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1883B1 -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883B1
KR102211883B1 KR1020200011683A KR20200011683A KR102211883B1 KR 102211883 B1 KR102211883 B1 KR 102211883B1 KR 1020200011683 A KR1020200011683 A KR 1020200011683A KR 20200011683 A KR20200011683 A KR 20200011683A KR 102211883 B1 KR102211883 B1 KR 10221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ouse
sound
horn
sp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용
Original Assignee
손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현용 filed Critical 손현용
Priority to KR102020001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8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2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for telephonic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원을 누설되지 않게 투입하여 확성하는 혼을 이용한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음을 확성하는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음을 투입하는 마우스를 일체로 구성하여, 마우스로 투입된 음을 크게 확성하는 혼과; 상기 마우스 입구에 구성되어 음의 누설을 막아주는 밀폐용 입술과; 상기 마우스에 스마트폰의 스피커가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스마트폰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혼을 나팔부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외측으로부터 감아서 태극모양의 방향전환부로 방향을 바꾸어 마우스가 전방측으로 향하여 마우스에 스마트폰을 거치 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이 나팔부 전방으로 향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혼의 마우스가 구성되는 부분에 연질의 유동부를 구성하여 마우스의 위치를 쉽게 변화하도록 한 것과; 상기 입술을 스마트폰과 접촉시 접촉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연질의 실리콘으로 구성것을 포함하여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Loudspeaker for No Power Smartphones}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원을 누설되지 않게 투입하여 확성하는 혼을 이용한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으며, 휴대폰을 통하여 각종 음악을 청취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을 테이블 위에 그대로 둔 상태로 음악을 듣게 되는데, 이때 휴대폰의 스피커가 테이블과 맞닿아 원 음질을 그대로 청취하기 힘들게 된다.
휴대폰에서 발전한 스마트폰은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를 말하는 것으로서, 통화 뿐만아니라 인터넷망이나 통신망과 연결되어 각종 음악이나 영상을 재생하거나 방송하는 멀티미디어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디지털 음원의 압축 및 재생기술의 발달로 음원의 품질이 향상되어, 스마트폰의 음원을 이어폰이나 앰프를 통해서 들을 경우 낮은 출력으로 인해 고품질의 음원을 감상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음원을 앰프를 통해서 증폭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앰프와 스피커가 필요하게 되며, 이어폰을 통해서 듣는 경우 이어폰을 귀에 삽입하고 있어야 하므로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다른 사람과 음악을 공유하기 어렵기 때문에 외장 스피커를 통한 음악 감상의 욕구는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외장 스피커의 고급화에 대한 수요는 많지만, 물리적 한계로 인해 스마트폰 제조사가 수요자가 원하는 수준의 고출력 외장 스피커를 장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주변기기나 소품들을 이용해서 스마트폰의 음향을 증폭시켜 감상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바, 대부분이 전원으로 증폭되는 스피커에 블루투스로 무선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음의 진동을 전달하여 재생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스피커를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 다른 방법으로 무 전원으로 스마트폰의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을 공명 확성하는 방법을 실시하고 있는바, 지금까지 개발된 스피커에 대한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2013-0101457호(2013.08.27)는 스마트폰의 충전 또는 음악감상을 위해 상부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증폭할 수 있도록 혼(h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구비되는 공명구조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거치대가 구비되는 공명구조 스피커는, 일단은 혼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은 폐쇄되는 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가 상부에 비해 더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스피커저면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음반사면이 형성되는 공명혼; 상기 공명혼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측단면이 ‘U’자 형태를 갖도록 거치전면, 거치저면 및 거치후면으로 이루어지는 거치홈; 상기 거치저면에 형성되는 바닥스피커홀과 상기 거치후면에 형성되는 후면스피커홀로 이루어지는 소리유입홀; 및 상부는 상기 거치저면에 연통되고 하부는 상기 공명혼의 바닥면에 연통되며, 상하 양단에는 각각 단자수용홈 및 케이블수용홈이 형성되는 전원수용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출원 제10-2013-0103745호(2013.08.30)는 휴대폰을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휴대폰 거치 후 음악을 들을 때 장치 내부에서 울림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히 종이를 접어서 본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양측이 뚫려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단 상측에 형성된 인입구(320)을 통하여 휴대폰이 삽입되는 거치장치몸체; 상기 거치장치몸체의 후면 하부에 형성되는 균형용받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치장치몸체의 전면에는 음향송출구가 형성되어, 휴대폰의 스피커의 음향이 거치장치몸체 내부에서 울림음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음향송출구 및 거치장치몸체의 양측 뚫린부분을 통해서 음향송출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치장치몸체는, 판상의 종이를 절단 및 접철하여 형성되되, 거치장치몸체는 다수개의 면으로 세로로 구획된 면들을 접어서,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구획된 면 사이의 라인들 제1, 제2, 제3, 제5, 제6라인을 따라서 감듯이 접어서, 거치장치 몸체가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된 면들의 일 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제1하면부, 제1전면부, 제1후면부, 제2하면부, 제2전면부, 제2후면부의 순서로 마련되고, 거치장치몸체를 이루는 종이를 펼친 상태에서 접었을 때, 최 가장자리측의 제1하면부는 제2하면부와 포개어지고, 제1전면부는 제2전면부와 포개어지며, 제1후면부는 제2후면부와 포개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전면부, 제1후면부, 제1하면부는 외부에 드러나는 면이 되도록 하며, 제2전면부, 제2후면부, 제2하면부는 각 두겹씩의 거치장치 몸체에서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제1하면부는 제2하면부의 중간 부분에서 서로 결합되며, 거치장치몸체를 이루는 종이를 접철시, 제1,2전면부의 음향송출구가 일치되어 함께 연통되도록 하며, 휴대폰 후면지지1부,2부는 각각 제1,2전면부에 마련되어, 접철과정 중에 서로 만나게 되어, 삽입된 휴대폰의 후면을 탄성적으로 받치는 것을 특징을 하며, 제1하면부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는 제2하면부의 삽입구 안으로 삽입되어, 제1,2 하면부가 상호 결합되고, 휴대폰지지수단은 제2하면부와 제2전면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되, 절개선에 수직한 접철선인 지지수단모서리를 접어서, 계단형상의 휴대폰지지수단이 형성 되도록 하며, 제1후면부와 제2하면부가 만나는 위치에서 ㄷ자로 절개된 부분인 균형용받침부가 형성되어, 거치장치몸체에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폰의 무게에 따른 전복현상을 막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명기능을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이다. 특허출원 제10-2015-0136058호(2015.09.25)는 스마트폰에 장착된 외장 스피커의 사운드를 증폭시킬 수 있는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방된 나팔 형상이며, 부착면의 지름은 5~10mm, 확산면의 지름은 6~15mm, 길이는 10~20mm의 소형 확성용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부착면의 말단에 형성된, 몸체부에 접착되는 바인더층, 중간 부직포층, 및 스마트폰에 접착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진 양면테이프, 및 상기 스마트폰에 접착되는 점착층을 커버하는 박리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성용 몸체부의 내면에는 달팽이 집 형태의 나선형 홈이 부착면에서부터 확산면까지 이어지게 형성되고,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접혀 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스피커 확성용 액세서리이다. 특허출원 제10-2017-0091351호(2017.07.19)는, 스마트폰을 세우거나 눕힌 상태로 안착시켜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을 확산 방출할수 있어 깨끗한 MP3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울림통이 소라껍질에 의한 소라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MP3 음악의 울림에 의해 음악을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스피커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방출가이드체에 의해 밀착됨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음악이 새어나가지 않고 직접 울림통 측으로 인입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또한, 음향확산체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와류형 확산홈과 떨림확산박판에 의해 울림통을 통해 방출되는 음향의 확산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지지체를 내부가 중공된 동관으로 이루어져 있어 스마트폰의 전자파를 차단함은 물론 동관에 의해 음향의 떨림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클립형지지구에 의해 탄성으로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함은 물론 클립형지지구의 스크래치방지부에 의해 스마트폰의 화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라형태의 울림통을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대겸용 확성기가 개시된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5-0003051호(2015.05.12)는 스마트폰용 공명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분에 스마트폰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면서 주름관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본체가 결합되는 거치부가 형성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면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본체의 끼움홈에 스마트폰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소리를 원활하게 증폭시킬 수 있으며, 주름관 형태의 본체를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어 본체를 원활하게 보관, 관리할 수 있고, 본체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쉬우면서 유지보수가 편리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5-0003310호(2015.05.24)는 스마트폰의 커버의 스피커가 있는 부분에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스피커가 있는 부분에 너트식등의 체결구를 형성하여 가운데가 구멍이 있는 볼트가 형성된 확성기를 결합하게 하여 확성효과와 함께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커버나 노트북 컴퓨터의 스피커가 있는 부분에 너트식 등의 체결구를 형성하여 가운데가 구멍이 있는 볼트가 형성된 확성기를 결합하게 하여 확성효과와 함께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과 속이 비어 있는 물체 위에 올려 놓는 것만으로 사운드 증폭하게 되므로 속이 비어 있는 물체에 확성기를 형성하는 것이 과제의 해결 수단이 된다.
무 전원 스피커는 스마트폰에서 출력하는 음원을 누설 없이 혼 내부로 투입하는 것과, 음원을 확장하는데 만족하는 혼의 길이와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과, 길게 형성된 혼을 음원이 저항 없이 흘러나오도록 꼬아서 전체적인 부피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숙제였으나 지금까지 개발된 무 전원 스피커는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혼의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음원을 확장하는데 만족하는 혼의 길이와 확장성을 확보하며, 길게 형성된 혼을 음원이 저항 없이 흘러나오도록 꼬아서 전체적인 부피를 콤팩트하게 구성하고 스마트폰에서 출력하는 음원을 누설 없이 혼 내부로 투입하도록 마우스에 밀폐용 입술을 구성하며, 스마트폰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완벽한 확성을 구현하는 공명구조의 무 전원 스피커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음을 확성하는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음을 투입하는 마우스를 일체로 구성하여, 마우스로 투입된 음을 크게 확성하는 혼과; 상기 마우스 입구에 구성되어 음의 누설을 막아주는 밀폐용 입술과; 상기 마우스에 스마트폰의 스피커가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스마트폰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혼을 나팔부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외측으로부터 감아서 태극모양의 방향전환부로 방향을 바꾸어 마우스가 전방측으로 향하여 마우스에 스마트폰을 거치 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이 나팔부 전방으로 향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혼의 마우스가 구성되는 부분에 연질의 유동부를 구성하여 마우스의 위치를 쉽게 변화하도록 한 것과; 상기 입술을 스마트폰과 접촉시 접촉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연질의 실리콘으로 구성것을 포함하여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를 구성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는 음원을 확장하는데 만족하는 혼의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확장성을 확보하고, 길게 형성된 혼을 음원이 저항 없이 흘러나오도록 꼬아서 전체적인 부피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스마트폰에서 출력하는 음원을 누설 없이 혼 내부로 투입하도록 마우스에 밀폐용 입술을 구성함으로써, 확성을 구현하는 공명구조로 확성기로서의 역할을 다하도록 한 효과를 창출하는 신규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분리한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마우스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음을 확성하는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마트폰(50)에서 발생하는 음을 투입하는 마우스(15)를 일체로 구성하여, 마우스(15)로 투입된 음을 크게 확성하는 혼(10)과;
상기 마우스(15) 입구에 구성되어 음의 누설을 막아주는 밀폐용 입술(20)과;
상기 마우스(15)에 스마트폰(50)의 스피커(51)가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스마트폰거치대(30)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혼(10)을 나팔부(11)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외 측으로부터 감아서 태극모양의 방향전환부(12)로 방향을 바꾸어 마우스(15)가 나팔부(11) 측으로 향하여 마우스(15)에 스마트폰(50)을 거치 하면 스마트폰(50)의 화면이 나팔부(11) 전방으로 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혼(10)의 마우스(15)가 구성되는 부분에 연질의 유동부(16)를 구성하여 마우스(15)의 위치를 쉽게 변화하도록 한 것과;
상기 입술(20)을 스마트폰(50)과 접촉시 접촉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연질의 실리콘으로 구성한 것을 더 포함하여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원을 확성하는 혼(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음을 투입하는 마우스(15)로 부터 점차 커져서 마지막에는 나팔부(11)를 구성하도록 하는 통상의 음향튜브를 취하되, 음의 공명성을 얻고 체적을 줄여서 콤팩트화 하기 위하여 음이 깨지지 않는 곡선을 찾아서 꼬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50)을 거치하였을 때 스마트폰(50)의 화면이 나팔부(11)의 전방을 향하도록 나팔부(11)의 위에 거치대(30)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하므로 거치대(30)에 마우스(15)가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혼(10)의 꼬임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바, 이때의 꼬임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12)는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나 금형제작을 고려 할 때, 태극 형상이 가장 이상적이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것은 스마트폰(50)의 스피커(51)에서 송출되는 음원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모두가 혼(10)의 마우스(15) 내부로 투입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우스(15)의 모양을 스마트폰(50)의 스피커(51)와 일치하도록 타원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마우스(15)에 음의 누설을 막아주는 밀폐용 입술(20)을 구성한다.
이때 구성하는 입술은 그 재질을 고무나 실리콘 등의 밀폐력이 뛰어나면서도 형상대응이 뛰어난 연질의 소재이면 무방할 것이나 여기에서는 실리콘이 적합하며 그 경도는 듀로미터 쇼아경도 40이하이면 될 것이나 가장 이상적인 경도는 쇼아경도 15 내외이다.
그리고 상기 혼(10)의 마우스(15)가 구성되는 부분에 연질의 유동부(16)를 구성하여 마우스(15)의 위치를 쉽게 변화하도록 하면 사용에 더욱 편리할 것인바, 파이프의 소재는 연질의 파이프로 꺾임이 없는 소재이면 만족한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50)을 거치하는 거치대(3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혼(10)의 전방 나팔(11) 상측에 구성한 마우스(15)가 하단에 내장되어 스마트폰(50)을 거치하였을 때 스마트폰(50)의 스피커(51)가 혼(10)의 마우스(15)와 일치하도록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구성하면 될 것이다.
10: 혼 11: 나팔부 12: 방향전환부
15: 마우스 16: 유동부 20: 입술
30: 거치대 50: 스마트폰 51: 스피커

Claims (3)

  1. 스마트폰(50)에서 발생하는 음을 투입하는 마우스(15)를 일체로 구성하여, 마우스(15)로 투입된 음을 크게 확성하는 혼(10)과; 상기 마우스(15)에 스마트폰(50)의 스피커(51)가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스마트폰거치대(30)로 구성하여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음을 확성하는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15) 입구에 음의 누설을 막아주는 듀로미터 쇼아경도 10~20의 연질 실리콘으로 밀폐용 입술(20)을 타원형으로 구성한 것과;
    상기 마우스(15)에 스마트폰(50)을 거치 하면 스마트폰(50)의 화면이 나팔부(11) 전방으로 향하도록, 방향 전환부(12)를 태극 형상으로 감아서 혼(10)을 형성한 것과;
    상기 혼(10)의 마우스(15)가 구성되는 부분에 연질의 실리콘으로 된 유동부(16)를 구성하여 마우스(15)의 위치를 쉽게 변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하는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2. 삭제
  3. 삭제
KR1020200011683A 2020-01-31 2020-01-31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Active KR10221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83A KR102211883B1 (ko) 2020-01-31 2020-01-31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83A KR102211883B1 (ko) 2020-01-31 2020-01-31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883B1 true KR102211883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683A Active KR102211883B1 (ko) 2020-01-31 2020-01-31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88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61B1 (ko) * 2012-06-30 2012-11-07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스마트폰 용 스피커
KR20130101457A (ko) 2012-03-05 2013-09-13 정윤이 무선 제어 방식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KR20130103745A (ko) 2010-09-09 2013-09-24 나뛰렉스 센텔라 아시아티카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50003051U (ko) 2014-02-03 2015-08-12 (주)슈퍼지티코리아 테이블에 레일이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인덕션 렌지
KR20150003310U (ko) 2014-02-27 2015-09-04 조여찬 다발식 전자 담배, 전자 담배용 다발식 케이스 및 전자 담배용 다발식 흡입 부재
KR20150136058A (ko) 2013-03-28 2015-12-04 인텔 코포레이션 멀티게이트 공진 채널 트랜지스터
KR20170091351A (ko) 2016-02-01 2017-08-09 주식회사 만도 조향모터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31747B1 (ko) * 2017-07-19 2018-02-23 김주영 소라형태의 울림통을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대겸용 확성기
KR101844379B1 (ko) * 2017-01-04 2018-04-03 다로스 주식회사 핸드폰 거치 스피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745A (ko) 2010-09-09 2013-09-24 나뛰렉스 센텔라 아시아티카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30101457A (ko) 2012-03-05 2013-09-13 정윤이 무선 제어 방식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KR101198961B1 (ko) * 2012-06-30 2012-11-07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스마트폰 용 스피커
KR20150136058A (ko) 2013-03-28 2015-12-04 인텔 코포레이션 멀티게이트 공진 채널 트랜지스터
KR20150003051U (ko) 2014-02-03 2015-08-12 (주)슈퍼지티코리아 테이블에 레일이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인덕션 렌지
KR20150003310U (ko) 2014-02-27 2015-09-04 조여찬 다발식 전자 담배, 전자 담배용 다발식 케이스 및 전자 담배용 다발식 흡입 부재
KR20170091351A (ko) 2016-02-01 2017-08-09 주식회사 만도 조향모터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44379B1 (ko) * 2017-01-04 2018-04-03 다로스 주식회사 핸드폰 거치 스피커
KR101831747B1 (ko) * 2017-07-19 2018-02-23 김주영 소라형태의 울림통을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대겸용 확성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되도록 하며, 제1후면부와 제2하면부가 만나는 위치에서 ㄷ자로 절개된 부분인 균형용받침부가 형성되어, 거치장치몸체에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폰의 무게에 따른 전복현상을 막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명기능을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이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7992B2 (en) Mobile media device case/attachment for providing passive acoustic boosting
USRE48424E1 (en) Custom fit in-ear monitors utilizing a single piece driver module
US9241055B1 (en) Two-way passive acoustic concentrator for a mobile phone
US20060126882A1 (en) Earphone
CN110099323A (zh) 一种主动降噪耳机
CN201312372Y (zh) 迷你动圈式耳道式耳机
KR101831747B1 (ko) 소라형태의 울림통을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대겸용 확성기
JP2005184050A (ja) 携帯電話用音響箱
GB2510354A (en) ANC-enabled earphones with ANC processing performed by host device
CN201063832Y (zh) 新型入耳式耳机
CN104811839A (zh) 双喇叭头戴式耳机
KR101775389B1 (ko) 스마트폰 사운드 증폭 장치
CA2674271C (en) Diaphragm type sound source output device
KR101643097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KR102211883B1 (ko)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CN101998198A (zh) 入耳式耳机
JP2007110656A (ja) 携帯端末用スピーカアクセサリ
CN204761670U (zh) 一种360度语言输入带接听功能的半入耳耳机
CN208572432U (zh) 简易的扩音器结构
CN102104639A (zh) 头戴耳麦式手机
JP4707160B2 (ja) ヘッドホン
CN1878429B (zh) 整合有麦克风的耳机装置
CN221748571U (zh) 一种低频重放的ows耳机
CN217307832U (zh) 一种多腔道音箱
CN220776076U (zh) 一种气导倒相式耳机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