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인쇄기계의 잉크공급장치의 실시형태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잉크공급장치의 전체 개략 평면도, 도 2는 잉크공급장치의 전체 개략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기계의 잉크공급장치(1)는 잉크 닥터 챔버(2)와 애니록스 롤(3)을 구비하고 있다. 잉크 닥터 챔버(2)에 의해 애니록스 롤(3)과 잉크를 주고받고, 애니록스 롤(3)을 판동(4)에 접촉함으로써 잉크를 판동(4)에 공급한다.
애니록스 롤(3)은 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은 본체 프레임(6)에 판동(4)에 접근하는 방향, 이격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잉크 닥터 챔버(2)는 프레임(5)에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 이격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잉크 닥터 챔버(2)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위치는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로 조정되고, 잉크 닥터 챔버(2)는 조정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게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로 프레임(5)에 고정된다.
잉크 닥터 챔버(2)는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에 의한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판동(4)은 본체 프레임(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판동(4)과 애니록스 롤(3)과 잉크 닥터 챔버(2)는 프레임(5)의 이동방향으로 판동(4), 애니록스 롤(3), 잉크 닥터 챔버(2)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잉크 닥터 챔버(2)를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로 프레임(5)에 고정한 상태에서 프레임(5)을 판동(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애니록스 롤(3)과 잉크 닥터 챔버(2)는 일체가 되어 판동(4)을 향해 각각 이동하여 애니록스 롤(3)을 판동(4)에 밀어붙일 수 있다.
또한, 잉크 닥터 챔버(2)를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로 프레임(5)에 고정한 상태에서 프레임(5)을 판동(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애니록스 롤(3)과 잉크 닥터 챔버(2)가 일체가 되어 판동(4)으로부터 멀어져서 인쇄기계의 잉크공급장치(1)(애니록스 롤(3))를 판동(4)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
프레임(5)은 좌우방향으로 이격한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을 갖고 있다.
잉크 닥터 챔버(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일측 프레임(5a)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잉크 닥터 챔버(2)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는 타측 프레임(5b)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애니록스 롤(3)은 일측 프레임(5a)의 판동(4) 근처부분과 타측 프레임(5b)의 판동(4) 근처부분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6)은 좌우방향으로 이격한 일측 본체 프레임(6a)과 타측 본체 프레임(6b)을 갖고 있다. 좌우방향이란 잉크 닥터 챔버(2), 애니록스 롤(3) 및 판동(4)의 길이방향이다.
일측 본체 프레임(6a)과 타측 본체 프레임(6b)의 좌우방향의 간격은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의 좌우방향의 간격보다 넓고, 일측 본체 프레임(6a)의 타측 본체 프레임(6b)측에 일측 프레임(5a)이 위치하고, 타측 본체 프레임(6b)의 일측 본체 프레임(6a)측에 타측 프레임(5b)이 위치하고 있다. 즉, 일측 본체 프레임(6a)과 타측 본체 프레임(6b)의 사이에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이 위치하고 있다.
일측 프레임(5a)은 일측 본체 프레임(6a)에 일측 가이드(8a)로 판동(4)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 프레임(5b)은 타측 본체 프레임(6b)에 타측 가이드(8b)로 판동(4)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일측 가이드(8a) 및 타측 가이드(8b)의 각각은 레일(80)과, 이 레일(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복수의 슬라이더(81)를 갖는 직선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이다. 레일(80)이 일측 본체 프레임(6a)과 타측 본체 프레임(6b)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81)가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은 서로의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일측 프레임(5a)은 일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a)로 슬라이딩된다.
일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a)의 실린더 튜브(90)는 일측 본체 프레임(6a)에 장착되어 있다. 그 피스톤 로드(91)는 일측 플레이트(92)에 연결되어 있다. 일측 플레이트(92)는 일측 프레임(5a)에 고정되어 있다.
타측 프레임(5b)은 타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b)로 슬라이딩한다.
타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b)의 실린더 튜브(93)는 타측 본체 프레임(6b)에 장착되어 있다. 그 피스톤 로드(94)는 타측 플레이트(95)에 연결되어 있다. 타측 플레이트(95)는 타측 프레임(5b)에 고정되어 있다. 즉, 일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a)와 타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b)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장착구조도 동일하다.
이에 의해 일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a)의 피스톤 로드(91)와 타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b)의 피스톤 로드(94)를 신장함으로써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이 서로의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판동(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쇄기계의 잉크공급장치(1)(잉크 닥터 챔버(2), 애니록스 롤(3))를 판동(4)으로부터 이격한 탈(脫)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일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a)의 피스톤 로드(91)와 타측 잉크공급장치 이동용 실린더(9b)의 피스톤 로드(94)를 단축함으로써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이 서로의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판동(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쇄기계의 잉크공급장치(1)(잉크 닥터 챔버(2), 애니록스 롤(3))를 착(着)위치로 하여 애니록스 롤(3)을 판동(4)에 밀어붙일 수 있다.
잉크공급장치(1)는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일단부(3a)의 판동(4)에 작용하는 닙압(판동(4)이 압축되는 양)을 미세조정하는 일측 잉크공급장치 닙압 미세조정기구(10a)와,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타단부(3b)의 판동(4)에 대한 닙압(판동(4)이 압축되는 양)을 미세조정하는 타측 잉크공급장치 닙압 미세조정기구(10b)를 갖고 있다.
일측 잉크공급장치 닙압 미세조정기구(10a)는 일측 플레이트(92)의 나사구멍(96)에 나사식 결합한 일측 조정용 나사(11)와, 일측 본체 프레임(6a)에 설치되고 또한 일측 조정용 나사(11)의 반구면형상의 선단부(11a)가 맞닿는 받이부재(12)와, 일측 조정용 나사(11)의 기단(基端)에 장착된 회전용 핸들(13)을 구비하고 있다.
일측 플레이트(92)에는 나사구멍(96)을 그 둘레방향에서 불연속으로 하는 슬릿(92a)이 형성되어 있다. 일측 플레이트(92)에는 슬릿(92a)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일측 로크용 나사(14)가 나사식 결합되어 있고, 핸들(14a)로 일측 로크용 나사(14)를 죄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나사구멍(96)이 지름이 작은 구멍으로 변형하여 일측 조정용 나사(11)를 회전하지 않게 로크한다. 핸들(14a)로 일측 로크용 나사(14)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나사구멍(96)이 원래 지름의 구멍으로 복원하여 일측 조정용 나사(11)를 회전할 수 있도록 그 로크를 해제한다.
애니록스 롤(3)을 판동(4)에 밀어붙이고, 일측 조정용 나사(11)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회전용 핸들(13)에 의해 일측 조정용 나사(11)를 그 반구면형상의 선단부(11a)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일측 플레이트(92)를 통해 일측 프레임(5a)을 판동(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세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일단부(3a)의 판동(4)에 작용하는 닙압이 약간 낮아진다.
애니록스 롤(3)을 판동(4)에 밀어붙이고, 일측 조정용 나사(11)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회전용 핸들(13)에 의해 일측 조정용 나사(11)를 그 반구면형상의 선단부(11a)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일측 플레이트(92)를 통해 일측 프레임(5a)을 판동(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미세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일단부(3a)의 판동(4)에 작용하는 닙압이 약간 높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일단부(3a)의 판동(4)에 작용하는 닙압을 미세조정할 수 있다. 미세조정한 후에는 일측 조정용 나사(11)를 회전하지 않게 로크하여 인쇄기계 가동시에 진동 등으로 일측 조정용 나사(11)가 회전하지 않게 한다.
타측 잉크공급장치 닙압 미세조정기구(10b)는 타측 플레이트(95)의 나사구멍(97)에 나사식 결합한 타측 조정용 나사(15)와, 타측 본체 프레임(6b)에 설치되고 또한 타측 조정용 나사(15)의 반구면형상의 선단부(15a)가 맞닿는 받이부재(16)와, 타측 조정용 나사(15)의 기단에 장착된 회전용 핸들(17)을 구비하고 있다.
타측 플레이트(95)에는 나사구멍(97)을 그 둘레방향에서 불연속으로 하는 슬릿(95a)이 형성되어 있다. 타측 플레이트(95)에는 슬릿(95a)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타측 로크용 나사(18)가 나사식 결합되어 있고, 핸들(18a)로 타측 로크용 나사(18)를 죄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나사구멍(97)이 지름이 작은 구멍으로 변형하여 타측 조정용 나사(15)를 회전하지 않게 로크한다. 핸들(18a)로 타측 로크용 나사(18)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나사구멍(97)이 원래 지름의 구멍으로 복원하여 타측 조정용 나사(15)를 회전할 수 있도록 그 로크를 해제한다.
애니록스 롤(3)을 판동(4)에 밀어붙이고, 타측 조정용 나사(15)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회전용 핸들(17)에 의해 타측 조정용 나사(15)를 그 반구면형상의 선단부(15a)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타측 플레이트(95)를 통해 타측 프레임(5b)을 판동(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세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타단부(3b)의 판동(4)에 작용하는 닙압이 약간 낮아진다.
애니록스 롤(3)을 판동(4)에 밀어붙이고, 타측 조정용 나사(15)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회전용 핸들(17)에 의해 타측 조정용 나사(15)를 그 반구면형상의 선단부(15a)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타측 플레이트(95)를 통해 타측 프레임(5b)을 판동(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미세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타단부(3b)의 판동(4)에 작용하는 닙압이 약간 높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타단부(3b)의 판동(4)에 작용하는 닙압을 미세조정할 수 있다. 미세조정한 후에는 타측 조정용 나사(15)를 회전하지 않게 로크하여 인쇄기계 가동시에 진동 등으로 타측 조정용 나사(15)가 회전하지 않게 한다.
또한, 일측 조정용 나사(11)와 타측 조정용 나사(15)를 모두 회전하여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의 판동(4)에 작용하는 닙압을 미세조정할 수도 있다.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에 걸쳐 잉크받이접시(50)가 장착되어 있다. 잉크받이접시(50)는 배수구멍(51)을 갖고, 이 배수구멍(51)은 배수밸브(52)에 연통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잉크받이접시(50)는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의 사이에서 간단히 장착,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잉크받이접시(50)는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의 사이에 삽입, 인출(빼고 꽂음)함으로써 간단히 장착,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잉크 닥터 챔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잉크 닥터 챔버의 확대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본체 프레임이 생략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잉크 닥터 챔버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이 생략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잉크 닥터 챔버(2)는 하우징(20)과 2개의 닥터 블레이드(21)와 2개의 사이드 실(side seal)(2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은 전면(20a)에 개구한 잉크홈(23)을 갖고 있다. 하우징(20)의 전면(20a)이란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면이다.
하우징(20)의 전면(20a)에는 상하 2개의 누름 플레이트(25)가 볼트(24)로 고정되어 있다. 즉, 2개의 닥터 블레이드(21)는 그 단부가 전면(20a)의 단부(20a-1)에서 위치 결정하고, 그 후 2개의 누름 플레이트(25)에 의해 전면(20a)에 대하여 볼트(24)로 고정하여 밀어넣고, 하우징(20)의 전면(20a)에 있어서의 잉크홈(23)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하여 측면에서 볼 때 역V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볼트(24)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누름 플레이트(25)의 끼워넣는 힘이 약해져서 닥터 블레이드(21)를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일단면(20b)과 타단면(20c)에 오목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사이드 실(side seal)(22)은 각각의 오목부(26)에 각각 끼워넣어져서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오목부(26)내에 플레이트(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볼트(28)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플레이트(27)가 전진하여 사이드 실(side seal)(22)을 누르고, 사이드 실(side seal)(22)은 애니록스 롤(3)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분에 각각 밀어붙여진다.
하우징(20)에는 잉크홈(23)내에 잉크를 순환시키면서 충만시키기 위한 잉크 순환용 배관(도시 생략)을 접속하는 커플러(29)가 접속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커플러(29)는 도시하지 않은 잉크 공급용 배관이 접속되는 1개의 공급용 커플러(29a)와, 도시하지 않은 잉크 리턴용 배관이 접속되는 2개의 리턴용 커플러(29b)를 갖고 있다. 공급용 커플러(29a)는 하우징(20)의 좌우방향 중앙이며 또한 상하방향 아래 근처에 설치되고, 잉크홈(23)의 좌우방향 중앙이며 상하방향 하단에 걸리는 위치에 연통하고 있다. 리턴용 커플러(29b)는 하우징(20)의 좌우방향 양측이며 또한 상하방향 위 근처에 설치되고, 잉크홈(23)의 좌우방향 양측이며 또한 상하방향 상단에 걸리는 위치에 연통하고 있다. 잉크 공급용 배관과 잉크 리턴용 배관은 도시하지 않은 잉크순환탱크에 각각 접속되고, 잉크 공급용 배관과 잉크 리턴용 배관과 잉크순환탱크로 잉크순환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잉크순환탱크로부터 압송된 잉크는 잉크 공급용 배관으로부터 공급용 커플러(29a)를 거쳐 잉크홈(23)내에 모인다. 잉크홈(23)으로부터 넘친 잉크는 리턴용 커플러(29b)로부터 잉크 리턴용 배관을 흘러 잉크순환탱크로 되돌려진다.
이에 의해 잉크홈(23)내에 잉크가 순환하면서 충만한다.
또한, 잉크 공급측의 유량에 대하여 잉크 리턴측의 유량이 많아지도록 잉크 리턴용 배관의 개수가 잉크 공급용 배관의 개수보다 많기 때문에 잉크의 순환을 효율적으로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공급용 커플러(29a)와 리턴용 커플러(29b)는 배관을 원터치로 탈착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어 배관을 간단히 접속,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공급용 커플러(29a)와 리턴용 커플러(29b)로서 밸브가 부착된 커플러를 채택함으로써 배관을 탈착할 때에 잉크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잉크순환경로로서 잉크순환탱크와 1개의 잉크 공급용 배관과 2개의 잉크 리턴용 배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잉크순환경로는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경로의 도중에 유량조정용 밸브, 유량검출센서, 유량전환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일단면(20b)에 일측 브래킷(40)이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타단면(20c)에 타측 브래킷(41)이 장착되어 있다.
일측 브래킷(40)과 타측 브래킷(41)은 하우징(20)의 후면(20d)보다 후방으로 각각 돌출하고 있다. 하우징(20)의 후면(20d)이란 애니록스 롤(3)과 반대측의 면이다.
일측 브래킷(40)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일단면(20b)의 오목부(26)를 폐색하고, 사이드 실(side seal)(22)을 오목부(26)에 밀어붙여 지지한다.
타측 브래킷(41)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타단면(20c)의 오목부(26)를 폐색하고(닫아서 막고), 사이드 실(side seal)(22)을 오목부(26)에 밀어붙여 지지한다.
하우징(20)의 일측 브래킷(40)과 타측 브래킷(41)에는 하우징(20)의 제1 지지부인 제1 지지핀(42)과 하우징(20)의 제2 지지부인 제2 지지핀(43)이 하우징(20)의 이동방향(잉크 닥터 챔버(2)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각각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일단면(20b)측의 제1 지지핀(42) 및 제2 지지핀(43)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일단면(20b)보다 길이방향의 일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타단면(20c)측의 제1 지지핀(42) 및 제2 지지핀(43)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타단면(20c)보다 길이방향의 타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2 지지핀(43)은 하우징(20)의 후면(20d)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제1 지지핀(42)은 제2 지지핀(43)보다 애니록스 롤(3)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일측 브래킷(40)에 장착된 제1 지지핀(42)과 제2 지지핀(43)은 프레임(5)의 안내부, 예를 들어 일측 프레임(5a)에 장착한 일측 가이드레일(44)의 상면(44a)에 탑재되면서 일측 가이드레일(44)의 상면(44a)과 후술하는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의 본체(70)의 하면(70b)에 상하로부터 끼워져 안내되어 잉크 닥터 챔버(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분을 애니록스 롤(3)을 향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도 1, 도 2, 도 3, 도 7 참조).
타측 브래킷(41)에 장착된 제1 지지핀(42)과 제2 지지핀(43)은 프레임(5)의 안내부, 예를 들어 타측 프레임(5b)에 장착한 타측 가이드레일(45)의 상면(45a)에 탑재되면서 타측 가이드레일(45)의 상면(45a)과 후술하는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의 본체(70)의 하면(70b)에 상하로부터 끼워져 안내되어 잉크 닥터 챔버(2)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분을 애니록스 롤(3)을 향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도 1, 도 2, 도 3, 도 7 참조).
일측 가이드레일(44)의 상면(44a)과 타측 가이드레일(45)의 상면(45a)은 애니록스 롤(3)의 회전중심(3A)과 판동(4)의 회전중심(4A)을 연결하는 직선(X)과 평행하고, 각 지지핀(42, 43)의 직경은 동일 치수이며 또한 각 지지핀(42, 43)의 중심(42A, 43A)은 직선(X)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잉크 닥터 챔버(2)는 직선(X)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일측 가이드레일(44)의 상면(44a)과 타측 가이드레일(45)의 상면(45a)의 애니록스 롤(3)과 반대측의 부분에는 상향의 오목부(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2, 도 3 참조).
다음에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를 설명한다. 도 6은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의 확대 평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단면도, 도 8은 도 6의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의 측면도이다.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는 일측 프레임(5a)과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의 좌우방향의 일측에 걸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타측 프레임(5b)과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의 좌우방향의 타측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는 프레임(5)에 장착한 본체(70)와, 본체(70)에 하우징(20)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설치한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 및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와,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에 설치한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70)는 일측 프레임(5a)과 타측 프레임(5b)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는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는 하우징(20)에 하우징(20)의 이동방향(잉크 닥터 챔버(2)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설치한 제1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1) 및 제2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2)를 가진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은 일측 프레임(5a)측의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를 도시하고 있지만, 타측 프레임(5b)측의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도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의 닥터 블레이드(21)가 애니록스 롤(3)에 맞닿은 상태, 즉 잉크 닥터 챔버(2)가 장착위치일 때,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는 제1 지지핀(42)과 대치하고, 제1 지지핀(42)이 제1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1)이다. 동시에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는 제2 지지핀(43)과 대치하고, 제2 지지핀(43)이 제2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2)이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는 본체(70)에 제1 지지핀(42)과 접촉하는 고정위치와 제1 지지핀(42)과 멀어지는 고정 해제 위치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함께 하우징(20)의 이동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에는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는 고정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는 제1 지지핀(42)과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 더욱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의 고정위치에서의 이동거리, 즉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의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의 고정위치에 있어서의 이동거리, 즉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의 이동거리, 예를 들어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길면 이동거리가 짧은 경우와 비교하여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과 애니록스 롤(3)의 간격이 넓어져서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은 낮아진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의 고정위치에 있어서의 이동거리, 즉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의 이동거리, 예를 들어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짧으면 이동거리가 긴 경우와 비교하여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과 애니록스 롤(3)의 간격이 좁아져서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은 높아진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가 고정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의 제1 지지핀(42)과 대치하는 선단부는 쐐기형상이고, 선단부의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면(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향하는 면)은 경사면(71)이다. 경사면(71)은 선단 근처가 애니록스 롤(3) 근처(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기단부를 향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에 접근하는) 형상이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의 경사면(71)이 제1 지지핀(42)의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제2 지지핀(43)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측부(42a)에 접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가 이동하여 그 경사면(71)의 제1 지지핀(42)의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의 측부(42a)에 접촉하는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경사면(71)과 제1 지지핀(42)의 사이의 쐐기 작용으로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이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는 하우징(20)의 이동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잉크 닥터 챔버(2)를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는 본체(70)에 제2 지지핀(43)과 접촉하는 고정위치와 제2 지지핀(43)과 멀어지는 고정 해제 위치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함께 하우징(2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에는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는 고정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는 제2 지지핀(43)과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 더욱 이동할 수 있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의 고정위치에서의 이동거리, 즉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의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의 고정위치에 있어서의 이동거리, 즉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의 이동거리, 예를 들어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길면 이동거리가 짧은 경우와 비교하여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과 애니록스 롤(3)의 간격은 좁아져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에 가까운 위치에서 고정된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의 고정위치에 있어서의 이동거리, 즉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의 이동거리, 예를 들어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짧으면 이동거리가 긴 경우와 비교하여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과 애니록스 롤(3)의 간격은 넓어져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로부터 먼 위치에서 고정된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가 고정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의 제2 지지핀(43)과 대치하는 선단부는 쐐기형상이고, 선단부의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의 면(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향하는 면)은 경사면(72)이다. 경사면(72)은 선단 근처가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져서(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기단부를 향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에 접근하는) 형상이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의 경사면(72)이 제2 지지핀(43)의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제1 지지핀(42)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측부(43a)에 접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가 이동하여 그 경사면(72)의 제2 지지핀(43)의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측부(43a)에 접촉하는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경사면(72)과 제2 지지핀(43)의 사이의 쐐기 작용으로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이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는 하우징(20)의 이동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잉크 닥터 챔버(2)를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와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는 하우징(20)의 이동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잉크 닥터 챔버(2)는 장착위치에서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강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에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조정하여 잉크 닥터 챔버(2)를 이동하지 않게 고정하는 조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와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고정 해제 위치로 하고, 제1 지지핀(42) 및 제2 지지핀(43)을 일측 가이드레일(44)의 상면(44a) 및 타측 가이드레일(45)의 상면(45a)에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을 향해 이동하여 닥터 블레이드(21)를 애니록스 롤(3)에 밀어붙인다.
다음에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고정위치로 이동하여 경사면(72)을 제2 지지핀(43)의 측부(43a)에 접촉시킨다. 또한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돌출방향(아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을 향해 이동시켜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작용하는 맞닿는 압력을 서서히 높아지도록 조정해 간다. 이에 의해 맞닿는 압력을 잉크의 누설이 없고, 애니록스 롤 표면의 잉크를 균일하게 긁어낼 수 있고, 애니록스 롤(3)의 셀내에 적정한 양의 잉크가 남는 상태의 적정한 값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의 이동을 정지하여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한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필요 이상으로 너무 높게 한 경우에는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전술한 방향과 반대방향(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는 압력을 낮게 한다.
다음에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고정위치로 이동하여 경사면(71)을 제1 지지핀(42)의 측부(42a)에 접촉시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이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이에 의해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이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와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이동함으로써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맞닿는 압력의 조정이 간단하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의 경사면(71)과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의 경사면(72)으로 제1 지지핀(42)과 제2 지지핀(43)을 삽입하여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한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21)의 맞닿는 압력을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닥터 블레이드(21)의 맞닿는 압력을 필요 이상으로 높게 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닥터 블레이드(21)가 조기 마모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인쇄기계의 가동시에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이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인쇄기계의 가동시에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작용하는 맞닿는 압력이 저하되어 애니록스 롤 표면의 잉크를 균일하게 긁어낼 수 없거나 잉크가 새는 일이 없다.
보수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와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고정 해제 위치에 각각 이동하여 하우징(20)을 보수작업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보수작업 종료 후에 전술한 조작의 일례를 수행하여 닥터 블레이드(21)의 맞닿는 압력을 적정한 값으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보수작업을 수행해도 되지만, 예를 들어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만을 고정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와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모두 고정 해제 위치에 각각 이동하는 방법보다 잉크 닥터 챔버(2)를 보수작업하는 위치까지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수작업 종료 후에는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는 원래의 장착위치(고정위치)에 위치한 그대로이므로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만을 원래의 장착위치(고정위치)로 되돌리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전술한 조작의 일례보다 잉크 닥터 챔버(2)를 원래의 장착위치로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복구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닥터 챔버(2)의 청소, 점검, 닥터 블레이드(21)의 교환 등의 보수작업을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고, 보수작업에서의 인쇄기계 정지로 인한 가동효율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프레임(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제1 지지핀(42), 제2 지지핀(43))가 제1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1), 제2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2)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적고,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해진다.
제1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1)와 제2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2)는 이동방향으로 이격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은 하우징(20)의 이동방향으로 이격한 위치에 작용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20)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한 채로 이동한다.
제1 지지핀(42) 및 제2 지지핀(43)이 일측 가이드레일(44) 및 타측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잉크 닥터 챔버(2)는 작은 힘으로 부드럽게 이동한다. 잉크 닥터 챔버(2)(하우징(20))는 제1 지지핀(42)과 제2 지지핀(43)에 의해 가이드레일(44 및 45)을 따라 장착위치와 보수작업위치에 걸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다음에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와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의 구성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70)에는 제1 구멍(73)과 제2 구멍(74)이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멍(73)과 제2 구멍(74)은 본체(70)의 상면(70a)으로부터 하면(70b)에 걸쳐 관통하고, 상측 대직경부(73a, 74a)와 하측 소직경부(73b, 74b)와 양 직경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향 단부(73c, 74c)를 가진 단면형상이 원형인 긴 구멍이다. 각 하측 소직경부(73b, 74b)에는 키홈(7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는 제1 구멍(7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제1 막대체(76)이다. 제1 막대체(76)에 있어서 그 하부에는 경사면(71)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상단면에 개구한 나사구멍(76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막대체(76)에는 경사면(71)과 지름방향 반대측에 슬라이드 키(76b)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막대체(76)는 제1 구멍(73)에 슬라이드 키(76b)가 키홈(7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하여 끼워맞추고 있다. 제1 막대체(76)는 하우징(2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음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제1 구멍(73)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경사면(71)의 방향은 항상 일정하다. 제1 막대체(76)의 경사면(71)은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와 대향하고 있다.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는 제2 구멍(7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제2 막대체(77)이다. 제2 막대체(77)에 있어서 그 하부에 경사면(72)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상단면에 개구한 나사구멍(77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막대체(77)에는 경사면(72)과 지름방향 반대측에 슬라이드 키(77b)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막대체(77)는 제2 구멍(74)에 슬라이드 키(77b)가 키홈(7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하여 끼워맞추고 있다. 제2 막대체(77)는 하우징(2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음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제2 구멍(74)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경사면(72)의 방향은 항상 일정하다.
제2 막대체(77)의 경사면(72)은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고, 제1 막대체(76)의 경사면(71)과 대향하고 있다.
즉, 제1 막대체(76)의 경사면(71)과 제2 막대체(77)의 경사면(72)은 하우징(20)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1 막대체(76)를 제1 이동조작부(78)를 조작함으로써 고정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이동조작부(78)는 로드(78a)와, 로드(78a)의 길이방향 일단에 설치한 중간날(78b)과, 중간날(78b)의 로드(78a)와 반대측에 설치한 나사(78c)를 갖고 있다. 나사(78c)가 제1 막대체(76)의 나사구멍(76a)에 나사식 결합하고, 중간날(78b)이 제1 구멍(73)의 상측 대직경부(73a)에 끼워넣어져서 상향 단부(73c)에 맞닿고 있다. 로드(78a)는 본체(70)의 상면(70a)에 장착한 누름판(60)의 제1 구멍(6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뚫고 나온 부분에 회전조작부인 제1 핸들(62)이 장착되어 있다.
즉, 제1 이동조작부(78)는 회전 가능함과 함께 중간날(78b)이 제1 구멍(73)의 상향 단부(73c)와 누름판(60)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핸들(62)로써 제1 이동조작부(78)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78c)를 죄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막대체(76)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1 핸들(62)로써 제1 이동조작부(78)를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78c)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막대체(76)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나사구멍(76a)과 나사(78c)가 제1 이동조작부(78)의 회전을 제1 막대체(76)의 상하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제1 핸들(62)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제1 막대체(76)(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고정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에 걸쳐 이동할 수 있다.
제2 막대체(77)를 제2 이동조작부(79)를 조작함으로써 고정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이동조작부(79)는 제1 이동조작부(78)와 마찬가지로 로드(79a)와 중간날(79b)과 나사(79c)를 갖고 있다.
나사(79c)가 제2 막대체(77)의 나사구멍(77a)에 나사식 결합하고, 중간날(79b)이 제2 구멍(74)의 상측 대직경부(74a)에 끼워넣어져서 상향 단부(74c)에 맞닿고 있다. 로드(79a)는 본체(70)의 상면(70a)에 장착한 누름판(60)의 제2 구멍(63)으로부터 상방에 돌출하여 뚫고 나온 부분에 회전조작부인 제2 핸들(64)이 장착되어 있다.
즉, 제2 이동조작부(79)는 회전 가능함과 함께 중간날(79b)이 제2 구멍(74)의 상향 단부(74c)와 누름판(60)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핸들(64)로써 제2 이동조작부(79)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79c)를 죄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막대체(77)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2 핸들(64)로써 제2 이동조작부(79)를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79c)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막대체(77)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나사구멍(77a)과 나사(79c)가 제2 이동조작부(79)의 회전을 제2 막대체(77)의 상하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제2 핸들(64)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제2 막대체(77)(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고정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에 걸쳐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조작부(78)는 제1 회전로크부(65)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로크 가능하다.
제1 회전로크부(65)는 누름판(60)에 로크용 나사(65a)를 나사식 결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로크용 나사(65a)를 죄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선단부를 로드(78a)에 밀어붙임으로써 제1 이동조작부(78)는 회전하지 않게 로크된다.
로크용 나사(65a)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선단부를 로드(78a)로부터 떼어놓음으로써 로크가 해제되어 제1 이동조작부(78)는 회전 가능해진다.
제2 이동조작부(79)는 제2 회전로크부(66)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로크될 수 있다.
제2 회전로크부(66)는 누름판(60)에 로크용 나사(66a)를 나사식 결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로크용 나사(66a)를 죄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선단부를 로드(79a)에 밀어붙임으로써 제2 이동조작부(79)는 회전하지 않게 로크된다.
로크용 나사(66a)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선단부를 로드(79a)로부터 떼어놓음으로써 로크가 해제되어 제2 이동조작부(79)는 회전 가능해진다.
제1 이동조작부(78)를 조작하여 제1 막대체(76)(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고정위치로 함과 함께 제2 이동조작부(79)를 조작하여 제2 막대체(77)(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고정위치로 한다. 이에 의해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이동하지 않게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1 회전로크부(65)로 제1 이동조작부(78)를 회전하지 않게 로크하고, 제2 회전로크부(66)로 제2 이동조작부(79)를 회전하지 않게 로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쇄기계의 가동시에 진동 등에 의해 제1 이동조작부(78), 제2 이동조작부(79)가 회전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1 막대체(76), 제2 막대체(77)는 이동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인쇄기계의 가동시에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이 이동하는 일이 없고, 인쇄기계의 가동시에도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조정한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이동하지 않게 고정한 상태로부터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조정하는 조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이 적정한 값보다 낮은 경우의 조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이동조작부(78)를 회전조작하여 제1 막대체(76)(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고정 해제 위치로 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이동조작부(79)를 회전조작하여 제2 막대체(77)의 경사면(72)이 제2 지지핀(43)의 측부(43a)에 접촉한 채로(고정위치에 있는 채로) 제2 막대체(77)(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하방으로 이동하고, 고정위치에 있어서의 이동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21)를 애니록스 롤(3)에 더욱 밀어붙인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높게 하여 적정한 값으로 한다.
다음에 제1 이동조작부(78)를 회전조작하여 제1 막대체(76)(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고정위치로 한다. 이에 수반하여 제1 막대체(76)의 경사면(71)을 제1 지지핀(42)의 측부(42a)에 접촉시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한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이 적정한 값보다 높은 경우의 조작을 설명한다.
제2 이동조작부(79)를 회전조작하여 제2 막대체(77)(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고정 해제 위치로 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1 이동조작부(78)를 회전조작하여 제1 막대체(76)의 경사면(71)이 제1 지지핀(42)의 측부(42a)에 접촉한 채로(고정위치에 있는 채로) 제1 막대체(76)(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하방으로 이동하고, 고정위치에 있어서의 이동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밀어붙임을 약하게 한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낮게 하여 적정한 값으로 한다.
다음에 제2 이동조작부(79)를 회전조작하여 제2 막대체(77)(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고정위치로 한다. 이에 수반하여 제2 막대체(77)의 경사면(72)을 제2 지지핀(43)의 측부(43a)에 접촉시켜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한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21)의 애니록스 롤(3)에 대한 맞닿는 압력을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잉크 닥터 챔버(2)의 보수작업을 도 3,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애니록스 롤로부터 멀어진 방향으로 이동한 잉크 닥터 챔버의 설명도, 도 10은 보수작업자세가 되도록 선회한 상태의 잉크 닥터 챔버의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위치조정 겸 고정기구(7)(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 제1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1), 제2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2))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잉크 닥터 챔버(2)의 보수작업은 어렵고, 실제로는 보수작업은 할 수 없다.
그래서 제2 이동조작부(79)를 회전조작하여 제2 막대체(77)(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고정 해제 위치로 한다. 이에 의해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제1 지지핀(42) 및 제2 지지핀(43)을 일측 가이드레일(44)의 상면(44a) 및 타측 가이드레일(45)의 상면(45a)에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를 애니록스 롤(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보수작업위치로 한다. 보수작업위치에서는 제1 지지핀(42)이 일측 가이드레일(44) 및 타측 가이드레일(45)의 오목부(46)에 들어가고, 제1 지지핀(42)은 오목부(46)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1 지지핀(42)은 단면형상이 원형인 핀이다. 또한, 제2 지지핀(43)도 단면형상이 원형인 핀이다.
이에 의해 잉크 닥터 챔버(2)는 오목부(46)를 가이드로 하고, 제1 지지핀(42)을 지점으로 하여 원호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수작업위치의 잉크 닥터 챔버(2)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은 오목부(46)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측 가이드레일(44)의 상면(44a) 및 타측 가이드레일(45)의 상면(45a)에 돌기를 형성하고, 제1 지지핀(42)이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맞닿음으로써 잉크 닥터 챔버(2)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지지핀(42)을 회전 가능(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 지지부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제2 지지핀(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도 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잉크 닥터 챔버(2)를 반시계방향으로 거의 90도 선회한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닥터 챔버(2)를 닥터 블레이드(21) 및 볼트(24)가 상향이고, 하우징(20)의 잉크홈(23)의 개구가 상향이 되는 보수작업자세가 되도록 한다.
이 보수작업자세에서는 닥터 블레이드(21)를 보수작업자가 보기 쉽기 때문에 닥터 블레이드(21)의 점검이 용이하다.
볼트(24)의 회전조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닥터 블레이드(21)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잉크홈(23)의 개구가 상향이기 때문에 보수작업중에 하우징(20)내의 잔류 잉크가 새기 어렵다. 즉, 보수작업할 때에는 잉크 공급용 배관으로부터의 잉크 공급을 멈추고, 하우징(20)의 잉크홈(23)내의 잉크를 잉크 리턴용 배관으로부터 잉크순환탱크에 되돌리지만, 잉크홈(23)내에서 넘치지 않는 잉크는 잔류하게 되고, 이 잔류 잉크가 하우징(20)으로부터 넘쳐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들이 서로 어울려서 보수작업을 간단히 또한 단시간에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닥터 챔버(2)가 장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잉크 닥터 챔버(2)는 닥터 블레이드(21), 볼트(24)가 애니록스 롤(3)을 향하는 옆을 향하는 자세가 되어 있다. 계속해서 잉크 닥터 챔버(2)는 옆을 향하는 자세인 채로 도 9에 도시하는 보수작업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닥터 블레이드(21)의 점검, 교환이 번잡하고, 시간이 걸린다.
또한, 하우징(20)의 잉크홈(23)의 개구가 애니록스 롤(3)을 향하는 옆을 향하기 때문에 하우징(20)의 잉크홈(23)의 개구가 상향인 경우와 비교하여 보수작업중에 하우징(20)내의 잔류 잉크가 새기 쉽다.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은 거의 90도 선회할 뿐이기 때문에 하우징(20)의 공급용 커플러(29a) 및 리턴용 커플러(29b)에 각각 접속한 도시하지 않은 잉크 공급용 배관 및 잉크 리턴용 배관을 분리하지 않고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도 1, 도 2 참조). 또한, 잉크 공급용 배관 및 잉크 리턴용 배관을 접속한 상태의 경우에 있어서 잉크받이접시(50)는 잉크 공급용 배관, 잉크 리턴용 배관과 간섭하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받이접시(50)는 분리해 둔다.
제1 지지핀(42)은 오목부(46)로부터 분리하여 위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잉크 닥터 챔버(2)를 들어올려 일측 가이드레일(44) 및 타측 가이드레일(45)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하우징(20)의 공급용 커플러(29a) 및 리턴용 커플러(29b)에 각각 접속한 도시하지 않은 잉크 공급용 배관 및 잉크 리턴용 배관을 분리하면 잉크 닥터 챔버(2)를 간단히 탈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가 우측(애니록스 롤(3)측)이고,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가 좌측(애니록스 롤(3)과 반대측)이지만,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좌측(애니록스 롤(3)과 반대측)으로 하고,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우측(애니록스 롤(3)측)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막대체(76)(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 및 제2 막대체(77)(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에 경사면(71 및 72)을 각각 형성하고 있지만, 제1 지지핀(42)(제1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1)) 및 제2 지지핀(43)(제2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2))에 경사면을 각각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프레임(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인 제1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1) 및 제2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2)의 형상을 핀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블록형상 등 핀 이외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닥터 챔버(2)의 하우징(20)을 프레임(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제1 지지핀(42), 제2 지지핀(43))는 제1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1) 및 제2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7b-2)이지만, 지지부와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를 따로따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지부를 1개로 할 수 있다.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를 1개로 한 경우에는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의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의 측면에 제1 위치조정 겸 고정부(7a-1)를 접촉시키고, 피위치조정 겸 고정부의 애니록스 롤(3)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측면에 제2 위치조정 겸 고정부(7a-2)를 접촉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하우징(20)의 하면을 가이드레일(안내부)에 탑재하도록 하여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