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1309B1 -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309B1
KR101931309B1 KR1020170016722A KR20170016722A KR101931309B1 KR 101931309 B1 KR101931309 B1 KR 101931309B1 KR 1020170016722 A KR1020170016722 A KR 1020170016722A KR 20170016722 A KR20170016722 A KR 20170016722A KR 101931309 B1 KR101931309 B1 KR 101931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tube
fixing
fixing groove
intub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476A (ko
Inventor
강호철
천권수
이혜경
양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메딕스
Priority to KR1020170016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3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술 중 기도확보 및 산소 공급과 환기를 위해 기관 내로 삽입되는 기관삽관튜브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는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는 기관삽관튜브를 제1, 2플랜지에 형성된 제1, 2고정홈에 의해서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긴급한 환자의 기도를 빠르게 열어 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고정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본 발명은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술 중 기도확보 및 산소 공급과 환기를 위해 기관 내로 삽입되는 기관삽관튜브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삽관튜브는 수술중인 전신마취 환자, 심정지, 호흡부전 등 자발호흡이 어려운 응급환자 또는 중환자에게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하여 생명을 유지시키는 기도확보장치이다.
이러한 기관삽관튜브는 기관 내에 적당한 길이로 삽관한 다음 기관삽관튜브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튜브 주위를 의료용 테이프로 감고 입 주위 피부에 의료용 테이프를 붙이게 된다.
그러나, 기관삽관튜브의 고정시 의료용 테이프만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 환자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기관삽관튜브를 혀로 밀어내거나 손으로 빼는 경우가 발생하여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아울러, 환자가 튜브를 어금니로 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튜브가 폐색되어 환자의 기관 내로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튜브의 조그만 이동에 의해서도 튜브가 기관 밖으로 빠져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오랜 시간동안 기관삽관튜브를 삽관하는 경우, 기관삽관튜브 및 치아와 입술의 마찰로 인하여 환자의 치아 또는 입술에 상처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치아 또는 입술을 보호할 수 있으며, 기관삽관튜브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775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관삽관튜브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환자의 기관 내에 기관삽관튜브를 고정함과 동시에, 환자의 치아 또는 입술을 보호할 수 있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에 중공을 갖는 몸통, 몸통의 일단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몸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몸통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1, 2플랜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몸통으로부터 연장되어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플랜지는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기관삽관튜브를 고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는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는 기관삽관튜브를 제1, 2플랜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에 의해서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기관삽관튜브가 제1, 2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긴급한 환자의 기도를 빠르게 열어 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고정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에 기관삽관튜브를 장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양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고정밴드와 착용밴드를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양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를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를 나타내는 사용양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사용양태도이다.
본 발명은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술 중 환자의 기도확보 및 산소 공급과 환기를 위하여 기관 내로 삽입되는 기관삽관튜브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내부에 중공을 갖는 몸통, 몸통의 일단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몸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몸통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1, 2플랜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몸통으로부터 연장되어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플랜지는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기관삽관튜브를 고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관삽관" 이란, 자발적으로 충분한 호흡을 할 수 없는 중환자 또는 전신 마취 중의 중환자에게 호흡관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기도 확보를 위해 기관 내에 관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종, 외상, 종양, 출혈로 인한 이차적인 상기도폐쇄, 무호흡, 분비물 제거가 비효율적인 경우, 흡인의 위험이 높은 경우, 호흡 부전(respiratory distress), 기계적 환기가 요구되는 경우, 전신마취 등의 경우에 환자의 구강내로 기관삽관튜브를 삽입하여, 후두의 성대 사이를 통해서 기관에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관삽관튜브"란, 기관삽관시 기관에 삽입하는 고무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내관을 기관삽관튜브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란, 자발적으로 충분한 호흡을 할 수 없는 중환자 또는 전신 마취 중의 중환자에게 기관삽관을 하였을 경우 기관삽관튜브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랜지"란, 몸통 주위에 날개처럼 돌출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소정의 굴곡이 형성된 판형태로 몸통의 횡단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2플랜지를 포함하며, 몸통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각각 몸통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축방향"이라 함은 본 발명에서 몸통의 주축에 평행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에 기관삽관튜브를 장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양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고정밴드와 착용밴드를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양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를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를 나타내는 사용양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사용양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술 중 기도확보 및 산소 공급과 환기를 위해 기관 내로 삽입되는 기관삽관튜브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란, 자발적으로 충분한 호흡을 할 수 없는 중환자 또는 전신 마취 중의 중환자에게 기관삽관을 하였을 경우 기관삽관튜브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는 환자의 안면부에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기관삽관튜브(20)를 고정하는 본체부(100)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어 흡인 튜브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의 본체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몸통(110), 제1플랜지(120), 제2플랜지(130) 및 안착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0)의 몸통(1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흡인 튜브(suction tube, 미도시) 또는 내시경 등이 삽입되는 관형태로 일단에 삽입홀(111)이 형성되며, 타단은 후술하게 되는 가이드관(220)과 연통된다. 특정 양태로서, 몸통(110)은 기관 내 약물 투여 (경구 약물 투여)의 경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를 환자에 물렸을 때, 삽입홀(111)을 통해 흡인 튜브가 삽입되며, 몸통(110)과 연통되는 가이드관(220)을 통하여 흡인튜브를 기도로 안내 또는 기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관(220)은 몸통(110)으로부터 연장된 직선형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220)관은 혀를 누르기 위하여 구강 내부로 휘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0)와 가이드부(200)는 탄성의 폴리스티렌 (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 실리콘(silicone), ABS 수지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열가소성 고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및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와 가이드부(200)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10)는 본체부(100) 및 가이드부(200)를 포함한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10)가 실리콘계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포함한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10)가 실리콘계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실리콘의 배합률 또는 제품의 두께에 따라 각 부분의 탄성 또는 연성 등의 성질이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2플랜지(120, 130)는 몸통(11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 전체가 환자의 구강내로 완전히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기도 확보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2플랜지(120, 130)는 기관삽관튜브를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 제1, 2고정홈(121, 13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2플랜지(120, 130)는 몸통(110)의 횡방향으로 날개처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판형태로 몸통(110)의 횡단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플랜지(120)는 굴곡이 형성된 판형태일 수 있으며, 제2플랜지(130)는 편평한 판형태일 수 있다.
또한, 몸통(110)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 2플랜지(120, 130)는 몸통(110)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에서 환자의 안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본체부(100)라 할 때, 본체부(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제1플랜지(120)라 할 수 있으며, 타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제2플랜지(130)라 할 수 있다. 즉, 몸통(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제1플랜지(120)라 하며, 몸통(110)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제2플랜지(130)라할 수 있다.
한편, 제1, 2플랜지(120, 130)는 각각 굴곡이 형성된 판형태와 편평한 판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타원형 중 어떠한 형상도 무관하나, 입술 모양과 유사한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2플랜지(120, 130)는 환자에게 삽관된 기관삽관튜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삽관된 기간삽관튜브를 무의식적으로 밀어내는 경우 기관삽관튜브가 어느 정도 밀려나왔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기관삽관튜브에 눈금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플랜지(120)의 기준으로 기관삽관튜브의 변화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2플랜지(120, 130)는 기관삽관튜브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121, 131)을 포함하며, 제1, 2플랜지(120, 1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제1플랜지(120)에 형성되는 고정홈은 제1고정홈(121)이라 하며, 제2플랜지(130)에 형성되는 고정홈은 제2고정홈(131)이라 한다.
이때, 제1, 2플랜지(120, 1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홈(121, 131)이 형성되며, 제1플랜지(120)에 형성된 고정홈 중 하나 이상과 제2플랜지(130)에 형성된 고정홈 중 하나 이상은 서로 동일 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2고정홈(121, 131) 서로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몸통의 주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제1, 2플랜지(120, 130)의 가장자리로부터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2고정홈(121, 131)은 삽입홀(111)을 중심으로 각각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하게 되는 기관삽관튜브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플랜지(120)는 상기 제1플랜지(120)의 좌/우 양단에 각각 제1-a고정홈(121)과 제1-b고정홈(121′)이 형성된 구조이고, 제2플랜지(130)는 상기 제2플랜지(130)의 좌/우 양단에 각각 제2-a 고정홈(131)과 제2-b 고정홈(131′)이 형성된 구조이다.
특히, 상기 제1-a 고정홈(121)과 제2-a고정홈(131)은 서로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고, 제1-b고정홈(121′)과 제2-b고정홈(131′)은 서로 동일 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제1, 2고정홈(121, 131)은 "C"자형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삽입홀(111)을 중심으로 각각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고정홈(121, 131)이 삽입홀(111)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됨으로써, 기관삽관튜브 적용할 때, 필요에 따라 상기 기관삽관튜브의 위치를 좌/우로 바꿔줄 수 있다.
이는 기관삽관튜브를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하도록 하는 간편함과 바람직한 위치에 장착했음에 대한 확신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관삽관튜브를 한쪽으로만 장시간 고정시키게 되면 입술 주변에 짓눌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로 위치를 바꿔줄 수 있다.
한편, 제1, 2고정홈(121, 131)은 사각형, 삼각형, 반타원형 또는 반원 모양 중 어느 형상이라도 무관하나, 기관삽관튜브의 직경이 정해진 경우에는 기관삽관튜브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C"자형으로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2고정홈(121, 131)은 내면에 복수의 돌기(122, 132)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기는 제1, 2고정홈(121, 131)의 내주면에서 복수개로 돌출된 것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돌기(122, 132)는 제1, 2고정홈(121, 131)에 고정되는 기관삽관튜브에 압력을 가하여, 기관삽관튜브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2고정홈(121, 131)이 매끄러운 곡면일 때 보다 돌기(122, 132)를 추가함으로써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관삽관튜브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2고정홈(121, 131)의 끝단에는 바깥돌기(123, 13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게 되는 제1플랜지(120)의 곡률로 인하여 제1고정홈(121)이 위치한 제1플랜지(120)의 양단이 해당 곡률만큼 제1플랜지(120)의 배면방향으로 휘어져 있으며, 이때, 제1고정홈(121)에 위치하는 바깥돌기(123)도 해당 곡률만큼 제1플랜지(120)의 배면방향으로 휘어져, 기관삽관튜브가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2고정홈(121, 131)의 안쪽에 위치하는 돌기(122, 132)는 기관삽관튜브가 제1, 2고정홈(121, 131)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역할을 하고, 바깥돌기(123, 133)는 기관삽관튜브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통상적으로 기관삽관튜브는 환자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가 사용되나, 제1, 2고정홈(121, 131)에 형성된 돌기(122, 132) 및 바깥돌기(123, 133)에 의해서 다양한 사이즈의 기관삽관튜브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고정되는 기관삽관튜브가 제1, 2고정홈(121, 131)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부분 미끄럼방지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제1, 2고정홈(121, 131) 내주면에는 복수의 돌기(122, 132)가 형성되어 기관삽관튜브(20)를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탄성의 폴리스티렌 (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 ABS 수지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및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재질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2플랜지(120, 130) 또한 동일한 재질로 이루질 수 있어, 제1, 2고정홈(121, 131)이 기관삽관튜브를 단단히 움켜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는 기관삽관튜브가 안착되는 안착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착홈(140)은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120)에 형성된 고정홈(121)과 제2플랜지(130)에 형성된 고정홈(131)의 연결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안착홈(140)은 몸통(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제1고정홈(121)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제2고정홈(131)까지 일정 면적 연장되어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a고정홈(121)으로부터 제2-a(131) 고정홈의 연결선상에 안착홈(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b고정홈(121′)과 제2-b고정홈(131′)의 연결선상에 안착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관삽관튜브가 제1, 2고정홈(121, 131)에 고정될 때, 몸통(110)에 보다 더 밀착되기 위함이다.
아울러, 몸통(110)의 외주면은 후술하게 되는 고정밴드가 기관삽관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통(110)의 외주면은 제1플랜지(120)와 제2플랜지(13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플랜지(120)와 제2플랜지(130)의 돌출에 의해서 몸통(110)으로부터 고정밴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에 기관삽관튜브를 장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양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관삽관튜브(20)가 제1플랜지(120)와 제2플랜지(130)에 형성된 제1고정홈(121)과 제2고정홈(131)에 고정될 수 있으며, 두개의 고정홈(121, 131)을 이용하여 기관삽관튜브(20)를 고정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안착홈(140)에 기관삽관튜브(20)가 밀착되어 안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기관삽관튜브(2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플랜지(120)는 몸통(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플랜지(120)의 일면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플랜지(120)의 일면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후방으로 향하도록 소정곡률로 만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관삽관튜브의 고정력은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플랜지(120)의 곡률로 인하여 제1고정홈(121)이 위치한 제1플랜지(120)의 양단이 해당 곡률만큼 제1플랜지(120)의 배면방향으로 휘어져 있으며, 이때, 제1고정홈(121)에 위치하는 바깥돌기(123)도 해당 곡률만큼 제1플랜지(120)의 배면방향으로 휘어져, 기관삽관튜브(20)가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플랜지(120)의 만곡됨에 의해서, 제1플랜지(120)의 제1고정홈(121)에서 기관삽관튜브(2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a)은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10) 쪽으로 향하게 되어 기관삽관튜브(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평균 곡률반경은 R25 내지 R500mm 으로 만곡될 수 있다.
여기서, 곡률반경(R)이라 함은 곡면이나 곡선의 각 점에 있어서 만곡의 정도를 표시하는 값으로, 곡률반경이 클수록 만곡은 완만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곡선의 각 점은 제1플랜지(120)의 양단의 점 P, P0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 P0과 점 P의 호의 길이를 ΔS라 지칭하고, 그 점선이 이루는 각을 Δθ라 할 때, 곡률반경(R)은 ΔS/Δθ 일 수 있다.
아울러, 곡률반경이 R25mm 미만인 경우에는 지나친 만곡으로 인하여 제1플랜지(120)의 양단(P, P0)이 제2플랜지에 맞닿아 튜브 장착시에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곡률반경이 R500mm 를 초과하는 경우 곡률이 너무 완만하여 평편한 면에 가까워 기관삽관튜브의 고정력이 감소하여 기관삽관튜브가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플랜지(120)의 평균 곡률반경은 R25 내지 R500mm 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의 가이드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이드부(200)는 지지부재(210)와 가이드관(220)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관(220)은 몸통(110)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삽입되는 흡인튜브를 구강 내부로 안내할 수 있으며, 가이드관(220)은 중공의 관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가이드관(220)의 형태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는 가이드관(220)이 곡률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가이드관(220)은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이드관(220)의 끝단이 구강의 천장과 혀에 닿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둥글게 형성되어 구강내에 상처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의 본체부(100)와 가이드부(200)는 탄성의 폴리스티렌 (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 ABS 수지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및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는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도록 가이드관(220)이 휘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의 가이드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이드부(200)는 지지부재(210)와 가이드관(220)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관(220)은 몸통(110)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것으로 환자의 기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률을 갖는 파이프 즉, 중공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강 내부로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10)는 가이드관(220)을 둘러싸도록 연질의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10)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를 환자의 구강내에 적용하였을 때, 환자가 무의식 중에 가이드관(220)을 물어 가이드관(220) 또는 치아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관(220)과 치아를 보호하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10)는 가이드관(220)의 외주면 전체를 걸쳐 구성할 수 있지만 가이드관(220)의 후단부는 기도부근에 삽입되는 부분이라 치아에 대한 충격흡수가 불필요하여 환자의 치아가 위치하는 가이드관(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부(100)의 배면인 가이드관(22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재(210)는 소정의 길이를 갖추어 환자가 치아로 물 수 있도록 상하부에 치아홈(211)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에는 일정한 높이의 걸림턱(213)이 형성되어 치아가 치아홈(211)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에서 지지부재(210)의 치아홈(211)과 걸림턱(213)이 형성되면 환자가 가이드부(200)를 견고하게 물고 있을 수 있으며, 이렇게 물고 있는 가이드부(200)는 지지부재(210)에 형성된 치아홈(211)과 걸림턱(213)으로 인하여 환자의 입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아울러, 지지부재(210)는 환자의 입술 주변을 지지하는 소프트 가드(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프트 가드(212)는 지지부재(210)와 수직방향을 이룰 수 있으며, 제2플랜지(130)의 배면에 위치하여 환자의 입술을 보호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입술 부분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으로 기관삽관튜브를 장시간 고정할 경우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가 환자의 입술을 짓눌려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입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재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는 환자의 구강구조 또는 사이즈에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식별하기 위하여 소프트 가드(212)에 사이즈별로 색을 입힐 수 있다.
즉, 지지부재(210)의 소프트 가드(212)는 환자의 입술을 보호할 수 있으며,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에 대한 크기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10)는 치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에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관(220)은 혀를 견고하게 누를 수 있으면서 인체에 무해한 폴리스티렌 (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 ABS 수지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및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재질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관(220)은 혀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관(220)은 지지부재(210)가 위치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이 혀의 곡률과 유사하도록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관(220)은 환자의 기도 확보 및 흡입 튜브 삽입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몸통(110)을 통하여 흡인 튜브(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되는 흡인 튜브는 가이드부(200)의 가이드관(220)을 따라서 안내되면서 환자의 구강 및 식도를 통하여 삽입되고, 이때 흡인튜브를 삽입홀(111)을 통해 가이드관(220) 안쪽으로 삽입하여 석션을 하거나 내시경 등을 삽입하여 식도나 기관지 또는 위장 등과 같은 부분의 병변을 검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관 내 약물 투여(경구 약물 투여)를 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관 말단(221)은 둥글게 형성되어 처음에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10)를 환자의 구강내에 삽관할 때 입천장, 목구멍 등에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에 고정밴드와 착용밴드를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양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는 기관삽관튜브가 제1, 2고정홈(121, 131)에 고정되었을 때 고정된 몸통(110)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밴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기관삽관튜브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밴드라면 어떠한 형태도 무관하며, 하나의 예로 통상적인 케이블타이 또는 통상적인 의료용 테이프를 고정밴드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는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착용밴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밴드(400)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10)와 환자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 환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안면 부착식 테이핑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착용밴드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를 환자와 연결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이든 무관하나, "X"자형으로 전개할 수 있으며, 또는 환자의 턱과 머리 뒤통수에 걸쳐 착용할 수 있도록 "H"자형으로 전개될 수 있다. 한편, 단순 1줄 형태로 머리 뒤에 스트랩 형식으로 조절 가능한 밴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X자형 고정밴드는 입술 좌우로 각각 2개씩 X 형태로 전개되어 입술 가장자리의 타액이 많이 배어나올 수 있는 부위를 피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아래쪽 밴드는 목 뒤로 위쪽 밴드는 머리 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의 사용예를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급환자의 기도확보 및 산소 공급과 환기를 위하여 기관삽관튜브(20)를 환자의 기관에 넣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삽관에 필요한 준비를 한 후, 환자의 구강 내의 이물과 분비물을 흡인하고, 충분한 산소를 공급한다. 그리고, 환자의 구강 내에 후두경을 삽입한 후 후두경의 블레이드(blade)를 입안으로 밀어 넣어 후두가 보이도록 조절한 후 기관삽관튜브(20)를 밀어 넣어 환자의 기관에 삽관시킨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10)를 이용하여, 상기 기관삽관튜브를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10)를 구성하는 가이드관(220)의 끝단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혀 뿌리를 앞쪽으로 들어 올리고 혀와 인두 후벽 사이로 넣는다.
이때, 가이드관(220)은 제2플랜지(130)의 배면에 위치하는 소프트 가드(212)가 환자의 입술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기관삽관튜브(20)를 제1, 2플랜지(120, 130)에 형성된 제1, 2고정홈(121, 131)에 이동시켜 기관삽관튜브를 제1, 2고정홈(121, 131)에 고정시킨다.
한편, 제1, 2고정홈(121, 131)이 삽입홀(111)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됨으로써, 기관삽관 적용시 필요에 따라 상기 기관삽관튜브의 위치를 좌/우로 바꿔줄 수 있다.
이때, 제1, 2고정홈(121, 131) 내주면에는 복수의 돌기(122, 132)가 형성되어 기관삽관튜브를 가압할 수 있으며, 제1, 2플랜지(120, 130)가 탄성의 폴리스티렌 (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 ABS 수지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및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재질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제1, 2고정홈(121, 131)이 기관삽관튜브를 단단히 움켜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10)는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는 기관삽관튜브(20)를 제1, 2플랜지(120, 130)에 형성된 제1, 2고정홈(121, 131)에 의해서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 가드(212)에 의해서 환자의 입술을 보호할 수 있으며, 환자의 치아가 연질의 지지부재(210)에 안착함으로써 치아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치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 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20: 기관삽관튜브
100: 본체부
110: 몸통 111: 삽입홀
120: 제1플랜지 121: 제1고정홈, 제1-a고정홈
121′: 제1고정홈, 제1-b고정홈 122: 돌기
123: 바깥돌기
130: 제2플랜지 131: 제2고정홈, 제2-a고정홈
131´: 제2고정홈, 제2-b고정홈 132: 돌기
133: 바깥돌기
140: 안착홈
200: 가이드부
210: 지지부재 211: 치아홈
212: 소프트 가드 213: 걸림턱
220: 가이드관 221: 가이드관 말단
300: 고정밴드
400: 착용밴드

Claims (14)

  1. 내부에 중공을 갖는 몸통, 몸통의 일단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몸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몸통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1, 2플랜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몸통으로부터 연장되어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플랜지는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기관삽관튜브를 고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홈은
    내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 2플랜지는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제1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홈 중 하나 이상과 제2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홈 중 하나 이상은 서로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는 것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플랜지는 상기 제1플랜지의 좌/우 양단에 각각 제1-a고정홈과 제1-b 고정홈이 형성된 구조이고, 제2플랜지는 상기 제2플랜지의 좌/우 양단에 각각 제2-a 고정홈과 제2-b 고정홈이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1-a 고정홈과 제2-a고정홈은 서로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고, 제1-b고정홈과 제2-b고정홈은 서로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는 것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몸통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은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홈과 제2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홈의 연결선상에 형성되는 것인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플랜지는
    몸통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플랜지의 일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 및 가이드부는
    각각 폴리스티렌 (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 ABS 수지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및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몸통의 배면에 연장되는 가이드관; 및
    가이드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되, 가이드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치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가이드 관은 구강 내부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환자의 상/하악 치아가 각각 지지되는 상/하부 치아홈을 포함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가이드관과 수직방향을 이루며, 제2플랜지의 배면에 위치하여 환자의 입술 주변을 지지하는 소프트 가드를 더 포함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기관삽관튜브가 고정된 몸통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머리를 감싸는 착용밴드를 더 포함하는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1020170016722A 2017-02-07 2017-02-07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Active KR101931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22A KR101931309B1 (ko) 2017-02-07 2017-02-07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22A KR101931309B1 (ko) 2017-02-07 2017-02-07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76A KR20180091476A (ko) 2018-08-16
KR101931309B1 true KR101931309B1 (ko) 2018-12-20

Family

ID=6344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722A Active KR101931309B1 (ko) 2017-02-07 2017-02-07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3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185B1 (ko) 2019-05-09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멀티 기관튜브 고정장치
KR20210004362A (ko) * 2019-07-04 2021-01-13 (주)세종헬스케어 어셈블리 타입 메디컬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180B1 (ko) * 2020-09-09 2021-03-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KR102708189B1 (ko) * 2020-12-18 2024-09-23 주식회사 솔메딕스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07B1 (ko) * 2009-08-28 2010-01-21 이상엽 의료용 마우스피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037B1 (ko) 2013-12-27 2016-05-13 전자부품연구원 금속나노와이어를 포함한 코팅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코팅 전도막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07B1 (ko) * 2009-08-28 2010-01-21 이상엽 의료용 마우스피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185B1 (ko) 2019-05-09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멀티 기관튜브 고정장치
KR20210004362A (ko) * 2019-07-04 2021-01-13 (주)세종헬스케어 어셈블리 타입 메디컬 클립
KR102251390B1 (ko) * 2019-07-04 2021-05-12 (주)세종헬스케어 어셈블리 타입 메디컬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76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5528A (en) Introducers
JP4620811B2 (ja) 気管内用チューブ構造
US4338930A (en) Airway intubator
US7017579B2 (en) Nasal oral respiratory interface
CN100566772C (zh) 具有位置控制翼片的喉罩通气道装置
JP6616828B2 (ja) 多目的エアウェイデバイスのための封止機構
KR101931309B1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US20150173598A1 (en) Intubating Airway
US9463296B2 (en) Laryngeal mask with piriform-fossa conduit
US20140323806A1 (en) Endoscopy device
JPH05212120A (ja) 医療−外科用装置
KR102226180B1 (ko)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US20160235934A1 (en) Artificial airway device
US20060081245A1 (en) Surgical tube guard
US11241552B2 (en) Oropharyngeal airway device
US20200179632A1 (en) Intraoral device for gas delivery and monitoring
US20180099110A1 (en) Endotracheal tube
KR101789171B1 (ko) 기도유지 및 삽관 가이드장치
KR101780958B1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102327349B1 (ko) 내시경 장치
CN107349502A (zh) 一种带气源接头的口咽通气道
CN215780741U (zh) 带食道超声检查通道和吸引孔的气囊式气管导管固定器
KR101525171B1 (ko) 기관삽관 튜브 고정장치
KR102591398B1 (ko)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ES2861150T3 (es) Sonda para inyectar un agente fluido en un recién nacido o un prematuro bajo ventilación no invasiva en presión positiva continu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