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678B1 - Mound Leve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ound Level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9678B1 KR102319678B1 KR1020210044221A KR20210044221A KR102319678B1 KR 102319678 B1 KR102319678 B1 KR 102319678B1 KR 1020210044221 A KR1020210044221 A KR 1020210044221A KR 20210044221 A KR20210044221 A KR 20210044221A KR 102319678 B1 KR102319678 B1 KR 1023196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extending
- members
- pair
- mov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02D3/068—Vibrating apparatus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와 같은 해양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해저면에 구축되는 마운드의 평탄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프레임(10);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19);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되는 이동장치(30);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 및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레이드(40);를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ng the flattening operation of a mound built on the seabed for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such as breakwaters, comprising: a body frame 10 extending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pair of rail members 19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body frame 10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moving device 30 installed on the pair of rail members 19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rail member 19; a power generating device (35)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moving device (30)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rail member (19); and a blade 40 installed in front of the moving device 30 and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ing device 30; provides a mound flattening device compri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파제와 같은 해양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해저면에 구축되는 마운드의 평탄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ng the flattening operation of a mound built on the seabed for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such as breakwaters.
케이슨이나 잠제와 같은 해양구조물은 해저면에 구축된 기초사석층 위에 시공된다. 해저면에 구축되는 기초사석층은, 사석을 골라 평탄화한 구조물이다.Offshore structures such as caisson and jamje are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sandstone layer built on the seabed. The foundation sandstone layer built on the seabed is a structure that is flattened by selecting sandstone.
종래 기초사석층을 구축하는 작업은, 해저면에 사석을 투하하고, 잠수부가 직접 사석을 골라 평탄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기초사석을 고르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수심은 20m 내외이다. 이러한 수심에서는 잠수병으로 인해 잠수부가 실제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마운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잠수부 인력이 요구된다. 또한 잠수부가 인력으로 사석을 고르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 역시 더딜 수밖에 없었다.Conventionally, the work of constructing the foundation rock layer was carried out in a way that the rock was dropped on the seabed, and the diver directly picked the rock and flattened it. The depth of the water for selecting the foundation stone is about 20m. Since the time that divers can actually work is short at these depths due to divers, a large number of divers personnel are required to build a mound. In addition, since the diver selects rocks by hand, the speed of the work was also slow.
육상에서의 토목 공사는 중장비들이 담당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중장비들은 해저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Civil engineering works on land can be handled by heavy equipmen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heavy equipment cannot be used in the submarine environme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초사석층의 평탄화 작업을 인력이 아닌 장비로 해낼 수 있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nd planarizatio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the planarization operation of the foundation sandstone layer with equipment rather than manpow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프레임(10);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19);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되는 이동장치(30);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 및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레이드(40);를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블레이드(40)의 전방에 투하된 사석을 밀어 평탄하게 고른다.The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재(12);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크로스부재(14);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17);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바디프레임(10)은 긴 빔 형태의 뼈대들로만 구성되어, 해류가 발생하는 해저 환경에서 해류에 의해 바디프레임(10)이 밀리거나 들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상기 레일부재(19)는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는: 상기 하부연장부재(12)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재(19)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사석을 평탄화하는 과정에서, 하부크로스부재(15)는 평탄화 작업을 하는 사석에 놓이고 그 일부 구간은 사석에 묻힐 수 있다. 한 쌍의 레일부재(19)는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는 이동장치(30)를 지지하고 이동장치(30)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ocess of flattening the gravel, the
또한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이용하여 사석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석과 마찰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하부크로스부재(15)의 중앙부가 마모될 가능성을 감안하여,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의 연결부재(153)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wear of the central part of the
상기 연결부재(153)는, 중공의 원형관(154)과, 상기 원형관(154)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1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원형관(154)은, 사석에 파묻혀 있던 하부크로스부재(15)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평탄화가 진행된 사석을 다시 흐트러지지 않도록 해주고, 사석과의 마찰력도 최소화해준다.The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재(17) 중 2 이상의 개소에는 아우트리거(60)가 설치될 수 있다. 전후방향으로 긴 바디프레임(10)을 해저면에 거치함에 있어서, 높낮이의 차이가 있고 굴곡이 있는 해저면에 바디프레임(10)을 거치할 때, 복수 개의 기둥부재(17)가 놓여지는 개소의 해저면의 높이 차이가 있더라도, 아우트리거(60)를 사용하여 하방으로 기둥부재(17)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면, 바디프레임(10)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60)의 길이 조절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상기 기둥부재(17)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커버(61); 상기 아우터커버(61)에 내삽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너커버(62); 상단부가 실린더 힌지(631h)를 통해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연결되는 포스트실린더(631); 상기 포스트실린더(631)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포스트실린더(631)로부터 하방으로 출몰하는 포스트피스톤(632); 및 상기 이너커버(62)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포스트피스톤(632)의 하단부와 피스톤 힌지(632h)를 통해 연결된 하부받침(64);을 포함한다.The
아우터커버(61)와 이너커버(62)는 상하방향의 신축을 안내하고,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포스트실린더(631)와 포스트피스톤(632)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힌지(631h)와 피스톤 힌지(632h)는, 사석으로 이루어져 평탄하지 않은 해저면에 하부받침(64)을 받칠 때, 하부받침(64)이 스스로 안정적인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유도해줄 수 있다.The
상기 이동장치(30)는 유압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이동장치(30)에는 유압호스(H)가 연결될 수 있다.The moving
이를 위해 상기 바디프레임(10)은, 복수 개의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하부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커튼레일(113); 상기 커튼레일(113)에 삽입되고 상기 커튼레일(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롤러(114); 및 상기 롤러(114)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를 지지하는 호스고정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한편, 상기 레일부재(19)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랙(191)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상기 레일부재(19)는 그 개방부위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C형강일 수 있고, 랙(191)은 상기 C형강의 내부공간에서 천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석 고르기 과정에서 사석이 레일부재(19)의 내부공간이나 랙(191) 부분에 굴러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31);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재(19) 상에 구름 가능하게 거치되는 전방휠(341)과 후방휠(342); 및 상기 랙(191)과 맞물리는 피니언(382);을 구비할 수 있다.The moving
이동장치(3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에 의해 지지되므로, 전후방향으로 안정적인 자체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moving
상기 동력발생장치(35)는 상기 피니언(38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35)일 수 있다.The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샤프트(36); 상기 유압모터(35)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유압모터(35)에 축설된 제1구동스프라켓(351);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축설된 제1종동스프라켓(361);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제2구동스프라켓(362)을 연결하는 제1체인(352);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의 양단부에 각각 축설된 한 쌍의 제2구동스프라켓(362); 상기 제1샤프트(36)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샤프트(38);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된 제2종동스프라켓(381); 및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과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을 연결하는 제2체인(363);을 구비하는 구동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유압모터(35)가 회전하면, 제1구동스프라켓(351)이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제1체인(352)을 통해 제1종동스프라켓(361)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1종동스프라켓(361)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샤프트(36)의 양단에 있는 제2구동스프라켓(362)도 일체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제2체인(363)을 통해 제2종동스프라켓(381)에 전달된다.When the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되어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382)은 랙(191)의 하부에서 랙(191)과 맞물려 있으므로, 피니언(382)이 회전하면 이동장치(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사석의 높이를 고르는 과정에서 블레이드(40)의 높이를 조절하면 구동계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사석을 효율적으로 고를 수 있다. 이에 이동장치(30)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4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수 있다.If the height of the
이를 위해 상기 이동장치(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의해 안내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41)는 승강구동부(44)에 의해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ving
상기 승강구동부(44)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구동부(44)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 측에 연결된 블레이드실린더(45); 및 상기 블레이드(40)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로부터 상방으로 출몰하는 블레이드피스톤(46);을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vating
물론 상기 승강구동부는 수동으로 승강 작동을 하는 쟉키일 수도 있다.Of course, the lift driving unit may be a jackkey that manually lifts and lowers.
본 발명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에 따르면, 해저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마운드 평탄화 작업을 기계장치로 진행할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빠르고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und flatte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d flattening operation performed in the seabed environment can be performed with a mechanical device, so that the operation speed is fast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av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이동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레일부재와 유압호스를 표현한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이동장치의 이동과정을 나타낸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아우트리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9는 이동장치와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블레이드의 승강을 나타낸 도 9의 이동장치와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und plana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lan view of the mound planarization apparatus of FIG. 1 .
3 is a side view of the mound planarization apparatus of FIG. 1 ;
4 is a front view of the mound planarization apparatus of FIG. 1 .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ing device of the mound flat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mound flattening device of Figure 1 expressing the rail member and the hydraulic hose.
7 is a side view of the mound flattening device showing the moving process of the moving device.
8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n outrigger of the mound flat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9 is a plan view of the moving device and the blade.
Figure 10 is a side view of the moving device and the blade of Figure 9 showing the elevation of the bla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substituting or adding the configuration of any one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other embodiments to each other or substitutes.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In the drawing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the size or thickness may be exaggeratedly expressed as large or small,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s, consists of, etc.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That is,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and consist 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below"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as well as dispos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이라 함은, 사석을 고르게 하기 위해 블레이드가 이동하여 나아가는 방향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 the front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ade moves and advances in order to level the sandstone.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는, 마운드 상에 거치되는 바디프레임(10)과, 상기 바디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마운드 상에 투하된 사석들을 밀어내며 레벨링을 진행하는 블레이드(40)와, 상기 블레이드(40)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를 포함한다.The mound flat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바디프레임(1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뼈대 형태일 수 있다. 바디프레임(10)은,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를 포함하고, 좌측뼈대와 우측뼈대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부재를 포함한다.The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는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는 각각, 상부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재(11), 하부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재(12), 및 상기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를 포함한다.The left skeleton and the right skeleton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The left skeleton and the right skeleton, respectively, are an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10)은 기둥부재(17)와 상부연장부재(11)의 교차부위 및 기둥부재(17)와 하부연장부재(12)의 교차부위를 잇는 트러스부재(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를 잇는 상부 연결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크로스부재(14)일 수 있다.The upp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left skeleton and the right skeleton may be a plurality of
상기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를 잇는 하부 연결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일 수 있다.The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keletons may be a plurality of
상부크로스부재(14)와 하부크로스부재(15)는, 기둥부재(17)와도 연결될 수 있다.The
상부크로스부재(14)와 기둥부재(17) 사이에는 이들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버팀대(141)가 연결될 수 있다.Between the
상기 바디프레임(10)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에서, 긴 빔 형태의 뼈대들로만 구성되어, 해류가 발생하는 해저 환경에서 해류에 의해 바디프레임(10)이 밀리거나 들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상기 상부연장부재(11), 하부연장부재(12), 상부크로스부재(14), 하부크로스부재(15) 및 기둥부재(17) 등은 H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상부연장부재(11)에는 바디프레임(10)을 크레인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인용고리부재(111)가 설치된다.The
레일부재(19)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한 쌍 제공된다. 전후로 길게 연장된 레일부재(19)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레일부재(19)는 C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C형강의 하부에 마련된 수평한 부위는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고정될 수 있다. C형강의 상부에 마련된 수평한 부위의 저면에는 랙(191)이 설치될 수 있다. 랙(191)의 이빨은 하방을 향할 수 있다.The
C형강의 수직한 부위는 폭방향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C형강의 개방된 부위는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C형강 내부에 사석이 굴러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of the C-beam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open portion of the C-beam may be disposed to face outwar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urrs rolling into the inside of the C-beam.
레일부재(19) 상에는 이동장치(30)가 놓이고, 상기 레일부재(19)는 상기 이동장치(3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한다.A moving
한 쌍의 레일부재(19)는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는 이동장치(30)를 지지하고 이동장치(30)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하나의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는 연결부재(153) 및 상기 연결부재(153)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레일지지부재(151)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재(19)는 상기 레일지지부재(151) 상에 설치되고, 레일지지부재(151)는 강도 확보를 위해 H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연결부재(153)는 그 길이방향으로의 인장력과 압축력이 주로 작용하는 반면, 사석과 마찰이 일어나는 부재로서, 중공의 원형 관 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재(153)가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면, 사석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는 작업 진행 과정에서 사석에 파묻히고 그로부터 들어올려지는 환경에 놓이므로, 마모가 진행되었을 때 교체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53)를 구성하는 원형 관의 양단에는, 상기 레일지지부재(151)와 볼트/너트 등의 수단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155)가 마련될 수 있다.One of the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커튼레일(113)이 설치된다. 커튼레일(113)은 복수 개의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하부에 연결된다.A
그리고 상기 커튼레일(113)에는 복수 개의 롤러(114)가 삽입된다. 상기 롤러(114)는 상기 커튼레일(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롤러(114)에는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를 지지하는 호스고정구(115)가 연결된다. A plurality of
이동장치(30)는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된다.The moving
상기 이동장치(3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31)을 구비한다. 상기 크로스빔(31)은 H형강일 수 있다. 상기 크로스빔(31)은 전후로 이격되어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빔(31)은 상기 레일부재(19)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2개의 크로스빔(31)의 양단부의 하부에는 휠이 마련될 수 있다. 전방에 배치된 크로스빔(31)에는 전방휠(341)이, 후방에 배치된 크로스빔(31)에는 후방휠(342)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은 전후 방향으로 구를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19) 상에 놓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직경이 작아 오목한 홈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레일부재(19)의 상부에 마련된 부재가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은, 레일부재(19)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구름은 자유롭게 이루어지지만, 레일부재(19)로부터 측방으로 이탈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방지된다.The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은, 두 크로스빔(31)의 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휠하우징(34)에 축설된다. 상기 휠하우징(3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자 형강일 수 있다. 상기 휠하우징(34)의 전방과 후방은 각각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두 크로스빔(31)에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이동장치(30)는 그 양단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에 의해 4점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moving
상기 한 쌍의 크로스빔(31) 상에는 동력발생장치로서 유압모터(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5)는 상기 크로스빔(31)의 폭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A
상기 유압모터(35)의 회전축에는 제1구동스프라켓(351)이 축설된다. 즉 상기 유압모터(35)가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한다.A
전후에 배치되는 상기 두 크로스빔(31) 사이에는 제1샤프트(36)가 설치된다. 제1샤프트(36)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단부 부근이 베어링(3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37)은 두 크로스빔(31)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휠하우징(34)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A
상기 제1샤프트(36)에서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마주하는 부위에는, 제1종동스프라켓(361)이 축설된다.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61)은 상기 제1샤프트(36)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고정된다.A first driven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제1종동스프라켓(361)은 제1체인(352)에 감겨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의 회전력은 제1체인(352)을 통해 제1종동스프라켓(361)에 전달될 수 있다.The
상기 제1샤프트(36)의 양단부에는 제2구동스프라켓(362)이 축설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은 상기 제1샤프트(36)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은 상기 베어링(37)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37)보다 측방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된다.Second driving
상기 이동장치(30)는 이동장치(30)의 구동을 위한 상기 구성들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하우징(32)을 구비한다. 가령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한 쌍의 크로스빔(31), 유압모터(35), 제1샤프트(36) 등을 커버할 수 있다. The moving
상기 하우징(32)의 양단에는 상기 크로스빔(31)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의 레일지지부재(151)와는 간섭되지 않는 사이드플레이트(3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3)의 하부에는 제2샤프트(38)가 설치된다. 상기 제2샤프트(38)가 설치된 높이는, 대략 상기 레일부재(19)의 C형강의 내부에 대응하는 높이일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상기 제2샤프트(38)에서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종동스프라켓(381)이 설치된다.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은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과 제2체인(36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구동스프라켓(362)의 회전력은 제2종동스프라켓(381)으로 전달된다.A second driven
상기 제2샤프트(38)에는 피니언(382)이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레일부재(19)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랙(191)과 맞물린다. A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를 위해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직접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피니언(382)과 제2종동스프라켓(381)이 제2샤프트(38)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거나, 제2샤프트(38)에 대해 회전 구속되도록 축설될 수 있다.The
다른 예로서,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샤프트(38)를 통해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2종동스프라켓(381)이 제2샤프트(38)를 통해 피니언(382)에 전달되어야 하므로, 피니언(382)과 제2종동스프라켓(381)이 제2샤프트(38)에 대해 회전 구속되도록 축설된다.As another example, the
상기 레일부재(19)의 상부는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 그리고 상기 피니언(382)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30)는 상기 레일부재(19)에 적절히 구속되어, 상기 레일부재(19)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상기 하우징(32)의 사이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샤프트(36), 제2샤프트(38), 제2구동스프라켓(362), 제2종동스프라켓(381) 및 제2체인(363)을 내부에 수용하며 보호하고, 상기 레일부재(19)의 내부가 외측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준다.The
이에 따라, 이동장치(30)를 전진시키기 위해 상기 유압모터(3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구동스프라켓(3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제1체인(352)을 통해 제1종동스프라켓(361)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1종동스프라켓(361)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샤프트(36)의 양단에 있는 제2구동스프라켓(362)도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제2체인(363)을 통해 제2종동스프라켓(381)에 전달되고, 피니언(382) 역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Accordingly, when the
마찬가지로, 이동장치(30)를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유압모터(35)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결과적으로 피니언(382) 역시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장치(30)가 후진하게 된다.Similarly, when the
상기 크로스빔(31)의 전방에는 블레이드(40)가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40)는 중앙부가 더 전방으로 돌출된 ">"자 형상을 가진다. 이동장치(30)가 그 전방에 쌓여 있는 사석들을 밀면서 평탄화할 때, 사석이 많이 쌓여 있으면 구동계에 큰 부하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환경에서는, 높이 쌓여 있는 사석의 윗부분을 먼저 밀어내면서 평탄화하고, 다시 그보다 밑부분을 추가적으로 밀어내면서 평탄화하는 방식으로, 평탄화 작업을 2 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할 수 있다.A
이를 위해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이동장치(30)에 대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장치(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마련된 크로스빔(31)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To this end, the
또한 상기 블레이드(40)에는, 그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 역시 폭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부재(41)를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40)의 전방 돌출 정도에 따라, 상기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의 길이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즉 폭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가 더 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블레이드(40), 복수 개의 상부서포트(42), 하부서포트(43) 및 승강부재(41)는 일체로 거동할 수 있다.The
상기 승강부재(41)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는 대략 정사각형의 각관 형태이고, 상기 승강부재(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보다 단면이 작은 H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들의 단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부재(41)가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의 내주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다양한 단면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vertical length of the elevating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의 전방에는 승강서포트부재(312)가 고정 연결된다. 상기 승강서포트부재(312)는 상기 상부서포트(42)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4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44)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블레이드실린더(45)와 블레이드피스톤(4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는 상기 승강서포트부재(312)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피스톤(46)은 상기 상부서포트(42)의 하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An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가 신장되면 상기 블레이드(40)는 상승하고, 상기 유압실린더가 수축되면 상기 블레이드(40)는 하강한다.Accordingly, when the hydraulic cylinder is extended, the
상기 승강구동부(44)와 동력발생장치(35)에 유압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이동장치(30)에는 유압호스(H)가 연결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10)에 대해 이동장치(30)는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하므로, 상기 유압호스(H)는 상기 커튼레일(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호스고정구(115)에 고정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을 걷거나 치듯이 이동장치(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In order to a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lifting
한편, 상기 바디프레임(10)은 해저면에 조성된 마운드 상에 거치되어 사석을 고르는 작업을 수행한다. 아직 사석을 평탄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바디프레임(10)이 마운드 상에 거치되기에, 바디프레임(10)이 거치되는 표면은 평탄도가 좋지 않다.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그보다 더욱 긴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는 바디프레임(10)이 먼저 마운드 상에 수평하게 놓여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에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는, 상기 바디프레임(10)이 마운드 상에 수평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아우트리거(60)를 구비한다.Accordingly, the mound flat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바디프레임(10)은 그 좌측과 우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를 구비한다. 아우트리거(60)는 이러한 기둥부재(17)에 모두 설치되거나, 균일한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하나 건너 하나씩 기둥부재(17)에 아우트리거(60)가 설치된 구조가 예시된다.The
전후방향으로 긴 바디프레임(10)을 해저면에 거치함에 있어서, 높낮이의 차이가 있고 굴곡이 있는 해저면에 바디프레임(10)을 거치할 때, 복수 개의 기둥부재(17)가 놓여지는 개소의 해저면의 높이 차이가 있더라도, 아우트리거(60)를 사용하면, 바디프레임(10)을 수평하게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mounting the
상기 아우트리거(60)의 길이 조절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of the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상기 기둥부재(17)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커버(61)와, 상기 아우터커버(61)에 내삽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너커버(62)를 포함한다.The
상기 아우터커버(61)는 상기 기둥부재(17)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커버(62)는 상기 아우터커버(61)보다 더 하방으로 출몰하게 된다.The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단부가 실린더 힌지(631h)를 통해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연결되는 포스트실린더(631)와, 상기 포스트실린더(631)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포스트실린더(631)로부터 하방으로 출몰하는 포스트피스톤(632)을 포함한다.The hydraulic cylinder includes a
일 예로서, 포스트피스톤(632)은 상기 이너커버(62)에 힌지 결합되고, 이너커버(62)의 하단부에 하부받침(64)을 연결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이와 달리 포스트피스톤(632)은 이너커버(62)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하부받침(64)에 힌지 연결되고, 이너커버(62)는 자중에 의해 아우터커버(61)로부터 하강하며, 이너커버(62)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받침(64) 상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커버(62)의 하단부와 하부받침(64)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Contrary to this, the
아우터커버(61)와 이너커버(62)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포스트실린더(631)와 포스트피스톤(632)을 보호하고 상하방향의 신축을 안내한다. 유압실린더에 어느 정도 자유도를 부가하면, 사석으로 이루어져 평탄하지 않은 해저면에 하부받침(64)을 받칠 때, 하부받침(64)이 스스로 안정적인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유도해줄 수 있다.The
상기 하부받침(64)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면(641)과, 상기 바닥면(64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챔퍼면(642)과 제2챔퍼면(6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받침(64)의 형상은, 굴곡이 있는 사석 바닥에 아우트리거(60)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해준다.The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력은 유압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for the operation of the mound leveling device may be provided by hydraulic pressure.
상기 유압은 유압호스(H)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유압 발생 장치는 바지선에 설치되고, 유압 발생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유압호스(H)는 상기 마운드 평탄화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The hydraulic pressure may be provided by a hydraulic hose (H).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barge, and a hydraulic hose (H) extending from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mound flattening device.
상기 유압호스(H)는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장치(30)의 이동을 위한 동력발생장치인 유압모터(35)와, 상기 블레이드(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구동부(44)의 유압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하는 장치에 유압호스(H)가 연결되므로, 유압호스(H)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압호스(H)는 마치 커튼처럼 상기 커튼레일(113)의 호스고정구(115)에 연결될 수 있다.The hydraulic hose (H)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device (30). This may be connected to a
상기 유압호스(H)는, 상기 아우트리거(60)의 유압실린더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유압호스(H)는 바디프레임(10)에 고정 배선될 수 있다.The hydraulic hose (H)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outrigger (60). Since the
상기 아우트리거(60)의 유압실린더는, 아우트리거(60)마다 개별적으로 작동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트리거(60)가 전개되는 위치마다 다른 바닥의 레벨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상술한 마운드 평탄화 장치에 따르면, 마운드의 사석 고르기 작업을 매우 빠르게, 그리고 저가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인력의 활용을 최소화하여 인사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ound flattening device, the mound leve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very quickly and at low cost. In particular, the occurrence of personnel accidents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use of manpow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바디프레임
11: 상부연장부재
111: 인양고리부재
113: 커튼레일
114: 롤러
115: 호스고정구
12: 하부연장부재
14: 상부크로스부재
141: 버팀대
15: 하부크로스부재
151: 레일지지부재
153: 연결부재
154: 원형관
155: 플랜지
17: 기둥부재
171: 트러스부재
19: 레일부재
191: 랙
30: 이동장치
31: 크로스빔
311: 전방승강가이드부재
312: 승강서포트부재
32: 하우징
33: 사이드플레이트
34: 휠하우징
341: 전방휠
342: 후방휠
35: 동력발생장치(유압모터)
351: 제1구동스프라켓
352: 제1체인
36: 제1샤프트
361: 제1종동스프라켓
362: 제2구동스프라켓
363: 제2체인
37: 베어링
38: 제2샤프트
381: 제2종동스프라켓
382: 피니언
40: 블레이드
41: 승강부재
42: 상부서포트
43: 하부서포트
44: 승강구동부
45: 블레이드실린더
46: 블레이드피스톤
60: 아우트리거
61: 아우터커버
62: 이너커버
631: 포스트실린더
631h: 실린더 힌지
632: 포스트피스톤
632h: 피스톤 힌지
64: 하부받침
641: 바닥면
642: 제1챔퍼면
643: 제2챔퍼면
H: 유압호스10: body frame
11: Upper extension member
111: lifting ring member
113: curtain rail
114: roller
115: hose fixture
12: lower extension member
14: upper cross member
141: brace
15: lower cross member
151: rail support member
153: connection member
154: round tube
155: flange
17: column member
171: truss member
19: rail member
191: rack
30: mobile device
31: cross beam
311: front elevating guide member
312: elevating support member
32: housing
33: side plate
34: wheel housing
341: front wheel
342: rear wheel
35: power generator (hydraulic motor)
351: first drive sprocket
352: first chain
36: first shaft
361: first driven sprocket
362: second drive sprocket
363: second chain
37: bearing
38: second shaft
381: second driven sprocket
382: pinion
40: blade
41: elevating member
42: upper support
43: lower support
44: elevator shaft
45: blade cylinder
46: blade piston
60: outrigger
61: outer cover
62: inner cover
631: post cylinder
631h: cylinder hinge
632: post piston
632h: piston hinge
64: lower support
641: bottom surface
642: first chamfer surface
643: second chamfer surface
H: hydraulic hose
Claims (10)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19);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되는 이동장치(30);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 및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레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재(12);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는:
상기 하부연장부재(12)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재(19)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53);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30)와 블레이드(40)는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원형관(154)을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a body frame 10 extending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pair of rail members 19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body frame 10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moving device 30 installed on the pair of rail members 19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rail member 19;
a power generating device (35)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moving device (30)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rail member (19); and
The blade 4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moving device 30 and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ing device 30;
The body frame 10 includes:
a lower extension member 12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body frame 10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ower cross members (15)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connect the pair of lower extension members (12);
The lower cross member 15 includes:
a pair of rail support members 151 connected to the lower extension member 12 and supporting the rail member 19; and
A connecting member 153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ail support members 151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rail support members 151;
The moving device 30 and the blade 40 are disposed above the lower cross member 15,
The connecting member (153) includes a hollow circular tube (154)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rail support members (151), a mound flattening device.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크로스부재(14);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frame 10 includes:
a pair of upper extension members 11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body frame 10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upper cross members (14)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connect the pair of upper extension members (11);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frame 10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17)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nnect the upper extension member (11) and the lower extension member (12);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원형관(154)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155)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member 153, the mound flatte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flanges 155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ircular tube (154).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재(17) 중 2 이상의 개소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60)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상기 기둥부재(17)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커버(61);
상기 아우터커버(61)에 내삽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너커버(62);
상단부가 실린더 힌지(631h)를 통해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연결되는 포스트실린더(631);
상기 포스트실린더(631)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포스트실린더(631)로부터 하방으로 출몰하는 포스트피스톤(632); 및
상기 이너커버(62)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포스트피스톤(632)의 하단부와 피스톤 힌지(632h)를 통해 연결된 하부받침(64);을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Including an outrigger 60 installed at two or more places among the plurality of pillar members 17,
The outrigger 60,
an outer cover (61) fixed to the pillar member (17)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inner cover (62) inserted into the outer cover (6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guided by the outer cover (61) to slide up and down;
a post cylinder (631)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cover (61) through a cylinder hinge (631h);
a post piston 632 inserted into the post cylinder 631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ost cylinder 631 by hydraulic pressure; and
and a lower support (64) exposed under the inner cover (62)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ost piston (632) through a piston hinge (632h).
상기 바디프레임(10)은;
복수 개의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하부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커튼레일(113);
상기 커튼레일(113)에 삽입되고 상기 커튼레일(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롤러(114); 및
상기 롤러(114)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를 지지하는 호스고정구(115);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frame 10 is;
a curtain rail 113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upper cross members 14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plurality of rollers 114 inserted into the curtain rail 113 and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tain rail 113; and
Connected to the roller 114, the hose fixture 115 for supporting the hydraulic hose (H) connected to the moving device 30; further comprising, a mound flattening device.
상기 레일부재(19)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랙(191)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31);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재(19) 상에 구름 가능하게 거치되는 전방휠(341)과 후방휠(342); 및
상기 랙(191)과 맞물리는 피니언(382);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35)는 상기 피니언(38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ack 191 is installed on the rail member 19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bile device 30 includes:
a cross beam 31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reach the pair of rail members 19;
It i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rossbeam 31 , and the moving device 3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ail member 19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rail member 19 . a wheel 341 and a rear wheel 342; and
and a pinion 382 engaged with the rack 191;
and the power generator (35)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pinion (382).
상기 동력발생장치(35)는, 상기 크로스빔(31)에 설치되는 유압모터(35)이고,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샤프트(36);
상기 유압모터(35)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유압모터(35)에 축설된 제1구동스프라켓(351);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축설된 제1종동스프라켓(361);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제2구동스프라켓(362)을 연결하는 제1체인(352);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의 양단부에 각각 축설된 한 쌍의 제2구동스프라켓(362);
상기 제1샤프트(36)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샤프트(38);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된 제2종동스프라켓(381); 및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과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을 연결하는 제2체인(3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되어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함께 회전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generating device (35) is a hydraulic motor (35) installed on the cross beam (31),
The mobile device 30 includes:
a first shaft (36)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reach the pair of rail members (19)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30);
a first driving sprocket 351 axially installed on the hydraulic motor 35 to rotate by the hydraulic motor 35;
a first driven sprocket (361) axially installed on the first shaft (36)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36);
a first chain (352) connecting the first driving sprocket (351) and the second driving sprocket (362);
a pair of second driving sprockets (362) axial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36)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36);
a pair of second shafts (38)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shaft (36) and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device (30);
a second driven sprocket 381 axially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38; and
A second chain (363) connecting the second driving sprocket (362)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381); further comprising,
The pinion (382) is mounted on the second shaft (38)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driven sprocket (381).
상기 이동장치(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의해 안내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41)는 승강구동부(44)에 의해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이동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device 30 is provided with a front elevating guide member 3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lade 40 is guided by the front elevation guide member 311 and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mber 41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evating member 41 is mov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ront elevating guide member 311 by the elevating driving unit 44, a mound flattening device.
상기 승강구동부(44)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 측에 연결된 블레이드실린더(45); 및
상기 블레이드(40)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로부터 상방으로 출몰하는 블레이드피스톤(46);을 구비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vating drive unit 44,
a blade cylinder 45 connected to the front elevation guide member 311; and
A mound flattening device comprising a;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lade 40 and interpolated into the blade cylinder 45, the blade piston 46 protruding upward from the blade cylinder 45 by hydraulic pressur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4221A KR102319678B1 (en) | 2021-04-05 | 2021-04-05 | Mound Leveling Apparatus |
KR1020210143052A KR20220138787A (en) | 2021-04-05 | 2021-10-25 | Mound Level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4221A KR102319678B1 (en) | 2021-04-05 | 2021-04-05 | Mound Leveling Apparatu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052A Division KR20220138787A (en) | 2021-04-05 | 2021-10-25 | Mound Level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9678B1 true KR102319678B1 (en) | 2021-11-02 |
Family
ID=784763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4221A Active KR102319678B1 (en) | 2021-04-05 | 2021-04-05 | Mound Leveling Apparatus |
KR1020210143052A Withdrawn KR20220138787A (en) | 2021-04-05 | 2021-10-25 | Mound Leveling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052A Withdrawn KR20220138787A (en) | 2021-04-05 | 2021-10-25 | Mound Level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1967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4693A (en) * | 1999-12-18 | 2001-07-11 | 오재영 | Planing machine of bridge building |
KR20060031833A (en) * | 2006-03-22 | 2006-04-13 |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 Guide rail for monorail trolley |
KR20090108197A (en) * | 2008-04-11 | 2009-10-15 | 홍기표 | Underwater picker |
KR200468586Y1 (en) * | 2012-12-24 | 2013-08-26 | 이한준 | Apparatus for lifting power supply cable of excabator |
-
2021
- 2021-04-05 KR KR1020210044221A patent/KR102319678B1/en active Active
- 2021-10-25 KR KR1020210143052A patent/KR20220138787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4693A (en) * | 1999-12-18 | 2001-07-11 | 오재영 | Planing machine of bridge building |
KR20060031833A (en) * | 2006-03-22 | 2006-04-13 |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 Guide rail for monorail trolley |
KR20090108197A (en) * | 2008-04-11 | 2009-10-15 | 홍기표 | Underwater picker |
KR200468586Y1 (en) * | 2012-12-24 | 2013-08-26 | 이한준 | Apparatus for lifting power supply cable of excab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8787A (en) | 2022-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6373B1 (en) | Device and method for erecting a tubular el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outer end | |
KR102033794B1 (en) | Offshore wind turbine foundation, corresponding offshore wind turbine and method for their installation on site | |
CN110952550B (en) | Suspended self-supporting pile driving method and pile driver | |
EP3508653B1 (en) | A manufacturing facilit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jacket structure | |
CN112144535A (en) | Working method of riprap leveling ship | |
KR20160119125A (en) | Pipe laying machine and pipe laying method | |
US3218739A (en) | Dredge | |
NL8902752A (en) | METHOD FOR MAKING AN ARTIFICIAL CONSTRUCTION ON A WATER SOIL, SUCH AS AN ARTIFICIAL ISL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CONSTRUCTION BY PREPARATION IN PROPERTY. | |
CN107663859B (en) | pile driver | |
CN108005047B (en) | Pile driver capable of preventing tidal bore | |
JP5686649B2 (en) | Ultra-low head drilling device, kelly rod used for the drill, its drilling reaction force acquisition method and its moving device | |
KR102295251B1 (en) | Mound Leveling Method for Oceanic Construction | |
KR102319678B1 (en) | Mound Leveling Apparatus | |
CN213625592U (en) | Lifting, placing and anchoring device for leveling frame in riprap leveling ship | |
CN213323580U (en) | Posture adjusting device of leveling frame device of riprap leveling ship | |
CN211494398U (en) | Stone sliding pipe device of riprap leveling ship | |
TWI570047B (en) |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Disassembling Method of Giant Crane Crane | |
CN107460876B (en) | Improved pile driver platform | |
CN216428307U (en) | Underwater soil breaking robot | |
CN213324785U (en) | Hopper device of riprap leveling ship | |
CN115288204A (en) |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for basement exterior wall in deep foundation pit fertilizer groove | |
JP2023544796A (en) | Earthmoving machinery and methods for removing soil | |
CN107794923B (en) | Walking type travelling mechanism of pile driver platform | |
US5145279A (en) | Public works machine usable more particularly for laying vertical drains | |
JPH0543809B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4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