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97234B1 -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234B1
KR102297234B1 KR1020190133753A KR20190133753A KR102297234B1 KR 102297234 B1 KR102297234 B1 KR 102297234B1 KR 1020190133753 A KR1020190133753 A KR 1020190133753A KR 20190133753 A KR20190133753 A KR 20190133753A KR 102297234 B1 KR102297234 B1 KR 10229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rssi
elevator
floor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7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9445A (en
Inventor
서부건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234B1/en
Publication of KR2021004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4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23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즉시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카 내부 및 각 승강장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며, 입력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 예정자를 판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receives a signal from a user terminal, measur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and enters a power saving mode or a power saving mode based on the measured RSSI value. The elevator is controlled to release the elevator so that when there is no elevator user, the elevator enters power saving mode immediately without unnecessary waiting time. It relates to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apable of effective energy saving by enabling it to determine who is expected to use the elevator even in one state.

Description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R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즉시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카 내부 및 각 승강장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며, 입력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 예정자를 판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receives a signal from a user terminal, measur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and enters a power saving mode or a power saving mode based on the measured RSSI value. The elevator is controlled to release the elevator so that when there is no elevator user, the elevator enters power saving mode immediately without unnecessary waiting time. It relates to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apable of effective energy saving by enabling it to determine who is expected to use the elevator even in one stat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하여 승객을 건물의 소정의 층으로 수송하는 주요 수송수단으로 고층건물이 즐비한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장치이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an elevator is a major transportation mea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to a predetermined floor of a building using an elevator car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a hoistway, and is an essential device in a modern society where high-rise buildings are lined up.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도입부터 현재까지 승객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많은 산업분야에서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엘리베이터 분야에서도 에너지 절감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move passengers more efficiently and safely from the introduction of these elevators to the present. .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에너지 절감을 위한 종래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엘리베이터의 사용자가 없을 때에는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엘리베이터의 사용 요청이 발생하면 대기모드를 해지하고 정상 운행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As a conventional representative method for saving energy in the elevator, a method of switching to a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user of the elevator, and canceling the standby mode when a request for use of the elevator occurs, is used.

종래의 엘리베이터 에너지 절감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엘리베이터의 카가 운행되지 않고 각 승강장 층에서 호출이 추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엘리베이터를 대기모드로 진입시켜 승강장 내부의 조명과 팬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대기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어느 한 승강장 층에서 호출 버튼이 입력되어 호출이 발생하면 즉시 대기모드를 종료하여 승강장 내부의 조명과 팬이 동작하도록 하며 호출된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도록 한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elevator energy saving method in more detail,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s in a state where the car of the elevator does not operate and no additional calls are made on each platform floor, the elevator enters the standby mode to to stop the operation. And when a call button is input on one platform floor while entering the standby mode and a call occurs, the standby mode is immediately terminated, so that the lights and fans inside the platform operate, and the elevator car moves to the called floor.

이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에너지 절감 방법은 대기모드에서도 승객의 호출 버튼 입력을 감지해야 하기 때문에 대기모드에서 호출 버튼 및 입력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을 차단하지 못하고 조명과 팬에 연결된 전원 라인만을 제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하지 못함으로써 실질적인 엘리베이터의 전원 차감 효과가 크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the conventional elevator energy saving method cannot cut off the power line supplying power to the call button and the input sensing unit in the standby mode because the passenger's call button input must be detected even in the standby mode, and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light and the fa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tual power deduction effect of the elevator is not large because the standby power cannot be cut off by limiting the block.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15827호 (2013.10.01)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15827 (2013.10.01)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즉시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카 내부 및 각 승강장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며, 입력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 예정자를 판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 signal from a user terminal, measure an RSSI value, enter a power saving mode based on the measured RSSI value, or By operating the elevator to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the elevator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immediately without unnecessary waiting time when there is no elevator user, and cuts off the power to the input devices and display devices inside the car and at each platform, and the power supply of the input device It is to provide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that can effectively save energy by enabling it to determine who is expected to use the elevator even in the state in which it is block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수신장치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식별부가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사전 등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건물 또는 입주민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device,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d user terminal is pre-registered, and target the pre-registered user It is to provide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that can strengthen the security of a building or occupants by allowing the elevator to operat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가 자동 호출되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카에 탑승하면 사용자 단말이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 또는 로비층으로 목적층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에 의한 호출 버튼 또는 목표층 버튼 입력이 없이도 카의 호출 및 목표층 선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편리성을 제공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at a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when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disposed at the platform of each flo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nd when a boarding requester occurs, the car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floor where the boarding requester occurred When a user with a user terminal boards the car,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sets the destination floor to the residential floor or lobby floor designated during pre-registration, and calls and It is to provide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that provides high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selecting a target floo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과 카에 배치되는 카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카 승하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여부를 알 수 있고, 측정된 카 RSSI 값의 변화폭 또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의 변화 양상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카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승차한 것으로 오판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자동 설정된 목표층으로 운행되더라도 즉시 사용자가 미탑승 상태임을 판단하여 운행을 중지함으로써, 오판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고, 오판에 의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카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are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arranged in the platform of each floor with the car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car signal receiver arranged in the car, By determining whether to get on or off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user gets on or off the elevator, and through the change in the measured car RSSI value or the change in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on each floor,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gets on the car By judg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in one state and erroneously judging that the user has boarded, even if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to the automatically set target floor, it is immediately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riding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due to misjudgment and misjudgment. It is to provide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user's elevator car waiting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는 수신장치와,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user terminal and 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and a power saving mode based on the RSSI value measured by the receiving device. It includ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enter or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이때, 수신장치는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홀 RSSI 값을 측정하는 홀 신호 수신기와, 엘리베이터의 카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카 RSSI 값을 측정하는 카 신호 수신기를 포함하고, 제어장치는 측정된 홀 RSSI 값 및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면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platform of each floor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o measure the hall RSSI value, and the car is disposed in the car of the elevator and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o measure the car RSSI value. Including a signal receiver, the control device operates the elevator to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when a value above the threshold value among the measured Hall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exists, and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 value above the threshold value does not exist. It may include a driving control unit.

또한, 제어장치는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탑승 요청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by the Hall signal receiv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on the floor where the Hall signal receiver in which the Hall signal receiver is measured above the threshold value is disposed. can

또한, 운행 제어부는 탑승 요청 판단부에서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가 호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in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operate and control the elevator so that the car is called to the floor where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또한, 탑승 요청 판단부는 복수개의 홀 신호 수신기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었다면, 가장 큰 값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if a hole RSSI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is measured from the same user terminal in the plurality of hall signal receivers, the boarding requester is located on the floor where the hall signal receiver having the largest Hall RSSI value is measured. can do.

또한, 제어장치는 홀 RSSI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는 승차 판단부와, 홀 RSSI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하차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boarding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hole RSSI value with the car RSSI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gets on or not, and compares the hole RSSI value with the car RSSI value to get off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a disembarkation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또한, 승차 판단부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카 RSSI 값이 더 크면 사용자가 카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하차 판단부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카 RSSI 값이 더 작으면 사용자가 카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arding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hole RSSI values measured by each hall signal receiver with the car RSSI value, and if the car RSSI value is grea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car, and the alighting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car. By comparing the largest value of the hole RSSI values measured by the signal receiver with the car RSSI value, if the car RSSI value is small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got off the car.

또한, 제어장치는 홀 신호 수신기 또는 카 신호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운행 제어부, 탑승 요청 판단부, 승차 판단부 및 하차 판단부는 사전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RSSI 값을 대상으로 하는 판단과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or the car signal receiv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pre-register the identified user terminal, the operation control unit ,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the boarding determination unit, and the alighting determination unit may perform only determination and control targeting the RSSI value of the pre-registered user terminal.

또한, 운행 제어부는 승차 판단부가 사용자가 카에 승차하였다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층을 자동 입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id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car,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operate and control the elevator to automatically input a target floor based on previously registered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운행 제어부는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로비층이면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고,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주거층이면 로비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automatically inputs the designated residential floor as the target floor when the user terminal pre-registers if the floor the user boarded is the lobby floor, and operates the elevator to automatically input the lobby floor as the target floor if the user boarded floor is the residential floor You can control driving.

또한, 로비층 또는 주거층 외의 목표층이 수동 입력된 경우, 운행 제어부는 자동 입력된 로비층 또는 주거층이 임계 시간 내에 취소되지 않으면 수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target floor other than the lobby floor or the residential floor is manually input,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elevator to cancel the manually input target floor if the automatically input lobby floor or residential floor is not canceled within a threshold time.

또한, 제어 장치는 카가 이동 중에 카 내부에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운행 제어부는 탑승 상태 판단부에 의해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았다 판단되면 자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the car while the car is moving,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cancels the automatically input target floor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user is not boarded. You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또한, 탑승 상태 판단부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 후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boarded when the Hall RSSI values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s on each floor sequentially increase and then decrease.

또한, 탑승 상태 판단부는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미만이면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boarded when the change width of the car RSSI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width.

또한, 운행 제어부는 측정된 홀 RSSI 값 및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시간 없이 즉시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 카 내부의 목표층 선택 버튼 및 카 도어 개폐 버튼과 카의 층 정보 및 운행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operates and controls the elevator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immediately without waiting time if there is no value above the threshold among the measured Hall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and 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the elevator call button, the inside of the car The power supply to the display device that outputs the target floor selection button and the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button of the car and the floor information and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ar may be cut off.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즉시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카 내부 및 각 승강장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며, 입력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 예정자를 판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measuring the RSSI value, and controlling the elevator to enter or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based on the measured RSSI value, unnecessary waiting time when there is no elevator user Effective energy saving is achieved by allowing the elevator to enter power saving mode immediately without any possible effect.

또한, 수신장치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식별부가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사전 등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건물 또는 입주민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devic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identifies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ed user terminal is pre-registered, and allows the elevator to operate for the pre-registered user. , it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security of the building or its occupants.

또한,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가 자동 호출되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카에 탑승하면 사용자 단말이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 또는 로비층으로 목적층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에 의한 호출 버튼 또는 목표층 버튼 입력이 없이도 카의 호출 및 목표층 선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the hole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disposed on the platform of each flo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When a user gets in the car,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sets the destination floor to the residential floor or lobby floor designated during pre-registration, so that the car call and target floor selection ar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the user inputting the call button or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high convenience by making the

또한,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과 카에 배치되는 카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카 승하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여부를 알 수 있고, 측정된 카 RSSI 값의 변화폭 또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의 변화 양상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카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승차한 것으로 오판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자동 설정된 목표층으로 운행되더라도 즉시 사용자가 미탑승 상태임을 판단하여 운행을 중지함으로써, 오판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고, 오판에 의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카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mparing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arranged in the platform of each floor with the car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car signal receiver arranged in the ca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gets on or off the car.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elevator is getting on or off,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is moving while riding in the car through the change in the measured car RSSI value or the change in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on each floor Therefore, even if the user is mistakenly judged that the user has boarded and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to the automatically set target floor,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boarded immediately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due to misjudgment, and waiting for the user's elevator car due to misjudgment. This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 및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가 대기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탑승 요청자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승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카 운행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가 탑승 상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하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and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operating the elevator to release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elevator so that the operation control unit enters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determining a boarding requester dur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user boarding decision process among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r operation process in more detail among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operating in a boarding state dur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getting off determination process in more detail dur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100) 및 제어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210)가 대기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2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ceiving device 100 and a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elevator to release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elevator so tha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enters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이하 '제어 시스템'이라 한다)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UD)과,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는 수신장치(100)와, 수신장치(100)에서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및 각종 웨이러블기기 등의 블루투스 또는 WIFI 등이 동작하여 무선 신호 발신이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1 to 4,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signal from a user terminal (UD) possessed by a user and a user terminal (UD). A receiver 100 for 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and a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elevator to enter or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based on the RSSI value measured by the receiving device 100 (200). Here, the user terminal may be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by operating Bluetooth or WIFI such as a smart phone and various wearable devices.

이때, 수신장치(100)는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홀 RSSI 값을 측정하는 홀 신호 수신기(110)와, 엘리베이터의 카(C)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카 RSSI 값을 측정하는 카 신호 수신기(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장치(200)는 측정된 홀 RSSI 값 및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면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ption device 100 is disposed on the platform of each floor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o measure the Hall RSSI value, and the reception device 100 is disposed in the car (C) of the elevator and the user terminal (UD). and a car signal receiver 130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nd measuring a car RSSI value. And the control device 200 is a driving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re is a value above the threshold value among the measured Hall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and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re is no value above the threshold value. 210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도 3a, b를 살펴보면,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는 사용자 단말(UD)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RSSI 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이용을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접근하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강해져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에서 측정되는 RSSI 값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때, 각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의 배치 위치로 인해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수신된 RSSI 값이 가장 큰 수신기는 사용자 단말(UD)이 위치한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가 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ar signal receiver 130 of each floor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UD and measure the RSSI value. An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elevator platform to use the elevator,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UD) carried by the user increases, so that the RSSI value measured by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ar signal receiver 130 also increases. do. At this time, the receiver having the largest RSSI valu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UD due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Hall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ar signal receiver 130 is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of the floor where the user terminal UD is located. ) becomes

만약,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UD)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UD)이 위치한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면,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의 절전모드가 해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f, as shown in FIG. 3b , the user terminal UD i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levator platform, and the hall RSSI from the user terminal U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in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of the floor where the user terminal UD is located. When the value is measur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o that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elevator is released. Of course, if the elevator is not in the power saving mode, it should be maintained.

그리고 반대로,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이용을 마치고 카에서 하차하여 승강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멀어져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에서 측정된 모든 RSSI 값이 임계값 미만의 값이 되면,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나중에 임계값 미만의 RSSI 값이 측정되는 신호 수신기는 사용자가 하차한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110)일 것이다.And,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S. 4a and b,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UD) gets off the car after using the elevator and moves away from the platform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ar signal receiver on each floor ( When all the RSSI values measured in 130) are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o that the elevator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Here, the signal receiver from which the RSSI value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is measured last may be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disposed in the platform of the floor where the user gets off.

이때, 운행 제어부(210)는 측정된 홀 RSSI 값 및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시간 없이 즉시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엘리베이터는 카 내부의 조명(L), 카 내부의 팬,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 카 내부의 목표층 선택 버튼 및 카 도어 개폐 버튼과 카의 층 정보 및 운행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반대로 절전모드가 해제되면 차단되었던 전원 공급이 재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perates and controls the elevator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immediately without waiting time if there is no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among the measured Hall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and 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the elevator moves inside the car The light (L) of the car, the fan inside the car, the elevator call button, the target floor selection button and the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button inside the car, and the power supply to the display device that outputs the floor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ar are cut off, Conversely,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the power supply that was cut off may be resume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는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110)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탑승 요청 판단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if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by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th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oards the floor on which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in which the Hall RSSI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is measured is disposed. It may further include a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that determines that the requester has occurred.

이때,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복수개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었다면, 가장 큰 값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110)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복수개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었다면, 가장 먼저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110)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is configured to, if a hole RSSI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measured from the same user terminal (UD) in the plurality of hall signal receivers 110, the hall signal receiver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on the floor where 110) is arranged. In addition,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is a Hall signal receiver in which the Hall RSSI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measured first when the Hall RSSI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is measured from the same user terminal UD in the plurality of Hall signal receivers 11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on the floor where 110 is disposed.

여기서, 운행 제어부(210)에서 절전모드 해제를 위해 판단 기준이 되는 RSSI 값의 임계값과 탑승 요청 판단부(220)에서 탑승 요청자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 판단 기준이 되는 RSSI 값의 임계값이 동일한 값일 경우,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요청 판단부(220)에 의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였다 판단되면 엘리베이터의 절전모드가 해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value of the RSSI value serving as the criterion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driving control unit 210 for canceling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threshold value of the RSSI value serving as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the boarding requester in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are the same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that a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o that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elevator is released.

그리고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요청 판단부(220)가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C)가 호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may operate and control the elevator so that the car C is called to the floor where the boarding requester occurred.

즉,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면 해당 층에 배치된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됨과 동시에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사용자 단말(UD)이 위치한 층을 판단하여 해당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에서 엘리베이터 카(C)를 호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carrying a user terminal (UD)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latform,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floor measures a hole RSSI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and a hole RSSI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s measured. Simultaneously with this measuremen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releases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elevator, and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floor where the user terminal UD is located and determines that a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on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call the elevator car (C) on the floor where the boarding requester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ectively save energy.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는 홀 RSSI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는 승차 판단부(230)와, 홀 RSSI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하차 판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ide determining unit 230 that compares the hole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user who has a user terminal (UD) rides, and the hole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alighting determination unit 240 that compares the value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arrying the user terminal UD gets off.

구체적으로 승차 판단부(230)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카 RSSI 값이 더 크면 사용자가 카(C)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하차 판단부(240)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카 RSSI 값이 더 작으면 사용자가 카(C)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iding determination unit 230 compare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hall RSSI values measured by each hall signal receiver 110 with the car RSSI value. , and the alight determining unit 240 compare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hall RSSI values measured by each hall signal receiver 110 with the car RSSI value. It can be considered as leaving

이때, 엘리베이터 카(C)가 어느 한 층에 정차한 상태에서 정차한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로부터 카 도어까지의 거리와 카 신호 수신기(130)로부터 카 도어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각 홀 신호 수신기(110)와 카 신호 수신기(130)가 위치되도록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정차한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까지의 거리와 카 신호 수신기(130)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이 카 도어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UD)이 카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면 카 RSSI 값이 더 커지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UD)이 카 외부에 위치되어 있으면 홀 RSSI 값이 더 커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to the car door on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car C is stopped on one floor and the distance from the car signal receiver 130 to the car door are the same for each hall The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ar signal receiver 13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to be positioned. By making a point where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UD to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of the stopped floor and the distance to the car signal receiver 130 the same as the car door position, the user terminal UD is located inside the car This is so that the car RSSI value becomes larger if it is, and the hole RSSI value becomes larger when the user terminal (UD) is located outside the car.

그리고 이때, 운행 제어부(210)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두 값의 차가 설정 범위 이내일 경우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두 RSSI 값의 차가 설정 범위 이내일 때에는 사용자가 카 도어에 위치하였거나 매우 근접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문 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And at this tim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mpare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hall RSSI values measured by each hall signal receiver 110 with the car RSSI value so that the elevator car door is not clos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is within a set range. You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is is to prevent the user from getting caught in the doo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SSI values is within the set range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ser is located at the car door or is very close.

한편, 제어장치(200)는 홀 신호 수신기 또는 카 신호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UD)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식별부(260)를 더 포함하고, 운행 제어부(210), 탑승 요청 판단부(220), 승차 판단부(230) 및 하차 판단부(240)는 사전 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의 RSSI 값을 대상으로 하는 판단과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200 identifies the user terminal (UD)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or the car signal receiver, and a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e-register the identified user terminal. Further including 260,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the boarding determination unit 230, and the getting off determination unit 240 target the RSSI value of the pre-registered user terminal (UD). It can only perform judgment and control.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는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의 신호인 경우에만 해당 신호의 홀 RSSI 값과 카 RSSI 값 만을 유효값으로 처리한다. 때문에,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접근하여도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탑승자 발생을 판단하지 않는다.That is, th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cesses only the hole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of the corresponding signal as valid values only when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device is a signal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terminal (UD). . Therefore, even if a user with an unregistered user terminal (UD) approaches the elevator platform,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does not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elevator, and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does not determine the occurrence of occupants. .

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210)는 승차 판단부(230)가 사용자가 카(C)에 승차하였다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UD)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층을 자동 입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input the target floo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UD) when the ride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car (C). You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구체적으로, 운행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로비층이면 사용자 단말(UD)의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고,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주거층이면 로비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automatically inputs the designated residential floor as the target floor during pre-registration of the user terminal (UD) if the floor the user boarded is the lobby floor, and targets the lobby floor if the floor the user boarded is the residential floor The elevator can be operated and controlled to automatically enter the floor.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호출 버튼 또는 목표층 버튼 입력이 없이도 카의 호출 및 목표층 선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전 등록된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건물 또는 입주민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ffect of providing high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calling a car and selecting a target floor without the user inputting a call button or a target floor button. In addition, by allowing the elevator to operate only for pre-registered user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curity of the building or residents can be strengthened.

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210)는 로비층 또는 주거층 외의 목표층이 수동 입력된 경우, 자동 입력된 로비층 또는 주거층이 임계 시간 내에 취소되지 않으면 수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trols the elevator to cancel the manually input target floor if the lobby floor or residential floor is not canceled within a threshold time when the target floor other than the lobby floor or the residential floor is manually input. You can control driving.

즉,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로비층에서 엘리베이터 카(C)에 탑승하면 자동으로 주거층이 입력되고 곧 주거층을 향해 카(C)가 운행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목표하는 층이 주거층이 아닌 다른 층인 경우, 사용자는 주거층에 해당하는 버튼을 가압하여 주거층이 목표층에서 취소되도록 해야만 다른 층을 목표층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하지 않은 사용자가 함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동 선택된 목표층을 취소하고 다른 층을 목표층으로 선택하는 경우 이를 기록하여 외부 서버로 발송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한층 더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with a pre-registered user terminal (UD) boards the elevator car (C) on the lobby floor, the residential floor is automatically entered and the car (C) is operated toward the residential floor. However, when the user's target floor is a floor other than the residential floor, the user can set the other floor as the target floor only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sidential floor to cancel the residential floor from the target floor. This is to prevent a user who does not have a pre-registered user terminal (UD) from using the elevator together when a user with a pre-registered user terminal (UD) uses the elevator. In addition, when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UD) cancels the automatically selected target floor and selects another floor as the target floor, the user can further enhance security by recording this and sending it to an external server.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카(C)가 이동 중에 카 내부에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 상태 판단부(250)를 더 포함하고,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상태 판단부(250)에 의해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았다 판단되면 자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승차 판단부(230)에서 사용자가 승차한 것으로 오판하여 엘리베이터 카(C)가 자동 설정된 목표층으로 운행되더라도 즉시 사용자가 미탑승 상태임을 판단하여 운행을 중지함으로써, 오판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고, 오판에 의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카(C)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250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boarded in the car while the car C is moving,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includes the board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250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board the elevator, the elevator may be operated and controlled to cancel the automatically entered target floor. This is to prevent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due to misjudgment by erroneously judging that the user has boarded by the ride determination unit 230 and stopping the operation by immediately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not riding even if the elevator car C is operated to the automatically set target floor. and to minimize the user's waiting time for the elevator car (C) due to misjudgment.

탑승 상태 판단부(250)가 카(C)가 이동하는 중에 카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 후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할 수 있다.Looking more specifically at how the board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whether a user is in the car while the car C is moving, first, the board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250 provides a hall signal receiver ( 110), when the measured hole RSSI value sequentially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boarded.

만약, 사용자 단말(UD)이 엘리베이터 카(C)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상향 운행 중이라면 2층, 3층, 4층에 배치된 홀 신호 수신기(110) 순으로 측정된 홀 RSSI 값이 증가하다 각 층을 통과하는 시점부터 감소할 것이고 엘리베이터가 하향 운행 중이라면 반대의 순서로 홀 RSSI 값이 증가하다 각 층을 통과하는 시점부터 감소할 것이다.If the user terminal (UD) is located inside the elevator car (C) and the elevator is operating upward, the hall RSSI values measured in the order of the hall signal receivers 110 disposed o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floors are It increases and decreases from the time it passes through each floor, and if the elevator is running downward, the hall RSSI value increases in the reverse order and decreases from the time it passes through each floor.

또한,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미만이면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UD)이 카(C)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카(C)가 상향 운행되었다면 얼마 운행되지 않고 카 RSSI 값은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다.Also,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25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boarded when the change width of the car RSSI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width. If the user terminal (UD) is located outside the car (C) and the car (C) is operated upward, the car RSSI value will decrease significantly without running for a whi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탑승 요청 판단부(220)가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0). 만약,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지 않았다면(S100-N) 탑승 요청자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고,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면(S100-Y),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인지 판단하고(S200), 절전모드일 경우(S200-Y) 절전모드를 해제하며(S250), 절전모드 상태가 아니면(S200-N), 절전모드 해지 과정은 생략한다.Referring schematically to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5 , first,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a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 S100 ). If the boarding requester does not occur (S100-N), it waits until the boarding requester occurs, and when the boarding requester occurs (S100-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determines whether the elevator is in power saving mode (S200), In the case of the power saving mode (S200-Y),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S250), and if not in the power saving mode (S200-N), the process of canceling the power saving mode is omitted.

그리고 절전모드가 해제되었거나 이 과정을 생략한 뒤에,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요청자 발생이 감지된 층에 카(C)가 호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S300).And after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or this process is omit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may operate and control the elevator so that the car C is called to the floor where the generation of the boarding requester is detected (S300).

엘리베이터 카(C)가 호출된 층에 도착하고 카의 도어가 개방되면 승차 판단부(230)는 사용자가 승차하였는지 판단한다(S400). 만약, 사용자가 승차하지 않았다면(S400-N), 운행 제어부(210)는 임계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450), 임계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S450-N) 임계시간이 다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되(S400), 임계시간이 경과했다면(S450-Y), 모든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에서 측정되는 RSSI 값이 모두 임계값 미만인지 판단하고(S800), 모든 RSSI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S800-N),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S900), 본 RSSI 기반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이 종료된다.When the elevator car C arrives at the called floor and the door of the car is opened, the ride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boarded (S400). If the user does not get on (S400-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determines whether the threshold time has elapsed (S450), and if the threshold time has not elapsed (S450-N), the threshold tim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ides again. It is determined (S400), but if the threshold time has elapsed (S450-Y),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the RSSI values measured by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ar signal receiver 130 are all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S800), and all the RSSI When the valu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S800-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elevator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S900), and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ends.

만약, 임계값 이상인 RSSI 값이 존재하는 경우(S800-N),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850), 임계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S850-N), RSSI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다시 판단하며(S800), 임계시간이 경과한 경우(S850-Y),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S900), 본 RSSI 기반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이 종료된다.If there is an RSSI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S800-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reshold time has elapsed (S850), and if the threshold time has not elapsed (S850-N),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the RSSI valu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S800), when the threshold time has elapsed (S850-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elevator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S900), and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ends.

한편, 만약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카(C)에 승차하였다면(S400-Y) 운행 제어부(210)는 카(C)가 운행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S500),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카(C)의 운행이 시작되면 사용자가 탑승 상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S600).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rides in the elevator car (C) (S400-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o that the car (C) is operated (S500), and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250 is the car ( When the operation of C) start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driving in the riding state (S600).

만약, 사용자가 탑승 상태에서 운행 중이다 판단되는 경우(S600-Y), 운행을 지속하고, 카(C)가 목표층에 도착하면 하차 판단부(240)는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700). 그리고 사용자가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700-N), 사용자가 하차할 때까지 대기하고, 사용자가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면(S700-Y), 절전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모든 RSSI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판단한다(S80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driving in the boarding state (S600-Y), the vehicle continues to operate, and when the car C arrives at the target floor, the alighting determination unit 2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lighted (S700). ).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get off (S700-N), it waits until the user gets off,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got off (S700-Y), all RSSI values are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S800).

그리고 운행 중에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600-N),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 운행이 즉시 중단되도록 동작 제어하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0).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board during operation (S600-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operation so that the elevator operation is immediately stopped, and returns to the beginning again to determine whether a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S10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탑승 요청자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determining a boarding requester dur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탑승 요청자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단말 식별부(260)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의 신호가 수신되었다 판단되면(S110),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측정된 사용자 단말 신호의 홀 RSSI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0). 만약, 임계값을 초과하였다면(S120-Y),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해당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S130),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S120-N), 탑승 요청자가 발생 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40).Referring to FIG. 6 , in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arding requester determin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user terminal (UD) registered by the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260 has been received. If it is (S110),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hole RSSI value of the user terminal signal exceeds a threshold value (S120). If the threshold is exceeded (S120-Y),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on the corresponding floor (S130), and if it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S120-N), board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quester has not occurred (S14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승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user boarding decision process among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승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카가 호출된 층에 정지하면(S410), 승차 판단부(230)는 가장 큰 홀 RSSI 값이 카 RSSI 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S420).Referring to FIG. 7 , in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boarding determin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when the car stops at the called floor (S410), the boarding determination unit 230 is the largest hall.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SSI value is smaller than the car RSSI value (S420).

그리고 승차 판단부(230)는 가장 큰 홀 RSSI 값이 카 RSSI 값보다 작은 경우(S420-Y), 사용자가 카(C)에 승차하였다 판단하고(S430), 가장 큰 홀 RSSI 값이 카 RSSI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S420-N), 사용자가 카(C)에 승차하지 않았다 판단할 수 있다(S440).In addition, when the largest hole RSSI value is smaller than the car RSSI value (S420-Y), the ride determining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car (C) (S430), and the largest hole RSSI value is the car RSSI value (S430). If it is not smaller than (S420-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ride the car (C) (S44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카 운행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r operation process in more detail among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카 운행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운행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UD)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승차층이 사용자 주거층인지 판단할 수 있다(510).Referring to FIG. 8 , among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boarding floor based on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U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s residential floor is (510).

만약, 승차층이 사용자 주거층인 경우(510-Y), 운행 제어부(210)는 로비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되도록 운행 제어하고(520), 승차층이 사용자 주거층이 아닌 경우(510-N), 운행 제어부(210)는 주거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되도록 운행 제어할 수 있다(530).If the riding floor is the user's residential floor (510-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operation so that the lobby floor is input as the destination floor (520), and when the riding floor is not the user's residential floor (510-N) ),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operation so that the residential floor is input as the destination floor ( 530 ).

목적층이 입력되면 운행 제어부(210)는 로비층 및 기등록된 주거층 외에 다른 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540). 만약 타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540-N), 엘리베이터 카(C)가 목적층으로 운행되도록 운행 제어하고(S570), 타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된 경우(540-Y), 로비층 또는 주거층의 목적층 입력이 취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550).When the destination floor is inpu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may determine whether a floor other than the lobby floor and the pre-registered residential floor has been input as the destination floor ( 540 ). If the other floor is not entered as the destination floor (540-N), the elevator car (C) is operated to operate to the destination floor (S570), and when the other floor is input as the destination floor (540-Y), the lobb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of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floor or residential floor is canceled ( 550 ).

만약, 취소된 경우(550-Y), 운행 제어부(210)는 변경된 목적층으로 카(C)가 운행되도록 운행 제어하지만(570), 취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550-N), 추가 입력된 타층은 목적층 입력을 취소하고(560), 기존의 목적층인 로비층 또는 기등록된 주거층을 목적층으로 하여 카(C)가 운행되도록 운행 제어할 수 있다(570).If it is canceled (550-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operation so that the car C is operated to the changed destination floor (570), but if it is not canceled (550-N), the additionally inputted other floor cancels the input of the destination floor (560),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r (C) so that the existing destination floor, the lobby floor, or the registered residential floor, is used as the destination floor (57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가 탑승 상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operating in a boarding state dur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가 탑승 상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측정되는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이내인지 판단하고(S610), 기준 폭을 벗어날 경우((S610-N), 사용자가 미탑승 상태로 카가 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40).Referring to FIG. 9 ,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operating in a boarded state during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the board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a change in the measured car RSSI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dth is within the reference width (S610), and when it is out of the reference width (S610-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driving the car in a non-riding state (S640).

만약,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미만인 경우(S610-Y),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락 순으로 변화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20).If the change width of the car RSSI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width (S610-Y),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250 sequentially increases and decreases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110 of each floor in the order of rise and fall.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S620).

그리고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경우(S620-Y), 사용자가 탑승한 생태로 카(C)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지만(S630), 순차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S620-N),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로 카(C)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40).And when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250 sequentially changes (S620-Y),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C) is moving in the user's boarding ecology (S630), but does not change sequentially (S620-N)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ar C is moving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riding (S64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하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getting off determination process in more detail during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가 하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카(C) 목적층에 도착하면(S710), 하차 판단부(240)는 홀 RSSI 값이 카 RSSI 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S720). 만약 홀 RSSI 값이 카 RSSI 보다 클 경우(S720-Y), 하차 판단부(240)는 사용자가 하차 완료하였다 판단하고(S730), 홀 RSSI 값이 카 RSSI 값 보다 작을 경우(720-N)에는 사용자가 아직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40).Referring to FIG. 10, during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looks at the getting off determination process in more detail. First, when the car (C) arrives at the destination floor (S710), the getting off determining unit 240 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hole RSSI value is greater than the car RSSI value (S720). If the hole RSSI value is greater than the car RSSI value (S720-Y), the alighting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finished getting off (S730), and if the hole RSSI value is smaller than the car RSSI value (720-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not yet gotten off (S74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수신장치
110: 홀 신호 수신기 130: 카 신호 수신기
200: 제어장치
210: 운행 제어부 220: 탑승 요청 판단부
230: 승차 판단부 240: 하차 판단부
250: 탑승 상태 판단부 260: 단말 식별부
UD: 사용자 단말
100: receiver
110: hall signal receiver 130: car signal receiver
200: control device
210: operation control unit 220: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230: boarding decision unit 240: getting off determination unit
250: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260: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UD: user terminal

Claims (15)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는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장치는,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홀 RSSI 값을 측정하는 홀 신호 수신기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카 RSSI 값을 측정하는 카 신호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홀 RSSI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는 승차 판단부와, 상기 승차 판단부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에 승차하였다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층을 자동 입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를 포함하며,
로비층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 외의 목표층이 수동 입력된 경우, 상기 운행 제어부는 자동 입력된 상기 로비층 또는 상기 주거층이 임계 시간 내에 취소되지 않으면 수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user terminal and 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and
Based on the RSSI value measured by the receiv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or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The receiv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platform of each floor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o measure a hall RSSI value, and the receiving device is disposed in the car of the elevator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o obtain a car RSSI value. including a car signal receiver for measuring;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ride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hole RSSI value with the car RSSI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is riding, and when the ri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car, It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automatically input the target floo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lobby floor or a target floor other than the residential floor designated at the time of pre-registr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manually input, the operation control unit cancels the manually input target floor if the lobby floor or the residential floor that is automatically input is not canceled within a threshold time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elev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홀 RSSI 값 및 상기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면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leases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re is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mong the measured hole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and controls the elevator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re is no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탑승 요청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on the floor where the Hall signal receiver whose Hall signal receiver has measured the Hall RSSI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탑승 요청 판단부에서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가 호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an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in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the elevator is operated and controlled so that the car is called to the floor where the boarding requester occurr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요청 판단부는 복수개의 상기 홀 신호 수신기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었다면, 가장 큰 값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boarding requester has occurred in the floor where the Hall signal receiver for which the Hall RSSI value of the largest value is measured is located, if a Hall RSSI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is measured from the same user terminal in the plurality of Hall signal receivers.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홀 RSSI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하차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The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lighting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hall RSSI value with the car RSSI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arrying the user terminal is aligh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판단부는 각각의 상기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카 RSSI 값이 더 크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하차 판단부는 각각의 상기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카 RSSI 값이 더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iding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car RSSI value with the largest value among the hall RSSI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hall signal receivers, and if the car RSSI value is grea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car;
The alight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car RSSI value with the largest value among the hall RSSI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hall signal receivers,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alighted from the car if the car RSSI value is smaller.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홀 신호 수신기 또는 상기 카 신호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제어부, 상기 탑승 요청 판단부, 상기 승차 판단부 및 상기 하차 판단부는 사전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RSSI 값을 대상으로 하는 판단과 제어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user terminal based on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or the car signal receiv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pre-register the identified user terminal, ,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boarding request determination unit, the boarding determination unit and the alighting determination unit perform only determination and control targeting the RSSI value of the pre-registered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로비층이면 상기 주거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상기 주거층이면 로비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ration control unit operates the elevator to automatically input the residential floor as the target floor if the floor the user boarded is the lobby floor, and automatically input the lobby floor to the target floor if the user boarded floor is the residential floor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는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장치는,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홀 RSSI 값을 측정하는 홀 신호 수신기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카 RSSI 값을 측정하는 카 신호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홀 RSSI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는 승차 판단부와, 상기 승차 판단부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에 승차하였다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층을 자동 입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 그리고 상기 카가 이동 중에 상기 카 내부에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탑승 상태 판단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았다 판단되면 자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user terminal and 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and
Based on the RSSI value measured by the receiv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or release the power saving mode,
The receiv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platform of each floor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o measure a hall RSSI value, and the receiving device is disposed in the car of the elevator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o obtain a car RSSI value. including a car signal receiver for measuring;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ride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hole RSSI value with the car RSSI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is riding, and when the ri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car, A driving control unit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elevator to automatically input a target floor based on previously registered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boarded in the car while the car is moving,
The operation control unit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elevator to cancel the automatically input target floor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user is not board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상태 판단부는 각 층의 상기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홀 RSSI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 후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all RSSI value measured from the hall signal receiver on each floor sequentially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board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상태 판단부는 상기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unit RSSI-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 width of the car RSSI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widt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board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홀 RSSI 값 및 상기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시간 없이 즉시 상기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
상기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 카 내부의 목표층 선택 버튼 및 카 도어 개폐 버튼과 상기 카의 층 정보 및 운행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control unit operates and controls the elevator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immediately without waiting time if there is no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mong the measured hole RSSI value and the car RSSI value,
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the power supply to the display device that outputs the call button of the elevator, the target floor selection button and the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button inside the car, and the floor information and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ar is cut off, characterized in that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KR1020190133753A 2019-10-25 2019-10-25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Active KR102297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753A KR102297234B1 (en) 2019-10-25 2019-10-25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753A KR102297234B1 (en) 2019-10-25 2019-10-25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445A KR20210049445A (en) 2021-05-06
KR102297234B1 true KR102297234B1 (en) 2021-09-03

Family

ID=7591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753A Active KR102297234B1 (en) 2019-10-25 2019-10-25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2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2352B (en) * 2023-08-25 2023-11-10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Energy saving method and system for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320A (en) * 2004-03-11 2005-09-22 Otis Elevator Co Registering device for elevator
JP2012056701A (en) * 2010-09-08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Power saving system fo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827B1 (en) 2013-06-18 2013-10-08 (주)영진엘리베이터 Power reduction device of elevator main power
KR102518973B1 (en) * 2016-04-06 2023-04-0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Mobile device state management and location determin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320A (en) * 2004-03-11 2005-09-22 Otis Elevator Co Registering device for elevator
JP2012056701A (en) * 2010-09-08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Power saving system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445A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1068B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service elevator in response to an initiated call from each car
JP6747626B1 (en)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US20130048436A1 (en) Automated elevator car call prompting
JP6007984B2 (en) Elevator landing equipment
EP1988046B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US9090433B2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that includes a standby operation
JP2020011805A (en) Transportation system of autonomous mobile body
CN109110589B (en) Determination of passenger movement relative to elevator landing zone
JP2009051617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03226473A (en) Elevator control system
WO2022176858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EP3686143B1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when a car is full
KR20210137153A (en) 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JP5182695B2 (en) elevator
JP6702575B1 (en) Elevator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system
KR102297234B1 (en) 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KR20160071086A (en) Intelligent elevator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12035966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KR102277107B1 (en) Elevator power sa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7219695B2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KR20190095783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vator
KR101081215B1 (en) Elev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identification of nodes
KR102530062B1 (e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JP2022137956A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elevator
JP7631413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