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5970B1 -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970B1
KR102205970B1 KR1020140116445A KR20140116445A KR102205970B1 KR 102205970 B1 KR102205970 B1 KR 102205970B1 KR 1020140116445 A KR1020140116445 A KR 1020140116445A KR 20140116445 A KR20140116445 A KR 20140116445A KR 102205970 B1 KR102205970 B1 KR 10220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knob
slide
type damper
air 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837A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9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9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는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노브,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커튼 및 상기 노브와 상기 커튼을 연결하며, 상기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커튼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Sliding Type Damper Nob and Air Ven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좌우이동 할 수 있는 커튼과 커튼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는 기후조건과 실내환경에 따라서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에는 겨울철 차 실내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히터를 비롯하여 여름철 실내 공기를 시원하게 유지하기 위한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히터 코어를 지나면서 가열된 따뜻한 공기나, 증발기 코어를 지나면서 차갑게 냉각된 공기는 블로어의 작동에 따라 대시보드의 센터 및 사이드에 구비된 에어벤트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된다.
즉, 에어벤트는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개개인이 느끼는 더위나 추위의 정도가 다르므로 에어벤트에서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벤트는 풍량 조절을 위하여 휠 타입(wheel type)의 노브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휠 타입의 노브는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가 상당히 정교하며, 많은 수의 부품이 사용되며, 조립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4309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브의 좌우 슬라이딩에 의해 커튼을 이동시켜 에어벤트에서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는,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노브,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커튼 및 상기 노브와 상기 커튼을 연결하며, 상기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커튼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힌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튼은 에어벤트에 형성된 커튼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튼에는 상기 커튼레일에 따라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상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튼레일은 상기 연결부의 회전반경과 동일 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벤트의 일측에는 상기 커튼이 위치할 수 있는 커튼보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튼에는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어 누기를 예방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항, 제2 항,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를 포함하는 에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에 의하면, 부품수의 감소와 조립 공정의 단순화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벤트의 개폐량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가 장착된 에어벤트의 사사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단면에서 에어벤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A-A단면에서 에어벤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가 장착된 에어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의 A-A단면에서 에어벤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의 A-A단면에서 에어벤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의 B-B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1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10)는 노브(10), 커튼(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0)는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노브(10)는 에어벤트(1)를 형성하는 전면패널(60)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작동편의를 위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60)에는 노브(10)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커튼(20)은 에어벤트(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커튼(20)은 에어벤트(1) 하우징의 측면패널(50)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커튼(20)은 주름형이나, 일자형 및 만곡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노브(10)와 커튼(20)을 연결하며, 노브(10)의 움직임에 따라 커튼(20)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부(30)는 막대의 형상으로 일단이 노브(10)와 연결되며 타단이 커튼(2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0)의 형상이나 크기는 제한이 없으며, 노브(10)와 커튼(2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커튼(20)의 일영역에는 삽입돌기(22)가 형성되어 연결부(30)와 결합한다. 일실시예로, 삽입돌기(22)는 연결부(30)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으며, 커튼(20)과 연결부(30)의 결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누기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는 노브(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30)의 일영역은 힌지(32)에 의해 에어벤트(1)의 하면패널(70)에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힌지(32)에 의해서 고정된 연결부(30)는 일단에 연결된 노브(10)가 좌우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타단에 연결된 커튼(20)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힌지(32)에 의해서 연결부(30)가 회동함에 따라 노브(10)의 동작 궤적과 커튼(20)의 동작 궤적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튼(2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면패널(70)에는 커튼(20)의 동작궤적과 동일한 커튼레일(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튼레일(40)은 연결부(30)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반경은 힌지(32)에서 커튼레일(40)와 접촉되는 연결부(30)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도 2, 도 3 참조).
힌지(32)는 노브(10)에서 전달되는 힘의 분배를 고려하여, 연결부(30)에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30)의 중앙에서 하부패널에 고정되는 힌지(32)는 노브(10)의 동작시 움직이는 거리만큼 바람의 토출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힌지(32)에 의해서 회동하는 노브(1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에어벤트(1)의 전면패널(60)에는 노브레일(62)이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노브레일(62)은 힌지(32)에 의한 회동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10)의 움직임에 의해서 커튼(20) 또한 회동한다. 커튼(20)이 개방되는 경우 커튼(20)을 보관할 수 있는 커튼보관부(52)가 에어벤트(1) 측면패널(5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커튼보관부(52)는 토출구 개방시 커튼(20)을 보관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터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브(10)의 동작에 의해 토출구 개방시, 커튼(20)은 터널내부로 삽입되는바 토출되는 바람의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커튼(2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면패널(70)에도 커튼레일(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튼레일(40)에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커튼(20) 상부에는 상부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부돌기(24)는 커튼레일(40)에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에 의하면, 부품수의 감소와 조립 공정의 단순화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벤트의 개폐량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에어벤트
10 : 노브
20 : 커튼 22 : 삽입돌기
24 : 상부돌기
30 : 연결부 32 : 힌지
40 : 커튼레일
50 : 측면패널 52 : 커튼보관부
60 : 전면패널 62 : 노브레일
70 : 하면패널
80 : 상면패널

Claims (8)

  1.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노브;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커튼; 및
    상기 노브와 상기 커튼을 연결하며, 상기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커튼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튼은 에어벤트의 하면패널 또는 상면패널에 형성된 커튼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커튼에는 상기 커튼레일에 따라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상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는 힌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레일은 상기 연결부의 회전반경과 동일 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의 일측에는 상기 커튼이 위치할 수 있는 커튼보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에는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어 누기를 예방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8. 제1 항, 제2 항,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를 포함하는 에어벤트.
KR1020140116445A 2014-09-02 2014-09-02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Active KR10220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445A KR102205970B1 (ko) 2014-09-02 2014-09-02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445A KR102205970B1 (ko) 2014-09-02 2014-09-02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837A KR20160027837A (ko) 2016-03-10
KR102205970B1 true KR102205970B1 (ko) 2021-01-21

Family

ID=5553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445A Active KR102205970B1 (ko) 2014-09-02 2014-09-02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4928A1 (de) * 2017-05-22 2018-11-2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Auslass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242Y1 (ko) 1999-04-01 2001-09-13 이계안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에어벤트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6265A (en) * 1999-12-28 2000-11-14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air outlet assembly
KR20040003260A (ko) * 2002-07-02 2004-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버가 부착된 에어벤트
KR100577810B1 (ko) * 2004-05-17 2006-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필름을 이용한 에어벤트 구조
KR101301750B1 (ko) 2006-12-12 2013-08-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242Y1 (ko) 1999-04-01 2001-09-13 이계안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에어벤트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837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29732U (zh) 空调器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103196181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1782264B (zh) 空调
CN102486336A (zh) 立式空调器
CN104676759A (zh) 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04697059A (zh)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CN102950989A (zh) 车用空调
CN104697061A (zh)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2013124805A (ja) 空気調和機
CN105241045A (zh) 一种挡风机构及空调器
CN207688259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05546786A (zh) 出风调节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KR102205970B1 (ko)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KR101950311B1 (ko)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CN201841914U (zh) 装载机侧置式空调装置
CN203586501U (zh) 出风口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CN104723835A (zh) 用于车辆的空调装置
CN105371370A (zh) 室内机的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20036546A (ko) 차량의 공기조화 장치
CN205403092U (zh) 空调出风口结构及空调
CN105526694A (zh) 车用空调
CN207741302U (zh) 一种空调导风系统以及空调器
KR101913655B1 (ko) 풍량손실을 최소화 하는 에어벤트
CN107990523B (zh) 一种空调导风机构以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9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