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1236B1 - 백팩형 가방 - Google Patents

백팩형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236B1
KR102571236B1 KR1020220180130A KR20220180130A KR102571236B1 KR 102571236 B1 KR102571236 B1 KR 102571236B1 KR 1020220180130 A KR1020220180130 A KR 1020220180130A KR 20220180130 A KR20220180130 A KR 20220180130A KR 102571236 B1 KR102571236 B1 KR 10257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ed
storage space
opening
art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한
Original Assignee
김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한 filed Critical 김재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2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40Umbrella, stick, or glove holders attached to a ba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2013/1061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elastic straps or band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팩형 가방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메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및, 본체의 후면에 한 쌍의 어깨끈이 구비되는 백팩형 가방으로서, 본체의 양측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내부의 보조 수납공간이 상방으로 개방되며, 하부의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시 보조 수납공간의 상방을 개방시키는 상측 개폐부 및, 수납부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하단이 보조 수납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 거치되도록 통과홀을 개방시키는 하측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팩형 가방{Backpack type bag}
본 발명은 백팩형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를 갖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백팩형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다양한 물품을 수납한 상태로 이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가방 중에는 사용자의 어깨에 매는 형태의 백팩 형태와 크로스백 형태의 가방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백팩 형태의 가방은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및, 본체의 외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양측 어깨에 착용되는 한 쌍의 어깨끈 등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외부에 수납부를 형성시켜 다양한 물품을 개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방은 길이가 긴 물품(우산, 등산 스틱 등)을 본체 또는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하는 경우 물품의 상단이 상부로 길게 노출되므로 휴대성이 좋지 않았고, 물품의 하단이 본체 또는 수납부의 표면을 가압하므로 가방이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가방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본체의 흔들림으로 인해 물품이 외부로 이탈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062호(2015년 09월 0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백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를 갖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백팩형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은 내부에 메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한 쌍의 어깨끈이 구비되는 백팩형 가방으로서, 상기 본체의 양측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내부의 보조 수납공간이 상방으로 개방되며, 하부의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시 상기 보조 수납공간의 상방을 개방시키는 상측 개폐부 및, 상기 수납부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하단이 상기 보조 수납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 거치되도록 상기 통과홀을 개방시키는 하측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와, 상기 자유단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를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덮개가 상기 보조 수납공간의 상방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이 상기 보조 수납공간의 후면에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 방향에 위치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탄성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밴드부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폭방향을 감싸고, 상기 본체 방향으로 탄성 견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폭방향을 수평하게 감쌀 수 있도록 보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결합부는 후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에 걸림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 밴드와, 후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 밴드와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 위치되며,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폭방향을 감싸는 제2연결 밴드 및, 상기 제2연결 밴드의 전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홀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전단에 걸고리가 형성되는 연결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 밴드는 상기 본체의 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이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 밴드는 상기 제1연결 밴드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이 상기 본체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 밴드의 전단과 동일한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길이가 물품(우산, 등산 스틱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 밴드부가 물품을 본체 방향으로 밀착시키므로 가방을 착용한 상태로 이동시 물품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2중 결합 구조가 적용되므로 다양한 길이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결합부가 물품을 사선 방향으로 감싸므로 물품의 폭방향을 넓은 면적으로 감쌀 수 있고, 보조 수납공간의 상방이 개방되는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수납부의 입구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납부의 입구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물품의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의 연결 클립과 제1연결 밴드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의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의 탄성 밴드부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에 우산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에 지지 밴드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에 지지 밴드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의 연결 클립과 제1연결 밴드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의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의 탄성 밴드부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에 우산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에 지지 밴드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에 지지 밴드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은 내부에 메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10) 및, 본체(10)의 후면에 한 쌍의 어깨끈(20)이 구비되는 백팩형 가방으로서, 수납부(100)와, 상측 개폐부(200) 및, 하측 개폐부(30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사용자가 어깨끈(20)을 양측 어깨에 매는 경우 후면이 사용자의 등 또는 가슴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고, 본체(10)의 상방에는 수납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지퍼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의 외면에는 각종 물품(우산, 등산 스틱 등, 1)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수납공간은 다수의 칸으로 분할되어 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어깨끈(20)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100)는 물품(1)을 내부에 수납하거나 길이가 긴 물품(1)의 하단을 삽입된 상태로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좌우방향을 수납부(100)의 전후방향으로 설명하고, 본체(10)의 전후방향을 수납부(100)의 좌우방향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수납부(100)는 본체(100)의 양측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수납부(100)의 내부에는 일정 넓이의 보조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며, 보조 수납공간(110)은 상방으로 개방되어 물품(1)이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납부(100)는 물품(1)의 길이방향을 넓은 폭으로 감쌀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는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개방될 수 있고,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는 후술될 하나 또는 한 쌍의 상측 개폐부(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측 개폐부(200)의 개폐 동작에 의해 개방되는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0)의 하단에는 길이를 갖는 물품(1)의 하단을 관통된 상태로 거치시키기 위해 통과홀(120)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고, 통과홀(120)은 후술될 하측 개폐부(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하측 개폐부(300)의 개폐 동작에 의해 개방되는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통과홀(120)은 상방이 보조 수납공간(110)과 연통되고,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를 통해 수직하게 삽입되는 물품(1)의 하단이 통과홀(120)을 통해 관통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개폐부(200)와 하측 개폐부(300)의 개방 동작을 통해 보조 수납공간(110)의 상단과 통과홀(120)을 일정 면적으로 개방시킨 후, 길이를 갖는 물품(우산 등, 1)의 하단을 보조 수납공간(110)의 보조 수납공간(110)을 통해 통과홀(120)로 수직하게 관통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와 통과홀(120)이 물품(1)의 폭방향을 감싸고, 수납부(100)가 물품(1)의 폭방향을 감싸므로, 길이를 갖는 물품(1)이 본체(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상측 개폐부(200)는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납부(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보조 수납공간(110)의 개폐 상태를 가변시키고, 수납부(100)의 내부에 물품(1)을 수납할 때 보조 수납공간(110)의 상방을 개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개폐부(200)는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고, 수납부(100)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 구조의 이빨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지퍼 테이프(210) 및, 제1지퍼 테이프(210)의 사이에 결합되어 제1지퍼 테이프(210)의 개방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슬라이더(220)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슬라이더(220)의 양 방향 이동에 의해 제1지퍼 테이프(210)의 이빨이 서로 치합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슬라이더(21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슬라이더(220)의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이빨이 서로 분리되고, 반대로 제1슬라이더(220)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서로 결합된 이빨이 제1슬라이더(220)를 통과하면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하측 개폐부(300)는 통과홀(120)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납부(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통과홀(120)의 개폐상태를 가변시키고, 길이를 갖는 물품(1)을 거치시킬 때 통과홀(120)을 상하방향으로 개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개폐부(300)는 통과홀(120)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고, 수납부(100)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 구조의 이빨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지퍼 테이프(310) 및, 제2지퍼 테이프(310)의 사이에 결합되어 제2지퍼 테이프(310)의 개방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슬라이더(320)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슬라이더(320)의 양 방향 이동에 의해 제2지퍼 테이프(310)의 이빨이 서로 치합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통과홀(12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슬라이더(21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슬라이더(220)의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이빨이 서로 분리되고, 반대로 제1슬라이더(220)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서로 결합된 이빨이 제1슬라이더(220)를 통과하면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은 수납부(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본체(10)의 일측면에 결합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의 자유단(411)이 상하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410)와, 자유단(411)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420) 및, 제1결합부재(42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수납부(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420)는 제2결합부재(430)의 부착면과 대응되게 부착되는 것으로, 제1결합부재(420)는 자유단(411)의 결합방향측 일면에 결합되고, 다수의 갈고리가 부착면으로 돌출된 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또는 걸림 고리가 형성된 암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를 사용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30)는 제1결합부재(420)의 부착면과 대응되게 부착되는 것으로, 제2결합부재(430)는 다수의 갈고리가 돌출된 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또는 걸림 고리가 형성된 암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재(420)와 제2결합부재(430)를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덮개(410)가 보조 수납공간(110)의 상방을 커버하고, 덮개(410)의 양단에 의해 수납부(100)의 전면이 후방으로 지지되므로 수납부(100)의 전면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는다. 이때 덮개(410)가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를 상방에서 커버하므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조 수납공간(110)에 수납된 물품(1)의 하중 등으로 인해 입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길이를 갖는 물품(1)의 하단을 보조 수납공간(110)과 통과홀(120)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는 덮개(4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덮개(410)는 본체(10)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물품(1)과 본체(10)의 사이에 덮개(410)가 펼쳐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은 양측이 보조 수납공간(110)의 후면에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본체(10) 방향에 위치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고무 밴드 등)로 구비되는 탄성 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밴드부(500)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1)의 폭방향을 감싸고, 본체(10) 방향으로 탄성 견인력을 작용시킨다.
예를 들어, 길이를 갖는 물품(1)의 하단을 보조 수납공간(110)과 통과홀(120)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본체(10)와 탄성 밴드부(500)의 사이 간격을 통해 물품(1)의 하단을 관통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 밴드부(500)가 물품(1)을 본체 방향으로 밀착시키므로 가방을 착용한 상태로 이동시 물품(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 밴드부(500)가 물품(1)을 탄성력에 의해 감싸므로 물품(1)이 통과홀(120)을 통해 낙하하거나 과도하게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납부(100)가 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본체(10)의 반대되는 타측면에는 수납부(10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100-1)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수납공간의 상방이 별도의 상측 개폐부(200-1)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수납부(100-1)의 상단에는 수납공간의 상방을 커버하기 위한 덮개(410-1)가 개폐 가능하게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의 양측면에 수납부(100)(100-1)가 각각 구비되므로 본체(10)의 수납부(100)(100-1)들에 각종 물품(1)을 개별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보조 수납공간(110)이 형성된 수납부(100)를 이용해 길이를 갖는 물품(1)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팩형 가방은 수납부(100)의 상부에서 본체(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1)의 폭방향을 수평하게 감쌀 수 있도록 보조 결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결합부(600)는 후단이 본체(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에 걸림홀(611)이 형성되는 제1연결 밴드(610)와, 후단이 본체(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제1연결 밴드(610)와 대응되도록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 위치되며,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1)의 폭방향을 감싸는 제2연결 밴드(620) 및, 제2연결 밴드(620)의 전단에 구비되고, 걸림홀(611)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전단에 걸고리(631)가 형성되는 연결 클립(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 밴드(610)는 본체(10)의 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이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반면 제2연결 밴드(620)는 제1연결 밴드(610)보다 낮은 높이에서 본체(10)의 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이 본체(10)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연결 밴드(610)의 전단과 동일한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걸고리(631)는 연결 클립(630)의 전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연결 클립(630)의 전단과 나란한 각도로 위치될 수 있고, 걸고리(631)의 절곡된 일측단을 걸림홀(611)의 일측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연결 클립(630)의 전단과 제1연결 밴드(610)의 전단이 연결된다. 이때 제2연결 밴드(620)와 제1연결 밴드(610)가 동일한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클립(630)에는 걸고리(631)의 후방에 한 쌍의 연결홀(632)이 양측으로 관통될 수 있고, 연결홀(632)들은 전후방향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결 밴드(620)의 전단을 연결홀(632)들을 통해 관통시킨 후 후방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2겹으로 중첩시킬 수 있고, 연결홀(632)을 통해 제2연결 밴드(620)의 전단이 통과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제2연결 밴드(6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연결 밴드(620)의 외부에는 고정 밴드(640)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밴드(640)는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고무 밴드 등)로 구비될 수 있고, 인장 탄성력에 의해 제2연결 밴드(620)의 폭방향을 감싸므로 제2연결 밴드(620)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연결 밴드(620)의 전단을 연결홀(632)들을 통해 관통시킨 후 후방으로 후방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2겹으로 중첩시킨 후 2겹으로 중첩된 제2연결 밴드(620)의 외부에 고정 밴드(6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물품(1)의 하단을 보조 수납공간(110)과 통과홀(120)을 통해 관통 결합시킨 후 연결 클립(630)의 걸고리(631)를 걸림홀(611)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2연결 밴드(620)의 길이방향이 물품(1)의 폭방향을 사선 방향으로 감싸므로 물품(1)의 폭방향을 넓은 면적으로 감쌀 수 있고, 물품(1)의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에 수납부(100)와 보조 결합부(600)에 의해 각각 지지되므로 물품(1)을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팩형 가방은 도 9와 10에서처럼 수납부(100)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본체(100)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수평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밴드(710)와, 지지 밴드(710)의 결합방향측 일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3결합부재(720) 및, 수납부(100)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3결합부재(720)와 대응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수납부(100)의 좌우방향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4결합부재(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밴드(710)는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가 전후방향으로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 밴드(710)는 수납부(10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본체(10)의 일측면에 결합된 지지 밴드(710)의 길이방향 일단을 기준으로 타측이 수납부(100)의 전면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 쌍의 제3결합부재(720)와 제4결합부재(730)는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전단에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수 단추를 사용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한 쌍의 제3결합부재(720)와 제4결합부재(730)는 전면이 대응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갈고리가 돌출된 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또는 전면에 다수의 걸림 고리가 형성된 암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측 개폐부(200)를 개방시킨 후 제3결합부재(720)와 제4결합부재(730)를 대응되게 결합시키는 경우, 한 쌍의 지지 밴드(710)가 수납부(100)의 좌우방향을 수평하게 감싸고, 지지 밴드(710)들의 길이방향이 수납부(100)의 전면을 본체(10) 방향으로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를 통해 길이를 갖는 물품(1)의 하단을 수직하게 삽입시키는 경우 지지 밴드(710)들이 수납부(100)의 전면을 후방으로 지지하므로, 물품(1)이 삽입되는 압력에 의해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구가 전후방향으로 과도하게 확장되지 않고, 보조 수납공간(110)의 입가가 과도하게 확장되지 않으므로 물품(1)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우산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물품(1)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 밴드부(500)가 물품(1)을 본체 방향으로 밀착시키므로 가방을 착용한 상태로 이동시 물품(1)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2중 결합 구조가 적용되므로 다양한 길이의 물품(1)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결합부(600)가 물품(1)의 폭방향을 사선 방향으로 감싸므로 물품(1)의 폭방향을 넓은 면적으로 감쌀 수 있고, 보조 수납공간(110)의 상방이 개방되는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수납부(100)의 입구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납부(100)의 입구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물품(1)의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백팩형 가방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물품 10: 본체
20: 어깨끈 30: 손잡이
100, 100-1: 수납부 110: 보조 수납공간
120: 통과홀 200, 200-1: 상측 개폐부
210: 제1지퍼 테이프 220: 제1슬라이더
300: 하측 개폐부 310: 제2지퍼 테이프
320: 제2슬라이더 410, 410-1: 덮개
411: 자유단 420: 제1결합부재
430: 제2결합부재 500: 탄성 밴드부
600: 보조 결합부 610: 제1연결 밴드
611: 걸림홀 620: 제2연결 밴드
630: 연결 클립 631: 걸고리
632: 연결홀 640: 고정 밴드
710: 지지 밴드 720: 제3결합부재
730: 제4결합부재

Claims (5)

  1. 내부에 메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한 쌍의 어깨끈이 구비되는 백팩형 가방으로서,
    상기 본체의 양측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내부의 보조 수납공간이 상방으로 개방되어 물품이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며, 하부의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시 상기 보조 수납공간의 상방을 개방시키는 상측 개폐부; 및
    상기 수납부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하단이 상기 보조 수납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 거치되도록 상기 통과홀을 개방시키는 하측 개폐부;를 포함하되,
    양측이 상기 보조 수납공간의 후면에 동일 높이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 방향에 위치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탄성 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밴드부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폭방향을 감싸고, 상기 본체 방향으로 탄성 견인력을 작용시키며,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폭방향을 수평하게 감쌀 수 있도록 보조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결합부는 후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에 걸림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 밴드와,
    후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 밴드와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 위치되며, 상하로 길이를 갖는 물품의 폭방향을 감싸는 제2연결 밴드 및,
    상기 제2연결 밴드의 전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홀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전단에 걸고리가 형성되는 연결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개폐부는 상기 입구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수납부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 구조의 이빨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지퍼 테이프 및, 상기 제1지퍼 테이프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퍼 테이프의 개방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라이더의 양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지퍼 테이프의 이빨이 서로 치합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입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하측 개폐부는 상기 통과홀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수납부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 구조의 이빨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지퍼 테이프 및, 상기 제2지퍼 테이프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지퍼 테이프의 개방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슬라이더의 양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지퍼 테이프의 이빨이 서로 치합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상기 통과홀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형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의 자유단이 상하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와,
    상기 자유단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를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덮개가 상기 보조 수납공간의 상방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형 가방.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밴드는 상기 본체의 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이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연결 밴드는 상기 제1연결 밴드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편심 위치되고, 전단이 상기 본체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 밴드의 전단과 동일한 각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형 가방.
KR1020220180130A 2022-11-18 2022-12-21 백팩형 가방 Active KR102571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983 2022-11-18
KR20220154983 2022-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236B1 true KR102571236B1 (ko) 2023-08-25

Family

ID=8784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130A Active KR102571236B1 (ko) 2022-11-18 2022-12-21 백팩형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733B1 (ko) 2024-07-23 2025-01-06 김승훈 전면 거치형 배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846U (ko) * 1999-05-14 2000-12-15 박병석 우산수납수단을 가진 가방
JP2004208735A (ja) * 2002-12-26 2004-07-29 Lafield:Kk 携帯用傘ホルダー
JP2015019979A (ja) * 2013-07-22 2015-02-02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 杖装着機構付き物入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846U (ko) * 1999-05-14 2000-12-15 박병석 우산수납수단을 가진 가방
JP2004208735A (ja) * 2002-12-26 2004-07-29 Lafield:Kk 携帯用傘ホルダー
JP2015019979A (ja) * 2013-07-22 2015-02-02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 杖装着機構付き物入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733B1 (ko) 2024-07-23 2025-01-06 김승훈 전면 거치형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331B2 (en) Tennis bag
US8746523B1 (en) Two way convertible shoulder strap construction
KR101030985B1 (ko) 다용도 배낭
ITMI20061930A1 (it) Zaino a modulo laterale scorrevole
CN1994182A (zh) 可折叠的实用物品
US12070110B2 (en) Optical instrument case with low profile lid and harness for the same
CN108471864B (zh) 载荷支承系统
KR102571236B1 (ko) 백팩형 가방
US10285490B2 (en) Fastener systems
US6017072A (en) Combination purse, key holder, and handguard
US8157139B2 (en) Backpack and method for securing a backpack in a closed position
US11612232B1 (en) Attachable sports bag for use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another backpack
KR102230291B1 (ko) 백팩
KR101188212B1 (ko) 이동식 보조백이 구비된 배낭
JPS5837318Y2 (ja) 圧縮型収納袋
CN213939986U (zh) 一种两用背包
KR101466804B1 (ko) 밸트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멀티가방
US20070062995A1 (en) Pack for chairs
KR101495703B1 (ko) 여행용 가방
JP4558666B2 (ja) リュックサック
CN218278754U (zh) 可折叠成包的多功能外套
KR200499221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단일소재 가방끈
KR102834442B1 (ko) 기능성 파우치
CN210581422U (zh) 一种与服装共享的一物多用型包袋
CN211747635U (zh) 一种安全组合式旅行背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