우치로 감싸 밀봉한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배터리 셀(210)은 장시간 동안 고온 저장되거나 충전기나 전방 제어 회로 등의 고장으로 인한 과충전, 과방전 또는 내부 단락과 같은 이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전해질의 분해 또는 부반응에 기인한 스웰링 현상으로 부풀게 된다.
상기 스웰링 현상은 전해액 분해 또는 부반응 시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와 같은 가스가 발생되어 배터리 셀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발화 및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웰링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 셀 내에서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스웰링 압력을 상쇄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상기의 스웰링 압력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 셀이 별도의 구조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지지되어야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스웰링 현상은 배터리 모듈의 구동횟수에 따라 발생확률이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모듈 구동 초기에는 상기의 스웰링 압력을 상쇄시키는 별도의 구조가 활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상기 충진부(230)를 통해 용이하게 해결 가능하며 충진부(230)는 도7을 통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내 충진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충진부(230)는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배터리 셀이 지지되도록 시간에 따라 충진부의 부피가 증가하는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충진부(230)는 충진부 외면을 형성하는 충진부 커버(231), 충진부 커버(231) 내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유입되는 용액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는 압축성 팽창부재(232) 및 압축성 팽창부재(232)와 연결되어 내측에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저장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진부(230)는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232)와 상기 용액 저장부(233) 내측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어 용액 저장부로부터 용액을 압축성 팽창부재에 전달하는 용액 전달부재(2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충진부 커버(231)는 수축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232)가 팽창됨에 따라 부피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진부 커버(231)는 비교적 단단한 합성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나 열경화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부피가 팽창된 경우, 상기 배터리 셀(2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충진부 커버(231)는 절연소재로 이루어져 충진부 외면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과 절연상태로 형성되어 배터리 모듈 구동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232)는 상기 충진부 커버(231) 내에 구비되어 용액이 전달됨에 따라 서서히 부피가 팽창되는 구성으로서, 일 실시 예로서, 100% 순수 천연 레이온(rayon)을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완전 건조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충진부(230)의 지지력은 압축성 팽창부재(232)의 양에 따라 조절되므로 배터리 셀의 스웰링 압력에 따라 적정 양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용액 저장부(233)는 압축성 팽창부재(232)와 연결되어 압축성 팽창부재에 공급되는 용액이 저장된 구성으로서, 일 실시 예로서,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용액 저장부(233)는 다양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 실시 예로서, 산화에 대하여 안정성 있는 절연유를 사용하여 누출되는 경우,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용액 저장부(233)는 각각의 압축성 팽창부재(232)에 용액이 개별적으로 공급되도록 압축성 팽창부재(232)의 개수에 맞춰 각각의 영역이 형성되어 각 영역에 하나의 용액 전달부재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영역에 복수개의 전달부재가 같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액 전달부재(234)는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232)와 상기 용액 저장부(233) 내측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어 용액 저장부(233)로부터 용액을 압축성 팽창부재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일 실시 예로 외측은 절연소재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은 아크릴 소재의 유연한 섬유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용액 전달부재(234)는 섬유를 통해 용액이 흡수되어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232)에 전달됨에 따라 전달속도가 느려 압축성 팽창부재(232)가 서서히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용액 전달속도는 용액 전달부재(234)의 섬유 종류, 개수 및 두께에 따라 조절됨에 따라 이를 조절하여 배터리 모듈 수명에 따른 적절한 섬유의 종류, 개수와 두께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서술한 특허청구범위 기술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터리 모듈
110: 배터리 셀
120: 모듈 케이스
130: 충진부
131: 충진부 몸체
132: 충진부 고정부
200: 배터리 모듈
210: 배터리 셀
220: 모듈 케이스
230: 충진부
231: 충진부 커버
232: 압축성 팽창부재
233: 용액 저장부
234: 용액 전달부재

Claims (11)

  1.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 사이에 구비되는 충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 미만 경우,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형성된 냉각 유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배터리 셀과 접촉하여 각 배터리 셀이 지지되도록 충진부의 부피가 증가하는 형태로 구조가 변형되고,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서 냉각 유로를 확보함과 동시에, 각 배터리 셀과 접촉하지 않도록 충진부의 부피가 감소하는 형태로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온도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는 형상변형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판상형 형태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개별적으로 형성된 충진부 몸체; 및
    상기 충진부 몸체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여 충진부 몸체가 고정되도록 모듈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충진부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 몸체는,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배터리 셀이 배치된 방향으로 각각 구부러지는 제1 형상; 및
    배터리 모듈 내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각각 평행하게 펴지는 제2 형상;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 고정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충진부 및 배터리 셀 사이의 빈 공간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 사이에 구비되는 충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서 냉각 유로를 확보함과 동시에, 각 배터리 셀과 접촉하지 않도록 충진부의 부피가 감소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지다가,
    상기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 및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형성된 냉각 유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배터리 셀과 접촉하여 각 배터리 셀이 지지되도록 시간에 따라 충진부의 부피가 증가하는 형태로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충진부 외면을 형성하는 충진부 커버;
    상기 충진부 커버 내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유입되는 용액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는 압축성 팽창부재; 및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와 연결되어 압축성 팽창부재에 공급되는 용액이 저장된 용액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압축성 팽창부재와 상기 용액 저장부 내측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어 용액 저장부로부터 용액을 압축성 팽창부재에 전달하는 용액 전달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단위 모듈로서 포함하고 있는 대용량의 배터리 팩.
KR1020180002910A 2018-01-09 2018-01-09 배터리 모듈 Active KR10236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10A KR102365631B1 (ko) 2018-01-09 2018-01-09 배터리 모듈
PL19738430.8T PL3654445T3 (pl) 2018-01-09 2019-01-07 Moduł akumulatorowy
PCT/KR2019/000228 WO2019139316A1 (ko) 2018-01-09 2019-01-07 배터리 모듈
EP19738430.8A EP3654445B1 (en) 2018-01-09 2019-01-07 Battery module
US16/763,514 US11509004B2 (en) 2018-01-09 2019-01-07 Battery module
JP2020505332A JP7045562B2 (ja) 2018-01-09 2019-01-07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10A KR102365631B1 (ko) 2018-01-09 2018-01-09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75A KR20190084775A (ko) 2019-07-17
KR102365631B1 true KR102365631B1 (ko) 2022-02-21

Family

ID=6721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10A Active KR102365631B1 (ko) 2018-01-09 2018-01-09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09004B2 (ko)
EP (1) EP3654445B1 (ko)
JP (1) JP7045562B2 (ko)
KR (1) KR102365631B1 (ko)
PL (1) PL3654445T3 (ko)
WO (1) WO2019139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8101B (zh) * 2017-11-20 2022-03-29 明创能源股份有限公司 独立大电能电动设备用的热管理系统
DE102018129908A1 (de) * 2018-08-31 2020-03-05 Kautex Textron Gmbh & Co. Kg Batteriekühlelement, Batteriemoduleinheit sowie Batteriemodul
KR102557414B1 (ko) * 2019-11-05 2023-07-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가압 장치
KR20220015553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상복구 가능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2888A (ko) * 2020-11-23 2022-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냉각 구조체
JP7424337B2 (ja) * 2021-03-31 2024-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US20220407145A1 (en) * 2021-06-18 2022-12-22 Analytical Scientific Products LLC System For Fire Prevention in Battery Systems
CN113745725A (zh) * 2021-08-18 2021-12-03 恒大新能源技术(深圳)有限公司 电池模组
KR102377172B1 (ko) 2021-10-07 2022-03-22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웰링현상이 감지 및 대응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0567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들 간의 열전달이 차단되는 전지팩
DE102022128911A1 (de) 2022-11-02 2024-05-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ompressionspad mit Formgedächtnisfunktio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SE2251428A1 (en) * 2022-12-06 2024-06-07 Northvolt Systems Ab Flexible cell spacer design
KR102752852B1 (ko) * 2022-12-12 2025-01-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모듈 장치
KR102746919B1 (ko) * 2022-12-12 2024-12-2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모듈 장치
CN117712580B (zh) * 2023-07-26 2025-02-14 荣耀终端有限公司 电芯、电池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2662A (ja) 2008-10-06 2010-04-22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この二次電池による組電池、並びこれらを用いた車両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981B2 (ja) * 2000-04-13 2006-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3846243B2 (ja) * 2001-09-14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EP1970982A4 (en) * 2005-10-03 2010-01-13 Tdk Lambda Corp BATTERY PACK
JP2008300103A (ja) 2007-05-30 2008-12-11 Fuji Heavy Ind Ltd 蓄電モジュール
JP5196876B2 (ja) * 2007-06-01 2013-05-15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
JP4508221B2 (ja) * 2007-08-27 2010-07-21 豊田合成株式会社 組電池装置
JP2011096465A (ja) 2009-10-28 2011-05-12 Tokyo R & D Co Ltd 冷却板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KR101093928B1 (ko) * 2009-11-26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DE102010002000A1 (de) 2010-02-16 2011-09-08 Sgl Carbon Se Wärmeableiter und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JP2011175743A (ja) * 2010-02-23 2011-09-0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5379238B2 (ja) * 2010-03-30 2013-1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DE102011011238A1 (de) * 2011-02-15 2012-08-16 Li-Tec Battery Gmbh Gehäuse zur Aufnahme einer flachen elektrochemischen Zelle
KR101233624B1 (ko) * 2011-02-21 2013-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KR101469518B1 (ko) 2011-08-01 2014-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101496523B1 (ko) 2011-12-08 2015-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방열판
JP5580282B2 (ja) * 2011-12-09 2014-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冷却装置
US9048483B2 (en) * 2012-07-16 2015-06-02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power-supply-device separator, and power supply-device-equipped vehicle and electric power storage
US20140014418A1 (en) * 2012-07-16 2014-01-16 Tsuyoshi Komaki Power supply device, power-supply-device separator, and power-supply-device-equipped vehicle
JP2014060088A (ja) * 2012-09-19 2014-04-03 Toshiba Corp 二次電池装置および二次電池システム
KR101340365B1 (ko) * 2012-11-22 2013-12-11 자동차부품연구원 배터리 온도 조절 장치
KR101877999B1 (ko) * 2012-12-27 2018-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냉각장치
JP2014192094A (ja) 2013-03-28 2014-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蓄電池モジュール及び蓄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40121704A (ko) * 2013-04-08 2014-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지 카트리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6102455B2 (ja) 2013-04-18 2017-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
KR101605936B1 (ko) 2013-05-02 2016-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배터리 셀 내부의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배터리 팩
KR101996250B1 (ko) * 2013-06-21 2019-07-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KR101720614B1 (ko) * 2013-08-30 2017-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621880B1 (ko) * 2013-09-2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냉각 시스템
US9911951B2 (en) * 2014-09-30 2018-03-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compressed cell assembly
KR101785536B1 (ko) 2014-10-21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6166972A1 (ja) * 2015-04-16 2016-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組電池
KR102124712B1 (ko) * 2015-07-07 2020-06-18 애플 인크. 바이폴라 배터리 설계
KR101916720B1 (ko) 2016-01-05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 배터리 모듈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KR102119484B1 (ko) 2016-02-15 2020-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60830B1 (ko) 2016-03-03 201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완충부재를 구비한 셀 어셈블리
EP3419082B1 (en) * 2016-04-01 2021-06-16 LG Chem, Ltd. Battery module
CN207587926U (zh) * 2016-11-29 2018-07-06 北京科易动力科技有限公司 电池模块的吸热隔热结构
CN106785219B (zh) * 2017-01-19 2019-12-27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电动汽车、用于适配电动汽车的输液装置及散热的方法
CN106602175A (zh) * 2017-01-26 2017-04-26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电池液冷装置及电池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2662A (ja) 2008-10-06 2010-04-22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この二次電池による組電池、並びこれらを用いた車両
JP5386917B2 (ja) * 2008-10-06 2014-01-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4445A1 (en) 2020-05-20
JP7045562B2 (ja) 2022-04-01
PL3654445T3 (pl) 2023-10-23
US20200328486A1 (en) 2020-10-15
US11509004B2 (en) 2022-11-22
WO2019139316A1 (ko) 2019-07-18
EP3654445B1 (en) 2023-07-19
EP3654445A4 (en) 2021-02-24
JP2020530181A (ja) 2020-10-15
KR20190084775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631B1 (ko) 배터리 모듈
KR101292618B1 (ko) 이차전지
JP7062863B2 (ja) ベンティング部材を含むパウチ型電池セル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EP3264519B1 (en) Battery pack
CN114287082B (zh) 电池组、包括该电池组的电池架以及能量存储系统
JP6479345B2 (ja) 二次電池及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パック
EP4024593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vehicle
CN109690820B (zh) 包括热膨胀带的安全性提高的电池单元及其制造方法
KR101141061B1 (ko) 하나의 전지케이스에 다수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CN114730926A (zh) 配置为能够补充电解质溶液的袋形电池单元
CN110268549A (zh) 盒及包括盒的电池模块
US12142748B2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capable of rapid cooling, and ESS comprising same
KR102009438B1 (ko) 배터리 모듈
KR20220051890A (ko)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KR102164973B1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24534088A (ja) 安全性を高め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CN221327937U (zh) 一种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KR20240148631A (ko) 전지 모듈
KR20230063193A (ko) 스파크 차단 부재를 구비한 이차전지
KR20230133621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CN117242623A (zh) 二次电池、二次电池的制造方法和包括二次电池的装置
KR20130092791A (ko) 배터리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