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5974B1 -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974B1
KR102285974B1 KR1020190153537A KR20190153537A KR102285974B1 KR 102285974 B1 KR102285974 B1 KR 102285974B1 KR 1020190153537 A KR1020190153537 A KR 1020190153537A KR 20190153537 A KR20190153537 A KR 20190153537A KR 102285974 B1 KR102285974 B1 KR 102285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terminal
terminals
main power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849A (ko
Inventor
박지승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974B1/ko
Priority to JP2020187691A priority patent/JP7634968B2/ja
Priority to CN202022744511.8U priority patent/CN213660669U/zh
Publication of KR2021006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9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전후 및 좌우방향측 가장자리를 따라 삽입돌기가 연속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내부에 삽입홈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돌기를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결합되며,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전원이 접속되는 다수의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신호단자 및, 전원이 접속되고,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와 이격 위치되며, 상기 신호단자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서브 전원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PLUG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단자들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서브 전원단자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서브 전원단자를 이용해 허용전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원 공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전자 장치들에는 각종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는, 각종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에는 대응되는 기판의 상대 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된다.
종래의 커넥터는, 기판의 표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결합되며, 기판의 접속 단자와 접속되도록 결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터미널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단자와 신호 전달을 위한 신호단자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의 커넥터는 전원단자의 허용 전류가 고정적이므로 과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전자기기의 고장이 유발되므로, 과전류 인가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였고, 조립시 이송 캐리어 등을 이용해 전원단자와 신호단자를 정렬시킨 후 인서트 성형한 후, 전원단자와 신호단자로부터 캐리어를 분리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웠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545호(2012년09월1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545호(2012.09.18.)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단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서브 전원단자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서브 전원단자를 이용해 허용전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원 공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 및 서브 전원단자들의 실장부를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연장시켜 이송 캐리어와 개별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조립시 각각의 단자들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인서트 성형할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전후 및 좌우방향측 가장자리를 따라 삽입돌기가 연속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내부에 삽입홈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돌기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며,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전원이 접속되는 다수의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신호단자 및, 전원이 접속되고,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와 이격 위치되며, 상기 신호단자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서브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좌우방향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삽입부는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삽입부 보다 더 넓은 폭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신호단자 보다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더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전원단자는 상기 제1삽입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단자및,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단자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제2단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삽입홈이 위치된 상기 삽입돌기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는 내측접촉부와, 상기 내측접촉부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되는 실장부와, 상기 내측접촉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삽입돌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상측 접촉부 및, 상기 상측 접촉부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과 반대되는 상기 삽입돌기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외측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의 외측 접촉부에는 상기 상대 커넥터가 결합시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장부의 연장된 끝단은 이송캐리어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노출되며, 상기 이송캐리어와 분리시 수직하게 절단된 단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전원단자의 상기 실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단자들의 상기 실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되며, 상기 서브 전원단자들의 상기 실장부 보다 연장된 끝단이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전후 및 좌우방향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삽입돌기가 연속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내부에 삽입홈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삽입돌기가 돌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돌기와 제2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홈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며,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전원이 접속되는 다수의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신호단자 및,전원이 접속되고,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와 이격 위치되며, 상기 신호단자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서브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들이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좌우방향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가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삽입부는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삽입부 보다 더 넓은 폭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신호단자 보다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더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전원단자는 상기 제1삽입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단자 및,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단자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제2단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삽입홈이 위치된 상기 제2삽입돌기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제1내측 접촉부와, 상기 제1내측 접촉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삽입돌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상측 접촉부와, 상기 상측 접촉부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며, 하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측부로 돌출되는 실장부와, 상기 제1내측 접촉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삽입돌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하측 접촉부 및, 상기 하측 접촉부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삽입돌기의 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제2내측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장부의 연장된 끝단은 이송캐리어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노출되며, 상기 이송캐리어와 분리시 수직하게 절단된 단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은,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 제조방법으로서, 메인 전원단자의 제1캐리어 연결부와 서브 전원단자의 제2캐리어연결부 및 신호단자의 제3캐리어 연결부에 이송 캐리어가 각각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조립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조립 위치에 이송된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서브 전원단자 및 신호단자의 일부분에 하우징을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캐리어 연결부와 제2캐리어연결부 및 제3캐리어 연결부를 각각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신호단자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신호단자들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서브 전원단자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서브 전원단자를 이용해 허용전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원 공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 및 서브 전원단자들의 실장부를 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연장시켜 이송 캐리어와 개별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조립시 각각의 단자들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인서트 성형할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단면 처리하여 메인 전원단자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에 이송 캐리어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를 단면 처리하여 메인 전원단자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에 이송 캐리어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단면 처리하여 메인 전원단자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에 이송 캐리어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요부를 단면 처리하여 메인 전원단자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에 이송 캐리어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로서,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소켓 형태의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하우징(100)과, 터미널(200)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00)은 하단이 기판(미도시) 등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전후 및 좌우방향측 가장자리를 따라 삽입돌기(110)가 연속적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삽입홈(120)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삽입홈(120)의 가장자리를 삽입돌기(110)들이 둘러싸는 형태를 갖는다.
삽입홈(120)은, 상부로 개방되며, 상대 커넥터(미도시)의 돌기 부위가 암수로 대응 결합되는 부분이고, 삽입돌기(110)는 상대 커넥터의 홈 부위가 암수로 대응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양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은 전후 폭이 좌우 폭보다 상태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 결합되는 상태 커넥터도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절연 소재를 이용해 후술 될 터미널(200)의 일부분에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하우징(100)의 형성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삽입돌기(110)는 전후 방향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111) 및,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112)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삽입부(111)는, 전후 방향에 수평하게 위치되며, 제1삽입부(111)들에는 후술 될 메인 전원단자(210)들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삽입부(112)는, 제1삽입부(111)들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제2삽입부(112)에는 후술 될 메인 전원단자(210)들과 신호단자(230)들과 서브전원단자(220)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삽입부(111)들과 제2삽입부(112)들은, 상호 연결되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제1삽입부(111)와 제2삽입부(112)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터미널(200)은, 하우징(100)의 삽입돌기(110)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터미널(200)의 접촉면이 삽입돌기(10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터미널(200)은 다수의 메인 전원단자(210)와, 다수의 신호단자(220) 및, 다수의 서브 전원단자(220)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메인 전원단자(210)들은 전원이 접속되는 것으로, 삽입돌기(110)의 제1삽입부(111)들에 각각 설치되고, 제2삽입부(112)들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전원단자(210)들은 기판(미도시)의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100)를 상대 커넥터(미도시)와 결합시키는 경우 상대 커넥터의 단자들과 전력을 주고받을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전원단자(210)들은 내측 접촉부(211)와, 실장부(212)와, 상측 접촉부(213) 및, 외측 접촉부(214)로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전원단자(210)들의 내측 접촉부(211)는, 삽입홈(120)이 위치된 삽입돌기(11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하단이 하우징(100)의 하부로 노출된다.
메인 전원단자(210)들의 실장부(212)는, 내측 접촉부(211)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절곡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하우징(100)의 측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실장부(212)의 연장된 끝단은 제1이송캐리어(10)와 연결시키기 위해 하우징(100)의 측부로 노출되며, 제1이송캐리어(10)와 분리시 수직하게 절단된 단면부(2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장부(212)는 제2삽입부(112)들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제2삽입부(112)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다.
메인 전원단자(210)들의 상측 접촉부(213)는, 내측 접촉부(2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삽입돌기(110)의 상부에 수평하게 노출된다.
메인 전원단자(210)들의 외측 접촉부(214)는, 상측 접촉부(213)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삽입홈(120)과 반대되는 삽입돌기(110)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된다.
신호단자(230)들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제2삽입부(112)들에 각각 설치되며, 제2삽입부(112)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단자(230)들은 메인 전원단자(210)들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신호단자(230)들은 메인 전원단자(210)들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단자(230)들은 내측 접촉부(231)와, 실장부(232)와, 상측 접촉부(233) 및, 외측 접촉부(234)로 구비될 수 있다.
신호단자(230)들의 내측 접촉부(231)는, 삽입홈(120)이 위치된 삽입돌기(11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하단이 하우징(100)의 하부로 노출된다.
신호단자(230)들의 실장부(232)는, 내측 접촉부(231)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하우징(100)의 측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실장부(232)의 연장된 끝단은 제3이송캐리어(30)와 연결시키기 위해 하우징(100)의 측부로 노출되며, 제3이송캐리어(30)와 분리시 수직하게 절단된 단면부(23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장부(232)는 제2삽입부(112)들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제2삽입부(112)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다.
신호단자(230)들의 상측 접촉부(233)는, 내측 접촉부(23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절곡 연장되어, 삽입돌기(110)의 상부에 수평하게 노출된다.
신호단자(230)들의 외측 접촉부(234)는, 상측 접촉부(233)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삽입홈(120)과 반대되는 삽입돌기(110)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된다.
여기서, 외측 접촉부(234)에는, 상대 커넥터(미도시)가 결합시 접속되도록 접촉부(235)가 돌출될 수 있다.
서브 전원단자(220)들은, 전원이 접속되는 것으로, 삽입돌기(110)의 제2삽입부(112)들에 각각 설치되며, 제2삽입부(112)들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전원단자(220)는 제2삽입부(112)들에 설치된 메인 전원단자(210)와 신호단자(22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서브 전원단자(220)는 메인 전원단자(210)들과 신호단자(230)들의 사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삽입부(112)들에는 길이 방향 양측에 메인 전원단자(210)가 각각 설치되고, 메인 전원단자(210)들의 사이에 서브 전원단자(220)들이 각각 설치되며, 서브 전원단자(220)들의 사이에 다수의 신호단자(230)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전원단자(220)는 도 1과 도 4 및 5에서처럼 신호단자(230)보다 제2삽입부(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넓은 폭을 갖는다.
또한, 메인 전원단자(210)들은 제1삽입부(111)들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단자(211)및, 제2삽입부(112)들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단자(212)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신호단자(230)들은 제2단자(212)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서브 전원단자(220)들은 제2단자(212)들과 신호단자(230)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서브 전원단자(220)들은 내측 접촉부(221)와, 실장부(222)와, 상측 접촉부(223) 및, 외측 접촉부(224)로 구비될 수 있다.
서브 전원단자(220)들의 내측 접촉부(221)는, 삽입홈(120)이 위치된 삽입돌기(11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하단이 하우징(100)의 하부로 노출된다.
서브 전원단자(220)들의 실장부(222)는, 내측 접촉부(221)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절곡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하우징(100)의 측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실장부(222)의 연장된 끝단은 제2이송캐리어(20)와 연결시키기 위해 하우징(100)의 측부로 노출되며, 제2이송캐리어(20)와 분리시 수직하게 절단된 단면부(2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장부(222)는 제2삽입부(112)들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제2삽입부(112)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다.
서브 전원단자(220)들의 상측 접촉부(223)는, 내측 접촉부(22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삽입돌기(110)의 상부에 수평하게 노출된다.
서브 전원단자(220)들의 외측 접촉부(224)는, 상측 접촉부(223)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삽입홈(120)과 반대되는 삽입돌기(110)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된다.
여기서, 외측 접촉부(224)에는, 상대 커넥터(미도시)가 결합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부(225)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서브 전원단자(220)들의 실장부(222)는 하우징(100)의 측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서브 전원단자(220)들의 실장부(222)는 신호단자(230)들의 실장부(232)보다 연장된 끝단이 더 짧게 돌출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소켓 형태의 커넥터로서,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플러그 형태의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하우징(300) 및, 터미널(400)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300)은 하단이 기판(미도시) 등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300)의 전후 및 좌우방향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삽입돌기(310)가 연속적으로 돌출되고, 제1삽입돌기(310)의 내부에 삽입홈(320)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삽입홈(32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삽입돌기(330)가 돌출된다.
여기서, 삽입홈(320)의 가장자리를 제1삽입돌기(310)들이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며, 삽입홈(3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삽입돌기(110)가 암수로 대응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삽입돌기(310)와 제2삽입돌기(330)는 상대 커넥터의 홈 부위가 암수로 대응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하우징(300)은 양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300)은 전후 폭이 좌우 폭보다 상태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 결합되는 상태 커넥터도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0)은 절연 소재를 이용해 후술 될 터미널(400)의 일부분에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하우징(300)의 형성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1삽입돌기(310)는 전후 방향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311) 및,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312)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삽입부(311)는, 전후 방향에 수평하게 위치되며, 제1삽입부(311)들에는 후술 될 메인 전원단자(410)들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삽입부(312)는, 제1삽입부(311)들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제2삽입부(312)에는 후술 될 메인 전원단자(410)들과 서브 전원단자(420)들과 신호단자(430)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삽입돌기(330)는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제2삽입돌기(33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삽입부(311)들과 제2삽입부(312)들은, 상호 연결되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제1삽입부(311)와 제2삽입부(312)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터미널(400)은, 하우징(300)의 제1삽입돌기(310)와 삽입홈(320)이 제2삽입돌기(330)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터미널(400)의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터미널(400)은 다수의 메인 전원단자(410)와, 다수의 서브 전원단자(420) 및, 다수의 신호단자(430)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메인 전원단자(410)들은 전원이 접속되는 것으로, 제1삽입돌기(310)의 제1삽입부(311)들에 각각 설치되고, 제2삽입부(312)들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전원단자(410)들은 기판(미도시) 등의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300)를 상대 커넥터(미도시)와 결합시키는 경우 상대 커넥터의 단자들과 전력을 주고받을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전원단자(410)들은 제1내측 접촉부(411)와, 상측 접촉부(412)와, 실장부(413)와, 하측 접촉부(414) 및, 제2내측 접촉부(415)로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전원단자(410)들의 제1내측 접촉부(411)는, 삽입홈(320)이 위치된 제2삽입돌기(33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메인 전원단자(410)들의 상측 접촉부(413)는 제1내측 접촉부(4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제1삽입돌기(310)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메인 전원단자(410)들의 실장부(413)는, 상측 접촉부(412)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하우징(300)의 하부로 노출되며, 하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하우징(300)의 측부로 돌출되고, 실장부(413)의 연장된 끝단은 제1이송캐리어(10)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노출되며, 제1이송캐리어(10)와 분리시 수직하게 절단된 단면부(413a)가 형성된다.
메인 전원단자(410)들의 하측 접촉부(414)는, 제1내측 접촉부(411)의 하단으로부터제2삽입돌기(3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홈(320)의 바닥면에 위치된다.
메인 전원단자(410)들의 제2내측 접촉부(415)는, 하측 접촉부(414)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제2삽입돌기(330)의 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된다.
서브 전원단자(420)들은, 전원이 접속되는 것으로, 제1삽입돌기(310)의 제1삽입부(311)들에 각각 설치되며, 제2삽입부(312)들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전원단자(420)는 제2삽입부(312)들에 설치된 메인 전원단자(410)와 신호단자(43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서브 전원단자(420)는 메인 전원단자(410)들과 신호단자(430)들의 사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삽입부(312)들에는 길이 방향 양측에 메인 전원단자(410)가 각각 설치되고, 메인 전원단자(410)들의 사이에 서브 전원단자(420)들이 각각 설치되며, 서브 전원단자(420)들의 사이에 다수의 신호단자(430)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전원단자(420)는 도 8 내지 12에서처럼 신호단자(430)보다 제2삽입부(4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넓은 폭을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서브 전원단자(420)들은 제1내측 접촉부(421)와, 상측 접촉부(422)와, 실장부(423)와, 하측 접촉부(424) 및, 제2내측 접촉부(425)로 구비될 수 있다.
서브 전원단자(420)들의 제1내측 접촉부(421)는, 삽입홈(320)이 위치된 제2삽입돌기(33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서브 전원단자(420)들의 상측 접촉부(422)는 제1내측접촉부(42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제1삽입돌기(310)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서브 전원단자(420)들실장부(423)는, 상측 접촉부(422)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하우징(300)의 하부로 노출되며, 하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하우징(300)의 측부로 돌출되고, 서브 전원단자(420)들의 하측 접촉부(424)는 제1내측 접촉부(421)의 하단으로부터 제2삽입돌기(3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홈(320)의 바닥면에 위치된다.
서브 전원단자(420)들의 제2내측 접촉부(425)는, 하측 접촉부(424)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제2삽입돌기(330)의 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된다.
또한, 서브 전원단자(420)들의 제1내측 접촉부(421)에는, 제1접촉부(421a)가 돌출될 수 있으며, 제2내측 접촉부(425)에는 제2접촉부(425a)가 돌출될 수 있다.
신호단자(430)들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제2삽입부(112)들에 각각 설치되며, 제2삽입부(112)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단자(430)들은 메인 전원단자(410)들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신호단자(430)들은 메인 전원단자(410)들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단자(430)들은 제1내측 접촉부(431)와, 상측 접촉부(432)와, 실장부(433)와, 하측 접촉부(434) 및, 제2내측 접촉부(435)로 구비될 수 있다.
신호단자(430)들의 제1내측 접촉부(431)는, 삽입홈(320)이 위치된 제2삽입돌기(33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신호단자(430)들의 상측 접촉부(432)는 제1내측접촉부(43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제1삽입돌기(310)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신호단자(430)들의 실장부(433)는, 상측 접촉부(432)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하우징(300)의 하부로 노출되며, 하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하우징(300)의 측부로 돌출되고, 신호단자(430)들의 하측 접촉부(434)는 제1내측 접촉부(431)의 하단으로부터 제2삽입돌기(3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홈(320)의 바닥면에 위치된다.
신호단자(430)들의 제2내측 접촉부(435)는, 하측 접촉부(434)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제2삽입돌기(330)의 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된다.
또한, 신호단자(430)들의 제1내측 접촉부(431)에는, 제1접촉부(431a)가 돌출될 수 있으며, 제2내측 접촉부(435)에는 제2접촉부(435a)가 돌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은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 제조방법으로서, 각 단자들을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 및,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은 메인 전원단자(410)의 제1캐리어 연결부가 제1이송 캐리어(10), 서브 전원단자(420)의 제2캐리어연결부 가 제2이송 캐리어(20), 신호단자(430)의 제3캐리어 연결부가 제3이송 캐리어(30)에 각각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조립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조립 위치에 이송된 메인 전원단자(410)와 서브 전원단자(420) 및 신호단자(430)의 일부분에 하우징(100)(300)을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 및, 제1캐리어 연결부와 제2캐리어연결부 및 제3캐리어 연결부를 각각 절단하여 각각의 이송 캐리어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서브 전원단자(420)는 신호단자(430)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제1연결부의 절단면은 도금층이 형성되며, 제2연결부와 제3연결부의 절단면은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및 제3연결부의 절단면은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송 캐리어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이송 캐리어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신호단자(220)들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서브 전원단자(230)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서브 전원단자(230)를 이용해 허용전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원 공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전원단자(210)와 신호단자(220) 및 서브 전원단자(230)들의 실장부를 하우징(100)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연장시켜 이송 캐리어(10)와 개별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조립시 각각의 단자들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인서트 성형할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설명 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이송 캐리어 20: 제2이송 캐리어
30: 제3이송 캐리어 100: 하우징
110: 삽입돌기 111: 제1삽입부
112: 제2삽입부 120: 삽입홈
200: 터미널 210: 메인 전원단자
211: 내측 접촉부 212: 실장부
212a: 단면부 213: 상측 접촉부
214: 외측 접촉부 215: 접촉부
220: 서브 전원단자 221: 내측 접촉부
222: 실장부 222a: 단면부
223: 상측 접촉부 224: 외측 접촉부
225: 접촉부 230: 신호단자
231: 내측 접촉부 232: 실장부
232a: 단면부 233: 상측 접촉부
234: 외측 접촉부 235: 접촉부
300: 하우징 310: 제1삽입돌기
311: 제1삽입부 312: 제2삽입부
320: 삽입홈 330: 제2삽입돌기
400: 터미널 410: 메인 전원단자
411: 제1내측 접촉부 412: 상측 접촉부
413: 실장부 413a: 단면부
414: 하측 접촉부 415: 제2내측 접촉부
420: 서브 전원단자 421: 제1내측 접촉부
421a: 제1접촉부 422: 상측 접촉부
423: 실장부 423a: 단면부
424: 하측 접촉부 425: 제2내측 접촉부
425a: 제2접촉부 430: 신호단자
431: 제1내측 접촉부 431a: 제1접촉부
432: 상측접촉부 433: 실장부
433a: 단면부 434: 하측 접촉부
435: 제2내측 접촉부 435a: 제1접촉부

Claims (19)

  1.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전후 및 좌우방향측 가장자리를 따라 삽입돌기가 연속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내부에 삽입홈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삽입돌기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며,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전원이 접속되는 다수의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신호단자 및, 전원이 접속되고,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와 이격 위치되며, 상기 신호단자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서브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삽입홈이 위치된 상기 삽입돌기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는 내측 접촉부와,
    상기 내측 접촉부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되는 실장부와,
    상기 내측 접촉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삽입돌기의 상부에수평하게 위치되는 상측 접촉부 및,
    상기 상측 접촉부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 반대되는 상기 삽입돌기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외측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실장부의 연장된 끝단은, 이송 캐리어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노출되며, 상기 이송 캐리어와 분리시 수직하게 절단된 단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의 단면부는 도금이 형성 되어 있고, 상기 서브 전원단자의 단면부 및 상기 신호단자의 단면부는 도금이 형성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삽입부 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신호단자 보다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더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3에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단자는,
    상기 제1삽입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단자 및,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단자로 구분되고,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제2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원단자의 상기 실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되며,
    상기 신호단자들의 상기 실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되며, 상기 서브 전원단자들의 상기 실장부보다 연장된 끝단이 더 길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삭제
  10.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전후 및 좌우방향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삽입돌기가 연속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삽입돌기의 내부에 삽입홈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삽입돌기가 돌출되는 하우징;
    상기 제1삽입돌기와 제2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홈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며,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전원이 접속되는 다수의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신호단자 및, 전원이 접속되고,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와 이격 위치되며, 상기 신호단자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서브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삽입홈이 위치된 상기 제2삽입돌기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제1내측접촉부와,
    상기 제1내측 접촉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삽입돌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상측 접촉부와,
    상기 상측 접촉부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며, 하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돌출되는 실장부와,
    상기 제1내측 접촉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삽입돌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하측 접촉부 및,
    상기 하측 접촉부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삽입돌기의 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제2내측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실장부의 연장된 끝단은, 이송캐리어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노출되며, 상기 이송캐리어와 분리시 수직하게 절단된 단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의 단면부는 도금이 형성 되어 있고, 상기 서브 전원단자의 단면부 및 상기 신호단자의 단면부는 도금이 형성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들이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좌우방향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신호단자와 서브 전원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부는,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삽입부 보다 더 넓은 폭으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신호단자 보다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더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단자는,
    상기 제1삽입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단자 및,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단자로 구분되고,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제2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삭제
  16. 삭제
  17.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 제조방법으로서,
    메인 전원단자의 제1캐리어 연결부와 서브 전원단자의 제2캐리어 연결부 및 신호단자의 제3캐리어 연결부에 이송 캐리어가 각각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조립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조립 위치에 이송된 상기 메인 전원단자와 상기 서브 전원단자 및 신호단자의 일부분에 하우징을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캐리어 연결부와 제2캐리어 연결부 및 제3캐리어 연결부를 각각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원단자는,
    상기 신호단자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단자의 제1캐리어 연결부와 상기 서브 전원단자의 제2캐리어연결부 및 상기 신호단자의 제3캐리어 연결부에 각각 연결된 이송 캐리어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이송 캐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방법.

KR1020190153537A 2019-11-26 2019-11-26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285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37A KR102285974B1 (ko) 2019-11-26 2019-11-26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2020187691A JP7634968B2 (ja) 2019-11-26 2020-11-11 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022744511.8U CN213660669U (zh) 2019-11-26 2020-11-24 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37A KR102285974B1 (ko) 2019-11-26 2019-11-26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49A KR20210064849A (ko) 2021-06-03
KR102285974B1 true KR102285974B1 (ko) 2021-08-05

Family

ID=7608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537A Active KR102285974B1 (ko) 2019-11-26 2019-11-26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634968B2 (ko)
KR (1) KR102285974B1 (ko)
CN (1) CN21366066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35715A (ja) 2021-09-01 2023-03-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9336A (ja) 2010-10-19 2012-05-10 Panasonic Corp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KR101766198B1 (ko) * 2016-05-03 2017-08-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18133333A (ja) 2017-02-14 2018-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接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541B2 (ja) * 1997-09-08 2001-05-08 大宏電機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用雌コネクタ
JP4287450B2 (ja) 2006-08-31 2009-07-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5545B1 (ko) 2011-04-07 2012-09-24 성경정밀(주) 기판 연결용 커넥터
JP6385875B2 (ja) * 2015-04-01 2018-09-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513509B2 (ja)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CN107819221A (zh) 2016-09-13 2018-03-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806593B2 (ja)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81951B2 (ja) 2018-08-08 2020-04-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9336A (ja) 2010-10-19 2012-05-10 Panasonic Corp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KR101766198B1 (ko) * 2016-05-03 2017-08-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18133333A (ja) 2017-02-14 2018-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接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49A (ko) 2021-06-03
JP2021086828A (ja) 2021-06-03
JP7634968B2 (ja) 2025-02-25
CN213660669U (zh)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CN107453069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系统
EP2600469B1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JP3964353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7172434B2 (en)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capable of resisting repetition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JP7324038B2 (ja) コネクタ
CN107534234B (zh) 多极连接器
US2016011875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upper and lower grounding terminals connected with each other
CN101471508B (zh) 用于将触头模块稳定和紧固在电连接器组件中的装置
KR20080034853A (ko) 전기 상호 연결 시스템
US7189090B2 (en) Coupler for flat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278273A2 (en) Anti-mismatching pair of complementary connectors
US8007294B2 (en) Connector
CN113678327B (zh) 模块化电路板插接连接组件
KR10232192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KR102285974B1 (ko)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N103811891B (zh) 连接块组件
JP2023016919A (ja) コネクタ
CN115775999A (zh) 连接器
CN211789645U (zh) 插座连接器的端子配置结构
KR101465078B1 (ko) 플러그형 수단, 플러그형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형 수단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CN211789680U (zh) 插座连接器
US633863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10998668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case that has a connection stopping portion that prevents stopping contact between first and second connectors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