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364B1 -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0364B1 KR102320364B1 KR1020200010600A KR20200010600A KR102320364B1 KR 102320364 B1 KR102320364 B1 KR 102320364B1 KR 1020200010600 A KR1020200010600 A KR 1020200010600A KR 20200010600 A KR20200010600 A KR 20200010600A KR 102320364 B1 KR102320364 B1 KR 1023203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 horizontal flow
- vertical flow
- crushed
- gravel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1000)은, 수평류정원부와, 수평류토사층부,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 수평류조개폐각여재부, 관찰용 유공관과, 원수유입관, 원수유입부가 설치된 수평류여과정원(1100)과; 수직류정원부와, 수직류토사층부, 수직류제1쇄석자갈층부, 수직류혼합여재부 및,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를 포함하는 수직류여과정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류여과정원(1100)의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1130,1140)와 수평류조개폐각여재부(1150)의 하부에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1190)이 설치되고,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에는 수직류유출관(1191)이 설치되며, 수직류유출관의 배출단부에는 펌프(1192)가 설치되고, 펌프에 의해 압송된 여과수는 수평류유출관(1180)의 후단부를 통해 수직류제1쇄석자갈층부(1230)로 배출되는 한편,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1190)에 설치된 수직류유출관(1191)과 펌프를 통해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와 수평류조개폐각여재부의 하부로 수집된 여과수가 수평류유출관(1180)의 후단부를 통해서 수직류제1쇄석자갈층부(1230)로 배출되로록 한 처리공정을 2열로 구성하여 6~8시간씩 교차운전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을 설명하는 병렬개념도이다.
1110: 수평류정원부 1120: 수평류토사층부
1130,1140: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 1150: 수평류조개폐각여재부
1160: 관찰용 유공관 1170: 원수유입부
1171: 원수유입관 1172: 원수유입펌프
1173: 제어부 1180: 수평류유출관
1190: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 1191: 수직류유출관
1192: 펌프
1200: 수직류여과정원 1210: 수직류정원부
1220: 수직류토사층부 1230: 수직류제1쇄석자갈층부
1240: 조개폐각 및 건조정수슬러지의 수직류혼합여재부
1250: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 1260: 수직류유입다공관
1270: 수직류유출관 1280: 배수구
1300: 펌프
Claims (3)
- 상부에 조경용 수생 화초를 식재한 수평류정원부와, 상기 수평류정원부의 하부에 일정한 두께로 설치한 수평류토사층부과, 좌,우측에 일정한 두께로 쇄석과 자갈로 설치한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와, 상기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의 사이에 채워진 수평류조개폐각여재부와, 상기 수평류정원부에서 수평류토사층부를 통해 수평류조개폐각여재부로 수직하게 설치한 적어도 1개 이상의 관찰용 유공관과, 상기 수평류토사층부의 하부이면서 수평류제1쇄석자갈층부의 상부에 원수를 유입하도록 된 원수유입관을 갖춘 원수유입부와, 상기 수평류토사층부의 하부이면서 수평류제2쇄석자갈층부의 상부에 상기 원수유입관으로 유입된 원수가 여과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밸브를 갖춘 수평류유출관을 포함하는 수평류여과정원과; 상부에 조경용 수생 화초를 식재한 수직류정원부와, 상기 수직류정원부의 하부에 일정한 두께로 설치한 수직류토사층부와, 상기 수직류토사층부의 하부에 일정한 두께로 쇄석과 자갈로 설치한 수직류제1쇄석자갈층부와, 상기 수직류제1쇄석자갈층부의 하부에 일정한 두께로 설치한 조개폐각 및 건조정수슬러지의 수직류혼합여재부와, 상기 수직류혼합여재부의 하부에 일정한 두께로 쇄석과 자갈로 설치한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를 포함하는 수직류여과정원; 및, 상기 수평류여과정원의 원수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수평류유출관을 통해서 수직류여과정원으로 공급되도록 직렬로 연결된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류여과정원(1100)의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1130,1140)와 수평류조개폐각여재부(1150)의 하부에 일정한 두께로 쇄석과 자갈로 설치한 수평류여과정원의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1190)이 설치되고, 이 수평류여과정원의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1190)에는 수직류유출관(1191)이 설치되며, 이 수직류유출관의 배출단부에는 펌프(1192)가 설치되고, 이 펌프에 의해 압송된 여과수는 수평류유출관(1180)의 후단부를 통해서 수직류제1쇄석자갈층부(1230)로 배출되는 한편, 상기 수직류제2쇄석자갈층부(1190)에 설치된 수직류유출관(1191)과 펌프(1192)를 통해 상기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1130,1140)와 수평류조개폐각여재부(1150)의 하부로 수집된 여과수가 수평류유출관(1180)의 후단부를 통해서 수직류제1쇄석자갈층부(1230)로 배출되로록 한 처리공정을 2열로 구성하여 6 내지 8시간 간격으로 교차운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정원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류유출관(1180)의 설치높이는, 상기 원수유입관(1171)의 설치높이와 비교하여 높이가 낮게 설치되어 동수구배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류제1,2쇄석자갈층부의 쇄석과 자갈의 입경은 5 ~ 30mm이고, 두께는 30 ~ 70cm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0600A KR102320364B1 (ko) | 2020-01-29 | 2020-01-29 |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0600A KR102320364B1 (ko) | 2020-01-29 | 2020-01-29 |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6928A KR20210096928A (ko) | 2021-08-06 |
KR102320364B1 true KR102320364B1 (ko) | 2021-11-02 |
Family
ID=7731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0600A Active KR102320364B1 (ko) | 2020-01-29 | 2020-01-29 |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03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00589B1 (ko) * | 2024-10-25 | 2025-04-29 | (주)자연과조경 | 생태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7839B1 (ko) | 2008-08-12 | 2011-07-08 | 한국수자원공사 | 굴패각을 충진한 인공습지와 후처리용 여과 시설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
KR101127474B1 (ko) | 2011-05-25 | 2012-03-23 | 주식회사 성일엔텍 | 저수지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
KR102050972B1 (ko) | 2019-04-29 | 2019-12-03 | 수생태복원(주) | 경사형 구심향습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0150B1 (ko) * | 2011-07-21 | 2013-09-23 | 이경섭 | 비점오염 여과형 정화장치 |
-
2020
- 2020-01-29 KR KR1020200010600A patent/KR10232036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7839B1 (ko) | 2008-08-12 | 2011-07-08 | 한국수자원공사 | 굴패각을 충진한 인공습지와 후처리용 여과 시설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
KR101127474B1 (ko) | 2011-05-25 | 2012-03-23 | 주식회사 성일엔텍 | 저수지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
KR102050972B1 (ko) | 2019-04-29 | 2019-12-03 | 수생태복원(주) | 경사형 구심향습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6928A (ko) | 2021-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973637B (zh) | 一种处理农村生活污水的河道净化系统 | |
CN100537452C (zh) | 人工湿地污水处理方法 | |
CN102120677B (zh) | 多级污水处理用生物反应系统的制作方法及污水处理方法 | |
KR101163061B1 (ko) | 처리토양층 및 투수여재층을 이용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방법 | |
KR101815246B1 (ko) |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 |
CN207699412U (zh) | 一种河道排污口污水处理装置 | |
CN101921042A (zh) | 交替式组合湿地系统及高效去除城市尾水中氮磷的方法 | |
CN105461075B (zh) | 一种城市径流面源污染深度处理及回用工艺 | |
CN106277338A (zh) | 用于河道治理的生态净化系统 | |
CN102603111A (zh) | 一种适于小城镇生活污水、废水处理的快速启动型无动力生物强化人工湿地系统 | |
CN101381155A (zh) | 一种用于污水净化和回用的生物生态组合的方法及装置 | |
CN103304111A (zh) | 一种水网丘陵地区村湾污水收集处理系统 | |
CN1935700A (zh) | 富营养化河、湖水体与初期雨水复合人工湿地处理系统 | |
CN207159053U (zh) | 模块式污水处理系统 | |
KR100561171B1 (ko) | 무동력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를 이용한 자연형하천정화공법 | |
CN201648120U (zh) | 垂直流-水平潜流复合人工湿地 | |
CN202063793U (zh) | 多级污水处理用生物反应系统 | |
KR102320364B1 (ko) |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 |
CN111392964B (zh) | 一种雨污合流泵站污水的处理方法及其装置 | |
KR20000000745A (ko) |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수처리시스템 | |
JP3939664B2 (ja) | 湖沼などの浄化方法及びその浄化システム | |
TWI383961B (zh) | 用於處理含鹽污水之人工溼地 | |
JP2611148B2 (ja) | 2系統並列式酸化処理施設 | |
CN211712874U (zh) | 用于河道治理的截污集中处理系统 | |
KR200296748Y1 (ko) | 소규모 오수의 재사용을 위한 복합형 수처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