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91054B1 - 용기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54B1
KR102291054B1 KR1020167035881A KR20167035881A KR102291054B1 KR 102291054 B1 KR102291054 B1 KR 102291054B1 KR 1020167035881 A KR1020167035881 A KR 1020167035881A KR 20167035881 A KR20167035881 A KR 20167035881A KR 102291054 B1 KR102291054 B1 KR 10229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s
transfer
pack
mounting table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931A (ko
Inventor
오사무 요시다
치주카 카이
쿠니미추 토요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토호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토호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테크
Publication of KR2017001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2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different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walking beam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18Controlling escape of air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용기 검사 장치는, 일 방향으로 액체를 수용하는 팩(P)을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12), 상기 투입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일 방향의 하류측으로 배치되고, 팩을 일 방향으로 반송하는 배출 컨베이어(13), 투입 컨베이어 및 배출 컨베이어 사이에는 팩을 복수로 재치 가능한 재치면(14S)을 갖는 재치대(14), 그 단부에 개구를 갖고, 재치면이 컨택할 경우 개구를 폐쇄할 때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된 챔버부(16) 및 투입 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액체 용기의 이송 속도보다 큰 속도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투입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의 팩들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재치대의 상기 재치면으로 상기 팩들을 이송하고, 상기 재치면에 재치된 복수의 팩들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팩들을 상기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트랜스퍼(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 검사 장치{CONTAINER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용기가 이송되는 동안 이송되는 용기를 검사하는 용기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체를 수용하는 종이 팩 또는 수액 팩 등과 같은 연성 액체 용기에 대해서, 이송 수단에 의해서 이송되는 액체 용기 내에 과다 공기 주입 여부를 그 운송 중에 검사하는 용기 검사 장치가 있다. 상기 용기 검사 장치는, 이송되는 액체 용기를 밀폐 공간에 수용한 후 해당 밀폐 공간을 감압하여 용기 외벽이 팽창된 경우에 공기 혼입이 과다한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밀폐 공간에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시간이나, 밀폐 공간이 감압하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인하여, 액체 용기에 대한 검사 시간이 길어질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밀폐 가능한 수용 공간을 가진 수용 케이스 내에 액체 용기를 복수개로 수용하는 동시에 그런 수용 케이스를 복수로 배치함으로써, 액체 용기에 대한 개당 검사 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용기 검사 장치가 기존에 제안되고 있다. 즉, 기존의 용기 검사 장치에서는, 여러 수용 케이스가 배치되고 이들 복수의 수용 케이스가 각각 이동하여 이송 수단에 대해서 교대로 또는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이송 수단에 의하여 복수의 액체 용기(피검사물)가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교대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이송 수단에 연결된 수용 케이스의 밀폐 가능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수용 공간에서 이송 수단에 의해서 복수의 액체 용기(피검사물)가 순차적으로 배출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번호 특개 2006-8161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용기 검사 장치에서 액체 용기에 대한 개당 검사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이송 수단에 의한 액체 용기의 이송 속도를 높이면서, 복수의 액체 용기가 수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 또 수용 케이스가 이송 수단에 대해서 교대 또는 순차적으로 연결될 때 수용 케이스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액체 용기의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는 이송된 액체 용기가 수용 공간 내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수용 공간 내에서 액체 용기들이 상호 충돌하고 액체 용기가 전복되어 버리는 일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액체 용기 내의 과다 주입 공기를 올바른 검사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또 수용 케이스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할 경우는 밀폐 가능한 수용 공간 내에 복수의 액체 용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수용 케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큰 동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수용 케이스의 이동 속도를 높이는 것은 쉽지 않다는 과제가 있다.
이런 상황이, 이송되는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하고 검사하는 용기 검사 장치에서는 일반적이고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고려하여 이뤄진 것이며 그 목적은 이송되는 액체 용기에 대해서 액체 용기에 대한 개당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용기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들 및 상기 수단들의 구동과 효과에 대하여 이하 기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용기 검사 장치는, 이송되는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하고 상기 용기들을 검사하는 용기 검사 장치이다. 상기 용기 검사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상기 액체 용기들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의 하류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액체 용기들을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용기들 중 복수가 재치될 수 있는 재치면을 갖는 재치대, 일부에 개구를 갖고, 상기 재치면이 컨택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 케이스 및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한 상기 액체 용기의 이송 속도보다 큰 속도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재치대의 상기 재치면으로 상기 액체 용기들을 이송하고, 상기 재치면에 재치된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액체 용기들을 상기 제2 이송부로 이송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재치대로, 상기 재치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고속으로 이송한다. 이로써, 상기 재치대 상에 재치된 액체 용기들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검사하기 전후로 상기 액체 용기의 이송 속도가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 용기당 검사 시간이 감소된다.
상기 용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 및 상기 재치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제3 이송부가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재치대를 경유하여 제2 이송부까지 최단 거리로 상기 액체 용기들을 이송할 수 있다. 이로써, 액체 용기당 검사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검사 장치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한 상기 액체 용기들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속적인 열로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배열하는 이송 정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이송부가 상기 연속적인 열로 상기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재치대의 상기 재치면으로 상기 액체 용기들을 이송할 수 있다.
이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액체 용기들을 연속 열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이송부에 의하여 연속 열로 배열된 액체 용기들 복수 개를 이송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이송부에 의한 액체 용기들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제1 이송부로부터 재치대까지 상기 액체 용기들의 이송 속도가 고속으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용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치대의 재치면은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재치면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 케이스에 컨택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하여, 액체 용기의 수용 공간이, 수용 케이스의 이동없이 재치면을 이동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수용 케이스가 이동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복수의 액체 용기들이 수용 공간 내로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용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의 상기 채치면은 수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고, 상기 재치면이 상승하여, 하면에서부터 하방 개구를 갖는 상기 수용 케이스와 컨택 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패쇄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런 구성을 통하여, 재치대(재치면) 및 수용 케이스가 승강 방향으로 적층된 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수평 방향으로 용기 검사 장치에 의하여 차지되는 공간 영역의 증대가 억제되며, 액체 용기당 검사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검사 장치의 구조를 개별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2-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용기 검사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검사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장치가 팩 검사 동작 중 용기 검사 장치의 상태를 타내는 모식도들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장치가 팩 검사 동작 중 용기 검사 장치의 상태를 타내는 모식도들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장치가 팩 검사 동작 중 용기 검사 장치의 상태를 타내는 모식도들이다.
용기 검사 장치의 일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용기 검사 장치는, 액체의 일 예인 우유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의 일 예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종이 팩이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기 팩들이 이송되는 동안에 소정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용기는 우유를 제외한 다른 액체가 충진되는 종이 팩 또는 플라스틱 팩 혹은 수액백과 같은 다른 유연성 액체 용기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검사 장치(11)는 제1 이송부로 기능하며, 일 방향으로 우유를 수용하는 팩(P)을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12) 및 상기 투입 컨베이어(12)로부터 상기 일 방향의 하류측으로 배치되고, 팩(P)을 일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2 이송부로 기능하는 배출 컨베이어(13)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입 컨베이어(12) 및 배출 컨베이어(13) 사이에는 팩(P)을 복수로 재치 가능한 재치면(14S)을 갖는 재치대(14)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상기 투입 컨베이어(12), 배출 컨베이어(13) 및 상기 재치대(14)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재치대(14)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서 반중력 방향측인 상측에는, 수용 케이스의 일 예로서 하방 개구(16K, 도 2 참조)를 갖는 챔버부(16)가 위치한다. 상기 챔버부(16)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장치 프레임 바디(17)를 포함하는 부재이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횡량(transverse bar; 18)에 고정된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1(a)는 챔버부(16)를 구비하는 장치 프레임 바디(17)의 상측부가 제거된(절단된) 상태에서 용기 검사 장치(11)를 도시한다.
상기 재치대(14)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이며, 상기 장치 프레임 바디(17)에 고정된 승강 기구(40)에 의하여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재치대(14)가 상방으로 이동(상승)하기 위하여, 재치면(14S)이 아래로부터 챔버부(16)에 대하여 가압하고 컨택하여 개구(16K)를 폐쇄함으로써 챔버부(16) 내에서 팩(P)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SK, 도 2 참조)을 형성한다. 즉, 재치대(14)가 초기 위치에서부터 상승함으로써, 재치면(14S)에 적재된 다수의 팩들(P)이 상기 수용 공간(SK) 내에 수용된다.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재치대(14)를 하강시켜 재치면(14S)이 챔버부(16)의 개구(16K)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재치면(16)에 적재된 팩들(P)이 추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재치면(14S) 및 개구(16K) 각각은 상기 일 방향이 가로 방향인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팩들(P)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재치면(14S) 상에 적재될 수 있다.
챔버부(16)에는, 수용 공간(SK)에 대하여 공기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미도시 라인을 통하여 챔버부(16)와 연결된 미도시된 진공 펌프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16) 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SK)은 밀폐된 공간으로 상기 진공 펌프의 구동을 통하여 일정 압력으로 감압 가능하다.
상기 용기 검사 장치(11)는 도 1(a) 및 도 1(b)에 직선 또는 파선 화살표로 표시되고, 횡량(18)의 가로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는 제3 이송부로 기능하는 트랜스퍼(15)를 포함한다. 트랜스퍼(15)는, 상기 장치 프레임 바디(17)의 횡량(18)을 따라 정렬된 가이드 레일(18G, 도 2 참조)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프레임 바디(58) 및 이동 가능한 프레임 바디(58)에 정렬되고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제1 팩 척들(carton chucks; 51)과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제2 팩 척들(52)을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프레임 바디(58)의 일부는, 고정부(83)에 의하여 한 쌍의 롤러(80, 81) 주위를 감싸는 무한 벨트(82)에 부착된다. 모터와 같은 구동원에 의하여 동작될 때, 적어도 하나의 롤러들(80, 81)은 도 1(b)의 직선 화살표 또는 파선 화살표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회동한다. 상기 롤러들(80, 81)이 회동함에 따라, 이동 가능한 프레임 바디(58), 또는 트랜스퍼(15)가, 도 1(a) 및 도 1(b) 각각에 이점 파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팩들(P)의 이송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두 개의 제1 팩 척들(51) 및 두 개의 제2 팩 척들(52)은 상기 일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및 제2 팩 척들(51, 52) 각각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동 가능한 프레임 바디(58)에 대하여 상호 대향하는 팩 척들(51, 52)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제1 및 제2 팩 척들(51, 52)이 복수의 팩들(P)을 전체적으로 클램핑하고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팩 척들(51)은,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이송된 대응되는 팩들(P)을 전체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팩들(P)을 재치대(14)의 재치면(14S)으로 이송한다. 제2 팩 척들(52)은 재치면(14S) 상에 적재된 팩들(P)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팩들(P)을 배출 컨베이어(13)로 이송한다. 즉, 상기 트랜스퍼(15)는 복수의 팩들(P)을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벨트 표면 상에 재치된 팩들(P)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21)는 상기 투입 컨베이어(12) 내에 배치된다. 설명되지 않은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1)의 벨트 표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방식으로 초기 위치에서부터 이동하는 팩 스토퍼(20)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1)에 의하여 형성된 이송 경로의 최종 단부에 배열된다. 상기 팩 스토퍼(20)는 상술한 돌출 구동을 통하여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팩들(P)의 이동을 억제하고 종료시키는 이송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투입 컨베이어(12)는, 상기 일 방향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는 한 쌍의 정량 스토퍼들(25)을 포함한다. 대응되는 액츄에이터(25A)의 구동을 통하여, 정량 스토퍼들(25)은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호 대향하는 측들로부터 팩들(P)을 클램핑하여 적어도 하나의 팩들(P)을 유지한다. 상기 정량 스토퍼들(25)은, 상기 트랜스퍼(15)가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투입 컨베이어(12)에 있는 상기 팩들(P)이 컨베이어 벨트(21)에 의하여 이송 방향에서 하류측, 즉, 일 방향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투입 컨베이어(12)는, 이송된 팩(P)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 센서(22a) 및 상기 자세 검출 센서(22a)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비정상적인 자세에 있는 팩(P)이 블라스팅부(22b)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공기)에 의하여 제거 케이스(22c)로 투입되어 제거될 수 있는 팩 제거 기구(22)를 포함한다. 나아가 투입 컨베이어(12)는 연속 열 검출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된 팩 스토퍼(20)에 의하여 이동(이송됨)이 억제된 팩들(P)이 상기 투입 컨베이어(12) 상에 소정 개수의 팩들(P)의 연속 열을 이루는 경우, 상기 연속 열 검출부(23)는 센서를 이용하여 이송 방향을 따라 상방측에서 팩들(P)의 연속 열 중 최후미의 팩(P)을 검출한다.
한편, 배출 컨베이어(13)는, 상기 트랜스퍼(15)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이송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이송 벨트(31)의 벨트 표면상에 재치된 복수의 팩들(P)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31)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31)의 이동 속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원주 속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체로 구성된 안정기(35)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31)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안정기(35)는, 연속 열 상태로 이송되는 팩들(P)이 상기 배출 컨베이어(13) 상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 컨베이어(13)는, 상기 챔버부(16)의 수용 공간(SK) 내에서의 검사를 통하여 그 내부에 지나친 트랩 공기를 갖는지가 결정되는 이송된 팩들(P)이 블라스팅부(32b)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공기)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31)로부터 배출 케이스(32c)로 배출시키는 팩 배출 기구(32)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각 팩(P)의 이송 송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배출 컨베이어(13)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1)에 더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31)의 속도와 다른 속도로 이동하는 또 다른 컨베이어 벨트(31A)를 포함한다. 이동 라인(33)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31A)의 벨트 표면상에 팩들(P)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재치대(14), 챔버부(16) 및 트랜스퍼(15)의 구성은, 도 2를 참고로 후술하기로 한다.
직사각형 지지 포스트(41)는 재치대(14)의 하측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 포스트(41)는 세워진 상태에서 베이스(42)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42)는 수직축을 갖는 가이드 샤프트(43)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베이스(42)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의 동작을 통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풀리들(45, 46)을 감싸는 구동 벨트(47)의 일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풀리들(45, 46)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재치대(14)가, 도 2의 실선 화살표 또는 파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승강한다. 상기 재치대(14)의 재치면(14S)에서, 상기 팩들(P)이 적재된 재치부는 그루브부(14M)일 수 있다. 상기 그루브부(14M)는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표면의 횡단 방향)을 따라 상기 재치 표면(14S) 상에 적재된 팩(P)의 이동을 구속한다.
챔버부(16)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속적일 열로 배열된 팩들(P)(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 14개의 팩들(P, 도 1 참조))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챔버부(16)는, 수용 공간(SK)의 일부에 하방 개구(16K)를 갖는 수용 공간(SK)이 형성되도록 저부(bottom)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박스 형상의 저부는 그 상측에 상기 저부가 상기 소자 프레임 바디(17)의 횡량(18)에 고정된다.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패킹(16S)은 하방으로 향하는 개구(16K)의 주변에 부착된다. 상기 재지대(14)가 상승하여 재치면(14S)이 챔버부(16)와 컨택 하고, 패킹(16S)이 상기 개구(16K)를 폐쇄한다. 이로써, 상기 재치면(14S) 및 챔버부(16) 사이의 갭이 밀봉됨으로써, 수용 공간(SK)이 밀폐된 공간으로 전환된다.
투과부들(16T)은, 개구(16K)의 장변을 구성하는 챔버부(16)의 장측벽부들(16a, 16b) 각각을 따라 형성된다. 특정 광선이 투과되는 투과 부재가 기밀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들(16T) 각각에 부착된다. 광선이 상기 투과부(16T)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SK) 내에 수용된 각 팩들(P) 상으로 조사된다. 상기 광선이 조사된 후 상기 팩들(P)에 의하여 반사되어 되돌아 올 때 까지의 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용 공간(SK) 내에 수용된 팩(P)의 반대측 표면들 각각의 변위량이 검출된다. 이를 위하여, 챔버부(16) 내에서, 상기 팩들(P) 중 대응되는 것의 대응되는 측 표면의 변위량을 각각 검출하는 최대 14개의 변위 센서들(60) (예를 들면, 광전 센서들)이 팩들(P) 각각에 대응되는 장측벽부(16a) 또는 장측벽부(16b)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총합으로 28개의 변위 센서들(60)이 챔버부(16) 내에 상기 장측벽부들(16a, 16b) 양측에 부착될 수 있다.(도 1(b) 참조)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면, 트랜스퍼(15)는 두 개의 지지 부재(58A, 58B)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장치 프레임 바디(17)의 횡량(18)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이동 가능한 프레임 바디(58) 내에서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슬라이딩 가능함으로써 지지 부재(58A, 58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치대(14)의 상호 마주보는 측들에 위치한다. 두 개의 제1 액츄에이터(51A)는 상기 지지 부재(58A, 58B)의 중앙부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을 따라 후미측에서 상기 지지 부재들(58A, 58B) 각각에 고정된다. 두 개의 제2 액츄에이터(52A)는 상기 지지 부재(58A, 58B)의 중앙부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선두측에서 상기 지지 부재들(58A, 58B) 각각에 고정된다.
제1 액츄에이터들(51A) 및 제2 액츄에이터들(52A) 각각은 복수의 이송 로드들(51B) 및 이송 로드들(52B) 각각 구비한다. 상기 이송 로드들(51B, 52B)은 도 2에서 실선 화살표 및 파선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일 방향을 가로지는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다. 제1 팩 척들(51) 각각은 대응되는 이송 로드들(51B)의 선단부에 부착되고, 제2 팩 척들(52) 각각은 대응되는 이송 로드들(52B)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즉, 트랜스퍼(15)는 한 쌍의 두 개의 제1 팩 척들(51) 및 한 쌍의 두 개의 제2 팩 척들(52)을 구비함으로서, 제1 및 제2 팩 척들(51, 52)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제1 및 제2 팩 척들(51, 52)에 대향한다(도 1(a) 참조)
두 개의 지지 부재들(58A, 58B)에 부착된 전체 4 개의 제1 액츄에이터들(51A)을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두 개의 제1 팩 척들(51)이 초기 위치에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 이동을 통하여, 제1 팩 척들(51)이 클램핑 방식으로 대응되는 팩들(P)과 컨택한다. 이로써, 제1 팩 척들(51)이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의 팩들(P)을 전체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두 개의 지지 부재들(58A, 58B)에 부착된 전체 4 개의 제2 액츄에이터들(52A)을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두 개의 제1 팩 척들(52)이 초기 위치에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 이동을 통하여, 제2 팩 척들(52)이 클램핑 방식으로 대응되는 팩들(P)과 컨택한다. 이로써, 도 2에 이중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팩 척들(52)이 재치대(14S)에 적재된 복수의 팩들(P)을 전체적으로 유지한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팩들(P)로부터 분리된 제1 및 제2 팩 척들(51, 52)이 초기 위치로 회복되어 팩들(P)과의 컨택 상태가 종료될 때, 상기 팩들(P)이 낙하되지 않고 대응되는 팩들(P)로부터 제1 팩 척들(51) 및 제2 팩 척들(52)을 안정적으로 분리시키기기 위하여 낙하 방지 부재(5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 방지 부재들(55) 각각은 상기 일 방향에서 볼 때 C-형상 단면을 가지고 이송 로드들(51B, 52B)에 부착됨으로서, 상기 낙하 방지 부재(55)의 두 개의 선단부들은 대응되는 제2 팩 척(52)의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한다. 각 낙하 방지 부재들(55)의 선단부는, 소정 양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동안 팩(P)과 컨택한다. 제2 액츄에이터(52A)의 동작이 해제된 후 상기 제2 팩 척(52)이 팩(P)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탄성 변형량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부재(55)가 팩(P)과 컨택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어서, 용기 검사 장치(11)에 의하여 수행되는 팩(P) 검사 공정이 도 3에서 도시된 공정 흐름도를 참고로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팩들(P) 내에 공기(에어) 투입 과다를 검사하는 검사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검사 동작은,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팩들(P)의 이송이 배출 컨베이어(13)에 의한 이송으로 전환될 때까지 트랜스퍼(15), 재치대(14) 등의 이동을 위한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고 진공 펌프 및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미설명된 컨트롤러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에서 팩들(P)은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후, 단계 S2에서 팩 스토퍼(20)가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팩 스토퍼(20)의 돌출 이동을 통하여, 상기 팩 스토퍼(20)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일 방향으로의 팩들(P)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상기 이송 방향(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연속적인 팩들(P) 수의 증가가 중단되며, 상기 투입 컨베이어(12) 상에 상기 일 방향으로의 연속적으로 열로 배열된다.
이어서, 단계 S3에서, 연속열 검출부(23)가, 소정의 팩들(P)에 의하여 형성된 연속 열을 검출한다. 이후, 단계 S4에서, 정량 스토퍼들(25) 및 팩 척들이 이동한다. 본 단계에서, 일 방향을 따라 하측에 네 개의 제2 액츄에이터(52A)가 미구동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에 상기 제2 액츄에이터(52A)로부터 상방에 위치한 네 개의 제1 액츄에이터(51A)는 구동한다. 이후, 두 개의 제1 팩 척들(51)은 초기 위치에서부터 서로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투입 컨베이어(12) 상의 연속 열을 이루는 팩들(P)을 전체적으로 클램핑(유지)한다.
이후, 단계 S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팩들(P)을 전체적으로 클램핑한 상기 두 개의 제1 팩 척들(51)과 함께, 팩 스토퍼(20)가 단계 S5에서 초기 위치로 회복된다. 이후, 단계 S6에서, 트랜스퍼가 전진한다. 이어서, 정량 스토퍼(25)가 단계 S7에서 후퇴하여 초기 위치로 회복된다.
도 4(a), 도 4 (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단계 S1 내지 S7까지의 검사 공정의 수행 중,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가 이후 기술된다. 각 도면들은 용기 검사 장치(11)의 부품에 대한 시트 표면의 좌측 및 우측에서 본 평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a)는 단계 S2의 수행을 통하여 이루어진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화살표 도형에 의하여 나타난 것과 같이, 복수의 팩들(P)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설정 속도로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 때, 정량 스토퍼(25), 제1 팩 척들(51) 및 제2 팩 척들(52)은 각각의 초기 위치에서 팩들(P)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구동하지 않고 유지된다. 제1 팩 척들(51)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투입 컨베이어(12)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제2 팩들(52)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재치대(14)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팩 스토퍼(20)는 상승 상태로 유지된다. 재치대(14)는, 승강 기구(40)에 의하여 상승되지 않은 채 하측으로 유지된다.
도 4(b)는 단계 S4의 수행을 통하여 이루어진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팩들(P)은 상기 투입 컨베이어(12) 상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열로 정렬되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하는 정량 스토퍼(25) 및 제1 팩 척(51)에 의하여 클램핑되어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특히, 제1 팩 척들(51)은 14개의 팩들(P)을 유지하고, 정량 스토퍼들(25)은 두 개의 팩들(P)을 유지한다. 재치대(14)는 하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4(c)는 단계 S7의 수행을 통하여 이루어진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대응되는 실선으로 나타낸 트랜스퍼의 전진을 통하여 제1 팩 척들(15)에 의하여 유지된 팩들(P)이 재치대(14)의 재치면(14S) 상으로 이동한다. 특히, 트랜스퍼(15)의 전진이 시작되는 시점까지 팩 스토퍼(20)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표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트랜스퍼(15)의 전진에 따라, 제2 팩 척들(52)은 재치대(14)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출 컨베이어(13)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정량 스토퍼(25)는 도 4(c)의 대응되는 실선 화살표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정량 스토퍼(25)에 의하여 클램핑되고 유지되었던 팩들(P)을, 상기 투입 컨베이어(12)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7에 이어서 단계 S1 내지 단계 S3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이때 단계 S8에서 척들이 후퇴한다. 특히, 제1 팩 척들(51)이 초기 위치로 후퇴하여 팩들(P)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유지 상태에서부터 상기 팩들(P)을 해제한다. 이어서, 단계 S9에서, 트랜스퍼(15)는 후퇴한다.
한편, 제1 팩 척들(51)에 의하여 유지 상태에서부터 팩들(P)을 해제하는 구동(단계 S8)이 진행된 후, 단계 S9가 수행되는 동안 단계 S11 내지 단계 S14가 수행된다. 즉, 단계 S11에서 재치대(14)가 상승함으로써, 재치면(14S)이 챔버부(16)와 컨택하여 개구(16K)를 폐쇄한다. 이로써, 챔버부(16)에서 수용 공간(SK)이 밀폐 공간으로 된다. 이후, 단계 S12에서 챔버부(16)내의 수용 공간(SK)이 감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변위 센서(60)는, 전술한 감압에 의하여 팽창된 팩(P)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측면들 간의 변위량을 감지한다. 이런 방식에 있어서, 팩들(P)이 그 내부에 과도 유입 공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검사가 완료된 후, 단계 S13에서 수용 공간(SK)은 감압 상태에서 해제된다. 이어서, 단계 S14에서, 재치대(14)가 하강한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검사 장치(11)에서, 트랜스퍼(15)의 후퇴(단계 S9) 및 재치대의 초기 위치로의 하강(S14)이 완료된 상태에서, 단계 S3 내지 단계 S4의 구동이 반복됨으로써, 정량 스토퍼(25) 및 팩 척들이 이동한다. 특히, 네 개의 제1 액츄에이터(51A) 및 네 개의 제2 액츄에이터(52A)가 함께 구동한다. 두 개의 제1 팩 척들(51) 및 두 개의 제2 팩 척들(52)이 서로 마주보는 팩 척들(51, 52)을 향하여 이동한다. 단계 S4 이후, 팩 스토퍼(20)가 단계 S5에서 후퇴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단계 S8 이후의 구동으로서 단계 S9를 포함하며 단계 S11에서부터 단계 S14까지의 구동 및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단계 S4 및 단계 S5를 계속하여 수행되는 검사 공정 중의 용기 검사 장치(11)가 후술된다. 각 도면들은,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와 같이 용기 검사 장치(11)의 구성에 대한 시트 표면의 좌측 및 우측에서 본 평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5(a)는 단계 S8까지의 동작에 의한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트랜스퍼(15)의 전진에 의해서 투입 컨베이어(12)에서 재치대(14)의 재치면(14S)으로 이동한 팩들(P)은, 제1 팩 척(51)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후퇴하고 팩들(P)을 해제함으로써 재치면(14S)(보다 정확하게, 재치면(14S)의 그루브부(14M))에 재치된다. 한편,투입 컨베이어(12)는 팩들(P)을 상기 일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팩 스토퍼(20)는 단계 S7 후, 다시 수행되는 단계 S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승된 상태에 있다.
도 5(b)는 단계 S9 및 단계 S11까지의 구동에 의한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일 방향으로 전진하였던 트랜스퍼(15)가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퇴함으로써, 전진하기 전의 트랜스퍼(15)가 초기 위치로 돌아간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재치대(14)가 승강 기구(40)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한다. 물론 상기 재치대(14)가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수용 공간(SK)이 감압(단계 S12)되고, 수용 공간(SK)의 감압이 해제된다.(단계 S13)
도 5(c)는, 재수행되는 단계 S4 및 단계 S5까지의 수행에 의한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투입 컨베이어(12) 상에 상기 일 방향으로 일 열로 배열된 복수의 팩들(P)은, 대응되는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된 정량 스토퍼(25) 및 제1 팩 척들(51)에 의해서 클램핑 되어 유지된다. 팩 스토퍼(20)는 컨베이어 벨트(21)의 벨트 표면에 대하여 상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한다.
또한, 재수행된 단계 S4의 동작에서, 제1 팩 척들(51) 및 정량 스토퍼(25)가 이동하는 동안, 제2 팩 척들(52) 또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한다. 즉, 투입 컨베이어(12) 상에 복수(여기에서는 14개)의 팩들(P)이 클램핑 되어 두 개의 제1 팩 척들(51)에 의하여 클램핑되어 유지된다. 한편, 검사가 종료된 후, 복수(여기에서는 14개)의 팩들(P)이 전체적으로 두 개의 제2 팩 척들(52)에 의하여 클램핑 되어 유지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5에 이어서, 다시 수행되는 단계 S6에서 트랜스퍼(15)가 전진하고, 단계 S7에서 정량 스토퍼(25)가 후퇴한다. 단계 S7에 이어서, 단계 S8에서 팩 척들이 후퇴하는 동안 단계 S1 내지 단계 S3이 재수행된다. 특히, 제1 팩 척들(51) 및 제2 팩 척들(52)이 각각 팩들(P)로부터 분리되도록 초기 위치로 후퇴함으로써, 팩들(P)을 유지 상태로부터 해제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팩들(P)이 재치대(14) 상에 적재되고, 검사 완료된 팩들(P)이 배출 컨베이어(13) 상에 적재된다.
재 수행된 단계 S8에 이어서, 단계 S9 및 단계 9와 병행하여 수행되는 단계 S11 내지 단계 S14까지의 구동에 더하여 단계 S10에서의 동작, 즉 팩들(P)이 배출 컨베이어(13)에 의하여 이송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도 6(a), 도 6(b) 및 6(c)를 참조하면, 단계 S5에 이어서 재수행되는 단계 S6 내지 단계 S9 및 단계 S11까지의 동작과 함께 단계 S10의 동작에 따른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가 후술된다. 이 도면들은,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와 마찬가지로 용기 검사 장치(11)의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시트 표면의 좌측 및 우측에 평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a)은 재수행되는 단계 S6의 수행에 따른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트랜스퍼(15)가 전진함으로써 제1 팩 척들(51)에 유지된 복수의 팩들(P)이 재치대(14)의 재치면(14S) 상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2 팩 척들(52)에서 유지된 복수의 팩들(P)은 배출 컨베이어(13)로 이동한다. 이 때, 정량 스토퍼(25)는 도면에 실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상기 팩들(P)이 일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그림 6(b)는 재수행된 단계 S8 및 단계 S2까지 수행에 따른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투입 컨베이어(12)로부터 트랜스퍼(15)의 전진에 의해서 재치대(14)의 재치면(14S)으로 이동한 팩들(P)은, 제1 팩 척들(51)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후퇴하고 팩들(P)로 해제됨으로써 재치면(14S)(보다 자세하게는, 재치면(14S)의 그루브부(14M)) 상에 적재된다. 한편, 팩 스토퍼(20)는, 단계 S7의 수행 후 재수행되는 단계 S2의 수행에 따라 초기 위치에 대하여 위쪽으로 상승된 상태이다. 재치대(14)로부터 배출 컨베이어(13)로 이동한 팩들(P)은, 배출 컨베이어(13)의 컨베이어 벨트(31)의 구동에 의해서 도 6(b)의 화살표 도형으로 도시된 일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6(c)는 재수행되는 단계 S9 및 단계 S11까지의 수행에 따른 용기 검사 장치(11)의 상태를 나타낸다. 일 방향으로 전진한 트랜스퍼(15)가 도면에서 파선 화살표로 표현된 바와 같이 후퇴하고 전진 전의 초기 위치로 회복한다. 재치대(14)는, 승강 기구(40)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된 상태에 있다. 재치대(14)가 상승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SK)이 감압되고(단계 S12), 수용 공간(SK)이 감압 해제된다.(단계 S13)
또 단계 S10에서, 팩들(P)의 이송이 일 열로 유지된 팩들로 시작한 후, 팩들(P)은 안정기(35)에 의해서 서로의 이격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후, 반송 방향을 따라 안정기(35)로부터 하방의 위치에서, 과다 충진 공기를 갖는 것으로 결정된 팩(P)이, 팩 배출 기구(32)에 의한 블라스팅부(32b)에 의하여 배출 컨베이어(13)의 컨베이어 벨트(31)로부터 배출 케이스(31c)로 배출된다.
도 3의 동작 플로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의 수행 후, 용기 검사 장치(11)는, 단계 S9 및 단계 S14 모두의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단계 S4 및 후속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즉, 용기 검사 장치(11)는, 팩(P)이 도 6(c)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후속하여 도 5(c)의 상태, 도 6(a)의 상태 및 도 6(b)의 상태로 반복하면서 다시 도 6(c)의 상태로 회복된다.
상기 검사 동작의 반복에 의해서, 투입 컨베이어(12)로 이송되는 팩들(P)은 재치대(14)로, 또한 검사 후 재치대(14)에 적재된 복수의 팩들(P)이 배출 컨베이어(13)로, 트랜스퍼(15)에 의해서 동시에 전체적으로 한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송된다. 또한, 검사 후 배출 컨베이어(13)로 이송된 검복수의 팩들(P)중에, 과다 투입 공기의 팩들(P)이 배출 컨베이어(13)로부터 반송 경로 중에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21)의 벨트면, 재치면(14S)(특히, 그루브부(14M)) 및 컨베이어 벨트(31)의 벨트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거의 같은 높이로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며, 동시에 상기 수직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일 방향에 따라서 한 열로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후행측(trailing side)에 위치한, 재치대(14)의 재치면(14S)의 상단부에는 모따기 되어 있다. 이런 구성에 의해서, 복수의 팩들(P)은 트랜스퍼(15)의 이동에 따라 투입 컨베이어(12)부터 재치대(14)로, 또 재치대(14)에서 배출 컨베이어(13)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이하에 기술되는 효과를 가진다.
(1)트랜스퍼(15)가 복수의 팩들(P)을 투입 컨베이어(12)부터 재치대(14)로 고속으로 이송하고, 재치대(14)에서 배출 컨베이어(13)로 고속으로 반송하다. 따라서, 재치대(14)에 적재된 복수의 팩들(P)이 수용 공간(SK)에서 검사되기 전후 팩들(P)의 이송 속도가 고속화되므로 팩들(P)의 개당 검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2) 투입 컨베이어(12), 배출 컨베이어(13) 및 재치대(14)는 일 방향을 따라 일 열로 정해진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트랜스퍼(15)가 복수의 팩들(P)을 투입 컨베이어(12)부터 재치대(14)를 경유해서 배출 컨베이어(13)까지 최단 거리로 이송할 수 있다. 그래서 팩(P)에 대한 개당의 검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3) 트랜스퍼(15)는, 복수의 팩들(P)을 연속 열로 유지한 상태에서 투입 컨베이어(12) 상에 연속 열로 팩들(P)을 이송한다. 이로써, 투입 컨베이어(12)에서 재치대(14)로 이송되는 팩들(P)의 이송 속도를 고속으로 하지 않고, 복수의 팩들(P)을 투입 컨베이어(12)부터 재치대(14)에 고속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래서 팩들(P)에 대한 개당 검사 시간이 감소된다.
(4) 챔버부(16)의 이동 없이, 재치대(14)(재치면(14S))의 이동에 의해서 팩들(P)의 수용 공간(SK)이 형성되므로, 상자 모양의 챔버부(16)를 이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할 때 고속으로 복수의 팩들(P)을 수용 공간(SK)로 이동시키기는 것이 용이해 된다. 따라서, 팩들(P)에 대한 개당 검사 시간이 감소된다.
(5) 재치대(14)의 재치면(14S)이 수직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한다. 재치면(14S)이 챔버부(16)에 컨택하여 개구(16K)를 폐쇄하는 구성에 의해서, 재치대(14)( 재치면(14S)) 및 챔버부(16)가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곳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평 방향의 용기 검사 장치(11)의 점유 면적의 증가가 억제되면서, 팩들(P)에 대한 개당 검사 시간이 감소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이하에 기술된 것과 같이 다른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ㅇ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재치대(14)의 재치면(14S)이 수직 방향을 따라 반드시 승강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재치대(14)는 수직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도 가능하고,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 챔버부(16)에는, 개구(16K)가 재치대(14)(재치면(14S))의 이동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재치대(14)의 재치면(14S)이 반드시 이동 가능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챔버부(16)가 이동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챔버부(16)가 이동하여 재치면(14S)과 컨택하여 개구(16K)를 폐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챔버부(16) 및 재치면(14S) 모두가 이동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투입 컨베이어(12)에는 팩들(P)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팩 스토퍼(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 컨베이어(12)에서 팩들(P)이 일 열로 이송되는 경우, 팩 스토퍼(20)에 의해서 팩들(P)을 연속 열로 배열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이송되는 팩들(P)을 재치대(14)로 고속 이송하는 트랜스퍼(15)가 채택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투입 컨베이어(12), 배출 컨베이어(13) 및 재치대(14)가 반드시 일 방향을 따라 일렬로 소정 위치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입 컨베이어(12), 배출 컨베이어(13) 및 재치대(14)는 하나의 원호를 형성하도록 일정 위치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랜스퍼(15)는 하나의 원호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투입 컨베이어(12), 배출 컨베이어(13) 및 재치대(14)는 트랜스퍼(15)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팩들(P) 검사는 과다 주입 공기의 검사에 한정되지 않는다. 챔버부(16) 내 복수의 팩들(P)을 일괄적으로 수용하는 검사이면 충분하다. 또한 챔버부(16)내 수용 공간(SK)은 반드시 밀폐 공간일 필요는 없다.
,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일 방향은 반드시 수평 방향으로 국한되지 않고 수평 방향에 대한 예각을 이루는 사선 방향이라도 무방하다.
,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송부 또는 제2 이송부는 반드시 벨트를 이용한 컨베이어가 아니라 체인 또는 롤러를 이용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이송부들은 팩들(P)을 연속으로 이송 가능한 한 다른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이송부로서의 트랜스퍼(15)는 반드시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한 팩들(P)의 이송 속도보다 고속으로 일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 방향으로 전진된 트랜스퍼(15)가 전진 전의 초기 위치로 후퇴할 때의 속도는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한 팩들(P)의 이송 속도와 같은 속도 또는 투입 컨베이어(12)에 의한 팩들(P)의 이송 속도보다 느린 속도일 수도 있다. 제3 이송부로서의 트랜스퍼(15)는 왕복 이동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회전식의 이동 기구를 가짐으로써 투입 컨베이어(12)의 이동 방향과 같은 일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알려져도 좋다.
11… 용기 검사 장치, 12… 투입 컨베이어(제1 이송부의 한 예)
13… 배출 컨베이어(제2 이송부의 한 예), 14… 재치대
14S… 재치면, 15… 트랜스퍼(제3 이송부의 한 예)
16… 챔버부(수용 케이스의 일 예), 16K… 개구
20… 팩 스토퍼(반송 정지부의 일 예), P...팩들(액체 용기의 일례)
SK… 수용 공간

Claims (5)

  1. 이송되는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하고 상기 용기들을 검사하는 용기 검사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상기 액체 용기들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의 하류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액체 용기들을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용기들 중 복수가 재치될 수 있는 재치면을 갖는 재치대;
    일부에 개구를 갖고, 상기 재치면이 컨택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 케이스; 및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한 상기 액체 용기의 이송 속도보다 큰 속도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재치대의 상기 재치면으로 상기 액체 용기들을 이송하고, 상기 재치면에 재치된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액체 용기들을 상기 제2 이송부로 이송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는 용기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 및 상기 재치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검사 장치.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한 상기 액체 용기들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속적인 열로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배열하는 이송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이송부가 상기 연속적인 열로 상기 복수의 액체 용기들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재치대의 상기 재치면으로 상기 액체 용기들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검사 장치.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의 재치면은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재치면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 케이스에 컨택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의 상기 재치면은 수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고,
    상기 재치면이 상승하여, 하면에서부터 하방 개구를 갖는 상기 수용 케이스와 컨택 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패쇄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검사 장치.
KR1020167035881A 2014-06-05 2015-06-04 용기 검사 장치 Active KR102291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6861 2014-06-05
JP2014116861 2014-06-05
PCT/JP2015/066166 WO2015186778A1 (ja) 2014-06-05 2015-06-04 容器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931A KR20170015931A (ko) 2017-02-10
KR102291054B1 true KR102291054B1 (ko) 2021-08-20

Family

ID=5476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881A Active KR102291054B1 (ko) 2014-06-05 2015-06-04 용기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23262B2 (ko)
JP (1) JP6621743B2 (ko)
KR (1) KR102291054B1 (ko)
CN (1) CN106470906B (ko)
DE (1) DE112015002644T5 (ko)
TW (1) TWI636922B (ko)
WO (1) WO2015186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481B1 (ko) * 2020-02-28 2020-10-14 유종연 화장품용기의 검사장치 및 검사공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161A (ja) 2004-06-24 2006-01-12 N Tech:Kk 容器の検査方法及び装置
US20060283145A1 (en) 2005-04-18 2006-12-21 Martin Weisgerber Beverage bottling plant for filling bottles with a liquid beverage material having an inspection apparatus for inspecting bottl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7438A (ja) * 1983-12-13 1985-07-08 Kishimoto Akira 密封容器の漏洩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31575Y2 (ko) * 1987-10-12 1992-07-29
JPH03167434A (ja) 1989-11-27 1991-07-19 Shindaigo:Kk 密封容器の検査装置
JP3597555B2 (ja) 1994-03-04 2004-12-08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リークテスタ
JP2780151B2 (ja) 1994-09-14 1998-07-3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検査機構
JPH08324514A (ja) * 1995-05-31 1996-12-10 Shimadzu Corp 真空処理装置
JP5093708B2 (ja) * 2000-11-09 2012-12-12 株式会社横崎製作所 選別コンベアの選別物取出装置
NZ518851A (en) * 2002-05-08 2004-12-24 Anzpac Systems Ltd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243861A (ja) * 2007-03-23 2008-10-09 Tokyo Electron Ltd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US7946729B2 (en) * 2008-07-31 2011-05-24 Altair Engineering, Inc. Fluorescent tube replacement having longitudinally oriented LEDs
CN101417712B (zh) * 2008-12-12 2012-09-05 湖南千山制药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软袋输液生产线
DE102008062385C5 (de) * 2008-12-17 2016-10-20 Khs Gmbh Verfahren sowie Inspektionsvorrichtung zum Überprüfen von Behältern
CN202624724U (zh) * 2012-05-31 2012-12-26 内江市宏博检测设备有限公司 一种罐身封口检测设备
CN203428104U (zh) * 2013-08-16 2014-02-12 泸州品创科技有限公司 翻转照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161A (ja) 2004-06-24 2006-01-12 N Tech:Kk 容器の検査方法及び装置
US20060283145A1 (en) 2005-04-18 2006-12-21 Martin Weisgerber Beverage bottling plant for filling bottles with a liquid beverage material having an inspection apparatus for inspecting bott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3262B2 (en) 2017-11-21
DE112015002644T5 (de) 2017-03-09
TWI636922B (zh) 2018-10-01
WO2015186778A1 (ja) 2015-12-10
CN106470906A (zh) 2017-03-01
KR20170015931A (ko) 2017-02-10
US20170199213A1 (en) 2017-07-13
CN106470906B (zh) 2019-10-08
JP6621743B2 (ja) 2019-12-18
TW201601973A (zh) 2016-01-16
JPWO2015186778A1 (ja)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920B1 (ko) 반송 시스템
KR101130241B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181281B1 (ko) 물품이송장치
JP6228757B2 (ja) 箱詰め装置
JP7245298B2 (ja) ガラス容器を配置するための装置
KR101987819B1 (ko) 용기공급장치
US11613387B2 (en) Vibrating device for the orderly rearrangement of folding boxes in a container, discharging conveyor and method for discharging containers
JP6667206B2 (ja) 被包装物充填装置及び包装装置
PT1899228E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a formação e descarga de grupos ordenados de produtos, em particular rolos de papel
KR102291054B1 (ko) 용기 검사 장치
KR101606086B1 (ko) 두부의 패킹 장치
JP2006124032A (ja) 複数列に重ねられて配置されたコンテナを搬送するユニット並びに方法
CN120303187A (zh) 容器自动装载及包装装置及方法
JP4642614B2 (ja) 物品充填段積み搬送装置
EP3801075B1 (en) Unloader of rod-like articles of the tobacco industry
JP7118552B2 (ja) 箱詰め装置
JP4946636B2 (ja) 容器整列装置
JP7121384B2 (ja) 箱詰装置
JP2015151162A (ja) チューブ容器用搬送装置
JP4553131B2 (ja) 反転式アンローディング方法及び反転式アンローダー
KR102111220B1 (ko) 음료용기 하역장치
CN109421963B (zh) 水平式装盒机自动投片验片机构
JP2008133056A (ja) 箱詰め装置
KR20200046982A (ko) 계란선별기의 팩커용 자가센싱 검출장치
JP2017065889A (ja) 容器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