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6180B1 -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180B1
KR102226180B1 KR1020200115376A KR20200115376A KR102226180B1 KR 102226180 B1 KR102226180 B1 KR 102226180B1 KR 1020200115376 A KR1020200115376 A KR 1020200115376A KR 20200115376 A KR20200115376 A KR 20200115376A KR 102226180 B1 KR102226180 B1 KR 10222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ubation tube
patient
tracheal intubation
intubation
trache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홍범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180B1/ko
Priority to PCT/KR2021/007103 priority patent/WO202205507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61M2205/584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having a color c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기도유지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된 삽관튜브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후두 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이루어지되, 기관삽관튜브를 구강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 일측에 상기 기관삽관튜브가 끼움 결합되는 ‘C’자 형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두 방향으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판상 형태로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되며, 선단부측의 외주면에 한 쌍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삽관몸체부와; 상기 플랜지의 후단에 환자의 입술 주변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의 중앙부에 상기 삽관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환자의 상악치아 및 하악치아가 각각 지지되도록 하는 치아지지부가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플랜지의 상측에 상기 삽관몸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된 기관삽관튜브를 압박하며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띠 형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Airway and endotracheal tub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기도 확보를 위해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기도 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관몸체부를 원통형이 아닌 판상형으로 구성하여 기도유지장치의 삽입의 용이함 및 기도유지장치의 구강내 삽입에 따른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기관삽관튜브를 구강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구강내 기관삽관튜브의 뒤틀림을 예방하여 기관삽관에 따른 통증 및 부작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기관내 삽관튜브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된 삽관튜브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환자의 입 주변에 고정된 상태를 장시간 동안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신 마취를 받는 또는 무의식 상태의 환자는 혀뿌리가 이완되어 상기도 폐쇄가 일어나는데 구강용 기도 유지 장치는 이를 예방하여 기도를 확보하고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술실과 중환자실 및 응급실 등에서는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호흡보조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기관에 기관삽관튜브를 삽입하고 이를 통하여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는데, 환자가 의식을 회복하는 과정이나 의식이 명료하지 않은 환자가 치아로 기관삽관튜브를 눌러서 기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강용 기도 유지 장치를 삽입한다.
무의식환자에서 기도 폐쇄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구조 호흡법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한데, 삽관몸체부가 원통형인 기존의 기도 유지기는 삽입시 치아가 손상되거나 구강 점막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관삽관튜브 삽입 및 유지시 환자 치아의 눌림에 의한 튜브에 눌림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되는 구강용 기도유지기가 환자의 구강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기관삽관튜브의 꺽임을 유발하고 꺽인 기관삽관튜브에 의해 기관(trachea) 및 성대(vocal cord)의 편측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짐으로서 심각한 인후염 및 성대 탈골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5827호(내시경용 기도유지장치, 2015.01.15.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9063호(의료용 기도유지기, 2020.04.16.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4973호(기도 유지장치, 2017.04.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삽관몸체부의 말단을 판상형으로 구성하여 구강내 삽입시 저항을 최소화하고 기관삽관튜브를 구강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성대나 기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며,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기관 내 삽관튜브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된 삽관튜브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환자의 입 주변에 고정된 상태를 장시간 동안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후두 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이루어지되, 기관삽관튜브(T)를 구강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 일측에 상기 기관삽관튜브(T)가 끼움 결합되는 ‘C’자 형으로 개구된 결합홈(120)이 형성되고, 후두 방향으로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판상 형태로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되며, 선단부측의 외주면에 한 쌍의 플랜지(140)가 형성되는 삽관몸체부(100)와;
상기 플랜지(140)의 후단에 환자의 입술 주변을 지지하는 지지편(22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20)의 중앙부에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환자의 상악치아 및 하악치아가 각각 지지되도록 하는 치아지지부(240)가 형성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플랜지(140)의 상측에 상기 삽관몸체부(100)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된 기관삽관튜브(T)를 압박하며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띠 형태의 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300)는 외측면에 다수의 로킹홈(322)이 형성된 케이블타이(320)와, 상기 로킹홈(322)에 걸림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블타이(3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로킹블록(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후단부에는 환자의 기도 방향으로 기관삽관튜브(T)의 삽입이 원활해지도록, 외측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관가이드(160)가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선단부 내측은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0)는 실리콘(silicone), 엘라스토머(elastomer), 열가소성 고무(thermo plastic elastomer), 연질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관몸체부(100)는 탄성의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ABS 수지(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140) 또는 지지편(220)의 외측면에는 빨강, 녹색, 파랑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색상이 환자의 구강구조 또는 환자의 구강 사이즈에 따라 각기 상이한 색상으로 코팅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40)의 일면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환자의 입술 주변과 맞닿는 면이 일정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는,
첫째, 환자의 후두 방향에 위치되는 삽관몸체부의 말단부가 판상형으로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으므로, 본 장치를 구강내 삽입시 저항을 최소화하여 치아 및 구강 점막의 손상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둘째,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기관 내 삽관튜브를 신속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셋째, 기관삽관튜브에 임의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력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넷째, 기관삽관튜브를 구강 정중앙에 위치토록 하여 튜브의 꺽임현상을 방지하고 성대 및 기관에 미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에 기관삽관튜브를 장치한 것을 나타낸 사용양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기관삽관" 이란, 자발적으로 충분한 호흡을 할 수 없는 중환자 또는 전신 마취 중의 중환자에게 호흡관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기도 확보를 위해 기관 내에 관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종, 외상, 종양, 출혈로 인한 이차적인 상기도폐쇄, 무호흡, 분비물 제거가 비효율적인 경우, 흡인의 위험이 높은 경우, 호흡 부전, 기계적 환기가 요구되는 경우, 전신마취 등의 경우에 환자의 구강 내로 기관삽관튜브를 삽입하여, 후두의 성대 사이를 통해서 기관에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기관삽관튜브" 란, 기관삽관시 기관에 삽입되는 고무재 또는 플라스틱재의 내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후두 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이루어지되, 기관삽관튜브(T)를 구강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 일측에 상기 기관삽관튜브(T)가 끼움 결합되는 ‘C’자 형으로 개구된 결합홈(120)이 형성되고, 후두 방향으로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판상 형태로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되며, 선단부측의 외주면에 한 쌍의 플랜지(140)가 형성되는 삽관몸체부(100)와;
상기 플랜지(140)의 후단에 환자의 입술 주변을 지지하는 지지편(22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20)의 중앙부에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환자의 상악치아 및 하악치아가 각각 지지되도록 하는 치아지지부(240)가 형성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플랜지(140)의 상측에 상기 삽관몸체부(100)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된 기관삽관튜브(T)를 압박하며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띠 형태의 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관몸체부(100)는 환자의 구강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두 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이루어진다. 즉, 구강 내부로 삽입시 구강 내부에서 기도에 이르는 위치까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튜브의 삽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관몸체부(100)는 평면상으로 볼 때, 그 단면이 'C'자 형으로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한 바와 같이 'C'자 형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 삽관몸체부(100)는 기관삽관튜브(T)를 구강의 정중앙에 위치토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개구된 부분으로 기관삽관튜브(T)가 끼움 결합될 때, 상기 기관삽관튜브(T)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관삽관튜브(T)가 구강 정중앙에 위치함으로써, 기관삽관튜브의 꺽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성대 및 각 기관에 미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삽관몸체부(100)로부터 기관삽관튜브(T)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기관삽관튜브는 환자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C'자 형으로 개구된 삽관몸체부(100)에 의하면, 그 개구된 부위의 특성에 의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기관삽관튜브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선단부 내측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결합홈(120)에 기관삽관튜브(T)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도 기관삽관튜브(T)를 일정각도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삽관몸체부(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두 방향으로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판상 형태로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판상 형태로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됨에 따라 기도유지장치의 삽입의 용이함 및 기도유지장치의 구강내 삽입에 따른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선단부측 외주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랜지(140)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40)는 삽관몸체부(100)의 주위에 한 쌍이 날개처럼 돌출되며, 삽관몸체부(100)의 횡단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140)의 일면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후방(후두 방향)을 향하도록 일정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플랜지(140)의 일면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환자의 입술 주변과 맞닿는 면이 일정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40)가 후방을 향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때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플랜지(140)에 개구되어 형성된 상기 결합홈(120)에서 기관삽관튜브(T)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로 향하게 됨으로써, 상기 기관삽관튜브(T)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후단부에는 환자의 기도 방향으로 기관삽관튜브(T)의 삽입이 원활해지도록,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고 단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관가이드(160)가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관가이드(160)에 의하면, 환자의 충분한 기도 확보는 물론이고, 기관삽관튜브(T)의 삽입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설명한 삽관몸체부(100)는 탄성의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ABS 수지(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0)는 플랜지(140)의 후단에 환자의 입술 주변을 지지하는 지지편(220)과, 상기 지지편(220)의 중앙부에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환자의 상악치아 및 하악치아가 각각 지지되도록 하는 치아지지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편(220)은 환자의 입술 주변에 직접 닿으며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환자의 입술 주변 부위와 상응하는 곡면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곡면 형상에 의해서 환자의 입술 주변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편(220)은 환자의 입술 주변에 대응되도록 곡면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환자의 입술을 포함한 그 주변을 누르는 하중을 억제시켜, 연약한 피부인 입술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입술의 압박으로 인한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또 입술이 붓거나 터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치아지지부(240)는 상기 지지편(220)의 후측(후두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220)의 중앙부에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환자의 상악치아 및 하악치아가 각각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지지부(240)에 의하면, 환자의 개구된 입에 삽입되어 환자의 상악치아와 하악치아에 각각 맞물려 끼워진다. 이로써, 상기 기관삽관튜브(T)를 통해 전달되는 산소 등이 보다 안정적으로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고, 장시간 흔들리거나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치아지지부(240)에 의하면, 환자의 구강이 개구된 상태를 그대로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어서, 각종 치료나 수술에 따른 사전준비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편(220)과 치아지지부(240)를 포함하는 지지부재(20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silicone), 엘라스토머(elastomer), 열가소성 고무(thermo plastic elastomer), 연질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도 인체에 무해하면서 상기 열거한 소재들과 동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라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40)의 상측에 상기 삽관몸체부(10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상부측의 외주에 권취하여, 상기 결합홈(120)에 끼워 결합된 기관삽관튜브(T)를 압박하며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외측면에 다수의 로킹홈(322)이 형성된 케이블타이(320)와, 상기 로킹홈(322)에 걸림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블타이(3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로킹블록(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킹블록(340)은 상기 케이블타이(3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킹블록(3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상부측의 외주에 권취된 케이블타이(320)의 끝단을 잡아당기면 상기 케이블타이(320)는 탄력적으로 늘어나며 다수의 로킹홈(322)이 상기 로킹블록(340)에 걸리면서 로킹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블록(340)은 상기 케이블타이(320)의 로킹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역할, 즉 로킹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상기 케이블타이(320)의 로킹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타이(320)의 끝단을 잡아당겨서 상기 로킹홈(322)이 로킹블록(340)에 걸리지 않도록 한 후, 상기 로킹블록(340)을 회피하여 상기 케이블타이(320)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관삽관튜브(T)를 압박하며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인 케이블타이(3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관삽관튜브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형태도 무관하며, 일례로 통상적인 의료용 고정밴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140) 또는 지지편(220)의 외측면에는 빨강, 녹색, 파랑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색상이 환자의 구강구조 또는 환자의 구강 사이즈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을 각기 코팅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에 대한 크기 등의 식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는,
첫째, 환자의 후두 방향에 위치되는 삽관몸체부의 말단부가 판상형으로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으므로, 본 장치를 구강내 삽입시 저항을 최소화하여 치아 및 구강 점막의 손상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둘째,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기관 내 삽관튜브를 신속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셋째, 기관삽관튜브에 임의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력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넷째, 기관삽관튜브를 구강 정중앙에 위치토록 하여 튜브의 꺽임현상을 방지하고 성대 및 기관에 미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T : 기관삽관튜브 100 : 삽관몸체부
120 : 결합홈 140 : 플랜지
160 : 삽관가이드 200 : 지지부재
220 : 지지편 240 : 치아지지부
300 : 고정부재 320 : 케이블타이
322 : 로킹홈 340 : 로킹블록

Claims (8)

  1.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후두 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이루어지되, 기관삽관튜브(T)를 구강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 일측에 상기 기관삽관튜브(T)가 끼움 결합되는 ‘C’자 형으로 개구된 결합홈(120)이 형성되고, 후두 방향으로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판상 형태로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되며, 선단부측의 외주면에 한 쌍의 플랜지(140)가 형성되는 삽관몸체부(100)와;
    상기 플랜지(140)의 후단에 환자의 입술 주변을 지지하는 지지편(22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20)의 중앙부에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환자의 상악치아 및 하악치아가 각각 지지되도록 하는 치아지지부(240)가 형성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플랜지(140)의 상측에 상기 삽관몸체부(100)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된 기관삽관튜브(T)를 압박하며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띠 형태의 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후단부에는 환자의 기도 방향으로 기관삽관튜브(T)의 삽입이 원활해지도록,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고 단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관가이드(160)가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외측면에 다수의 로킹홈(322)이 형성된 케이블타이(320)와, 상기 로킹홈(322)에 걸림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블타이(3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로킹블록(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몸체부(100)의 선단부 내측은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0)는 실리콘(silicone), 엘라스토머(elastomer), 열가소성 고무(thermo plastic elastomer), 연질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몸체부(100)는 탄성의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ABS 수지(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0) 또는 지지편(220)의 외측면에는 빨강, 녹색, 파랑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색상이 환자의 구강구조 또는 환자의 구강 사이즈에 따라 각기 상이한 색상으로 코팅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0)의 일면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환자의 입술 주변과 맞닿는 면이 일정곡률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KR1020200115376A 2020-09-09 2020-09-09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Active KR10222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76A KR102226180B1 (ko) 2020-09-09 2020-09-09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PCT/KR2021/007103 WO2022055079A1 (ko) 2020-09-09 2021-06-08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76A KR102226180B1 (ko) 2020-09-09 2020-09-09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180B1 true KR102226180B1 (ko) 2021-03-09

Family

ID=7517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376A Active KR102226180B1 (ko) 2020-09-09 2020-09-09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6180B1 (ko)
WO (1) WO202205507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79A1 (ko) * 2020-09-09 2022-03-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CN114733026A (zh) * 2022-03-23 2022-07-12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适用于气管插管患者松动牙齿的稳定装置
KR20220138608A (ko)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기도 삽관 튜브 고정장치
KR20220153913A (ko) 2021-05-12 2022-11-21 유환일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지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78814B (zh) * 2024-04-26 2024-09-06 南京鼓楼医院 一种插管夹持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9430A (en) * 1997-01-21 1998-11-03 Islava; Steven T. Endotracheal tube holder
US20020092526A1 (en) * 2000-02-22 2002-07-18 Bertoch Todd M. Securing device for an endotracheal tube
KR20140103546A (ko) * 2013-02-18 2014-08-27 김원철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20150005827A (ko) 2013-07-05 2015-01-1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내시경용 기도유지장치
KR101724973B1 (ko) 2015-12-24 2017-04-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유지장치
KR20180091476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솔메딕스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20200039063A (ko) 2018-10-04 2020-04-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용 기도유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422Y1 (ko) * 2007-04-10 2008-11-10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홀딩부재 및 패딩부재를 갖는 기관 삽관용 튜브 고정구
KR102226180B1 (ko) * 2020-09-09 2021-03-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9430A (en) * 1997-01-21 1998-11-03 Islava; Steven T. Endotracheal tube holder
US20020092526A1 (en) * 2000-02-22 2002-07-18 Bertoch Todd M. Securing device for an endotracheal tube
KR20140103546A (ko) * 2013-02-18 2014-08-27 김원철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20150005827A (ko) 2013-07-05 2015-01-1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내시경용 기도유지장치
KR101724973B1 (ko) 2015-12-24 2017-04-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유지장치
KR20180091476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솔메딕스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20200039063A (ko) 2018-10-04 2020-04-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용 기도유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79A1 (ko) * 2020-09-09 2022-03-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KR20220138608A (ko)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기도 삽관 튜브 고정장치
KR20220153913A (ko) 2021-05-12 2022-11-21 유환일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지지구
CN114733026A (zh) * 2022-03-23 2022-07-12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适用于气管插管患者松动牙齿的稳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079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180B1 (ko)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US5694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lation/oxygenation during guided insertion of an endotracheal tube
JP4468391B2 (ja) 気管内チューブ固定装置
US10709858B2 (en) Sealing mechanism for anaesthetic airway devices
US6860270B2 (en) Double barrel ventilation mask for a patient
US8001969B2 (en) Complete airway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77454B1 (ko) 기관튜브 고정장치
EP2756795A1 (en) Intubation device
JPH05212120A (ja) 医療−外科用装置
US20150083123A1 (en) Nasal Cannula with Pressure Monitoring
IE20180034A1 (en) Snorkel ventilating airway and bite block
KR101931309B1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US64057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lation/oxygenation during guided insertion of an endotracheal tube
KR101780958B1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US20100170506A1 (en) Oral device to facilitate the artificial pulmonary ventilation to an unconscious edentulous patients
JP3539578B2 (ja) 人工呼吸用フェイスマスク
KR101525171B1 (ko) 기관삽관 튜브 고정장치
KR100902665B1 (ko) 기관튜브 고정장치
KR200355711Y1 (ko) 밴드부착 기관 삽관튜브
KR20150005827A (ko) 내시경용 기도유지장치
CN115209934B (zh) 气道管理装置
CN211724291U (zh) 一种呼吸道通气吸氧管
JP7078957B2 (ja) 側孔が開閉自由な気管切開チューブ
Gupta et al. Masks and Airways
WO2024108025A1 (en) Oxygenating oropharyngeal airway devices, kits relating to same, and methods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