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3345B1 -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345B1
KR102323345B1 KR1020150187302A KR20150187302A KR102323345B1 KR 102323345 B1 KR102323345 B1 KR 102323345B1 KR 1020150187302 A KR1020150187302 A KR 1020150187302A KR 20150187302 A KR20150187302 A KR 20150187302A KR 102323345 B1 KR102323345 B1 KR 10232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moving handrail
driving
escalator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478A (ko
Inventor
가즈후미 요시다
히로아키 하야시
다카히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4Driving gear for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과제] 내리막 운전시에 긴급 정지하는 경우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스텝보다 먼저 이동 난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에스컬레이터는, 구동 전동기(7), 검출부(22), 난간 락 장치(19) 및 제어부(23)를 구비한다. 구동 전동기(7)는, 스텝(2) 및 이동 난간(1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검출부(22)는,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을 검출한다. 난간 락 장치(19)는, 이동 난간(12)을 사이에 끼워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23)는,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되면, 스텝(2)이 정지하기 전에 난간 락 장치(19)에 의해서 이동 난간(12)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스텝 구동용 전동기와 난간 구동용 전동기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안전 장치가 동작하면, 이동 난간의 정지 위치보다 스텝의 정지 위치가 전방이 되도록 각 전동기를 제어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2-17200호 공보
내리막 운전시에 긴급 정지하는 경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스텝보다 이동 난간을 먼저 정지시키는 것이, 승객의 전도(轉倒) 등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유효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스텝 구동용 전동기와 난간 구동용 전동기 쌍방을 구비할 필요가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2개의 전동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통상 운전시에 이동 난간을 스텝에 동기(同期)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리막 운전시에 긴급 정지하는 경우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스텝보다 먼저 이동 난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에스컬레이터는, 스텝 및 이동 난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전동기와, 구동 전동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 장치가 동작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동 난간을 사이에 끼워 정지시키기 위한 난간 락 장치와,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안전 장치가 동작한 것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면, 스텝이 정지하기 전에 난간 락 장치에 의해서 이동 난간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스컬레이터라면, 내리막 운전시에 긴급 정지하는 경우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스텝보다 먼저 이동 난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난간 락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난간 락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truss)(1)는, 건물의 상하층 바닥 사이에 놓여진다. 트러스(1)는, 에스컬레이터의 자중 및 적재 하중을 지지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승객은, 상하층 바닥 사이를 이동할 때에 스텝(2)에 오른다. 스텝(2)은, 스텝 체인(3)에 연결된다. 스텝 체인(3)은, 무단(無端) 모양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스텝(2)이 스텝 체인(3)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부의 승강구(4)로부터 하부의 승강구(5)에 걸쳐서 스텝(2)이 간극없이 배치된다.
승강구(4)의 하부에, 기계실(6)이 마련된다. 기계실(6)은, 트러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기계실(6)에, 예를 들면 구동 전동기(7), 감속기(8) 및 제어 장치(9)가 구비된다. 또, 기계실(6)에 마련된 축에 스프로켓(10 및 11)이 마련된다.
구동 전동기(7)는, 스텝(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감속기(8)는, 구동 전동기(7)의 출력을 감속하고, 체인을 매개로 하여 스프로켓(10 및 11)이 마련된 축을 회전시킨다. 스텝 체인(3)은, 스텝 구동용 스프로켓(10)에 감아 걸려진다. 스프로켓(10)이 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해, 스텝(2)이 승강구(4) 및 승강구(5) 사이를 이동한다.
제어 장치(9)는, 각종 운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9)는, 통상 운전 및 긴급 정지시의 운전을 제어한다. 통상 운전은, 승객을 승강구(4)로부터 승강구(5)로 이동시키는 내리막 운전과 승객을 승강구(5)로부터 승강구(4)로 이동시키는 오르막 운전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9)에 구동 전동기(7)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동 전동기(7)의 제어는, 제어 장치(9)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동 난간(12)은, 스텝(2)에 승강하는 승객 및 스텝(2)에 오르고 있는 승객이 안전을 위해서 잡는 것이다. 이동 난간(12)은 무단 모양으로 형성된다. 스텝(2)의 양측에 난간(13)이 마련된다. 이동 난간(12)은, 상부측이, 난간(13)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동 난간(12)은, 승강구(4) 및 승강구(5)에서 상하로 반전된다. 이동 난간(12)의 하부측은, 스텝(2)의 양측에 마련된 스커트(skirt) 가이드 내에 배치된다.
이동 난간(12)은, 난간 구동 장치(14)에 의해서 구동된다. 난간 구동 장치(14)는, 예를 들면, 마찰 구동 방식에 의해서 이동 난간(12)을 구동한다. 마찰 구동 방식을 채용하는 난간 구동 장치(14)는, 예를 들면 구동 롤러(15) 및 가압 롤러(16)(도 3 참조)를 구비한다. 이동 난간(12)은, 구동 롤러(15)와 가압 롤러(16)에 의해, 상하(표리)로부터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난간 구동 장치(14)는, 이 이동 난간(12)을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구동 롤러(1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 난간(12)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동 난간(12)을 구동한다.
난간 구동용 스프로켓(11)에, 난간 체인(17)이 감아 걸려진다. 스프로켓(11)의 회전력은, 난간 체인(17)에 의해서 난간 구동 장치(14)에 전달된다. 스프로켓(11)이 상기 축 및 스프로켓(10)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 난간(12)이 난간 구동 장치(14)에 의해서 구동된다. 즉, 구동 전동기(7)는, 이동 난간(1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도 발생시킨다. 통상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이동 난간(12)은, 왕로(往路)측의 스텝(2)과 동기하도록 상하층 바닥 사이를 순환 이동한다.
안전 장치(18)는, 구동 전동기(7)를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한 어떤 상태를 검출하면 동작한다. 안전 장치(18)는, 제어 장치(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안전 장치(18)가 동작하면, 그 취지의 정보가 안전 장치(18)로부터 제어 장치(9)로 출력된다.
난간 락 장치(19)는, 이동 난간(12)을 사이에 끼워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난간 락 장치(19)는, 이동 난간(12)을 이동 및 정지시키는 난간 구동 장치(14)와는 별도로 마련된다. 난간 락 장치(19)는, 제어 장치(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난간 락 장치(19)의 제어는, 제어 장치(9)에 의해서 행해진다.
도 3 및 도 5는, 난간 락 장치(19)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통상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난간 락 장치(19)는, 예를 들면 상부 부재(19a) 및 하부 부재(19b)를 구비한다. 통상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상부 부재(19a)와 하부 부재(19b)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동 난간(12)은, 상부 부재(19a)와 하부 부재(19b)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과한다. 통상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이동 난간(12)은, 상부 부재(19a) 및 하부 부재(19b) 중 어느 쪽에도 접촉하지 않는다.
도 5는 난간 락 장치(19)가 동작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난간 락 장치(19)가 동작하면, 이동 난간(12)은, 상부 부재(19a)와 하부 부재(19b)에 의해서 상하(표리)로부터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난간 락 장치(19)는, 예를 들면 상부 부재(19a)를 이동 난간(12)측으로 밀어 붙이는 밀어붙임 부재와 하부 부재(19b)를 이동 난간(12)측으로 밀어 붙이는 밀어붙임 부재(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밀어붙임 부재는, 예를 들면 스프링이라도 좋다. 난간 락 장치(19)가 동작하면, 난간 구동 장치(14)를 동작시켜도 이동 난간(12)을 이동시킬 수는 없다.
난간 감시 장치(20)는, 이동 난간(12)의 상태를 감시한다. 예를 들면, 난간 감시 장치(20)는, 이동 난간(12)이 이동하는 속도를 감시한다. 난간 감시 장치(20)는, 이동 난간(12)의 이동 속도가 0이면, 이동 난간(12)이 정지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난간 감시 장치(20)는, 제어 장치(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동 난간(12)이 정지하고 있는 것이 난간 감시 장치(20)에 의해서 검출되면, 그 취지의 정보가 난간 감시 장치(20)로부터 제어 장치(9)로 출력된다. 이동 난간(12)이 정지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9)는, 예를 들면 판정부(21), 검출부(22) 및 제어부(23)를 구비한다. 판정부(21)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방향을 판정한다. 판정부(21)가 운전 방향을 판정하는 방법은 어떤 방법이라도 좋다. 검출부(22)는,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을 검출한다. 검출부(22)는, 예를 들면 안전 장치(18)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23)는, 제어 장치(9)에 접속된 기기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7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 장치(9)는, 안전 장치(18)가 동작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 예를 들면, 통상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구동 전동기(7)를 긴급 정지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사상(事象)이 발생하면, 안전 장치(18)가 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된다(S1의 Yes).
다음으로, 제어 장치(9)는,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판정부(21)에 의해서 판정되면(S2의 Yes), 제어부(23)는, 난간 락 장치(19)를 동작시킨다(S3). 즉, 제어부(23)는,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되면, 그 직후에 난간 락 장치(19)를 동작시킨다.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되면, 제어부(23)는, 구동 전동기(7)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을 출력한다. 구동 전동기(7)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이 출력되어도, 스텝(2)은 관성력에 의해서 약간의 시간만큼 계속 이동한다. 구동 전동기(7)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이 출력되면 스텝(2)이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S3에서 난간 락 장치(19)가 동작하면, 스텝(2)이 정지하기 전에 이동 난간(12)이 정지한다. 즉,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안전 장치(18)가 동작하면, 이동 난간(12)이 정지한 후에 스텝(2)이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 난간(12)을 잡고 있는 승객은, 상체가 상부의 승강구(4)의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스텝(2)의 위에 있는 승객이 승강구(5)측으로 전도(轉倒)하거나 전방에 있는 다른 승객에 부딛히거나 하는 것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막을 수 있다.
S2에서 오르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판정부(21)에 의해서 판정되면, 제어 장치(9)는, 이동 난간(12)이 정지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되면, 제어부(23)는, 구동 전동기(7)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전동기(7)의 기능에 의해서 스텝(2) 및 이동 난간(12)이 정지한다. 이동 난간(12)이 정지하고 있는 것은, 난간 감시 장치(20)에 의해서 검출된다. 제어부(23)는, 이동 난간(12)이 정지하고 있는 취지의 정보가 난간 감시 장치(20)로부터 입력되면, 난간 락 장치(19)를 동작시킨다(S3). 즉, 제어부(23)는, 이동 난간(12)이 정지하고 있는 것이 난간 감시 장치(20)에 의해서 검출된 후에 난간 락 장치(19)에 이동 난간(12)을 사이에 끼우게 한다.
오르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스텝(2)이 정지하기 전에 이동 난간(12)이 정지하면, 이동 난간(12)을 잡고 있는 승객의 상체가 하부의 승강구(5)의 쪽으로 기울어 버린다. 이 때문에, 오르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구동 전동기(7)의 기능에 의해서 스텝(2) 및 이동 난간(12)이 정지한 후에 난간 락 장치(19)를 동작시키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이동 난간(12)이 정지한 후에 승객의 무게에 의해 스텝(2)이 하강하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이동 난간(12)이 스텝(2)와 함께 이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객은, 고정된 이동 난간(12)을 잡고 대처할 수 있다.
또, 오르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제어부(23)는,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되면, 안전 장치(18)가 동작하고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난간 락 장치(19)에 이동 난간(12)을 사이에 끼우게 해도 좋다. 상기 일정 시간은, 예를 들면, 안전 장치(18)가 동작하고나서 구동 전동기(7)의 기능에 의해서 스텝(2) 및 이동 난간(12)이 정지하기까지 필요한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난간 감시 장치(20)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부호 21~23에 나타내는 각 부는 제어 장치(9)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9)는, 하드웨어 자원(資源)으로서,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9)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부(21~23)가 가지는 각 기능을 실현한다. 각 부(21~23)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리막 운전 및 오르막 운전 쌍방에서 난간 락 장치(19)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만 난간 락 장치(19)를 동작시켜도 좋다. 또, 내리막 운전밖에 행하지 않는 에스컬레이터라면, 제어 장치(9)에 판정부(21)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9)는, 도 7의 S2 및 S4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항상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23)는, 안전 장치(18)가 동작한 것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되면, 그 직후에 난간 락 장치(19)를 동작시킨다.
1 : 트러스 2 : 스텝
3 : 스텝 체인 4 : 승강구
5 : 승강구 6 : 기계실
7 : 구동 전동기 8 : 감속기
9 : 제어 장치 10 : 스프로켓
11 : 스프로켓 12 : 이동 난간
13 : 난간 14 : 난간 구동 장치
15 : 구동 롤러 16 : 가압 롤러
17 : 난간 체인 18 : 안전 장치
19 : 난간 락 장치 19a : 상부 부재
19b : 하부 부재 20 : 난간 감시 장치
21 : 판정부 22 : 검출부
23 : 제어부

Claims (4)

  1. 스텝 및 이동 난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전동기와,
    상기 구동 전동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 장치가 동작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이동 난간을 사이에 끼워 정지시키기 위한 난간 락 장치와,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상기 안전 장치가 동작한 것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면, 상기 스텝이 정지하기 전에 상기 난간 락 장치에 의해서 상기 이동 난간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 방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내리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안전 장치가 동작한 것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면, 상기 스텝이 정지하기 전에 상기 난간 락 장치에 의해서 상기 이동 난간을 정지시키는 에스컬레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난간이 정지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난간 감시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오르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안전 장치가 동작한 것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면, 상기 이동 난간이 정지하고 있는 것이 상기 난간 감시 장치에 의해서 검출된 후에 상기 난간 락 장치에 상기 이동 난간을 사이에 끼우게 하는 에스컬레이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오르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안전 장치가 동작한 것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면, 상기 안전 장치가 동작하고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난간 락 장치에 상기 이동 난간을 사이에 끼우게 하는 에스컬레이터.
KR1020150187302A 2015-01-27 2015-12-28 에스컬레이터 Active KR102323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3380A JP6032297B2 (ja) 2015-01-27 2015-01-27 エスカレータ
JPJP-P-2015-013380 2015-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478A KR20160092478A (ko) 2016-08-04
KR102323345B1 true KR102323345B1 (ko) 2021-11-08

Family

ID=5651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02A Active KR102323345B1 (ko) 2015-01-27 2015-12-28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32297B2 (ko)
KR (1) KR102323345B1 (ko)
CN (1) CN105819322B (ko)
TW (1) TWI6448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7673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6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5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4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2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6479B2 (ja) * 2016-07-19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25859B2 (ja) * 2016-09-20 2021-02-03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057A (ja) 2007-06-11 2008-12-18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および安全制御方法
JP2011168369A (ja) 2010-02-18 2011-09-0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
JP2012017200A (ja) 2010-07-09 2012-01-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1531B2 (ko) * 1974-06-15 1980-12-24
JPH0439289A (ja) * 1990-05-31 1992-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
US5295567A (en) * 1992-12-30 1994-03-22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for emergency stopping of escalator handrail
JPH1095586A (ja) * 1996-09-24 1998-04-14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運転方法
JP2000086139A (ja) * 1998-09-17 2000-03-2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速度制御装置
JP4904035B2 (ja) * 2005-09-14 2012-03-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踏段の異常検出装置
JP4855095B2 (ja) * 2006-02-08 2012-01-1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5089304B2 (ja) * 2007-09-13 201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安全装置
CN102320514A (zh) * 2011-09-09 2012-01-18 王锡林 一种自动扶梯安全制动方法及装置
PL2872436T3 (pl) * 2012-07-13 2016-11-30 Hamulec bezpieczeństwa do schodów ruchomych lub do ruchomego chodnika
CN102976169A (zh) * 2012-12-05 2013-03-20 沈阳洪达信息科技有限公司 电梯控制装置
CN102976196A (zh) * 2012-12-07 2013-03-20 上海爱登堡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扶手压带装置的自动扶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057A (ja) 2007-06-11 2008-12-18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および安全制御方法
JP2011168369A (ja) 2010-02-18 2011-09-0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
JP2012017200A (ja) 2010-07-09 2012-01-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19322A (zh) 2016-08-03
KR20160092478A (ko) 2016-08-04
TWI644846B (zh) 2018-12-21
JP2016137965A (ja) 2016-08-04
TW201634377A (zh) 2016-10-01
CN105819322B (zh) 2018-09-07
JP6032297B2 (ja)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45B1 (ko) 에스컬레이터
JP6325575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773923B2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EP2537790A1 (en) Elevator device
EP1867594B1 (en) Elevator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40320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運転方法
WO2004050525A1 (ja)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JP629992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KR10092811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JP2011168369A (ja) エスカレータ
JP200423818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1178482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動装置及び制動方法
JP2000198659A (ja) 乗客コンベア
JP201321640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13040013A (ja) 傾斜型乗客コンベアの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JP2016050062A (ja) 乗客コンベア
JPH09208170A (ja) 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JP6302807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4728693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制動方法
JP2007153539A (ja) 乗客コンベア
JP2002284461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遠隔救出装置
JP200417556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7572794B2 (ja) 乗客コンベア
JP5504710B2 (ja) マンコンベアの制御装置
WO2018235156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