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0175B1 -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175B1
KR102270175B1 KR1020140055668A KR20140055668A KR102270175B1 KR 102270175 B1 KR102270175 B1 KR 102270175B1 KR 1020140055668 A KR1020140055668 A KR 1020140055668A KR 20140055668 A KR20140055668 A KR 20140055668A KR 102270175 B1 KR102270175 B1 KR 10227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organic molecule
organic
substituted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369A (ko
Inventor
최용석
임선정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175B1/ko
Priority to US14/618,597 priority patent/US10000462B2/en
Publication of KR2015012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1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2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08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 C07D333/10Thiop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14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1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by 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radiation-sensitiv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30/00
    • H10K39/30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10K39/32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2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bor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5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sulfur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58Organobora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가시광선 영역 내에서 파장 선택성을 가지는 제1 유기분자와 제2 유기분자가 교차하여 연결되어 있는 광전자 재료, 상기 광전자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OPTOELECTRONIC MATERIAL AN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광전자 소자는 빛과 전기 신호를 변환시키는 소자로, 광 다이오드 및 광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며, 이미지 센서, 태양 전지, 유기발광소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는 날이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화소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하는 실리콘 광 다이오드의 경우 화소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흡수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감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리콘을 대체할 수 있는 유기 물질이 연구되고 있다.
유기 물질은 흡광 계수가 크고 분자 구조에 따라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광 다이오드와 색 필터를 동시에 대체할 수 있어서 감도 개선 및 고집적에 매우 유리하다.
일 구현예는 흡광 특성 및 파장 선택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광전자 재료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광전자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가시광선 영역 내에서 파장 선택성을 가지는 제1 유기분자와 제2 유기분자가 교차하여 연결되어 있는 광전자 재료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티오펜 또는 티오펜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펜부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시아노기, 시아노비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1 내지 n5 중 적어도 하나는 1이다.
상기 광전자 재료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m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a] [화학식 1b]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2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3
[화학식 1c] [화학식 1d]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4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5
[화학식 1e] [화학식 1f]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6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7
[화학식 1g] [화학식 1h]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8
Figure 112014043822884-pat00009
[화학식 1i] [화학식 1j]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0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1
[화학식 1k] [화학식 1l]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2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3
[화학식 1m]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4
상기 화학식 1a 내지 1m에서,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펜부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시아노기, 시아노비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1 내지 n5 중 적어도 하나는 1이다.
상기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 1에 나열된 기(group)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그룹 1]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5
상기 그룹 1에서,
R11 내지 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 또는 상기 제2 유기분자와 연결되는 연결지점이다.
상기 제1 유기분자의 T1, T2, T3, T4 및 T5는 R11 내지 R26 중 하나와 상기 제2 유기분자의 T1, T2, T3, T4 및 T5의 R11 내지 R26 중 하나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6
상기 화학식 2에서,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펜부이고,
X3 내지 X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시아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3 내지 X8 중 적어도 하나는 시아노기이고,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1 내지 n5 중 적어도 하나는 1이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2c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7
[화학식 2b]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8
[화학식 2c]
Figure 112014043822884-pat00019
상기 광전자 재료는 하기 화학식 2aa 내지 2cb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aa] [화학식 2ab] [화학식 2ba]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0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1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2
[화학식 2bb] [화학식 2bc] [화학식 2bd]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3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4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5
[화학식 2ca] [화학식 2cb]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6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7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청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적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청색 파장 영역은 약 400nm 이상 500nm 미만에서 최대 흡수 파장 (λmax)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적색 파장 영역은 약 580nm 초과 700nm 이하에서 최대 흡수 파장 (λmax)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녹색 파장 영역은 약 500nm 내지 580nm에서 최대 흡수 파장 (λmax)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동일한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광전자 재료는 약 1.9 내지 2.8eV의 밴드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서로 마주하는 애노드와 캐소드, 그리고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광전자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는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8
상기 화학식 3에서,
Ra 내지 Rl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함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음이온이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a 내지 3e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a] [화학식 3b] [화학식 3c]
Figure 112014043822884-pat00029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0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1
[화학식 3d] [화학식 3e]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2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3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청색 파장 영역의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1 광 감지 소자 및 적색 파장 영역의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2 광 감지 소자가 집적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청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청색 필터와 적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적색 필터를 포함하는 색 필터층, 그리고 상기 색 필터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는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흡광 특성 및 파장 선택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설계구조이고,
도 6은 비교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설계구조이고,
도 7은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의 설계구조이고,
도 8은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NMR 데이터이고,
도 9는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흡광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비교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흡광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1은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의 흡광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2는 합성예 1 및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의 파장에 따른 흡광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3은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열중량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시차주사열량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Br, Cl 또는 I),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30 아릴기,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C1 내지 C4 알콕시기,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알킬기,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C3 내지 C15 사이클로알케닐기, C6 내지 C15 사이클로알키닐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헤테로'란, N, O, S 및 P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함유한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면에서 본 구현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광전자 재료를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광전자 재료는 가시광선 영역 내에서 파장 선택성을 가지는 제1 유기분자와 제2 유기분자가 교차하여 연결되어 있는 화합물이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형태의 흡광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가 교차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광전자 재료의 총 분자량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빛이 통과하는 광 경로(optical path)에 광전자 재료의 양을 증가시켜 광 흡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가 교차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광전자 재료의 열적 운동(thermal motion)을 낮추거나 입체적 장애 (steric hindrance)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전자 재료의 과도한 열적 운동에 따른 결정화 및 상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면방향으로의 π-π 상호작용을 억제하여 흡광 파장 영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장 선택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가시광선 영역 내에서 동일한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청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적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청색 파장 영역은 약 400nm 이상 500nm 미만에서 최대 흡수 파장 (λmax)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적색 파장 영역은 약 580nm 초과 700nm 이하에서 최대 흡수 파장 (λmax)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녹색 파장 영역은 약 500nm 내지 580nm에서 최대 흡수 파장 (λmax)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예컨대 동일한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예컨대 각각 티오펜 또는 티오펜 유도체일 수 있으며, 예컨대 각각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4
상기 화학식 1에서,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펜부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시아노기, 시아노비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1 내지 n5 중 적어도 하나는 1이다.
상기 T1, T2, T3, T4 및 T5는 예컨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 1에 나열된 기(group)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룹 1]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5
상기 그룹 1에서,
R11 내지 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 또는 상기 제2 유기분자와 연결되는 연결지점이다.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시아노기를 가지는 티오펜 유도체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6
상기 화학식 2에서,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펜부이고,
X3 내지 X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시아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3 내지 X8 중 적어도 하나는 시아노기이고,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1 내지 n5 중 적어도 하나는 1이다.
일 예로,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2c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a]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7
[화학식 2b]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8
[화학식 2c]
Figure 112014043822884-pat00039
상기 광전자 재료는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가 교차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의 연결지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가 각각 티오펜 또는 티오펜 유도체인 경우,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의 연결지점은 티오펜부일 수도 있고 티오펜부가 아닐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 및 그룹 1에서, 상기 제1 유기분자의 T1, T2 및 T3의 R11 내지 R26 중 하나와 상기 제2 유기분자의 T1, T2 및 T3의 R11 내지 R26 중 하나가 각각 연결지점일 수 있다.
상기 광전자 재료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m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a] [화학식 1b]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0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1
[화학식 1c] [화학식 1d]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2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3
[화학식 1e] [화학식 1f]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4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5
[화학식 1g] [화학식 1h]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6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7
[화학식 1i] [화학식 1j]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8
Figure 112014043822884-pat00049
[화학식 1k] [화학식 1l]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0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1
[화학식 1m]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2
상기 화학식 1a 내지 1m에서, T1, T2, T3, T4, T5, R1, R2, n1 내지 n5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a 내지 1d에서, 상기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그룹 1에 나열된 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광전자 재료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2aa 내지 2cb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aa] [화학식 2ab] [화학식 2ba]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3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4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5
[화학식 2bb] [화학식 2bc] [화학식 2bd]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6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7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8
[화학식 2ca] [화학식 2cb]
Figure 112014043822884-pat00059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0
상기 광전자 재료는 예컨대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약 5.0 내지 7.0eV의 HOMO 레벨을 가질 수 있고, 약 1.9 내지 2.8eV의 에너지 밴드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HOMO 레벨 및 에너지 밴드갭을 가짐으로써 녹색 파장 영역에서 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반도체로 적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높은 외부양자효율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을 가질 수 있어 광전 변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광전자 재료는 박막 상태에서 약 50nm 내지 150nm의 비교적 작은 반치폭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가지는 흡광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반치폭은 최대 흡광 지점의 반(half)에 대응하는 파장의 폭(width)으로, 반치폭이 작으면 좁은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파장 선택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범위의 반치폭을 가짐으로써 녹색 파장 영역에 대한 선택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상기 광전자 재료를 포함하는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 (100)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그리고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중 어느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이다.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중 적어도 하나는 투광 전극일 수 있고, 상기 투광 전극은 예컨대 인듐 틴 옥사이드 (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아연 옥사이드 (indium zinc 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체, 또는 얇은 두께의 단일층 또는 복수층의 금속 박막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전극 (10)과 제2 전극 (20) 중 하나가 불투광 전극인 경우 예컨대 알루미늄 (Al)과 같은 불투명 도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활성층(30)은 p형 반도체 물질과 n형 반도체 물질이 포함되어 pn 접합 (pn junction)을 형성하는 층으로, 외부에서 빛을 받아 엑시톤 (exciton)을 생성한 후 생성된 엑시톤을 정공과 전자로 분리하는 층이다.
활성층(30)은 전술한 광전자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광전자 재료는 예컨대 녹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활성층(30)은 약 500nm 내지 580nm에서 최대 흡수 파장 (λmax)을 가지는 녹색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활성층(30)은 약 50nm 내지 150nm의 비교적 작은 반치폭(FWHM)을 가지는 흡광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층(30)은 녹색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전자 재료는 활성층(30)에서 n형 반도체 또는 p형 반도체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광전자 재료가 n형 반도체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n형 반도체와 함께 pn접합을 형성하기 위한 p형 반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전자 재료가 p형 반도체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p형 반도체와 함께 pn접합을 형성하기 위한 n형 반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전자 재료가 n형 반도체로 적용되는 경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p형 반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1
상기 화학식 3에서,
Ra 내지 Rl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함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음이온이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예컨대 하기 화학식 3a 내지 3e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a] [화학식 3b] [화학식 3c]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2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3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4
[화학식 3d] [화학식 3e]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5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6
활성층(30)은 단일 층일 수도 있고 복수 층일 수도 있다. 활성층(30)은 예컨대 진성층(instrinsic layer, I층), p형 층/I층, I층/n형 층, p형 층/I층/n형 층, p형 층/n형 층 등 다양한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진성층(I층)은 상기 p형 반도체와 상기 n형 반도체가 약 1:100 내지 약 100:1의 두께 비로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약 1:50 내지 50:1의 두께 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약 1:10 내지 10:1의 두께 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약 1:1의 두께 비로 포함될 수 있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상기 범위의 조성비를 가짐으로써 효과적인 엑시톤 생성 및 pn 접합 형성에 유리하다.
상기 p형 층은 상기 p형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n형 층은 상기 n형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30)은 약 1nm 내지 5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약 5nm 내지 3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정공과 전자를 효과적으로 분리 및 전달함으로써 광전 변환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유기 광전자 소자(100)는 제1 전극(10) 및/또는 제2 전극(20) 측으로부터 빛이 입사되어 활성층(30)이 소정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면 내부에서 엑시톤이 생성될 수 있다. 엑시톤은 활성층(30)에서 정공과 전자로 분리되고, 분리된 정공은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중 하나인 애노드 측으로 이동하고 분리된 전자는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중 다른 하나인 캐소드 측으로 이동하여 유기 광전자 소자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다른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100)는 전술한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그리고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30)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구현예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100)는 전술한 구현예와 달리 제1 전극(10)과 활성층(30) 사이 및 제2 전극(20)과 활성층(30) 사이에 각각 전하 보조층(40, 50)을 더 포함한다. 전하 보조층(40, 50)은 활성층(30)에서 분리된 정공과 전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하 보조층(40, 50)은 정공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정공 주입층 (hole injecting layer, HIL), 정공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는 정공 수송층 (hole transporting layer, HTL), 전자의 이동을 저지하는 전자 차단층 (electron blocking layer, EBL),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전자 주입층 (electron injecting layer, EIL), 전자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는 전자 수송층 (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정공의 이동을 저지하는 정공 차단층 (hole blocking layerm HBL)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 보조층(40, 50)은 예컨대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정공 또는 전자 특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일 수 있고, 상기 무기물은 예컨대 몰리브덴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니켈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 (HTL)은 예컨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 폴리아릴아민, 폴리(N-비닐카바졸)(poly(N-vinylcarbazol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N,N,N',N'-테트라키스(4-메톡시페닐)-벤지딘(N,N,N',N'-tetrakis(4-methoxyphenyl)-benzidine, TPD), 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4-bis[N-(1-naphthyl)-N-phenyl-amino]biphenyl, α-NPD), m-MTDATA, 4,4′,4″-트리스(N-카바졸릴)-트리페닐아민(4,4′,4″-tris(N-carbazolyl)-triphenylamine, TCTA)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 차단층(EBL)은 예컨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 폴리아릴아민, 폴리(N-비닐카바졸)(poly(N-vinylcarbazol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N,N,N',N'-테트라키스(4-메톡시페닐)-벤지딘(N,N,N',N'-tetrakis(4-methoxyphenyl)-benzidine, TPD), 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4-bis[N-(1-naphthyl)-N-phenyl-amino]biphenyl, α-NPD), m-MTDATA, 4,4′,4″-트리스(N-카바졸릴)-트리페닐아민(4,4′,4″-tris(N-carbazolyl)-triphenylamine, TCTA)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 수송층(ETL)은 예컨대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1,4,5,8-naphthal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NTCDA), 바소쿠프로인(bathocuproine, BCP), LiF, Alq3, Gaq3, Inq3, Znq2, Zn(BTZ)2, BeBq2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공 차단층(HBL)은 예컨대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1,4,5,8-naphthal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NTCDA), 바소쿠프로인(BCP), LiF, Alq3, Gaq3, Inq3, Znq2, Zn(BTZ)2, BeBq2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하 보조층(40, 50)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는 태양 전지, 이미지 센서, 광 검출기, 광 센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등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를 적용한 이미지 센서의 일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이미지 센서의 일 예로 유기 CMOS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인접한 청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적색 화소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300)는 광 감지 소자(50B, 50R), 전송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전하 저장소(55)가 집적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310); 하부 절연층(60); 색 필터(70); 상부 절연층(80); 및 유기 광전자 소자(100)를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310)은 실리콘 기판일 수 있으며, 광 감지 소자(50B, 50R), 전송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전하 저장소(55)가 집적되어 있다. 광 감지 소자(50B, 50R)는 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 감지 소자(50B, 50R), 전송 트랜지스터 및/또는 전하 저장소(55)는 각 화소마다 집적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일 예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 감지 소자(50B, 50R)는 청색 화소 및 적색 화소에 포함될 수 있고 전하 저장소(55)는 녹색 화소에 포함될 수 있다.
광 감지 소자(50B, 50R)는 빛을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는 전송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달될 수 있고, 전하 저장소(55)는 후술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하 저장소(55)의 정보는 전송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310) 위에는 또한 금속 배선(도시하지 않음) 및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 배선 및 패드는 신호 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Al), 구리(Cu), 은(g) 및 이들의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배선 및 패드가 광 감지 소자(50B, 50R)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금속 배선 및 패드 위에는 하부 절연층(6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절연층(60)은 산화규소 및/또는 질화규소와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SiC, SiCOH, SiCO 및 SiOF와 같은 저유전율(low K)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절연층(60)은 전하 저장소(55)를 드러내는 트렌치를 가진다. 트렌치는 충전재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하부 절연막(60) 위에는 색 필터(70)가 형성되어 있다. 색 필터(70)는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있는 청색 필터(70B)와 적색 화소에 형성되어 있는 적색 필터(70R)를 포함한다. 본 구현예에서는 녹색 필터를 구비하지 않은 예를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 녹색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색 필터(70) 위에는 상부 절연층(8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절연층(80)은 색 필터(70)에 의한 단차를 제거하고 평탄화한다. 상부 절연층(80) 및 하부 절연층(60)은 패드를 드러내는 접촉구(도시하지 않음)와 녹색 화소의 전하 저장소(55)를 드러내는 관통구(85)를 가진다.
상부 절연층(80) 위에는 전술한 유기 광전자 소자(100)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 광전자 소자(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0), 활성층(30) 및 제2 전극(20)을 포함한다.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은 모두 투명 전극일 수 있으며, 활성층(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녹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녹색 화소의 색 필터를 대체할 수 있다.
제2 전극(20)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활성층(30)에서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이 주로 흡수되어 광전 변환될 수 있고 나머지 파장 영역의 빛은 제1 전극(10)을 통과하여 광 감지 소자(50)에 센싱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구현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300)는 전술한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광 감지 소자(50B, 50R), 전송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전하 저장소(55)가 집적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310); 하부 절연층(60); 색 필터(70); 상부 절연층(80); 및 유기 광전자 소자(1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구현예와 달리, 유기 광전자 소자(100)는 전하 보조층(40, 50)을 더 포함한다. 전하 보조층(40, 50)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전하 보조층(40, 5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광전자 재료의 합성
비교합성예 1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는 2,2':5',2"-터티오펜(2,2':5',2"-terthiophene, Sigma-aldrich (99%))를 준비한다.
[화학식 A]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7

비교합성예 2
5,5"- 포밀 -2,2':5',2'-터티오펜(5,5"- formyl -2,2':5',2"- terthiophene )의 합성
유리 반응기에 N2 분위기에서 터티오펜(terthiophene) 1.50g (4.2 mmol)과 용매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50mL를 연이어 넣은 후 저온(-78℃)에서 n-BuLi 6.25 mL(1.6M solution in n-hexane, 10.0 mmol)을 첨가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혼합물에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0.84 mL(10.8 mmol)를 넣은 후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반응을 종료하고 CH2Cl2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5,5"-포밀-2,2':5',2'-터티오펜(5,5"-formyl-2,2':5',2'-terthiophene)을 얻는다.
5,5"- 비스 ( 디시아노비닐 )-2,2":5',2"-터티오펜(5,5"- bis ( dicyanovinyl )-2,2":5',2"-terthiophene)의 합성
상기에서 얻은 5,5"-포밀-2,2':5',2'-터티오펜 1.50g (3.6mmol)과 말로노니트릴(malononitril) 0.52g(7.9 mmol), b-알라닌(b-alanine) 8mg(0.1mmol)을 차례로 반응기에 넣은 후 에탄올 100 mL를 넣고 2시간 동안 교반 가열(reflux)한다. 반응기의 용매는 제거하고 THF를 넣어 반응물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5,5"-비스(디시아노비닐)-2,2':5',2"-터티오펜(5,5"-bis(dicyanovinyl)-2,2':5',2"-terthiophene)를 얻는다.
합성예 1
[반응식 1]
Figure 112014043822884-pat00068
2,2',5,5'-테트라브로모-3,3'-바이티오펜(2,2',5,5'-tetrabromo-3,3'-bithiophene, C8H2Br4S2 , 분자량 481.8475g/mole)(Aldrich 사) 0.48g (0.001 mole) 와 (트리메틸스탠닐)티오펜-2-카르바알데히드((trimethylstannyl)thiophene-2-carbaldehyde)(MW: 274.95g/mole) 1.098g (0.004 mole)을 DMF/톨루엔(dimethylforamide/toluene, 부피비=1/4) 20ml를 넣고 촉매로 Pd(PPh3)4 23 mg을 추가로 넣어 교반한다. 이어서 가열하여 반응시킨 후 아세트산으로 반응을 종료하고 CH2Cl2로 추출하여 화합물 A를 얻는다. 이어서 합성 비교예 2와 같은 과정을 거쳐 화학식 2aa-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 비교합성예 2와 같은 방법에 따라, 상기에서 얻은 화합물 A, 말로노니트릴 및 b-알라닌을 차례로 반응기에 넣은 후 에탄올 100mL를 넣고 2시간 동안 교반 가열(reflux)한다. 반응기의 용매는 제거하고 THF를 넣어 반응물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화학식 2aa-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평가 I
평가 1
합성예 1, 비교합성예 1 및 2에 따른 화합물의 설계구조 및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실제구조를 확인한다.
합성예 1에서 얻은 화합물의 실제 구조는 NMR (Bruker사, 500MHz)로 확인한다.
도 5는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설계구조이고, 도 6은 비교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설계구조이고, 도 7은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의 설계구조이다.
도 8은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NMR 데이터이다.
도 5와 같이 두 개의 터티오펜 유도체가 교차하여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화합물을 설계하였으며, 상기 구조가 도 6 및 도 7의 비교합성예 1, 2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상기 화학식 2aa-1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실제로 얻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2
합성예 1 및 비교합성예 1, 2에 따른 화합물의 흡광 특성을 평가한다.
도 9는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흡광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비교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흡광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1은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의 흡광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그래프에 따라 흡광량을 계산하여 표 1의 결과를 얻었다.
흡광량 (계산값)
합성예 1 약 120,000
비교합성예 1 약 30,000
비교합성예 2 약 60,000
도 9 내지 도 11과 표 1을 참고할 때,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은 비교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과 비교하여 흡광 특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3
합성예 1 및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의 박막 상태의 흡광 특성을 평가한다.
박막 상태의 흡광 특성은 합성예 1 및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을 고진공(<10-7 Torr) 하에서 0.5 내지 1.0Å/s 속도로 열증착(thermal evaporation)하여 50nm 내지 100nm 두께의 박막으로 준비한 후 상기 박막을 Cary 5000 UV spectroscopy (Varian 사 제조)를 사용하여 자외선-가시광선(UV-Vis)을 조사하여 평가한다.
그 결과는 도 12와 같다.
도 12는 합성예 1 및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의 파장에 따른 흡광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합성예 1 및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은 모두 약 500nm 내지 600nm에서 최대 흡광 파장(λmax)을 가지지만,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이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보다 더 높은 흡광계수 및 더 좁은 반치폭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은 비교합성예 2에 따른 화합물과 비교하여 흡광 특성 및 파장 선택성이 모두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4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열안정성을 평가한다.
열안정성은 Discovery TGA (TA사)를 사용한 열중량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및 Discovery DSC (TA사)를 사용한 시차주사열량측정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평가한다.
도 13은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열중량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의 시차주사열량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합성예 1에 따른 화합물은 약 350 내지 400℃까지 열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공정 온도인 약 120 내지 200℃에서 화합물의 열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제1 전극 20: 제2 전극
30: 활성층 40, 50: 전하 보조층
100: 유기 광전자 소자
300: 유기 CMOS 이미지 센서

Claims (20)

  1. 가시광선 영역 내에서 파장 선택성을 가지는 제1 유기분자와 제2 유기분자가 교차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광전자 재료:
    [화학식 1]
    Figure 112020132475806-pat00116

    상기 화학식 1에서,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펜부이고,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1 내지 n5 중 적어도 하나는 1이고,
    R1은 하기 화학식 A로 표현되고,
    R2는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고,
    [화학식 A] [화학식 B]
    Figure 112020132475806-pat00117
    Figure 112020132475806-pat00118

    상기 화학식 A 또는 B에서,
    X3 내지 X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시아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3 내지 X8 중 적어도 하나는 시아노기이고,
    *는 상기 화학식 1과의 연결 지점이고,
    상기 제1 유기분자의 T1, T2, T3, T4 및 T5 중 하나는 상기 제2 유기분자의 T1, T2, T3, T4 및 T5 중 하나와 연결되어 있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광전자 재료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m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광전자 재료:
    [화학식 1a] [화학식 1b]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0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1

    [화학식 1c] [화학식 1d]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2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3

    [화학식 1e] [화학식 1f]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4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5

    [화학식 1g] [화학식 1h]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6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7

    [화학식 1i] [화학식 1j]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8
    Figure 112020132475806-pat00079

    [화학식 1k] [화학식 1l]
    Figure 112020132475806-pat00080
    Figure 112020132475806-pat00081

    [화학식 1m]
    Figure 112020132475806-pat00082

    상기 화학식 1a 내지 1m에서,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펜부이고,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1 내지 n5 중 적어도 하나는 1이고,
    R1은 상기 화학식 A로 표현되고,
    R2는 상기 화학식 B로 표현된다.
  5. 제1항에서,
    상기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 1에 나열된 기(group)에서 선택된 하나인 광전자 재료:
    [그룹 1]
    Figure 112020132475806-pat00083

    상기 그룹 1에서,
    R11 내지 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콕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 또는 상기 제2 유기분자와 연결되는 연결지점이다.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유기분자의 T1, T2, T3, T4 및 T5의 R11 내지 R26 중 하나는 상기 제2 유기분자의 T1, T2, T3, T4 및 T5의 R11 내지 R26 중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광전자 재료.
  7. 제1항에서,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광전자 재료:
    [화학식 2]
    Figure 112020132475806-pat00119

    상기 화학식 2에서,
    T1, T2, T3, T4 및 T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펜부이고,
    X3 내지 X8은 각각 독립적으로 시아노기이고,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1 내지 n5 중 적어도 하나는 1이고,
    상기 제1 유기분자의 T1, T2, T3, T4 및 T5 중 하나는 상기 제2 유기분자의 T1, T2, T3, T4 및 T5 중 하나와 연결되어 있다.
  8. 제1항에서,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하기 화학식 2a 내지 2c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광전자 재료:
    [화학식 2a]
    Figure 112020132475806-pat00085

    [화학식 2b]
    Figure 112020132475806-pat00086

    [화학식 2c]
    Figure 112020132475806-pat00087

  9. 제8항에서,
    하기 화학식 2aa 내지 2cb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광전자 재료:
    [화학식 2aa] [화학식 2ab] [화학식 2ba]
    Figure 112014043822884-pat00088
    Figure 112014043822884-pat00089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0

    [화학식 2bb] [화학식 2bc] [화학식 2bd]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1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2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3

    [화학식 2ca] [화학식 2cb]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4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5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청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적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거나,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각각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광전자 재료.
  11. 제10항에서,
    상기 청색 파장 영역은 400nm 이상 500nm 미만에서 최대 흡수 파장(λmax)을 나타내고,
    상기 적색 파장 영역은 580nm 초과 700nm 이하에서 최대 흡수 파장(λmax)을 나타내고,
    상기 녹색 파장 영역은 500nm 내지 580nm에서 최대 흡수 파장(λmax)을 나타내는
    광전자 재료.
  12. 제1항에서,
    상기 제1 유기분자와 상기 제2 유기분자는 동일한 화합물인 광전자 재료.
  13. 제1항에서,
    상기 광전자 재료는 1.9 내지 2.8eV의 밴드갭을 가지는 광전자 재료.
  14. 서로 마주하는 애노드와 캐소드, 그리고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
    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전자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
  15. 제14항에서,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는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
  16. 제14항에서,
    상기 활성층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
    [화학식 3]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6

    상기 화학식 3에서,
    Ra 내지 Rl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함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음이온이다.
  17. 제16항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a 내지 3e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
    [화학식 3a] [화학식 3b] [화학식 3c]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7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8
    Figure 112014043822884-pat00099

    [화학식 3d] [화학식 3e]
    Figure 112014043822884-pat00100
    Figure 112014043822884-pat00101

  18. 제14항에 따른 유기 광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19. 제18항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청색 파장 영역의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1 광 감지 소자 및 적색 파장 영역의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2 광 감지 소자가 집적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청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청색 필터와 적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적색 필터를 포함하는 색 필터 층, 그리고
    상기 색 필터 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
    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20. 제18항에서,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는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이미지 센서.

KR1020140055668A 2014-05-09 2014-05-09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 Active KR10227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68A KR102270175B1 (ko) 2014-05-09 2014-05-09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
US14/618,597 US10000462B2 (en) 2014-05-09 2015-02-10 Optoelectronic material an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68A KR102270175B1 (ko) 2014-05-09 2014-05-09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69A KR20150128369A (ko) 2015-11-18
KR102270175B1 true KR102270175B1 (ko) 2021-06-25

Family

ID=5436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668A Active KR102270175B1 (ko) 2014-05-09 2014-05-09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00462B2 (ko)
KR (1) KR102270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7276B2 (ja) 2014-05-13 2019-08-2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電子機器
WO2017152060A1 (en) 2016-03-04 2017-09-08 Solarwindow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with sputtered contact layers
KR102595957B1 (ko) * 2016-07-20 2023-10-31 소니그룹주식회사 고체 촬상 소자 및 고체 촬상 장치
CN110908029A (zh) * 2019-11-14 2020-03-2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光纯化层、侧入式背光模组及偏光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5898A (zh) * 2012-04-18 2012-09-19 复旦大学 一种具有双推拉电子基团的有机染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30180589A1 (en) * 2012-01-13 2013-07-18 Luminescence Technology Corporation Organic photovoltaic cell materials and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357B2 (ja) * 1997-09-05 2002-08-12 ケンブリッジ ディスプレイ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電子デバイス用化合物
US20070272918A1 (en) * 2006-05-25 2007-11-29 Barry Rand Organic photosensitive devices using subphthalocyanine compounds
KR101100717B1 (ko) 2010-01-29 2011-12-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캐비티 구조를 적용한 유기태양전지
KR101885244B1 (ko) * 2011-11-07 201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0589A1 (en) * 2012-01-13 2013-07-18 Luminescence Technology Corporation Organic photovoltaic cell materials and components
CN102675898A (zh) * 2012-04-18 2012-09-19 复旦大学 一种具有双推拉电子基团的有机染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5797A1 (en) 2015-11-12
KR20150128369A (ko) 2015-11-18
US10000462B2 (en)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56776B (zh) 用于有机光电器件的化合物以及包括其的有机光电器件、图像传感器和电子器件
KR101860084B1 (ko) 유기 광전 재료, 상기 유기 광전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557864B1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KR102491493B1 (ko)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장치
KR102601055B1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KR102540846B1 (ko)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KR102569965B1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KR102270705B1 (ko)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491494B1 (ko)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282495B1 (ko)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427157B1 (ko)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장치
KR102314133B1 (ko)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CN105712993A (zh) 用于有机光电器件的化合物以及包括其的有机光电器件、图像传感器和电子器件
KR102435389B1 (ko)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장치
KR102314128B1 (ko)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KR102204111B1 (ko) 화합물,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579459B1 (ko)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KR20160011038A (ko)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270175B1 (ko) 광전자 재료,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819100B1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KR20200055361A (ko) 유기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558974B1 (ko)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장치
KR20200078460A (ko) 이미지 센서
KR20220096214A (ko) 청색 흡수용 필름, 광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와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