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0291B1 - 백팩 - Google Patents

백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291B1
KR102230291B1 KR1020190170665A KR20190170665A KR102230291B1 KR 102230291 B1 KR102230291 B1 KR 102230291B1 KR 1020190170665 A KR1020190170665 A KR 1020190170665A KR 20190170665 A KR20190170665 A KR 20190170665A KR 102230291 B1 KR102230291 B1 KR 10223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belt
belt
auxiliary
backpack
backpack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255A (ko
Inventor
이정균
Original Assignee
이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균 filed Critical 이정균
Publication of KR2020008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2003/04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nd one additional strap around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45F2003/144Pack-carrying waist or torso belt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백팩은, 내부에 개폐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백팩 본체; 상기 백팩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어깨벨트;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리벨트; 및 상기 허리벨트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과 상기 허리벨트의 연결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팩을 포함하고, 상기 허리벨트는 중간에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삽입관에 삽입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팩의 일면 상부에 마련된 벨트가이드에 삽입되어 보조팩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팩{Backpack}
본 발명은 백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팩을 허리벨트를 따라 앞뒤로 쉽게 이동하고 지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백팩에 관한 것이다.
백팩은 물건을 수납하고 어깨벨트를 이용하여 등에 질 수 있도록 헝겊이나 가죽 따위로 만든 가방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백팩은 등 뒤에 있기 때문에 백팩에 물건을 넣거나 꺼내야 할 경우 백팩을 벗었다가 다시 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크기가 고정된 하나의 백팩은 수납할 물건의 양이 적어도 불필요하게 큰 부피를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백팩 중에는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고 허리벨트 전방에 장착할 수 있는 보조팩을 구비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팩도 백팩을 벗어야 분리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6342541호
본 발명은 백팩 본체의 양측부에 보조팩이 장착된 허리벨트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보조팩을 허리벨트를 따라 앞뒤로 쉽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고, 보조등판을 이용하여 보조팩만을 따로 백팩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백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팩은, 내부에 개폐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백팩 본체; 상기 백팩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어깨벨트;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리벨트; 및 상기 허리벨트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과 상기 허리벨트의 연결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팩을 포함하고, 상기 허리벨트는 중간에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삽입관에 삽입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팩의 일면 상부에 마련된 벨트가이드에 삽입되어 보조팩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핀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수평부와 수직부가 결합되어 T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가 상기 허리벨트의 튜브웨빙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핀의 수평부와 수직부는 상기 허리벨트의 튜브웨빙에 복수의 리벳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결합핀의 수직부는 가죽 또는 천으로 감싸질 수 있다.
상기 벨트가이드는 상기 보조팩의 일면에 구비되어 보조팩과의 사이에 상기 허리벨트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그 상부와 하부가 가로방향으로 재봉되어 상기 보조팩의 외측 또는 내측에 결합되되, 한 쌍의 재봉선의 일단부는 그 이격거리가 서로 벌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백팩 본체는 양측면에 고정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허리벨트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서 지지되는 복수의 걸림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백팩에 의하면, 백팩 본체의 양측부 또는 전면에 보조팩이 장착된 허리벨트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보조팩을 허리벨트를 따라 앞뒤로 쉽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백팩에 결합되어 있던 허리벨트와 보조팩을 분리하여 별도의 보조등판에 결합하여 보조팩만을 작은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조팩을 허리벨트 앞쪽에 이동시킨 후 둘 사이를 연결하여 카메라를 안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백팩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돌기에 허리벨트의 걸림홀이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무거운 보조팩에 의해 허리벨트의 측부와 전방부가 처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백팩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허리벨트와 허리벨트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등판에 보조팩이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보조등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허리벨트 전방에 한 쌍의 보조팩을 배치하고 그 사이에 카메라를 안착시킨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보조팩의 패치고리에 연결패치를 삽입하여 벨크로테이프로 부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백팩의 벨트결합부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백팩의 벨트결합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허리벨트의 결합핀 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a)와 배면도(b)이다.
도 12는 보조팩의 벨트가이드 부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은 백팩 본체 측면의 걸림돌기와 허리벨트의 걸림홀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백팩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허리벨트와 허리벨트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팩(100)은, 내부에 개폐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백팩 본체(110), 백팩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어깨벨트(120), 백팩 본체의 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리벨트(130), 허리벨트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백팩 본체의 측면과 허리벨트의 전방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조팩(150)을 포함한다.
상기 백팩 본체(1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부 내지 전방부가 지퍼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백팩 본체(110)는 상부에 버클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백팩 본체(110)의 후면에는 한 쌍의 어깨벨트(120)가 결합되어 있다. 어깨벨트(120)의 상단은 백팩 본체(110)의 후면 상부에 재봉되어 연결되고, 어깨벨트(120)의 하단은 백팩 본체(110)의 후면 일측 단부에 재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어깨벨트(120)의 중간에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위한 버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허리벨트(130)는 백팩 본체(110)의 측부 전방부에 마련된 허리벨트 결합부(113)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허리벨트 결합부(113)는 허리벨트(130)의 단단한 단부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삽입관(114)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허리벨트 결합부(113)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삽입되는 허리벨트(130)의 단부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그 위를 가죽 또는 천으로 된 커버(115)를 덮어서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벨트(130)의 일단부에는 ㄱ자 모양의 허리벨트 고정핀(133)이 결합되어 있어서, 허리벨트 고정핀(133)이 허리벨트 결합부(113)의 고정핀 삽입관(11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허리벨트 고정핀(133)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허리벨트(130)는 2겹으로 된 튜브웨빙(tube webbing, 13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웨빙(131)의 일단부에는 허리벨트 고정핀(133)의 수평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튜브웨빙(131)의 내부에는 허리벨트 고정핀(133)이 삽입되는 단부로부터 튜브웨빙의 중간부까지 보조웨빙(132)이 삽입되어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벨트(130)가 이와 같이 2~4겹으로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허리벨트(130)를 따라 보조팩(150)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보조팩(15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허리벨트 고정핀(133)은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수직부가 수평부에 대해 예각 또는 둔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허리벨트(130)에 보조팩(150)을 장착할 때 그 무게에 의해 허리벨트 고정핀(133) 부위에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허리벨트(130)의 타단부에는 암수 버클(134)이 연결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버클(134)은 그 자체가 허리벨트(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허리벨트(130)의 중간에 허리벨트(130)의 길이 조절을 위한 버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팩(150)은 한 쌍의 허리벨트(13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백팩 본체(110)의 측면과 허리벨트(130)의 전방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팩(150)은 백팩 본체(110)의 측면에 마련되는 홈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백팩 본체(110) 측면의 홈부는 직조된 백팩 본체(110)의 유연한 재질 특성상 사용자가 외측에서 누름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반대로, 평소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가 내측에 수납되는 물건에 의해 홈부가 펴져서 없어질 수도 있다.
보조팩(15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 또는 전면 상부에 커버가 구비되어 지퍼나 단추 또는 버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팩(150)은 그 후면에 허리벨트(130)가 통과하여 쉽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벨트가이드(1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벨트가이드(160)는 보조팩(150)의 후면에서 중간 높이보다 약간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허리벨트(130)의 일단에는 ㄱ자 모양의 고정핀(133)이 구비되며, 허리벨트(130)는 백팩 본체(110)의 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팩(150)의 일면 상부에 마련된 벨트가이드(160)에 삽입되어 보조팩(150)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가이드(160)는 보조팩(150)의 일면에 상하로 결합되고 허리벨트(130)가 통과하여 쉽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162)와, 한 쌍의 지지부재를 덮으며 허리벨트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164)와, 보조팩(1500)의 일면에서 커버(164)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어 통과되는 허리벨트(130)를 지지하는 지지고리(16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재(162)는 허리벨트(130)가 삽입되어 쉽게 슬라이딩되도록 커버(164)의 내측 상하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62)는 보조팩(150)의 일면에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와, 허리벨트(130)의 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재(162)는 상하 단부에서 보조팩(150)의 일면에 고정되는 하나의 부재가 아니라,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고정되는 2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지지부재(162)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허리벨트(13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쌍의 지지부재(162)는 커버(164)의 내측 상하에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허리벨트(130)가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허리벨트(130)가 받는 하중으로 인해 벨트가이드(160)의 커버(164)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64)는 직물이나 가죽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서 한 쌍의 지지부재(162)를 보조팩(15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커버(164)는 보조팩(150)의 후면에 재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한 허리벨트 결합부(113)가 백팩 본체(110)의 측면이 아니라 후면에 배치되어 있다면, 보조팩(150)은 백팩 본체(110)의 후면에서부터 측면을 거쳐 사람의 배 앞에까지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백팩 본체(110)는 하단부 양측에 후크 또는 고리 모양의 걸개부재(112)를 구비하고, 보조팩(150)은 측면 하단부에 걸개부재(112)를 걸 수 있는 단추(152)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팩(150)이 백팩 본체(110)의 측면에 장착되는 경우 걸개부재(112)를 단추(152)에 걸어서 보조팩(150)이 허리벨트(130)를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팩(150)을 허리벨트(130)의 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 보조팩(15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팩(150)의 후측 상단과 어께벨트(120)의 중간부 사이에는 줄 또는 벨트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줄 또는 벨트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보조팩(150)의 후측 상단과 어께벨트(120)의 중간부에는 각각 줄 또는 벨트를 연결할 수 있는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팩(150)을 허리벨트(130)의 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 줄 또는 벨트를 연결하여 보조팩(150)을 지지함으로써, 보조팩(15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등판에 보조팩이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보조팩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백팩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던 허리벨트(130)와 보조팩(150)을 분리하여 결합할 수 있는 보조등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등판(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210), 어깨벨트(220), 상기 허리벨트(13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허리벨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등판부(210)는 사람의 등에 밀착되는 유연한 직물로 이루어진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등판부(210)의 상부 중앙부에는 소재를 아끼고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어깨벨트(220)의 상단은 등판부(2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재봉되어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어깨벨트(220)의 하단은 등판부(210)의 하단 양측에 재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허리벨트 결합부는 등판부(210)의 중간부에 구비된 고정핀 삽입관(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등판(200)의 고정핀 삽입관(240)도 상기한 허리벨트 결합부(113)와 마찬가지로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삽입되는 허리벨트(130)의 단부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그 위를 가죽 또는 천으로 커버하여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벨트(130)의 일단부에는 ㄱ자 모양의 허리벨트 고정핀(133)이 결합되어 있어서, 허리벨트 고정핀(133)이 삽입관(24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허리벨트 고정핀(133)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조등판(200)의 내측 하부에는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노트북팩(260)과 같은 물건의 하부를 포켓부(230)에 안착하고, 노트북팩(260)의 양측에 연결된 고정벨트(270)를 등판부(210)의 위로 배치한 상태에서 버클을 채움으로써 노트북팩(26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고정벨트(270)는 버클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벨트(270)의 각 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단추 등에 의해 노트북팩(2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등판(200)의 등판부(210) 중간에는 고무밴드(216)가 구비되어 있어서, 노트북팩(260)을 포켓부(230)에 안착한 다음 고무밴드(216)로 노트북팩(260)을 둘러서 노트북팩(260)을 등판부(210) 쪽으로 밀착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 고무밴드(216)를 먼저 두른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노트북팩 고정벨트(270)의 버클을 채워 고정한다.
그리고, 보조등판(200)의 등판부(210) 양측에는 고리 또는 후크 모양의 걸개(212)가 구비되어, 보조팩(150)의 측면 하단부에 구비되는 단추(152)에 걸려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보조등판(200)은 백팩 본체(110) 안에 별도로 보관하다가 용량이 큰 백팩이 필요없을 경우, 백팩 본체(110)에서 보조팩(150)을 분리하여 보조등판(200)에 결합하고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등판(200)에도 포켓부(230)를 구비하여 작은 물건을 수납하거나 노트북팩(260)과 같이 납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도 6은 허리벨트 전방에 한 쌍의 보조팩을 배치하고 그 사이에 카메라를 안착시킨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보조팩의 패치고리에 연결패치를 삽입하여 벨크로테이프로 부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조팩(150)은 양측에 한 쌍이 장착되고, 한 쌍의 보조팩(150)은 전방에 배치될 때 마주보는 일측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 연결패치(280)가 삽입되는 패치고리(15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패치(280)의 양단부에는 벨크로 테이프(281, 282)가 구비되어 연결패치(280)의 양단부를 보조팩(150)의 일측에 마련된 패치고리(158)에 집어넣은 다음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허리벨트(130)의 버클(134)을 채운 상태에서 한 쌍의 보조팩(15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한 쌍의 보조팩(150)의 마주보는 내측에 각각 패치고리(158)가 구비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패치고리(158)에 벨크로테이프(281, 282)가 구비된 연결패치(280)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한 쌍의 보조팩(15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패치(280)를 연결함으로써 두 보조팩(15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보조팩(150)이 허리벨트(13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90)의 렌즈부를 두 보조팩(150)과 연결패치(280) 사이에 삽입하고 카메라(290) 본체부를 두 보조팩(150)의 상면에 안착시킴으로써 카메라(29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백팩의 벨트결합부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백팩의 벨트결합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허리벨트의 결합핀 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a)와 배면도(b)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팩(500)은, 내부에 개폐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백팩 본체(510), 백팩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어깨벨트(520), 백팩 본체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리벨트(530), 및 허리벨트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백팩 본체의 전면과 허리벨트의 연결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팩(550)을 포함한다.
상기 백팩 본체(5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부 내지 전방부가 지퍼(5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백팩 본체(510)는 상부에 버클에 의해 체결되는 덮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백팩 본체(510)의 후면에는 한 쌍의 어깨벨트(520)가 결합되어 있다. 어깨벨트(520)의 상단은 백팩 본체(510)의 후면 상부에 재봉되어 연결되고, 어깨벨트(520)의 하단은 백팩 본체(510)의 후면 하단부 일측에 재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각 어깨벨트(120)는 중간에 벨트의 길이 조절을 위한 버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허리벨트(530)는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는 삽입관 형태의 벨트결합부(540)가 구비되고, 허리벨트(530)는 중간에 벨트결합부(540)에 삽입되는 결합핀(535)을 구비하여, 허리벨트(530)가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허리벨트(530)는 2겹으로 된 튜브웨빙(tube webbing, 53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웨빙(532)의 일단부에는 T자 모양으로 형성된 결합핀(535)의 수평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허리벨트(530)가 이와 같이 2~4겹으로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허리벨트(130)를 따라 보조팩(550)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보조팩(55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조팩(550)은 허리벨트(53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백팩 본체(510)의 전면과 허리벨트(530)의 연결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보조팩(55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지퍼(55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보조팩(550)의 일측면에는 손잡이(554)가 구비되어, 보조팩(550)을 허리벨트(530)에서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손잡이(554)를 잡고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보조팩(550)의 전면에는 내부 수납공간보다 작은 서브수납부(556)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서브수납부(556)는 개방된 상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557)를 구비할 수 있고, 이 덮개(557)는 단추, 벨크로테이프, 지퍼 중 하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 구비된 제2실시예의 벨트결합부(540)는, 결합핀(535)의 하부 수직부가 삽입되는 삽입관(542)과, 삽입관을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 고정하기 위해 재봉되어 결합되는 삽입관커버(544)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관(542)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단면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관커버(544)는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 재봉되어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관(542)은 삽입관커버(544)에 삽입하거나, 허리벨트(53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선택적으로 삽입관(542)을 빼서 따로 보관할 수도 있다.
삽입관커버(544)의 상단에는 결합핀(535)을 삽입관(542)에 끼운 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546)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띠(546)는 삽입관커버(544)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결합핀(535)의 수평부를 덮도록 구부러져서 삽입관커버(544)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띠(546)의 단부 일면과 결합핀(535)의 전면에는 서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부(5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부착부(547)는 암수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벨트결합부(540)는, 별도의 삽입관(542) 없이 삽입관커버(544)와 고정띠(54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관커버(544)의 내부에는 결합핀(535)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관커버(544)와 고정띠(546)는 고무와 같은 탄성과 마찰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벨트결합부(54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결합핀(535)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T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535)의 T자 모양 상부는 허리벨트(530)의 튜브웨빙(532) 내부에 삽입되고, 그 주변이 재봉되어 튜브웨빙(532)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핀(535)의 T자 모양 상부는 복수의 리벳(537)에 의해 튜브웨빙(53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결합핀(535)의 T자 모양 상부는 재봉됨과 동시에 리벳(537)을 이용하여 튜브웨빙(53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결합핀(535)의 T자 모양 하부는 허리벨트(530)의 튜브웨빙(532) 외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결합핀(535)의 하부는 가죽 또는 천 재질의 가죽커버(536)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합핀(535)의 하부 윤곽이 조금 변형될 수 있고 외면의 마찰을 더 크게 만들 수 있다. 그래서, 결합핀(535)의 하부가 벨트결합부(540)의 삽입관(54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고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결합핀(535)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각각 제작된 수평부(535H)와 수직부(535V)가 결합되어 T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535H)는 허리벨트(530)의 튜브웨빙(532) 내부에 삽입되고, 그 주변이 재봉되어 튜브웨빙(532)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부(535V)는 그 전체를 가죽커버(536)로 감싸서 재봉함으로써, 수직부(535V)를 벨트결합부(54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고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수직부(535V)는 수평부(535H)가 내장된 튜브웨빙(532)의 후면에 2개의 리벳(53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제2실시예의 결합핀(535)은 수직부(535V)에 비해 수평부(535H)가 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핀(535)이 벨트결합부(540)에 삽입되었을 때, 수평부(535H)가 보조팩(550)의 후면으로부터 수직부(535V)의 두께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팩(550)이 허리벨트(530)의 수평부(535H) 부위로 이동될 때, 보조팩(550)의 벨트가이드(560)가 허리벨트(5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2는 보조팩의 벨트가이드 부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3은 백팩 본체 측면의 걸림돌기와 허리벨트의 걸림홀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팩(550)의 벨트가이드(560)는 보조팩의 외측 일면에 구비되어 보조팩과의 사이에 허리벨트(530)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56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562)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와 하부가 가로방향으로 재봉되어 보조팩(55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와 하부의 한 쌍의 재봉선(56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커버(562)의 좌측단과 우측단은 재봉되지 않고 개방된다.
여기서, 한 쌍의 재봉선(564)은 그 일단부의 이격거리가 서로 벌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팩(550)에서 한 쌍의 재봉선(564)이 벌어지는 일단부는 손잡이(554)의 반대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재봉선(564)이 벌어지는 것은 커버(562)의 양단부에 동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562)의 한 쌍의 재봉선(564)이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벌어지도록 배치됨으로써, 허리벨트(530)를 벨트가이드(560)에 삽입하기 쉽고, 벨트가이드(560)가 허리벨트(530)에 대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보조팩(550)의 후면 내측에는 보조팩(55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평판형 부직포와 이 부직포를 덮는 안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벨트가이드(560)는 보조팩(550)의 후면 내측에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벨트가이드(560)의 상부와 하부의 한 쌍의 재봉선(56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커버(562)의 좌측단과 우측단은 재봉되지 않고 개방된다. 한 쌍의 재봉선(564)은 일단부가 벌어지도록 배치되고, 그 일단부는 보조팩(550)에서 손잡이(554)의 반대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팩(550)의 양측면에는 허리벨트(530)가 통과할 수 있는 벨트통과공(566)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허리벨트(530)를 벨트가이드(560)에 끼울 때에는, 보조팩(550)의 지퍼(552)를 열고 허리벨트(530) 단부를 일측의 벨트통과공(566)을 통해 집어넣고 벨트가이드(560)로 통과시킨 다음 타측의 벨트통과공(566)을 통해 통과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팩 본체(510)는 양측면에 고정된 걸림돌기(570)를 구비하고, 허리벨트(530)는 걸림돌기에 걸려서 지지되는 복수의 걸림홀(53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허리벨트(530)는 결합핀(535)이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 구비된 벨트결합부(540)에 결합되고, 사람의 허리 전방에 버클(534)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허리벨트(530)에 장착되는 한 쌍의 보조팩(550)에 무거운 물건이 수납되어 무거울 경우 허리벨트(530)가 처질 수 있다. 그래서, 백팩 본체(510)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돌기(570)에 허리벨트(530)의 걸림홀(539)을 걸어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돌기(570)는 백팩 본체(510)의 측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걸림돌기(570)는 백팩 본체(510)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570)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외주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걸림홀(539)은 허리벨트(530)에 3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2~5개의 걸림홀(539)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걸림홀(539)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걸림돌기(570)의 외경보다 조금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걸림돌기(570)를 걸림홀(539) 중 하나에 삽입한 후, 걸림홀(539)의 상단 또는 하단이 걸림돌기(570)의 외주면 홈에 지지될 수 있다. 보조팩(550)을 허리벨트(530)를 따라 이동시킬 때에는 걸림돌기(570)에서 걸림홀(539)을 빼고 이동한 다음 다시 걸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걸림홀(539)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허리벨트(530)에 형성된 원형 관통공에 아일렛(eyelet)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걸림홀(539)의 아일렛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홀(539)의 내경이 걸림돌기(570)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570)가 걸림홀(539)에 삽입된 후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팩에 의하면, 허리벨트(530)의 결합핀(535)을 벨트결합부(540)의 삽입관(542)에 삽입하여, 한 쌍의 보조팩(550)이 장착된 허리벨트(530)를 백팩 본체(510)의 전면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띠(546)를 삽입관커버(544)에 부착함으로써 결합핀(535)이 삽입관(54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T자형 결합핀(535)의 상부 수평부에 한 쌍의 보조팩(550)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허리벨트(530)의 단단한 결합핀(535) 부위에 한 쌍의 보조팩(55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백팩 본체(510)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돌기(570)에 허리벨트(530)의 걸림홀(539)이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무거운 보조팩(550)에 의해 허리벨트(530)의 측부와 전방부가 처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백팩(제1실시예) 110: 본체
112: 걸개부재 113: 허리벨트 결합부
114: 고정핀 삽입관 115: 삽입관 커버
120: 어깨벨트 130: 허리벨트
131: 튜브웨빙 132: 보조웨빙
133: 허리벨트 고정핀 134: 버클
150: 보조팩 152: 단추
158: 패치고리 160: 벨트가이드
162: 지지부재 163: 지지고리
164: 커버
200: 보조등판 210: 등판부
212: 걸개부재 216: 고무밴드
220: 어깨벨트 230: 포켓부
240: 고정핀 삽입관 260: 노트북팩
270: 노트북팩 고정벨트 280: 연결패치
281, 282: 벨크로테이프 290: 카메라
500: 백팩(제2실시예)
510: 본체 512: 지퍼
520: 어깨벨트
530: 허리벨트 532: 튜브웨빙
534: 버클 535: 결합핀
535H: 수평부 535V: 수직부
536: 가죽커버 537: 리벳
539: 걸림홀
540: 벨트결합부 542: 삽입관
544: 삽입관커버 546: 고정띠
547: 부착부
550: 보조팩 552: 지퍼
554: 손잡이 556: 서브수납부
557: 덮개
560: 벨트가이드 562: 커버
564: 재봉선 566: 벨트통과공
570: 걸림돌기

Claims (5)

  1. 내부에 개폐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백팩 본체;
    상기 백팩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어깨벨트;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리벨트; 및
    상기 허리벨트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과 상기 허리벨트의 연결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팩을 포함하고,
    상기 허리벨트는 중간에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삽입관 형태의 벨트결합부에 삽입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팩의 일면 상부에 마련된 벨트가이드에 삽입되어 보조팩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벨트결합부는 상기 백팩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삽입관커버와, 상기 삽입관커버의 상단에 결합되어 삽입관커버에 삽입된 결합핀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핀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수평부와 수직부가 결합되어 T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가 상기 허리벨트의 튜브웨빙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의 수평부와 수직부는 상기 허리벨트의 튜브웨빙에 복수의 리벳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결합핀의 수직부는 가죽 또는 천으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이드는 상기 보조팩의 일면에 구비되어 보조팩과의 사이에 상기 허리벨트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그 상부와 하부가 가로방향으로 재봉되어 상기 보조팩의 외측 또는 내측에 결합되되, 한 쌍의 재봉선의 일단부는 그 이격거리가 서로 벌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팩 본체는 양측면에 고정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허리벨트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서 지지되는 복수의 걸림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
KR1020190170665A 2018-12-27 2019-12-19 백팩 Expired - Fee Related KR102230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70212 2018-12-27
KR1020180170212 2018-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255A KR20200081255A (ko) 2020-07-07
KR102230291B1 true KR102230291B1 (ko) 2021-03-19

Family

ID=7160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665A Expired - Fee Related KR102230291B1 (ko) 2018-12-27 2019-12-19 백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99260A1 (fr) * 2023-11-10 2025-05-15 Kirszbaum Guillaume Gregory Sebastien Sac de type sac à dos ou cartable comprenant une sangle de port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178B1 (ko) 2020-12-22 2022-03-15 이현승 보조 결합끈이 구비되는 백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440A (ja) * 1999-10-14 2001-06-19 Gordini Usa Inc 高性能リュックサック装置
KR101455758B1 (ko) * 2013-08-30 2014-11-04 길석면 부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허리 부착형 가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50A (en) 1979-06-25 1981-01-17 Sumitomo Electric Ind Ltd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440A (ja) * 1999-10-14 2001-06-19 Gordini Usa Inc 高性能リュックサック装置
KR101455758B1 (ko) * 2013-08-30 2014-11-04 길석면 부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허리 부착형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99260A1 (fr) * 2023-11-10 2025-05-15 Kirszbaum Guillaume Gregory Sebastien Sac de type sac à dos ou cartable comprenant une sangle de portage
FR3155126A1 (fr) * 2023-11-10 2025-05-16 Guillaume Gregory Sebastien KIRSZBAUM Sac de type sac à dos ou cartable comprenant une sangle de por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255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5428B2 (en) Portable container holder
US8256652B2 (en) Carrier system
US4024997A (en) Gun case including means for suspending the gun case from a support
US7878331B2 (en) Tennis bag
US9314088B2 (en) Cinch sack
EP2233254B1 (en) Tool carrier
US9877555B1 (en) Rail mounted bag
US20180014614A1 (en) Modular bag
US20130233661A1 (en) Integrated multi-component travel and backpack
US9756919B2 (en) Method for attaching a carrier to a piece of rolling luggage
US9510661B2 (en) Backpack and waist bag carrying system
US9593915B2 (en) Conforming bands, belts, and holsters with integrated pouches
EP3047754A1 (en) Adjustable carrying pack
US10729215B2 (en) Compressible container for backpacking and method thereof
JP2010246879A (ja) ストラップ及び付属物の連結装置
US20110017793A1 (en) Adaptable wearable flexible tubular carrier and travel pillow
KR102230291B1 (ko) 백팩
US20100095903A1 (en) Pet belt
KR101822260B1 (ko) 체결구 시스템
US20150257458A1 (en) Attachable tow handle pocket for garment
US11612232B1 (en) Attachable sports bag for use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another backpack
JP6529955B2 (ja) バックパック
KR102571236B1 (ko) 백팩형 가방
JP2010172380A (ja) ランドセル用吊下物入れ
JP4558666B2 (ja) リュックサ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