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678B1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9678B1 KR102319678B1 KR1020210044221A KR20210044221A KR102319678B1 KR 102319678 B1 KR102319678 B1 KR 102319678B1 KR 1020210044221 A KR1020210044221 A KR 1020210044221A KR 20210044221 A KR20210044221 A KR 20210044221A KR 102319678 B1 KR102319678 B1 KR 1023196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extending
- members
- pair
- mov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02D3/068—Vibrating apparatus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이동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레일부재와 유압호스를 표현한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이동장치의 이동과정을 나타낸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아우트리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9는 이동장치와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블레이드의 승강을 나타낸 도 9의 이동장치와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11: 상부연장부재
111: 인양고리부재
113: 커튼레일
114: 롤러
115: 호스고정구
12: 하부연장부재
14: 상부크로스부재
141: 버팀대
15: 하부크로스부재
151: 레일지지부재
153: 연결부재
154: 원형관
155: 플랜지
17: 기둥부재
171: 트러스부재
19: 레일부재
191: 랙
30: 이동장치
31: 크로스빔
311: 전방승강가이드부재
312: 승강서포트부재
32: 하우징
33: 사이드플레이트
34: 휠하우징
341: 전방휠
342: 후방휠
35: 동력발생장치(유압모터)
351: 제1구동스프라켓
352: 제1체인
36: 제1샤프트
361: 제1종동스프라켓
362: 제2구동스프라켓
363: 제2체인
37: 베어링
38: 제2샤프트
381: 제2종동스프라켓
382: 피니언
40: 블레이드
41: 승강부재
42: 상부서포트
43: 하부서포트
44: 승강구동부
45: 블레이드실린더
46: 블레이드피스톤
60: 아우트리거
61: 아우터커버
62: 이너커버
631: 포스트실린더
631h: 실린더 힌지
632: 포스트피스톤
632h: 피스톤 힌지
64: 하부받침
641: 바닥면
642: 제1챔퍼면
643: 제2챔퍼면
H: 유압호스
Claims (10)
-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프레임(10);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19);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되는 이동장치(30);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 및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레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재(12);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는:
상기 하부연장부재(12)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재(19)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53);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30)와 블레이드(40)는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원형관(154)을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크로스부재(14);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원형관(154)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155)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재(17) 중 2 이상의 개소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60)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상기 기둥부재(17)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커버(61);
상기 아우터커버(61)에 내삽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너커버(62);
상단부가 실린더 힌지(631h)를 통해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연결되는 포스트실린더(631);
상기 포스트실린더(631)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포스트실린더(631)로부터 하방으로 출몰하는 포스트피스톤(632); 및
상기 이너커버(62)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포스트피스톤(632)의 하단부와 피스톤 힌지(632h)를 통해 연결된 하부받침(64);을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0)은;
복수 개의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하부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커튼레일(113);
상기 커튼레일(113)에 삽입되고 상기 커튼레일(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롤러(114); 및
상기 롤러(114)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를 지지하는 호스고정구(115);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19)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랙(191)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31);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재(19) 상에 구름 가능하게 거치되는 전방휠(341)과 후방휠(342); 및
상기 랙(191)과 맞물리는 피니언(382);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35)는 상기 피니언(38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35)는, 상기 크로스빔(31)에 설치되는 유압모터(35)이고,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샤프트(36);
상기 유압모터(35)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유압모터(35)에 축설된 제1구동스프라켓(351);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축설된 제1종동스프라켓(361);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제2구동스프라켓(362)을 연결하는 제1체인(352);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의 양단부에 각각 축설된 한 쌍의 제2구동스프라켓(362);
상기 제1샤프트(36)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샤프트(38);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된 제2종동스프라켓(381); 및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과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을 연결하는 제2체인(3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되어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함께 회전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의해 안내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41)는 승강구동부(44)에 의해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이동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44)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 측에 연결된 블레이드실린더(45); 및
상기 블레이드(40)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로부터 상방으로 출몰하는 블레이드피스톤(46);을 구비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4221A KR102319678B1 (ko) | 2021-04-05 | 2021-04-05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KR1020210143052A KR20220138787A (ko) | 2021-04-05 | 2021-10-25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4221A KR102319678B1 (ko) | 2021-04-05 | 2021-04-05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052A Division KR20220138787A (ko) | 2021-04-05 | 2021-10-25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9678B1 true KR102319678B1 (ko) | 2021-11-02 |
Family
ID=784763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4221A Active KR102319678B1 (ko) | 2021-04-05 | 2021-04-05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KR1020210143052A Pending KR20220138787A (ko) | 2021-04-05 | 2021-10-25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052A Pending KR20220138787A (ko) | 2021-04-05 | 2021-10-25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1967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4693A (ko) * | 1999-12-18 | 2001-07-11 | 오재영 | 교량 평탄화 작업기계 |
KR20060031833A (ko) * | 2006-03-22 | 2006-04-13 |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의 안내레일 |
KR20090108197A (ko) * | 2008-04-11 | 2009-10-15 | 홍기표 | 수중 면고르기 장치 |
KR200468586Y1 (ko) * | 2012-12-24 | 2013-08-26 | 이한준 | 굴삭기의 전원공급용 케이블 리프팅장치 |
-
2021
- 2021-04-05 KR KR1020210044221A patent/KR102319678B1/ko active Active
- 2021-10-25 KR KR1020210143052A patent/KR20220138787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4693A (ko) * | 1999-12-18 | 2001-07-11 | 오재영 | 교량 평탄화 작업기계 |
KR20060031833A (ko) * | 2006-03-22 | 2006-04-13 |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의 안내레일 |
KR20090108197A (ko) * | 2008-04-11 | 2009-10-15 | 홍기표 | 수중 면고르기 장치 |
KR200468586Y1 (ko) * | 2012-12-24 | 2013-08-26 | 이한준 | 굴삭기의 전원공급용 케이블 리프팅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8787A (ko) | 2022-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6373B1 (ko) | 외부 단부의 지지 표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형 요소를 세우는 디바이스 및 방법 | |
KR102033794B1 (ko) | 해상 풍력 터빈용 토대, 그 해상 풍력 터빈 및 그 설치 방법 | |
CN110952550B (zh) | 一种悬空自支撑式打桩方法及打桩机 | |
EP3508653B1 (en) | A manufacturing facilit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jacket structure | |
CN112144535A (zh) | 一种抛石整平船的工作方法 | |
KR20160119125A (ko) | 배관장치 및 배관방법 | |
NL8902752A (nl) | Werkwijze voor het maken van een kunstmatige constructie op een waterbodem, zoals een kunstmatig eiland,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volgens de uitvinding en constructie te vervaardigen met en verkregen door toepassing van werkwijze en inrichting volgens de uitvinding. | |
CN107663859B (zh) | 打桩机 | |
CN108005047B (zh) | 防涌潮的打桩机 | |
JP5686649B2 (ja) | 超低空頭掘削装置、それに使用するケリーロッド、その掘削反力取得方法及びその移動装置 | |
KR102319678B1 (ko)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
CN213625592U (zh) | 一种抛石整平船中整平架的升降、搁置和锚定装置 | |
CN211494398U (zh) | 一种抛石整平船的溜石管装置 | |
KR102295251B1 (ko)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의 시공 및 고르기 방법 | |
TWI570047B (zh) |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Disassembling Method of Giant Crane Crane | |
CN107460876B (zh) | 改进的打桩机平台 | |
CN111997060A (zh) | 一种抛石整平船的整平架装置 | |
CN216428307U (zh) | 一种水下破土机器人 | |
CN214648855U (zh) | 一种挖泥船钢桩安装系统 | |
CN213323580U (zh) | 一种抛石整平船整平架装置的姿态调整装置 | |
CN213324785U (zh) | 一种抛石整平船的料斗装置 | |
JP2023544796A (ja) | 土壌を除去するための、土木機械及び土木工法 | |
CN107794923B (zh) | 打桩机平台的步履式行走机构 | |
US5145279A (en) | Public works machine usable more particularly for laying vertical drains | |
JPH0543809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4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