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0794B1 -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794B1
KR102320794B1 KR1020200040476A KR20200040476A KR102320794B1 KR 102320794 B1 KR102320794 B1 KR 102320794B1 KR 1020200040476 A KR1020200040476 A KR 1020200040476A KR 20200040476 A KR20200040476 A KR 20200040476A KR 102320794 B1 KR102320794 B1 KR 10232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ropylene
based polymer
laminate
poly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126A (ko
Inventor
정진일
정긍식
임희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794B1/ko
Priority to PCT/KR2021/004079 priority patent/WO2021201632A1/ko
Priority to CN202180033944.7A priority patent/CN115552064B/zh
Priority to JP2022560114A priority patent/JP2023520492A/ja
Priority to TW110112261A priority patent/TWI816099B/zh
Publication of KR2021012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7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another pattern, e.g. zig-zag, sinusoid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부직포는 권축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권축형 복합섬유는 두께방향 단면이 사이드 A 및 사이드 B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의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의 비(상기 사이드 B/상기 사이드 A)가 0.65~1.51이고, 상기 사이드 A/상기 사이드 B(중량비)로 표시되는 성분비가 50/50~70/30이고,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의 분자량 분포의 비(상기 사이드 B/상기 사이드 A)가 0.5~1.5이다.

Description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Non-woven fabric and laminate thereof, article including the lamina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non-woven fabric}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프트성 및 벌키성이 향상된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부직포는 웹 형성 방법 및 결합 방법에 따라 최종 물성이 결정되게 된다.
기존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시 웹 형성은 단독 방사 또한 심초형 복합 방사를 통하여 웹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웹은 크림프가 없는 단순한 구조를 갖게 되고, 가열 캘린더에 의해 결합되어 얇은 형태의 부직포를 형성하게 된다.
얇은 형태의 부직포는 기저귀 제조시 탑시트용 및 백시트용으로 사용되게 되지만, 카딩(carding)으로 웹을 형성하고 열풍으로 결합시킨 단섬유 에어쓰루 부직포에 비해 벌키성이 현저히 낮아서 소프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웹 형성시 크림프 부여가 되지 않아 벌키성이 떨어져 기저귀 제조시 아기 엉덩이 피부에 직접 닿는 면적이 크고, 부직포 라미네이팅시 ADL 층(Aquisition Distribution Layer)과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없어서 배뇨시 오줌이 일부 탑시트에 남아 아기 엉덩이를 짓무르게 하거나 발진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저귀의 외부로 오줌이 누출(Leakage)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소프트성 및 벌키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부직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권축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권축형 복합섬유는 두께방향 단면이 사이드 A 및 사이드 B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의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의 비(상기 사이드 B/상기 사이드 A)가 0.65~1.51이고,
상기 사이드 A/상기 사이드 B(중량비)로 표시되는 성분비가 50/50~70/30이고,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의 분자량 분포의 비(상기 사이드 B/상기 사이드 A)가 0.5~1.5인 부직포를 제공한다.
상기 사이드 A는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B는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융융지수와 분자량 분포가 각각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이드 B는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융융지수와 분자량 분포가 각각 상이하고,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중량비)로 표시되는 성분비가 0/100 초과 내지 50/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두께가 0.25mm 이상이고, 크림프 수가 20개/1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마찰계수(COF)가 0.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권축형 복합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샌드위치형 복합섬유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2층 이상의 층 구성을 갖는 부직포 적층체로서, 그 중 적어도 1층이 상기 부직포인 부직포 적층체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양 표층 중 한면에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물품은 기저귀, 흡수용품, 배변용품, 지지층(support layer), 백시트(Back sheet), 웨이스트밴드 또는 탑시트(Top shee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이드 A 형성용 중합체와 사이드 B 형성용 중합체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로 구간별로 180℃~250℃의 온도로 용융시켜 사이드 A 형성용 용융물 및 사이드 B 형성용 용융물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각 용융물을 복합 방사 노즐을 갖는 방사 구금을 통해 토출시키는 단계(S20);
상기 토출된 각 용융물을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부 영역의 부피가 하부 영역의 부피의 90% 이상인 연신 영역을 통과시켜 연신시키는 단계(S30);
상기 연신된 각 용융물을 디퓨져를 통해 방출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종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최상부 폭:중간부 폭:최하부 폭의 비가 1:1.5 이상:2.0 이상인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가열 엠보싱 롤을 이용하는 엠보싱 가공 또는 고온 통기에 의해 열융착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단계(S40)에서 형성된 부직포에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S50)에서 형성된 부직포를 후가공 설비에 공급하여 가공롤에 의해 딥 엠보(Deep embo) 또는 주름(Corrugated) 형상의 부여로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3차원 입체 형상을 부여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가공 설비의 가공롤은 천공을 통한 10~50hole/inch의 딥 엠보(Deep embo) 가공으로 상기 부직포에 두께 0.3mm~0.7mm를 부여하고, 2~8ea/inch의 주름 가공(Corrugated)을 통해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3차원 입체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는 크림프의 형태가 미세하고 크림프가 많이 발현되어 형태 안전성이 좋아 물리적 품질이 우수하며, 특히 소프트성과 벌키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기저귀는 착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거나 발진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를 형성하는 권축형 복합섬유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분자량 분포(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또는 polydispersity index)"는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과 수평균분자량(Mn)의 비(Mw/Mn)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융점(melting point)"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된 값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는 권축형 복합섬유(이하, 간단히 "복합섬유"라고 함)를 포함한다.
(i)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의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의 비(상기 사이드 B/상기 사이드 A)가 0.65~1.51이고, (ii) 상기 사이드 A/상기 사이드 B(중량비)로 표시되는 성분비가 50/50~70/30이고, (iii)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의 분자량 분포의 비(상기 사이드 B/상기 사이드 A)가 0.5~1.5일 수 있다.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가 상기 조건 (i) 내지 (iii)을 모두 충족함으로써 상기 복합섬유는 권축성을 갖게 되며, 이 복합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우수한 소프트성 및 벌키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는 상기 복합섬유의 단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각각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배열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신장되며,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 중 적어도 한 부분은 상기 복합섬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주연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A는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B는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융융지수와 분자량 분포가 각각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각각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주성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성분 이외에 1~5중량%의 핵제(nucleating agent)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가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보다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핵제는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를 증가시켜 상기 사이드 A의 결정화 온도를 상기 사이드 B의 결정화 온도와 차별화시킴으로써 크림프의 발현에 따른 부직포의 두께를 개선하여 상기 부직포의 소프트성 및 벌키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핵제는 입상 첨가제, 자가 조립 핵제, 반응성 핵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상 첨가제는 벤조산나트륨, 이산화티탄, 실리카, 나노 클레이, 나트륨염, 칼슘 티타네이트,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 조립 핵제는 비스(p-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 소르비톨, 모노벤질리덴 소르비톨(MBS), 비스(p-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핵제는 금속염, 4-비페닐 카르복실산, 4-비페닐메탄올, 아디프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 및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120~175℃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2.0~3.0일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2.5~3.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B는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융융지수와 분자량 분포가 각각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은 120~175℃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4.0~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중량비)로 표시되는 성분비가 0/100 초과 내지 50/5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0.7% 이하의 친수제 함침량(OPU)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부직포는 5.0이하의 재습윤성 지수 및 10sec이하의 물의 내구흡수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친수제는 왁스 에멀젼, 반응형 유연제, 실리콘계 화합물,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아미노기 함유 실리콘, 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리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카르복실산염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술폰산염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황산에스테르염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인산에스테르염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특히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에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N-(3-올레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밀납,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제4급 암모늄염, 아민염 또는 아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카르복시, 술포네이트,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제2급 혹은 제3급 아민의 지방족 유도체, 또는 복소환식 제2급 혹은 제3급 아민의 지방족 유도체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수제는 비이온성 친수제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친수제는 아미노기 함유 실리콘, 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리콘과 같은 실리콘계 화합물;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에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N-(3-올레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밀납,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성 친수제는 고형분 함량이 90중량% 이상인 계면활성제(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의 평균직경은 1~50㎛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 상기 제2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상기 제3프로필렌계 중합체는 고입체규칙성 중합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입체규칙성 중합 촉매는 디에스테르 성분의 촉매, 석시네이트 성분의 촉매, 메탈로센 촉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복합 용융 방사법으로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생산성이 우수한 스펀본딩법에 의해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A 형성용 중합체와 사이드 B 형성용 중합체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로 구간별로 180℃~250℃의 온도로 용융시켜 사이드 A 형성용 용융물 및 사이드 B 형성용 용융물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각 용융물을 복합 방사 노즐을 갖는 방사 구금을 통해 토출시키는 단계(S20),
상기 토출된 각 용융물을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부 영역의 부피가 하부 영역의 부피의 90% 이상인 연신 영역을 통과시켜 연신시키는 단계(S30), 및
상기 연신된 각 용융물을 디퓨져를 통해 방출시키는 단계(S40).
상기 단계(S40)에서, 상기 디퓨져는 종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최상부 폭:중간부 폭:최하부 폭의 비가 1:1.5 이상: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디퓨져의 특별한 구성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소프트성 및 벌키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가열 엠보싱 롤을 이용하는 엠보싱 가공 또는 고온 통기에 의해 열융착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단계(S40)에서 형성된 부직포에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엠보싱 가공은 본딩율(즉, 엠보싱 면적률)이 13% 이하이고, 비엠보싱 단위 면적이 0.2mm2 이상, 예를 들어, 0.2~0.7mm2의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비엠보싱 단위 면적이란, 사방이 엠보싱부로 둘러싸인 최소 단위의 비엠보싱부에 있어서, 엠보싱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최대 면적을 의미한다. 이 범위의 조건에서 엠보싱 가공을 행하면, 필요한 부직포 강도를 유지한 채 더욱 벌키성이 큰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본딩율 및 비엠보싱 단위 면적은 엠보싱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가공의 결과, 상기 부직포는 엠보싱부 및 비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부는 오픈 엠보싱 타입으로 동일 또는 상이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엠보싱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엠보싱 패턴부에 포함된 각각의 엠보싱 패턴은 면적이 0.2~0.7mm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S50)에서 형성된 부직포를 후가공 설비에 공급하여 가공롤에 의해 딥 엠보(Deep embo) 또는 주름(Corrugated) 형상의 부여로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3차원 입체 형상을 부여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50)에서, 상기 후가공 설비의 가공롤은 천공을 통한 10~50hole/inch의 딥 엠보(Deep embo) 가공으로 상기 부직포에 두께 0.3mm~0.7mm를 부여하고, 2~8ea/inch의 주름 가공(Corrugated)을 통해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3차원 입체 형상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0)의 후가공(특히, 천공)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소프트성 및 벌키성이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탄소수 5~25의 지방산 아미드를 상기 부직포 전체 중량 대비 0.01~3중량%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드는 슬립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드는 올레산 아미드, 에루카아미드, 스테아르산 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는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또는 상기 제3프로필렌계 중합체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성분은 공지된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각종 안정제, 대전 방지제, 안티블로킹제, 방운제(anticlouding agent), 충전제, 염료, 안료, 천연유, 합성유,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2,6-디-t-부틸-4-메틸페놀(BHT) 등의 노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메탄,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알킬에스테르, 2,2'-옥사미도비스[에틸 -3-(3,5-디-t-부틸-4- 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칼슘,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칼슘 등의 지방산 금속염;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디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실리카, 규조토, 알루미나, 산화티탄, 산화마그네슘, 경석분, 경석 밸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백운석, 황산칼슘, 티탄산칼륨, 황산바륨, 아황산칼슘, 활석, 클레이, 운모, 석면, 규산칼슘,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그래파이트, 알루미늄분, 황화몰리브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상기 기타 성분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 또는 샌드위치형(Sandwitch)의 복합섬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복합섬유(1)는 두께방향 단면이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사이드 A, 및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또는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사이드 B를 포함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섬유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두께가 0.25mm 이상이고, 크림프 수가 20개/10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마찰계수(COF)가 0.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섬도 및 기본 중량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데, 통상 섬도는 1.0~2.5 데니어, 예를 들어, 0.7~2.0 데니어이고, 기본 중량은 15~100 g/m2, 예를 들어, 7~30 g/m2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는 적어도 2층 이상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로서, 그 중 적어도 1층이 상술한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상술한 부직포 중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권축형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양 표층(surface layer) 중 한면에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4개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균일도(CV%)가 3%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균일도(CV%)"란 부직포 적층체를 1m2의 크기로 절단하여 30개의 시험편을 만든 후, 상기 30개의 시험편의 중량편차를 상기 복수개의 시험편의 평균중량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4개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두께가 0.2mm 이상이고, 크림프수가 10개/10mm 이상이고, 본딩율이 18% 이하이고, 상기 부직포 적층체의 소프트성을 나타내는 MD 강연도(MD stiffness)가 50mm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D 강연도"란 부직포 적층체의 기계 방향 굴곡변형(즉, 부직포 적층체가 휘어진 정도)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물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물품은 상술한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은 기저귀, 흡수용품, 배변용품, 지지층(support layer), 백시트(Back sheet), 웨이스트밴드 또는 탑시트(Top sheet)일 수 있다.
상기 물품이 기저귀인 경우,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제 함침량(OPU: Oil Pick-UP)이 0.7% 이하이어서 상기 기저귀의 탑시트층에 적용되었을 때 물의 내구흡수속도가 10sec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친수제 함침량(OPU)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OPU(%) = (W1-W0)/W0 X 100
식 중, W0는 친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부직포 적층체의 무게이고, W1은 친수제를 함유하는 부직포 적층체의 무게이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에서 W1은 친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부직포 적층체의 무게와 상기 친수제 중 고체 성분만의 무게를 합산한 수치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 부직포의 제조
먼저, 사이드 A 형성용 중합체와 사이드 B 형성용 중합체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로 구간별로 180℃~250℃의 온도로 용융시켜 사이드 A 형성용 용융물 및 사이드 B 형성용 용융물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각 용융물을 복합 방사 노즐을 갖는 방사 구금을 통해 토출시켰다. 이후, 상기 토출된 각 용융물을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부 영역의 부피가 하부 영역의 부피의 90%인 연신 영역을 통과시켜 연신시켰다. 이후, 상기 토출된 각 용융물을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디퓨져를 통해 방출시켰다. 이후, 가열 엠보싱 롤을 이용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상기 형성된 부직포에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였다. 이후, 선택적인 후가공으로서, 상기 형성된 부직포를 후가공 설비에 공급하여 가공롤에 의해 딥 엠보(Deep embo)의 부여로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3차원 입체 형상을 부여하였다. 상기 후가공 설비의 가공롤은 천공을 통한 30hole/inch의 딥 엠보(Deep embo) 가공으로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3차원 입체 형상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 A 형성용 중합체 및 상기 사이드 B 형성용 중합체의 종류, 물성 및 함량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MFR은 ASTM D1238에 따라 온도 230℃, 하중 2.16kg의 조건하에서 측정된 용융지수를 의미한다.
사이드 A 형성용 중합체 사이드 B 형성용 중합체
중합체 종류 PA1 PB1 PB2
융점(℃) 160 160 160
MFR(g/10분) 35 60 25
분자량 분포 2.5 3.0 4.5
(1) PA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LG화학, H7700)
(2) PB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PMC, HP562T)
(3) PB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PMC, HP552R)
또한,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에서 사용된 중합체의 종류와 함량비, 물성, 디퓨져 치수(최상부 폭:중간부 폭:최하부 폭) 및 천공 여부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사이드 A의 물성은 중합체(PA1)의 물성을 의미하고, 사이드 B의 물성은 중합체(PB1)와 중합체(PB2)의 배합물의 물성을 의미한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 2
사이드 A 융점(℃)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MFR
(g/10분)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분자량분포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사이드 B 융점(℃)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MFR
(g/10분)
60 53 46 42.5 53 53 53 53 53 53 53
분자량 분포 3.0 3.3 3.6 3.75 3.3 3.3 3.3 3.3 3.3 3.3 3.3
PB2/PB1 중량비 0/100 20/
80
40/
60
50/
50
20/
80
20/
80
20/
80
20/
80
20/
80
20/
80
20/
80
사이드 A / 사이드 B 중량비 60/
40
60/
40
60/
40
60/
40
50/
50
70/
30
60/
40
60/
40
60/
40
40/
60
80/
20
사이드 B/사이드 A MFR 비 1.14 1.01 0.88 0.81 1.51 0.65 1.01 1.01 1.01 1.89 0.38
사이드 B/사이드 A 분자량 분포 비 0.80 0.88 0.96 1.00 1.32 0.57 0.88 0.88 0.88 1.98 0.33
디퓨져 치수 1:
1.5:
2.0
1:
1.5:
2.0
1:
1.5:
2.0
1:
1.5:
2.0
1:
1.5:
2.0
1:
1.5:
2.0
1:
1.7:
2.4
1:
1.3:
1.5
1:
1.5:
2.0
1:
1.5:
2.0
1:
1.5:
2.0
천공 여부 × × × × × × × × × ×
평가예: 부직포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각각의 부직포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단위면적당 무게(중량: g/m2): ASTM D 3776-1985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인장강신도기(Instron)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KSK 0520법에 따라 시험편의 폭 5cm, 간격 10cm, 인장속도 500mm/min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수행하여 최대 인장 하중을 구하였다.
(3) 인장신도: 상기 (2)의 방법으로 측정한 최대 신장시의 신도를 구하였다.
(4) 마찰계수(C.O.F: coefficient of friction): 정지하고 있는 물체에 힘을 가하면 마찰력은 물체의 수직방향의 분력에 비례하는데, 이때 비례상수를 정지 마찰계수라고 하며, 정지 마찰계수는 접촉하는 물체 상태와 접촉면의 상태에 따라 정해 진다. KS M 3009에 따라 정지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5) 두께(mm): 측정 면적이 넓고 하중이 최소로 측정이 가능한 블럭게이지 두께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6) 크림프수: 현미경을 이용하여 10mm 범위내의 필라멘트 크림프의 개수를 직접 측정하였다.
(7) 방사성: 용융방사시 필라멘트 흔들림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폴리머 드립(drip)은 결점 검출기로 검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 2
인장강도(MD)
(kgf/5cm)
3.9 3.9 3.3 3.4 3.2 3.6 3.8 4.0 3.2 3.2 3.1
인장강도(CD)(kgf/5cm) 1.9 1.7 1.4 1.5 1.2 1.6 1.6 1.8 1.3 1.3 1.2
인장신도(MD)(%) 75 95 91 95 98 85 95 86 100 102 105
인장신도(CD)(%) 80 112 101 105 112 90 115 95 117 11 118
마찰계수(COF) 0.55 0.38 0.36 0.38 0.40 0.50 0.37 0.54 0.35 0.57 0.59
두께(mm) 0.25 0.41 0.38 0.45 0.36 0.27 0.43 0.31 0.90 0.22 0.19
크림프수(개/10mm) 18 31 40 42 25 22 32 20 45 15 10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9에서 제조된 부직포는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부직포 대비 두께가 두껍고, 마찰계수(COF)가 작고, 크림프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권축형 복합섬유 A: 사이드 A
B: 사이드 B

Claims (14)

  1. 권축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권축형 복합섬유는 두께방향 단면이 사이드 A 및 사이드 B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의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의 비(상기 사이드 B/상기 사이드 A)가 0.65~1.51이고,
    상기 사이드 A/상기 사이드 B(중량비)로 표시되는 성분비가 50/50~70/30이고,
    상기 사이드 A와 상기 사이드 B의 분자량 분포의 비(상기 사이드 B/상기 사이드 A)가 0.5~1.5인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A는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B는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융융지수와 분자량 분포가 각각 상이한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B는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융융지수와 분자량 분포가 각각 상이하고, 상기 제3 프로필렌계 중합체/상기 제2 프로필렌계 중합체(중량비)로 표시되는 성분비가 0/100 초과 내지 50/50 이하인 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0.25mm 이상이고, 크림프 수가 20개/10mm 이상인 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마찰계수(COF)가 0.60 이하인 부직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형 복합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샌드위치형 복합섬유인 부직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인 부직포.
  8. 적어도 2층 이상의 층 구성을 갖는 부직포 적층체로서, 그 중 적어도 1층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인 부직포 적층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양 표층 중 한면에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가 노출되도록 구성된 부직포 적층체.
  10. 제9항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기저귀, 흡수용품, 배변용품, 지지층(support layer), 백시트(Back sheet), 웨이스트밴드 또는 탑시트(Top sheet)인 물품.
  12. 사이드 A 형성용 중합체와 사이드 B 형성용 중합체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로 구간별로 180℃~250℃의 온도로 용융시켜 사이드 A 형성용 용융물 및 사이드 B 형성용 용융물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각 용융물을 복합 방사 노즐을 갖는 방사 구금을 통해 토출시키는 단계(S20);
    상기 토출된 각 용융물을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부 영역의 부피가 하부 영역의 부피의 90% 이상인 연신 영역을 통과시켜 연신시키는 단계(S30);
    상기 연신된 각 용융물을 디퓨져를 통해 방출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종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최상부 폭:중간부 폭:최하부 폭의 비가 1:1.5 이상:2.0 이상인 부직포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가열 엠보싱 롤을 이용하는 엠보싱 가공 또는 고온 통기에 의해 열융착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단계(S40)에서 형성된 부직포에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0)에서 형성된 부직포를 후가공 설비에 공급하여 가공롤에 의해 딥 엠보(Deep embo) 또는 주름(Corrugated) 형상의 부여로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3차원 입체 형상을 부여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가공 설비의 가공롤은 천공을 통한 10~50hole/inch의 딥 엠보(Deep embo) 가공으로 상기 부직포에 두께 0.3mm~0.7mm를 부여하고, 2~8ea/inch의 주름 가공(Corrugated)을 통해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3차원 입체 형상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200040476A 2020-04-02 2020-04-02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 Active KR10232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76A KR102320794B1 (ko) 2020-04-02 2020-04-02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
PCT/KR2021/004079 WO2021201632A1 (ko) 2020-04-02 2021-04-01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
CN202180033944.7A CN115552064B (zh) 2020-04-02 2021-04-01 非织造织物和其层压物、包括所述层压物的物品、以及制备所述非织造织物的方法
JP2022560114A JP2023520492A (ja) 2020-04-02 2021-04-01 不織布、不織布積層体、物品、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TW110112261A TWI816099B (zh) 2020-04-02 2021-04-01 非織造織物及其層壓物、包括該層壓物的物品、以及製備該非織造織物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76A KR102320794B1 (ko) 2020-04-02 2020-04-02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26A KR20210123126A (ko) 2021-10-13
KR102320794B1 true KR102320794B1 (ko) 2021-11-02

Family

ID=7792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76A Active KR102320794B1 (ko) 2020-04-02 2020-04-02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3520492A (ko)
KR (1) KR102320794B1 (ko)
CN (1) CN115552064B (ko)
TW (1) TWI816099B (ko)
WO (1) WO202120163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2972A (ja) * 2016-06-14 2017-12-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複合繊維
KR102036763B1 (ko) * 2018-04-17 2019-11-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8181B2 (ja) * 1999-05-11 2010-03-24 チッソ株式会社 潜在捲縮性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不織布
JP4931700B2 (ja) * 2001-01-29 2012-05-16 三井化学株式会社 捲縮繊維不織布及びその積層体
MXPA03006656A (es) * 2001-01-29 2003-10-24 Mitsui Chemicals Inc Tela no tejida de fibras rizadas y laminado del mismo.
AU2003277580A1 (en) * 2002-11-08 2004-06-07 Mitsui Chemicals, Inc. Spun bonded nonwoven fabric, laminates made by using the same,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both
DE10360845A1 (de) * 2003-12-20 2005-07-21 Corovin Gmbh Weiches Vlies auf Basis von Polyethylen
RU2625931C2 (ru) * 2012-08-01 2017-07-19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Структура подгузник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тактиль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мягкости
JP6618002B2 (ja) * 2014-03-20 2019-12-11 出光興産株式会社 捲縮繊維及び不織布
DE102015107338A1 (de) * 2015-05-11 2016-11-17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Faser-Verbundmatte zur Herstellung einer Trägerplatte eines Kraftfahrzeug-Bauteil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16119866A1 (de) * 2016-10-18 2018-04-19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erfahren und Anlage zur Erzeugung eines Vlieses aus Fasern
US11091861B2 (en) * 2018-01-31 2021-08-17 Fibertex Personal Care A/S Spunbonded nonwoven with crimped fine fibers
KR102079226B1 (ko) * 2018-04-18 2020-02-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멀칭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52392B1 (ko) * 2019-07-11 2020-09-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102152393B1 (ko) * 2019-07-11 2020-09-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2972A (ja) * 2016-06-14 2017-12-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複合繊維
KR102036763B1 (ko) * 2018-04-17 2019-11-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52064B (zh) 2025-03-28
TWI816099B (zh) 2023-09-21
JP2023520492A (ja) 2023-05-17
TW202146728A (zh) 2021-12-16
WO2021201632A1 (ko) 2021-10-07
KR20210123126A (ko) 2021-10-13
CN115552064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1987B2 (ja) 捲縮型複合纎維の不織布及びその積層体、並びにその物品
KR101786630B1 (ko) 스펀 본드 부직포
JP4931700B2 (ja) 捲縮繊維不織布及びその積層体
JP2001226865A (ja) 不織布、その製造方法および衛生材料
WO2019167851A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20110001501A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JP7376675B2 (ja) 巻縮型複合繊維の不織布、及びその積層体、並びにその物品
KR20230073107A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물품
KR102320794B1 (ko)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물품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
JP7376676B2 (ja) 巻縮型複合纎維の不織布、及びその積層体、並びにその物品
JP5731948B2 (ja) 熱可塑性不織布
JP7669401B2 (ja) 不織布、不織布積層体及びその物品
WO2020067516A1 (ja) ホットメルト裏抜け抑制不織布
KR102152391B1 (ko)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20240143723A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물품
JP7518676B2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及び不織布積層体
KR102817088B1 (ko) 복합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N118556142A (zh) 无纺布、无纺布的制造方法及物品
JP2024540589A (ja) 不織布、該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その物品
KR20140042364A (ko)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