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562B1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1562B1 KR102201562B1 KR1020180106756A KR20180106756A KR102201562B1 KR 102201562 B1 KR102201562 B1 KR 102201562B1 KR 1020180106756 A KR1020180106756 A KR 1020180106756A KR 20180106756 A KR20180106756 A KR 20180106756A KR 102201562 B1 KR102201562 B1 KR 1022015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ne
- discharge
- link
- disposed
- discharge ste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pivoting blades with intersecting ax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저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케이스하우징; 상기 케이스하우징의 저면을 커버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로어토출유로;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흡입구 및 제 1 베인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베인;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hanging from the ceiling of the room, a case housing formed by opening the bottom surface; A front panel that covers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housing and has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toward the lower side; A lower discharge passage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front panel,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van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front panel,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front panel, and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first vane; A discharge guid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ing a part of the lower discharge passage; an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is ,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typ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type indoor unit installed on an indoor ceiling.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consists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expander, and supplies cold or warm air to a building or room using an air conditioning cycle.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The air conditioner is structurally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in which a compressor is arranged outdoors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a compressor is integrally manufactured.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In the separate type, an in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to connect the two separate devices with a refrigerant pipe.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The integrated type is an indoor heat exchange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installed in one case.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directly by hanging a device on a window, and a duct 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outside the room by connecting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general, the separate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ype of the indoor unit.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vertically in an indoor space, it is called a stand-type air conditioner,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room is called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it is called a ceiling type indoor unit.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In addition, as a type of separate air conditioner, there is a system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oviding air-conditioned air to a plurality of spaces.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In the case of a system air conditioner, there are a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provided to air-condition the room, and a type in which air-conditioned air is supplied to each space through a duct.
시스템에어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실내기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 어느 것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A plurality of indoor units provided 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may be provided with a stand type, a wall-mounted type, or a ceiling type.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는 천장벽에 매달려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커버하고 천장과 같은 면에 설치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한다. A ceiling-typ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case that is installed hanging from a ceiling wall, and a front panel that covers a bottom of the case and is install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ceiling.
상기 프론트패널의 중앙에 흡입구가 배치되고, 흡입구의 바깥쪽에 복수개의 토출구가 배치되며, 각 토출구마다 토출베인이 설치된다.A suction por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disposed outside the suction port, and discharge vanes are installed for each discharge port.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는 토출구에 배치된 토출베인이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토출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멀리 보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discharge vanes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s are rotated in pl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discharge air cannot be sent awa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통해 수평풍, 경사풍, 수직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oviding a horizontal wind, an inclined wind, and a vertical wind through a first vane and a second vane.
본 발명은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켜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operating like a single vane by connecting a first vane and a second vane when providing a horizontal wind.
본 발명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이용해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 사이로 누설되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air leaking between a second vane and a discharge guide rotating in place when horizontal wind is provided using a first vane and a second vane. have.
본 발명은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로 다시 흡입되는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typ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ventilation air in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sucked back into the suction por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통해 수평풍, 경사풍, 수직풍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orizontal wind, an inclined wind, and a vertical wind throug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본 발명은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켜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orizontal wind is provide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connected to operate like one vane.
본 발명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이용해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 사이로 누설되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horizontal wind is provided using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ir leaking between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rotated in place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은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로 다시 흡입되는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ventilation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sucked back into the suction port.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저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케이스하우징; 상기 케이스하우징의 저면을 커버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로어토출유로;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흡입구 및 제 1 베인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베인;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hanging from the ceiling of the room, a case housing formed by opening the bottom surface; A front panel that covers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housing and has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toward the lower side; A lower discharge passage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front panel,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van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front panel,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front panel, and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first vane; A discharge guid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ing a part of the lower discharge passage; an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is ,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may be wid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vane.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로어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상기 흡입구 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에서 상기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함몰된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guide forms the lower discharge passage, is located at the suction port side of the lower discharge passage, is formed concavely from the lower discharge passage toward the suction port, and is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lower discharge passage to the rear of the second vane. The side end may be located in the recessed portion.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가이드면;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가이드면;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3 가이드면; 및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4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제 1 가이드면보다 상기 흡입구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 및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확장깊이(T)를 형성할 수 있다. The discharge guide may include: a first guide surface exposed to the lower discharge passage and positioned at an uppermost side; A second guide surface exposed to the lower discharge passage, forming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first guide surface, and positioned under the first guide surface; A third guide surface exposed to the lower discharge passage, forming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second guide surface, and positioned below the second guide surface; And a fourth guide surface exposed to the lower discharge passage, forming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third guide surface, and positioned under the third guide surface, wherein the third guide surface comprises the first It is disposed closer to the suction port side than the guide surface,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and the third guide surface may form an expanded depth T concave toward the suction port side.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may be positioned at a height of the third guide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3 가이드면에서 상기 제 4 가이드면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베인의 저면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단면적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may be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as the third guide surface goes toward the fourth guide surface.
상기 제 1 가이드면 및 제 3 가이드면을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surface and the third guide surface may be vertically formed.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단은 상기 제 2 베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4 가이드면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fourth guide surface may protrude toward the second vane, and the fourth guide surface may have a smooth curved surface.
상기 프론트패널에 조립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상기 프론트패널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인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구동링크바디 및 제 2 구동링크바디를 포함하는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듈바디 및 제 1 베인과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베인링크;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 및 제 2 베인과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베인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vane motor assembled on the front panel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A drive including a first driving link body and a second driving link body that are assemb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front panel, are coupled to the vane motor,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and form a predetermined angle link; A first vane link positioned at a front side of the driving link and assemb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module body and the first vane, respectively;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and the second vane and a second vane link that is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may further include.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베인바디; 상기 제 2 베인바디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조인트리브; 상기 제 2 베인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베인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인축은 상기 제 2 가이드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vane may include a second vane body extending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A second joint rib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vane body and coupled to the second vane link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And a pair of second vane shafts formed on the second vane bod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panel, and the second vane shaft may be located under the second guide surface.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provide a discharge step P1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discharge steps,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is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port,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is It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or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n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Can be.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third guide surface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ourth gu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provide a discharge step P1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discharge steps,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is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port,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is It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or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n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In addition,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third guide surface may be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ourth gu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저면 및 토출가이드 사이에 누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누설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누설공간의 평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leak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and a flat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kage space may be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as it goes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of the leakage space.
상기 케이스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드레인팬에 형성될 수 있다. An indoor heat exchanger disposed inside the case housing and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refrigerant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A drain pan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stor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discharge guide may be formed on the drain pa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ceiling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누설공간의 단면적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압력차에 의해 토출공기가 상기 누설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kage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there is an advantage of suppressing the entry of discharge air into the leakage space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have.
둘째, 본 발명은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간격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토출스텝 P1에서, 누설공간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토출공기가 흡입구로 다시 유동되는 회풍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charge step P1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is formed the wides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kage space is gradually narrowed, thereby suppressing the ventilation of the discharged air flowing back to the suction port. There is an advantage.
셋째, 본 발명은 토출가이드를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시켜 확장깊이(T)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누설공간의 압력차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guide is concavely depressed toward the suction port to form an expanded depth (T), there i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realizing a pressure difference in the leakag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작동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동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 2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1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2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3의 예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4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5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6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에서의 공기유동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ront panel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ne module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FIG. 5.
8 is a front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3.
9 is a rear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3.
10 is a plan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3.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ructure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5.
12 is a front view of the driving link shown in FIG. 11.
13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vane link shown in FIG. 11.
14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vane link shown in FIG. 11.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2.
16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shown in FIG. 16.
23 is a graph showing air flow at a discharge 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작동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동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 2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1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2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3의 예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4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5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6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에서의 공기유동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ront panel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ne module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FIG. 5. 8 is a front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3. 9 is a rear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3. 10 is a plan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3.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ructure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5. 12 is a front view of the driving link shown in FIG. 11. 13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vane link shown in FIG. 11. 14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vane link shown in FIG. 11.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ne module shown in FIG. 2. 16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charge step P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shown in FIG. 16. 23 is a graph showing the air flow at the discharge 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내기의 구성><Composition of indoors>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e 100 having an
<케이스의 구성><Case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하우징(110)과, 프론트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하우징(100)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100 includes a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The case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typ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100 does not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입구(101)가 프론트패널(30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실내열교환기의 구성><Composition of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내측에 실내송풍팬(140)이 위치된다. An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로 형성되고, 일부구간은 분리될 수 있다. When viewed in a top view or a bottom view, the indoor heat exchanger has an overall shape of “□”, and some sections may be separated.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A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실내송풍팬의 구성><Composition of indoor ventilation fan>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The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 The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320) 상측에 배치되고, 팬(144)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상기 흡입그릴(3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The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상기 팬모터(146)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상기 팬모터(146)의 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팬(144)이 결합된다. The motor shaft of the
상기 팬(144)의 가장자리 외측에 실내열교환기(130)가 위치된다. 상기 팬(144)과 실내열교환기(13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과 오버랩된다. An
<유로의 구성><Composition of Euro>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The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외측 공간을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상기 흡입유로(103)에 상기 실내송풍팬(14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130)의 바깥쪽 및 케이스하우징(110)의 측벽 사이다. The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유로(103)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내측이고,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의 "□" 바깥쪽이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or a bottom view, the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The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를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180도 전환된다. Air flows from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프론트패널(30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The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When the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A
<프론트패널의 구성><Composition of the front panel>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프론트바디(310)와,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320)과, 상기 흡입그릴(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리필터(330)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의 공기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베인모듈(200)을 포함한다. The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엘리베이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격자형태를 통해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그릴홀(321)과 상기 흡입구(101)는 연통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프리필터(330)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그릴홀(32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한다. A pre-filter 330 is disposed above the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결합구조와 무관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조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In this embodiment, the
<프론트바디의 구성><Composition of the front body>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되고, 실내의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고, 실내에 노출된다. The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흡입그릴(320) 및 프리필터(330)의 하중을 지지한다. The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탑뷰로 볼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상측면은 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되고, 하측면은 가장자리가 약간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중앙에 흡입구(101)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가장자리 바깥쪽에 복수개의 토출구(102)가 배치된다.A
탑뷰로 볼 때, 상기 흡입구(101)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토출구(102)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02)는 폭보다 길이가 긴 슬릿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프론트프레임(312), 사이드커버(314), 코너커버(316)를 포함한다.The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프론트패널(300)의 하중 및 강성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상기 흡입구(101) 및 4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이드프레임(311) 및 코너프레임(313)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코너프레임(313)은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2개의 코너프레임(313)과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를 포함한다. The corner frames 313 are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상기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은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코너프레임(313)을 결합시킨다.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은 토출구(102)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4개의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이 구비된다. In this embodiment, four
상기 흡입구(101)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102)는 2개의 코너프레임(313),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저면에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가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And the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The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체결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에 결합되고, 코너커버(316)는 코너프레임(313)에 결합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각각 4개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사이드프레임(311) 하측에 상기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되고, 코너프레임(313) 하측에 상기 코너커버(316)가 배치된다. The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조립되어 4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연결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를 프론트데코(350)라고 정의한다. Four side covers 314 and four corner covers 316 are assembled to form a square border. The connected four side covers 314 and four corner covers 316 are defined as a
상기 프론트데코(350)는 데코 아우터보더(351, outer border)와 데코 이너보더(352, inner border)를 형성한다. The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데코 이너보더(352)도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데코 이너보더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형성한다. When viewed in a top view or a bottom view, the decor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 내측에 상기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에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 접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four side covers 314 are disposed, and each
특히,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깥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를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로 정의한다.In particular, an inner edg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커버(316)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four corner covers 316 are disposed, and each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로 정의한다.The inner edge of the
상기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7a)을 형성한다. The corner decor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역시 상기 베인모듈(20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5a)을 형성하고, 상기 베인모듈(20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side decor inner border 315 is also spaced apart from the
그래서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는 4개의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연속된 갭을 형성한다. Therefore, the decor inner border 352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edges of the four
4개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 갭(315a) 및 4개의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에 의해 형성된 연속된 갭을 프론트데코 갭(350a)으로 정의한다. A continuous gap formed by the four side-deco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상기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The
상기 베인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실내기 정지 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흡입그릴(320) 및 베인모듈(200)을 하나의 구조물로 보이게 한다. When the
<흡입그릴의 구성><Configuration of suction grill>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승강될 수 있다.The
상기 흡입그릴(320)은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그릴홀(321)을 포함한다. The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의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과, 상기 그릴바디(322)의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그릴코너부(327)를 포함한다. The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제 1 베인(210)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코너커버(316)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grill body 32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그릴바디(32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그릴(323)이 격자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격자형태의 그릴(323)은 사각형 형태의 그릴홀(321)을 형성시킨다. 상기 그릴(323) 및 그릴홀(321)이 형성된 부분을 흡입부로 정의한다. Inside the grill body 322, a plurality of grills 323 are arranged in a grid shape. The grid-shaped grill 323 forms a square-shaped
상기 그릴바디(322)는 공기가 소통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그릴바디부(324)를 포함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부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The grill body 322 includes a suction unit through which air is communicated, and a grill body unit 324 disposed to surround the suction unit. When viewed from a top view or a bottom view, the suction un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상기 흡입부의 각 모서리는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하게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너커버(316)를 향하게 배치된다. Each corner of the suction unit is disposed toward each corner of the
바텀뷰로 볼 때, 상기 그릴바디(32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viewed from a bottom view, the grill body 32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 또는 프론트데코(35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outer edge of the grill body part 324 is disposed to face the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코너커버(316)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토출구(102)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커버(314)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포함한다. The outer edge of the grill body part 324 forms a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는 흡입그릴(320)의 내측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로 형성되고,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외측을 중심으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그릴바디부(324)는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 및 2개의 그릴 사이드보더(325)에 의해 감싸지는 그릴코너부(3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그릴바디부(324)에서 코너커버(316)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grill body portion 324 further includes a grill corner portion 327 wrapped by the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된다. The grill corner part 327 is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grill body 322. The grill corner part 327 extends toward each corner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4개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라 정의한다.In this embodiment, four grill corner portions 327 are dispo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ur grill corner portions 327 are replaced with a first grill corner portion 327-1, a second grill corner portion 327-2, a third grill corner portion 327-3, and a fourth grill. It is defined as the corner part (327-4).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흡입그릴(320)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바디(322)의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1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4방향에 배치된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각각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A
본 실시예에서 그릴 코너보더(326)의 길이와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의 길이는 갖게 형성된다. 즉, 상기 코너커버(316)의 폭과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그리고 사이드커버(314)의 내측 폭과 그릴 사이드보더(325)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ner width of the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보다 상세하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The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토출구(102)의 안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깐쪽 경계를 형성한다. The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토출구(10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직선으로 형성된 긴직선구간(325a)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1 곡선구간(325b)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2 곡선구간(325c)과, 상기 제 1 곡선구간(325b)과 연결되는 제 1 짧은직선구간(325d)과, 상기 제 2 곡선구간(325c)과 연결되는 제 2 짧은직선구간(325e)을 포함한다. The
<베인모듈의 구성><Configuration of vane module>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유로(104)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The
상기 베인모듈(200)은 모듈바디(400)와,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모두 모듈바디(400)에 설치된다. 상기 모듈바디(400)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일체로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인모듈(200)의 구성부품 전체는 모듈화되고,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한번에 설치된다. The
상기 베인모듈(200)이 모듈화되기 때문에,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Sinc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3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모듈바디의 구성><Composition of module body>
상기 모듈바디(400)는 하나의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2개의 부품으로 분리하여 제작한다.The module body 400 may be configured as one body.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and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it is manufactured by separating it into two parts.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바디(400)는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로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body 400 includes a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된다. The
수평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는 토출구(102)의 일측에 배치된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는 토출구(102)의 타측에 배치된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된다.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의 코너프레임(313)의 저면에 밀착되고, 체결부재(401)를 통해 각각 체결된다.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그래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실내기의 설치된 상태로 볼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코너프레임(313)의 체결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 및 코너프레임(313)의 체결방향 역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us, the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서비스과정에서 상기 베인모듈(200) 전체를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Due to this structure, the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대해 하측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된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토출구(102)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대해 하측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된 제 2 모듈바디(420)와,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인(210)(220)과,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230)과,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1 체결홀(403-1)과, 상기 제 1 체결홀(403-1)을 통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부재(401-1)과,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2 체결홀(403-2)과, 상기 제 2 체결홀(403-2)을 통해 상기 프론트바디에 체결되는 제 2 체결부재(401-2)를 포함한다. The vane module 20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2, is located under the front body 310, and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body 310 (410), a second module body (42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2), located under the front body (310), and detachably assemb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body (310) And, at leas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coupled to the first module body 410 and the second module body 420, respectively, and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module body 410 and the second module body 420 A vane motor 230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above vanes 210 and 220, the first module body 410 or the second module body 420,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vane, and the 1 A first fastening hole (403-1) disposed on the module body 410, disposed downward, and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module body 410,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403-1)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mber 401-1 fastened to the front body 310, disposed on the second module body 420, disposed downward, and penetrates the second module body 420 I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hole (403-2) formed to be formed,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401-2) fastened to the front body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403-2).
특히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바디(310)가 케이스하우징(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만을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4개소의 베인모듈(200) 모두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상기 모듈바디(400)를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베인모듈(200) 전체는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으로 분리된다. When the module body 400 is separated from the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되는 모듈바디부(402)와, 상기 모듈바디부(40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링크설치부(404)를 포함한다. The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체결부재(401)(미도시)에 의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후크결합 또는 억지끼움등을 통해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등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모듈바디부(402)를 프론트바디(310)에 견고하게 체결한다. In this embodiment, vibration or noise caused by the
상기 모듈바디부(402)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401)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체결된 상태이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401 for fixing the
상기 모듈바디부(402)에는 체결부재(401)가 관통되는 체결홀(403)이 형성된다.A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형성된 체결홀과 제 2 모듈바디(420)에 형성된 체결홀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배치된 체결홀을 제 1 체결홀(403-1)이라 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배치된 체결홀을 제 2 체결홀(403-1)이라 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그리고 체결부재(401)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 체결홀(403-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01)를 제 1 체결부재(401-1)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체결홀(403-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01)를 제 2 체결부재(401-2)라 정의한다.And wh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astening member 401, the fastening member 401 installed in the first fastening hole 403-1 is defined as a first fastening member 401-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member 401 installed on the (403-1) is defined as a second fastening member 401-2.
상기 제 1 체결부재(401-1)는 상기 제 1 체결홀을 관통하고,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상기 제 2 체결부재(401-2)는 상기 제 2 체결홀을 관통하고,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401-1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상기 모듈바디(400)를 체결고정하기 전에, 상기 모듈바디(400)의 위치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모듈후크(405)가 배치된다. Before fastening and fixing the module body 400, a
상기 모듈후크(405)는 프론트패널(300, 구체적으로 프론트바디(310))과 결합됩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후크(405) 및 프론트바디(310)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The
하나의 모듈바디에 복수개의 모듈후크(40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듈바디부(402)의 바깥쪽 가장자리 및 전방 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다. 즉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바깥쪽에 각각 모듈후크(405)가 배치되고, 각 모듈후크(405)는 좌우방향에 대해 대칭된다. A plurality of module hooks 405 may be disposed on one module body. In this embodiment, they are disposed on the outer edge and the front edge of the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모듈후크(405)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모듈후크(405)에 의해 상기 베인모듈(200)을 프레임바디(310)에 임시고정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모듈후크(405)들에 의한 고정은 결합구조 상 약간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체결부재(401)는 임시고정된 상기 모듈바디(400)를 프론프바디(3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Fixing by the module hooks 405 may cause a slight gap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The fastening member 401 firmly fixes the temporarily fixed module body 400 to the
상기 체결부재(401)가 설치되는 체결홀(403)은 상기 모듈후크(405)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측 및 타측의 모듈후크(405)들 사이에 제 1 모듈바디(410)의 체결홀(403)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체결홀(403)이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모듈후크(405)들 및 체결홀(403)들은 일렬로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hooks 405 and the fastening holes 403 are arranged in a line.
상기 체결부재(401)들이 해체되어도, 상기 모듈후크(405)들에 의해 베인모듈(200)이 상기 프레임바디(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Even when the fastening members 401 are disassembled, the
수리 또는 고장 시, 상기 베인모듈(200)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체결부재(401)를 분리하여도 상기 베인모듈(200)은 프론트패널(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부재(401)의 해체 시, 상기 베인모듈(200)을 별도로 지지할 필요가 없다. In the case of repair or failure, when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상기 베인모듈(200)은 모듈후크(405)에 의한 1차 고정 및 체결부재(401)에 의한 2차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비스 시 작업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링크설치부(404)는 설치된 상태로 볼 때, 상기 모듈바디부(40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 또는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The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에 각각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결합되어 상기 베인모듈(200)이 일체화된다. A
상기 베인모터(23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베인모터설치부(406)가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에 상기 베인모터(230)가 체결고정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는 보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에 고정된다. 베인모터설치부(406)로 인해 상기 링크설치부(404) 및 베인모터(230)는 소정간격 이격된다. In order to install the
상기 링크설치부(404)에는 상기 구동링크(240)가 조립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구동링크결합부(407)와, 상기 제 1 베인링크(250)가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와, 상기 제 2 베인(220)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 2 베인결합부(409)가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구동링크결합부(407),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 및 제 2 베인결합부(409)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보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회전축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한편, 상기 링크설치부(404)에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270)가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270)는 반대편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되어 배치된다. Meanwhile,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 시 특정위치에서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설치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 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구동링크(240)의 진동 또는 유격을 억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구동링크의 구성><Configuration of driving link>
상기 구동링크(240)는 베인모터(230)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베인모터(23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구동링크(240)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230)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량이 결정된다.The driving
상기 구동링크(240)는 상기 링크설치부(404)를 관통하여 상기 베인모터(23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는 구동링크결합부(407)를 관통한다. The driving link 240 passes through the
상기 구동링크(240)는 구동링크바디(245)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과,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 구체적으로 구동링크결합부(40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어링크축(243)과,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구동링크축(242)을 포함한다. The driving
상기 구동링크바디(245)는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2 구동링크바디(247) 및 코어바디(248)를 포함한다.The driving
상기 코어바디(248)에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에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에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배치된다. The
상기 코어바디(248)는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를 연결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의 형상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대체적으로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The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제 2 구동링크바디(247) 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링크설치부(404)에 형성된 구동링크결합부(407)에 조립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결합부(407)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제 1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2 구동링크축(242)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코어링크축(243)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소정의 사이각(E)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E)은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제 1 베인(210)이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제 1 베인(210) 또는 조인트리브(214)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 및 모듈바디(구체적으로 링크설치부(404))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The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및 구동링크(240)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secon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는 상기 코어링크축(243)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코어링크축(243)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소정의 사이각(E)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E)은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제 1 베인링크의 구성><The composition of the first vane link>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상기 제 1 베인링크바디(25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상대 회전되는 제 1-1 베인링크축(251)과, 상기 제 1 베인링크바디(255)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바디(400, 구체적으로 링크설치부(404))와 조립되고, 상기 모듈바디(400)와 상대 회전되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 베인(21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상기 제 1 베인(210)과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1-1
상기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상기 모듈바디(400)의 링크설치부(404)에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와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1-2
<제 2 베인링크의 구성><Composition of the second vane link>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직선의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제 2 베인링크바디(265)와, 상기 제 2 베인링크바디(26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과 조립되고, 상기 제 2 베인(220)과 상대 회전되는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상기 제 2 베인링크바디(265)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링크(240, 구체적으로 제 2 구동링크축(242))와 조립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와 상대 회전되는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는 제 2 베인링크바디(265)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2 구동링크축(242)는 상대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가 축의 형태로 형성되면 나머지 하나는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를 축의 형태로 형성하고, 제 2 구동링크축을 홀의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2-2 vane
상기 구동링크, 제 1 베인링크, 제 2 베인링크와 결합되어 상대회전 가능한 모든 구성에서 이와 같은 구성의 치환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변형가능한 예를 따로 상세하게 설명하진 않겠다. In all configurations that are combined with the driving link, the first vane link, and the second vane link to allow relative rotation, such a configuration can be replaced, and a deformable example thereof will not be separately described.
<베인의 구성><The composition of the vane>
설명을 위해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천장 측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바닥을 하측으로 정의한다. For explan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the rear. In addition, the ceiling side is defined as the upper side, and the floor side is defined as the lower sid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30)의 각 스텝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상대적인 배치 및 상대적인 각도가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인모터(230)의 각 스텝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쌍을 이뤄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을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은 상기 제 1 베인(2100 및 제 2 베인(22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정의한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무빙스텝을 제공할 수 있다. 무빙스텝은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들의 조합되고,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작동되면서 제공하는 기류로 정의한다. The discharge steps P1, P2, P3, P4, P5, and P6 ar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ne 2100 and the
<제 1 베인의 구성><The composition of the first vane>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배치된다. The
상기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토출구(210)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210)이 상기 토출구(210) 전체를 커버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결합된다.The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The driving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각각 상대회전된다. The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위치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결합된 구동링크(240)를 제 1 구동링크라 하고, 제 1 모듈바디(410)에 결합된 제 1 베인링크(250)를 제 1-1 베인링크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결합된 구동링크(240)를 제 2 구동링크라 하고, 제 2 모듈바디(420)에 결합된 제 1 베인링크(250)를 제 1-2 베인링크라 정의한다.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positions of the driving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베인바디(212)와,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가 결합되는 조인트리브(21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 베인바디(21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 1 베인바디(21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The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결합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The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토출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그래서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된다. The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측(전방)이 낮고, 공기가 진입되는 방향 측(후방)이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가 결합되는 측이 높고 제 1 베인링크(250)가 결합되는 측이 낮게 형성된다. The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조인트부(217)와,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조인트부(216)를 포함한다. The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리브(214)를 관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joint portion 216 and the second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The first joint portion 216 and the second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보다 높게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econd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에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조립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와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를 관통하여 조립된다. The second
상기 제 1 조인트부(216)는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조립된다. The first joint part 216 is assembled with a 1-1
상기 제 1 조인트부(216)와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 조인트부(216)를 관통하고, 서로 조립된다. The first joint part 216 and the 1-1
탑뷰로 볼 때, 상기 구동링크(250)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상기 조인트리브(214) 및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배치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driv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간격 보다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의 간격이 더 좁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joint portion 216 and the second
<제 2 베인의 구성><Composition of the second vane>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베인바디(222)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리브(224)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축(221)을 포함한다. The
상기 조인트리브(224)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을 제 3 조인트부(226)라 정의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조인트부(226)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리브(224)를 관통한다. 상기 제 3 조인트부(226)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joint part 22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and passes through the
제 1 베인의 조인트리브(214)와 제 2 베인의 조인트리브(224)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베인의 조인트를 제 1 조인트리브(214)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인의 조인트를 제 2 조인트리브(224)라 정의한다.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조인트리브(224)를 중심으로 상대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도 상대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조인트리브(224) 및 제 2 베인축(221) 각각에서 상대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축(22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일정한 궤도로 움직인다.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second
상기 제 2 베인바디(22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 2 베인바디(22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된다. The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2)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at least a portion of the
이는 상기 제 2 베인(220)이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전방 측 단은 상기 제 1 조인트부(214)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전방측 길이는 상기 제 1 조인트부(214) 사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This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hen the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제 2 베인링크(260)와의 조립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The second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조인트부(226)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가 상대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The second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일측의 제 2 베인축(221)은 일측에 배치된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타측의 제 2 베인축(221)은 타측에 배치된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된다. The
상기 모듈바디(400)에는 상기 제 2 베인축(22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결합부(41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결합부(411)는 상기 모듈바디(400)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A second
상기 제 2 베인축(221)은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 전방으로 제 2 베인링크(26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결합부(411) 전방으로 구동링크결합부(407),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In addition, a driving
<베인모듈 및 흡입그릴의 배치><Arrangement of vane module and suction grill>
도 1 내지 4 및,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베인모듈의 결합구조 및 분리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FIGS. 15 to 17, the coupling structure and separation structure of the vane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의 상태에서 흡입그릴(320)을 분리하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베인모듈(200)이 노출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When the
상기 흡입그릴(320)은 다양한 방법으로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상기 흡입그릴(320)는 한쪽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반대쪽이 분리되어 회전되는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에 상호걸림된 상태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흡입그릴(200)은 자기력에 의해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엘리베이터(5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고, 이를 통해 상기 흡입그릴(3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복수개 배치되고, 각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양측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A plurality of elevators 500 are arranged, and each elevator 500 simultaneously moves both sides of the
상기 흡입그릴(32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흡입그릴(320)의해 가려져 있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노출된다.When the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실내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1 베인(210)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실내기가 작동되어 토출공기가 배출될 때는 상기 제 2 베인(220)이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only the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 중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흡입그릴(320)에 가려진다. When the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각각 체결홀(403)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각 체결홀(403)은 상기 흡입그릴(320)에 가려져 사용자에게 은닉된다. Since the fastening holes 403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구성하는 상기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And since the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형성된 체결홀(403)들이 노출되는 것도 차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체결홀(403)의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홀(403)은 상기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은닉된다.The grill corner part 327 also blocks exposure of the fastening holes 403 formed in th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의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제 4 그릴코너부(327-4)를 포함한다. In more detail, the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 제 1 베인모듈(201)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 제 2 베인모듈(202)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 제 3 베인모듈(203) 및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 제 4 베인모듈(204)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2 베인모듈(202)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1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2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The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3)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2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3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The first module body and the second module bod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ane module 202 and the third vane module 203 are located above the second grill corner part 327-2, and the second grill It is hidden by the corner part 327-2. Specifically, the second module body of the second vane module and the first module body of the third vane module are disposed above the second grill corner part.
상기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3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4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The first module body and the second module body disposed between the third vane module 203 and the fourth vane module 204 are located above the third grill corner part 327-3, and the third grille It is hidden by the corner part 327-3. Specifically, the second module body of the third vane module and the first module body of the fourth vane module are disposed above the third grill corner part.
상기 제 4 베인모듈(204) 및 제 1 베인모듈(201)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1)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4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1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The first module body and the second module body disposed between the fourth vane module 204 and the first vane module 201 are located above the fourth grill corner part 327-4, and the fourth grille It is hidden by the corner part 327-1. Specifically, a second module body of the fourth vane module and a first module body of the first vane module are disposed above the fourth grill corner part.
도 15를 참조하면, 12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1 베인모듈(201)로 정의하고, 3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2 베인모듈(202)로 정의하고, 6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3 베인모듈(203)로 정의하고, 9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4 베인모듈(204)로 정의한다. Referring to FIG. 15, the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The first vane module 201, the second vane module 202, the third vane module 203, and the fourth vane module 204 are spaced a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C of the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first vane module 201 and the third vane module 203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second vane module 202 and the fourth vane module 204 are arranged in parallel.
상기 프론트바디(310)에는 4개의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1 사이드커버(314-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2 사이드커버(314-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베인모듈(203)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3 사이드커버(314-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베인모듈(204)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4 사이드커버(314-4)로 정의한다. Four side covers 314 are disposed on the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되고, 각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다. Each
그리고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2 베인모듈(202)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1 코너커버(316-1)로 정의한다.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3)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2 코너커버(316-2)로 정의한다.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3 코너커버(316-3)로 정의한다. 제 4 베인모듈(204) 및 제 1 베인모듈(201)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4 코너커버(316-4)로 정의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커버(314-1) 및 제 2 사이드커버(314-2)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The first corner cover (316-1) is assembled at the edge of the front frame (312), is located under the front frame (312), the first side cover (314-1) and the second side cover It is located between (314-2) an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사이드커버(314-2) 및 제 3 사이드커버(314-3)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The second corner cover (316-2) is assembled at the edge of the front frame (312), is located under the front frame (312), the second side cover (314-2) and the third side cover It is located between (314-3) an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사이드커버(314-1) 및 제 4 사이드커버(314-4)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The third corner cover (316-3) is assembled at the edge of the front frame (312), is located under the front frame (312), the third side cover (314-1) and the fourth side cover It is located between (314-4) an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사이드커버(314-1) 및 제 1 사이드커버(314-1)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The fourth corner cover (316-4) is assembled at the corner of the front frame (312), is located under the front frame (312), the fourth side cover (314-1) and the first side cover It is located between (314-1) and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first corner cover 316-1 and the third corner cover 316-3 are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C of the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대각선을 P1 및 P2로 정의한다. 상기 P1은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고, 상기 P2는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다.Virtual diagonal lin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상기 흡입패널(320)에는 모서리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가 배치된다. The
상기 그릴코너부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다. Based on the grill corner portions, the first vane module 201 is disposed outside each edge of the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다. The second vane module 202 is disposed outside each edge of the suction grill,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grill corner part 327-2 and the third grill corner part 327-3.
상기 제 3 베인모듈(203)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다. The third vane module 203 is disposed outside each edge of the suction grill, and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grill corner part 327-3 and the fourth grill corner part 327-4.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은 및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다. The fourth vane module 204 is disposed outside each edge of the suction grill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 grill corner part 327-4 and the first grill corner part 327-1.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The first grill corner part 327-1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first corner cover 316-1, and forms a surface continuous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cover 316-1.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의 그릴 코너보더(326)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대향되고,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The
나머지 그릴코너부(327)의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코너커버(316)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도 각각 대향되고, 각각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The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코너커버(316) 내측(구체적으로 프론트패널의 중심(C) 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가상의 대각선(P1, P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2)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1)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 3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2)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3 베인모듈(203)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1)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은닉한다. 즉,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경우,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은 흡입그릴(320)에 가려져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Meanwhile, the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이 숨겨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은 흡입그릴(320)에 형성된 체결홀(403)들도 사용자에게 숨겨지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상기 흡입그릴(320)은 각 코너커버(316)들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4개의 그릴코너부(327)가 형성된다.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각 코너커버(316)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3 그릴코너부(327-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4 그릴코너부(327-4)로 정의한다. A grill corner portion 327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rner cover 316-1 is defined as a first grill corner portion 327-1, and disposed to face the second corner cover 316-2 The grilled corner portion 327 is defined as the first grill corner portion 327-2, and the grill corner portion 327 disposed to face the third corner cover 316-3 is referred to as a third grill corner portion ( 327-3), and a grill corner portion 327 disposed to face the fourth corner cover 316-4 is defined as a fourth grill corner portion 327-4.
바텀뷰로 볼 때, 복수개의 모듈바디(400)들은 그릴코너부(327)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When viewed from the bottom view, the plurality of module bodies 400 are positioned above the grill corner portion 327 and are hidden by the grill corner portion 327.
특히,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In particular, the
마찬가지로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코너보더(326)는 제 1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Similarly,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배치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영구자석(318) 또는 자기력고정부(328)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상기 자기력고정부(328) 또는 영구자석(318)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Any one of a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흡입그릴(320)의 각 모서리 바깥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320)과 프론트바디(310)의 이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상기 흡입그릴(320) 및 프론트바디(310)가 이격될 경우, 상기 흡입유로(103) 내부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구자석은 코너프레임(313)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영구자석(318)와 상호작용되어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배치된다. The magnetic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영구자석(318)에 근접될 경우, 상기 영구자석(318)이 상기 자기력고정부(328)을 끌어당겨 상기 흡입그릴(320)를 고정한다. 상기 영구자석(318)의 자기력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자중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흡입그릴(320)이 당겨지지 않을 경우,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의 결합은 해제된다. When the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가상의 대각선 P1 및 P2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은 코너커버(316) 내측에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or a bottom view, the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4개의 영구자석(318) 중 하나는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배치된다. 나머지 3개의 영구자석도 각 베인모듈들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배치된다. When viewed in a top view or a bottom view, one of the four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The
<베인모터의 작동에 따른 토출스텝><Discharge step according to operation of vane motor>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실내송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각 베인모듈(200)은, 도시된 것 처럼, 제 2 베인(220)이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 1 베인(210)이 토출구(102)를 커버한다. 상기 제 1 베인(210)의 하측면은 흡입그릴(320)의 하측면 및 사이드커버(314)의 하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when the indoor blower is not operated), each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1 베인(210)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은닉된 상태이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토출유로(104)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대부분을 커버한다.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since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베인(210)이 토출구(102)의 대부분만을 커버하지만, 설계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이 상기 토출구(210)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 2 베인(220)이 수납된 상태에서 실내송풍기가 작동되면, 상기 베인모터(230)가 작동되고,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 When the indoor blower is operated while the
상기 실내기가 정지되어 상기 베인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를 정지스텝 P0라고 정의한다.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the
<정지스텝 P0><Stop step P0>
정지스텝 P0 상태일 때, 베인모듈(200)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베인모듈(200)은 정지스텝 P0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stop step P0 state, the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베인모터(230)는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킨다. In the stop step P0 state, the
이때, 구동링크(240)를 구성하는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스토퍼(270)의 일측단(271)에 지지되고, 제 1 방향으로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구동링크(240)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스텝 P0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와 스토퍼(270)의 타측단(270b)이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상기 스토퍼(270)에 지지되고,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In order to prevent over-rotation of the driving
상기 구동링크(240)는 코어링크축(243)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은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driving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토출구(102)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210)의 하측면은 상기 흡입패널(320) 및 사이드커버(314)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조인트들(21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에 위치된다. In the stop step P0 state, the
그리고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위치된다. 상기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상기 제 1 베인(210)에 의해 가려지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즉,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를 커버하고, 상기 베인모듈(2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And in the stop step P0 state, the driving
정지스텝 P0 상태일때, 상기 구동링크(240)는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최대로 상승된 상태이다. In the stop step P0 state, the driving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1 베인(210)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은닉된 상태이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since the
정지스텝 P0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stop step P0,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xes form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each link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1 조인트리브(214) 상측에 위치된다. First, the first joint portion 216 and the second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의 사이에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에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역시 상기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 상측에 위치된다. And since the 2-1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바디(222) 하측에 위치된다. The first joint portion 216 and the second
상기 실내기가 정지중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 상측에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위치된다.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the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가 더 높게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2-1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는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부(26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 상측에 위치된다. The 2-2 vane
다음으로, 정지스텝 P0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in the stop step P0, the relativ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inks are as follows.
한편,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은 상단이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측에 위치되고, 하단이 공기의 토출방향 후방 측에 위치된다. 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전방 측에 위치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제 1-1 베인링크축(251)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기준으로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Specifically, the 1-2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전방 측에 위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부(261)은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을 기준으로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Similarly, the 2-2 vane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 방향과 교차된다. The first
<토출스텝 P1><Discharge step P1>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1을 제공한다. In the stop step P0 state, the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수평풍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the
상기 수평풍은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에 의해 안내되어 천장 또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In the horizontal wind, air discharged from the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When the discharged air flows in a horizontal wind, the flow distance of the air can be maximized.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상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토출공기를 하나의 베인처럼 연결되고, 토출공기를 안내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상기 베인모듈(200)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a) 보다 상측에 위치에 된다. When the
상기 제 2 베인(220)의 상측면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면 보다 높게 위치된다. An upp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토출공기의 유동방향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 2 베인(220)은 토출공기의 유동방향 후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이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에 근접 또는 접촉될 수 있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1)이 최소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b)은 상기 토출구(102)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낮게 위치된다. The rear end (222b)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rt (102), the front end (222a)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2), the first vane The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the
상기 전방측 단(222a) 및 후방측 단(212b)을 근접 또는 접촉시킴으로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사이로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By bringing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측 단(222a) 및 후방측 단(212b)을 밀착시키되 접촉시키지는 않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토출스텝 P1에서 베인모듈(200)이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연결되어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되기 때문에, 수평풍의 기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토출공기는 상기 제 2 베인(220)의 상면 및 제 1 베인(210)의 상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1개의 베인으로 수평풍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토출공기의 방향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And when the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에 비해 상기 제 2 베인(220)은 좀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When forming the horizontal wind, the
상기 수평풍의 경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102)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wind,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회동(스윙)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the
P0에서 P1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하측으로 하강되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When progressing from P0 to P1, the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회전(rotation)을 통해 제 1 베인(210)을 토출구(102)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 1 베인(210)을 대략 수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종래 실내기의 베인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제 1 베인(210)과 같은 배치를 구현할 수 없다. The
정지스텝 P0에서 상기 베인모터(230)가 구동링크(240)를 제 2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구동링크(240)에 결합된 제 2 베인링크(260)도 상기 구동링크(240)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When the
구체적으로 정지스텝 P0에서 토출스텝 P1으로 변경될 때, 상기 구동링크(2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링크(2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20)는 상대회전되면서 하강된다. Specifically, when the stop step P0 is changed to the discharge step P1, the driving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된다. Since the
상기 수평풍을 형성시키기 위해, 정지스텝 P0에서 토출스텝 P1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반대다. In order to form the horizontal wind, when changing from the stop step P0 to the discharge step P1,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상기 토출스텝 P1에서, 베인모터(230)는 73도(P1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13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1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52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1 기울기)를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the
토출스텝 P1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discharge step P1,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xes forming the rotation center of each link is as follows.
먼저, 상기 P0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First, unlike the P0, the second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낮게 위치된다. The 2-1
P1 상태에서,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되고, 배치방향은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하측을 향한다.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축(221), 제 2-1 베인링크축(261),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일렬로 배치된다. In the P1 state, the third joint portion 226, the secon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hird joint portion 226, the second
더불어 상기 제 2 베인축(221)도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베인축(221)이 상기 제 3 조인트부(226)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In addition, as for the
상기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수평풍을 제공한다. 상기 수평풍은 공기의 토출방향이 정확하게 수평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상기 수평풍은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하나의 베인처럼 연결되고,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연결을 통해 토출공기를 수평방향으로 가장 멀리 유동시키는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In the P1 state, the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1)이 최소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a distance S1 between the
상기 수평풍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210)으로 안내된다. P1 상태를 통해,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the horizontal wind, the air guided by the
상기 토출유로(10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흡입구(101)와 가까운 제 2 베인(220)의 경사가 상기 제 1 베인(210)의 경사보다 가파르게 형성된다. Since the
그리고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하측에 위치된다. And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1, the 1-1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의 하측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the 2-1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 구동링크축(242) 및 코어링크축(243)의 하측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the first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은 그 사이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joint part 226 is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the first joint part 216 is located at the lowest side, and the second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 사이에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가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 사이에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the first joint part 216 and the second
그리고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And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1, the first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해,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후방 측 단(222b)은 토출구(102) 상측에 위치된다. Due to this arrangement,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1, the
다음으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1, the relativ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inks are as follows.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방향을 D-D'라 정의한다. 제 1 베인링크(250)의 길이방향을 L1-L1'이라 정의한다. 제 2 베인링크(260)의 길이 방향을 L2-L2'라 정의한다.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토출스텝 P1 상태일 때, 모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the
구체적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거의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도 거의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Specifically, L1-L1' of the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수평풍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일부만 토출구(102) 밖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토출구(102) 밖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1 state, the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토출구(102)의 전방 측 가장자리(102a)보다 전방 측에 위치된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1, the
<토출스텝 P1에서의 회풍방지구조><Circulation prevention structure at discharge step P1>
상기 토출유로(104)는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배치된 어퍼토출유로(104-1)와,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토출유로(104-1)와 연통되고, 상기 어퍼토출유로(104-1) 하측에 위치되는 로어토출유로(104-2)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로어토출유로(104-2)는 프론트패널(300)의 토출구(102) 상측에 위치된다. 로어토출유로(104-2)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wer discharge passage 104-2 is located above the
본 실시예에서 로어토출유로(104-2)는, 공기 토출방향 전방 측에 위치되는 사이드커버(314), 공기 토출방향 후방 측에 위치되는 드레인팬(132), 공기토출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 1 모듈바디(310) 및 제 2 모듈바디(320)에 의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discharge passage 104-2 includes a
본 실시예와 달리 로어토출유로(104-2)를 제공하기 위해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전면, 후면, 양측면이 막히 별도의 부품이 설치되어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to provide the lower discharge passage 104-2, and separate parts are installed so that the front, rear, and both sides are blocked.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토출유로(104-2)를 제공하는 사이드커버(314)의 내측면, 드레인팬(132)의 외측면,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를 토출가이드(360)로 정의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ide of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사이드커버(314) 측을 전방, 드레인팬(132) 측을 후방, 제 1 모듈바디(410) 측을 좌측방향, 제 2 모듈바디(420) 측을 우측방향이라고 정의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그래서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내측면을 전면토출가이드(361), 드레인팬(132)의 외측면을 배면토출가이드(370), 링크설치부(404)의 내측면을 측면토출가이드(362)로 정의한다. So, the inner side of the
토출가이드(360)의 상측면 및 하측면을 개구된다. 토출가이드(360)의 상측면을 어퍼토출유로(104-1)와 연통된다. 토출가이드(360)의 하측면은 토출구(102)를 형성한다.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이드(360)는 각 토출구(102)마다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토출스텝 P1은 수평풍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 2 베인(220)의 저면(222c)과 배면토출가이드(370) 사이로 토출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Since the discharge step P1 provides horizontal wind, discharge air may be discharged between the
제 2 베인(220)의 저면(222c)과 배면토출가이드(370) 사이를 누설공간(LS)이라 정의한다. 상기 누설공간(LS)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적을 수록,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한다. The gap between the
토출공기는 중 일부는 누설공간(LS)의 상측을 통해 상기 누설공간(LS)에 진입하고, 상기 누설공간(LS)의 하측을 통해 토출된다. Some of the discharged air enters the leakage space L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leakage space L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leakage space LS.
상기 누설공간(LS)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흡입구(101)로 리턴되는 토출공기의 양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바로 흡입구(101)로 흡입되는 현상을 회풍이라 정의한다. When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leakage space LS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returned to the
상기 회풍이 발생되면, 회풍이 발생되는 흡입패널(320) 가장자리에 이슬맺힘이 발생된다. 상기 토출구(102)에 토출된 공기의 온도가 실내공기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회풍은 흡입패널(320) 가장자리의 온도는 낮추고, 이로 인해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When the ventilation is generated, dew condensation occurs on the edg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누설공간(LS)으로 유동되는 토출공기는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흡입구(101)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그릴 사이드보더(325) 사이의 간격(W)이 좁을수록 회풍이 발생될 수 있다. 회풍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격(W)을 넓히면 흡입구(101)의 면적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In this way, the discharged air flowing into the leakage space LS causes various problems. Particularly, as the distance W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가이드(360)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토출가이드(360)에서 흡입구(101) 측에 배치된 배면토출가이드(370)의 구조를 개선하여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배면토출가이드(370)는, 토출구(102) 및 흡입구(101)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버티컬가이드바디(372)와, 상기 버티컬가이드바디(37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버티컬가이드바디(372)의 하측에서 제 2 베인(22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토출구(102)를 형성하는 로어가이드바디(374)를 포함한다. The
상기 버티컬가이드바디(372) 및 로어가이드바디(374)에서 상기 토출유로(104)에 노출되는 면을 가이드면(375)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면(375)은 상기 드레인팬(132)의 토출유로 측 측면일 수 있다. A surface of the
가이드면(375)은, 상기 버티컬가이드바디(37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면(375a), 제 2 가이드면(375b) 및 제 3 가이드면(375c)과, 상기 로어가이드바디(374)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 4 가이드면(375d)를 포함한다. The
제 1 가이드면(375a)이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제 2 가이드면(375b)가 제 1 가이드면(375a) 하측에 위치되고, 제 3 가이드면(375c)가 제 2 가이드면(375b) 하측에 위치되며, 제 4 가이드면(375d)가 제 3 가이드면(375c) 하측에 위치된다. The
제 1 가이드면(375a)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 2 베인(220)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제 1 가이드면(375a)은 로어토출유로(104-2)를 형성한다.The
제 3 가이드면(375c)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 3 가이드면(375c) 중 적어도 일부는 제 2 베인(220)과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제 3 가이드면(375c) 및 제 2 베인(220)의 저면(222c) 사이에 누설공간(LS)이 위치된다. The
제 3 가이드면(375c)은 제 1 가이드면(375a) 보다 더 흡입구(101) 측에 위치된다. 즉, 측단면으로 볼 때, 제 1 가이드면(375a) 및 제 3 가이드면(375c)은 수평방향으로 확장깊이(T)를 형성한다. The
상기 확장깊이(T)는 상기 누설공간(LS)의 단면적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The expansion depth T has an effect of expand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kage space LS.
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 3 가이드면(375c)의 상측단(376a)은 제 2 베인축(221) 보다 높게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제 2 가이드면(375b)은 제 1 가이드면(375a)의 하단과 제 3 가이드면(375c)의 상단(376a)을 연결한다. 제 2 가이드면(375b)은 완만한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면(375b)의 상단은 토출유로(104)를 향하고, 하단은 흡입구(101)를 향하게 배치된다. The
제 4 가이드면(375d)은 제 3 가이드면(375b)의 하단(376b)과 연결된다. 제 4 가이드면(375d)은 토출구(102)를 향하는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제 4 가이드면(375d)의 하단(376c)에 단(376)이 형성된다. 상기 단(376)은 제 4 가이드면(375d) 하단(376c)에서 토출구(102)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An
제 4 가이드면(375d)의 하단(376c)은 제 1 가이드면(375a) 보다 제 2 베인(220) 측으로 더 돌출된다.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가이드면(375a)의 연장선은 상기 제 4 가이드면(375d)과 교차된다. The
확장깊이(T)만큼 상기 흡입유로(103) 측으로 함몰된 제 2 가이드면(376b), 제 3 가이드면(376c) 및 제 4 가이드면(375d)은 누설공간(LS)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The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c)은 상기 함몰된 확장깊이(T)의 높이에 위치된다.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a) 및 토출가이드(37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단(376c) 및 제 2 베인의 저면(222c)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누설공간(LS)의 단면을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설공간(LS)의 입구(LS1) 면적이 가장 넓고, 출구(LS2) 면적이 가장 좁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leakage space LS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he area of the inlet LS1 of the leakage space LS is the widest, and the area of the outlet LS2 is the narrowest.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a) 및 토출가이드(구체적으로,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단(구체적으로 제 4 가이드면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222c)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다.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이와 같이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누설공간(LS)의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토출공기가 누설공간(LS)으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갈 수록 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압력이 증가한다. In this way, by forming the area of the leakage space LS to be narrowed in the air flow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charged air from entering the leakage space LS. Since the area becomes narrower as the air flow direction increases, the pressure increases.
상기 누설공간(LS)의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입구(LS1)의 압력보다 출구(LS2)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By graduall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kage space LS, the pressure of the outlet LS2 can be increased rather than the pressure of the inlet LS1.
토출스텝 P1 내지 P6 중에서, 토출스텝 P1일 때, 상기 누설공간(LS)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상기 누설공간 출구(LS2)의 단면적도 가장 넓게 형성된다. Among the discharge steps P1 to P6, in the discharge step P1, the leakage space LS is formed the larges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kage space outlet LS2 is also formed the largest.
토출스텝 P1에서, 누설공간(LS)의 상하 방향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함으로써,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토출스텝 P2 내지 P6에서는 제 2 베인(220)이 배면토출가이드(370) 측으로 더 근접되기 때문에, 상기 누설공간(LS)으로 진입하는 공기는 더 적어진다. In the discharge step P1,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akage space LS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thereby minimizing the ventilation. In the discharge steps P2 to P6, since the
<토출스텝 P2><Discharge step P2>
토출스텝 P1의 수평풍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2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horizontal wind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1, the driving
상기 베인모듈이 P2 내지 P5 중 어느 하나의 토출스텝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같거나 낮게 위치된다. When the vane module provides any one of the discharge steps P2 to P5, the
그리고 상기 베인모듈이 P2 내지 P5 중 어느 하나의 토출스텝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구동링크축(241)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D-D')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상기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형성하는 사이각은 예각으로 형성된다. And when the vane module provides any one of the discharge steps of P2 to P5, a clock for a virtual straight line (D-D') connecting the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사풍은 수평풍과 수직풍 사이의 토출단계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풍은 P2, P3, P4, P5 단계를 의미한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2, the
상기 경사풍은 토출스텝 P1 단계의 수평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2는 P1에서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The inclined wind discharges air below the horizontal wind in the discharge step P1. The discharge step P2 is adjusted so that both the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2)은 토출스텝 P1 상태에서의 간격(S1)보다 넓게 형성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2, the distance S2 between the
즉, 토출스텝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1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That is, when the discharge step P1 to P2 proceeds, the distance between the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상승된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discharge step P2, the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과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유사한 높이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2 state, the
토출스텝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회동(스윙)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P2, the
특히,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좀더 전진하고,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좀더 회동된다. In particular, when progressing from P1 to P2, the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회전에 의해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좀더 회전된다. Since the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2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The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반대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discharge step P2,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상기 토출스텝 P2에서, 베인모터(230)는 78도(P2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16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2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56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2 기울기)를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2, the
토출스텝 P2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discharge step P2,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xes forming the rotation center of each link is as follows.
상기 P1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Similar to the P1, in the discharge step P2, the second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third joint part 226 of the
P2 상태에서,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In the P2 stat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토출스텝 P2을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전방으로 좀 더 이동된다. 즉, 제 2 베인(220)과 제 1 베인(210)의 간격은 좀 더 벌어진다. Based on the discharge step P2, the third joint part 226 is further moved downward, and the first joint part 216 and the second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구동링크(240)의 배치되는 토출스텝 P1과 유사하다. In the discharge step P2 state, it is similar to the discharge step P1 in which the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 구동링크축(242) 및 코어링크축(243)의 하측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2 state, the 1-1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2 베인축(221)이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제 3 조인트부(226)가 제 2 베인축(221) 하측에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3 조인트부(226)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조인트부(216)가 제 2 조인트부(217) 하측에 위치된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2, the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2, the second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후방 측 단(222b)은 토출구(102) 상측에 위치된다. Based on the
그래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So,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2, the first
다음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2, the relativ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inks are as follows.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대략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특히,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2 state, the
구체적으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Specifically,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2, L1-L1' of the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전방측 단(222a)만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2 state, the entire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로 변경될 때,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토출구(102)의 전방 측 가장자리(102a)보다 좀 더 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discharge step P2, the
<토출스텝 P3><Discharge step P3>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3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discharge step P2 state, the driving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2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the
상기 토출스텝 P3의 경사풍은 P2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3는 P2에서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The inclined wind in the discharge step P3 discharges air downward than the inclined wind in the step P2. The discharge step P3 is adjusted so that both the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3)은 토출스텝 P2 상태에서의 간격(S2)보다 넓게 이격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3, the distance S3 between the
즉,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2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That is,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P3, the distance between the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the discharge step P3, the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3 state, the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회동(스윙)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P3, the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1 베인(210)은 거의 제자리에 위치되고,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P3, the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토출방향으로 전진되는 대신 제자리에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P3, the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P3, the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the discharge step P3,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상기 토출스텝 P3에서, 베인모터(230)는 95도(P3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29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3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67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3 기울기)를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3, the
토출스텝 P3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discharge step P3,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xes forming the rotation center of each link is as follows.
상기 P2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Similar to the P2, in the discharge step P3, the second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third joint part 226 of the
토출스텝 P3을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조금 더 이동된다. 토출스텝 P3을 기준으로,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제 2 방향 회전에 의해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상측으로 상승된다. Based on the discharge step P3, the third joint part 226 is moved slightly further downward. Based on the discharge step P3, the first joint part 216 and the second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가 제 1 베인링크(250)의 길이 보다 짧기 때문에, 제 2 조인트부(217)의 상측 높이가 더 크다.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2 상태와 유사하다. In the discharge step P3 state, the arrangement of the axes in the
다만,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However, the driving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되어 상하방향에 대해 유사한 높이로 형성된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the first
토출스텝 P2에서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는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더 멀어진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the P3 state, the second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In the discharge step P3 state, the 2-2 vane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2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the 2-1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2와 유사하다. Based on the
그래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및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So,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the first
다음으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the relativ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inks are as follows.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3 state, the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는 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3 state, the first
구체적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Specifically,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2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L1-L1' of the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로 변경될 때,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해 좀 더 수직하게 회동 또는 회전된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2 to the discharge step P3, both the
<토출스텝 P4><Discharge step P4>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4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discharge step P3 state, the driving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3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4의 경사풍은 P3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the
토출스텝 P4는 토출스텝 P3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The discharge step P4 is adjusted so that both the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4)은 토출스텝 P3 상태에서의 간격(S3)보다 넓게 이격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4, the distance (S4) between the front end (222a) of the second vane (220) and the rear end (212b) of the first vane (210) (S3)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More widely spaced.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3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When the discharge step proceeds from P3 to P4, the distance between the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the discharge step P4, the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3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3보다 높게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4, the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P4, the
즉,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이동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움직임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That is,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P4, the movement of the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P4, the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P4, the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the discharge step P4,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the discharge step P4, the 1-1
상기 토출스텝 P4에서, 베인모터(230)는 100도(P4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35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4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0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4 기울기)를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4, the
토출스텝 P4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discharge step P4,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xes forming the rotation center of each link is as follows.
상기 P3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Similar to the P3, in the discharge step P4, the second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third joint part 226 of the
토출스텝 P4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된다. 토출스텝 P4을 기준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제 2 방향(반시계방향)으로 약간 상승하거나 거의 제자리에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Based on the discharge step P4, the third joint part 226 is further moved downward. Based on the discharge step P4, the first joint part 216 of the
토출스텝 P4 이상으로 제 1 베인(210)이 회전되면, 상기 제 1 베인(210)은 지금까지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1 부터 토출스텝 P4 까지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 회전된다.When the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3 상태와 유사하다. 다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방향과,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된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the arrangement of the axes in the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The driving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되어,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4 state, the first
토출스텝 P3에서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되고,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직선의 형태이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the P4 state, the second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4 state, the 2-2 vane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된다. Whe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the 2-1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3과 유사하다. Positions of the
다음으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the relativ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inks are as follows.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3 to the discharge step P4,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링크(250)을 움직임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링크(250), 제 1 베인(210),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결합관계를 통해, 제 1 베인링크(250)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separate configuratio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는 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4 state,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B-B'라 정의한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3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L1-L1' of the
토출스텝 P4에서, D-D'과 B-B'은 직선으로 연결되고, 1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In discharge step P4, D-D' and B-B'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forming an angle of 180 degrees.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3까지 D-D' 및 B-B'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스텝 P4에서 1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스텝 P5 및 P6에서는 180도 이상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From discharge step P1 to discharge step P3, DD' and B-B' form an angle within 180 degrees, and form an angle of 180 degrees from discharge step P4, and at least 180 degrees from discharge steps P5 and P6. To form.
<토출스텝 P5><Discharge step P5>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5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discharge step P4 state, the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4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5의 경사풍은 토출스텝 P4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the
토출스텝 P5는 토출스텝 P4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조금 더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The discharge step P5 is adjusted so that both the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5)은 토출스텝 P4 상태에서의 간격(S4)보다 넓게 이격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5, the distance S5 between the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4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When the discharge step proceeds from P4 to P5, the distance between the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the discharge step P5, the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4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4보다 높게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5, the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P5, the
즉,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이동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That is,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P5, the movement of the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P5, the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ing step P4 to P5, the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the discharge step P5,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the discharge step P5, the 1-1
상기 토출스텝 P5에서, 베인모터(230)는 105도(P5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44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5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2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5 기울기)를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5, the
토출스텝 P5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discharge step P5,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xes forming the rotation center of each link is as follows.
상기 토출스텝 P4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Similar to the discharge step P4, in the discharge step P5, the second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third joint part 226 of the
토출스텝 P5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Based on the discharge step P5, the third joint part 226 is further moved downward, and the second
토출스텝 P5에서,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조인트부(216)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 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5, based on the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4 상태와 유사하다. In the discharge step P5 state, the arrangement of the axes in the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The driving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5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약간 더 높게 위치된다. Whe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the first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Whe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the second
토출스텝 P4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일렬로 배치되고, 토출스텝 P5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180도 이상의 둔각(D-D'를 기준으로)을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4, the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코어링크축(243),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3 조인트부(226)가 형성하는 사이각은 점점 증가된다.In the state of discharge step P5, the 2-2 vane
다만,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코어링크축(243),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3 조인트부(226)가 형성하는 사이각은 180도 이내로 형성된다. However,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discharge step P6, the angle between the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3 조인트부(226) 및 코어링크축(243) 사이에 위치된다. Whe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the 2-1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4과 유사하다. Based on the
다음으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the relativ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inks are as follows.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더 회전될 수 있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the discharge step P5, the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는 토출스텝 P4 상태와 유사하다. In the discharge step P5 stat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반대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회전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4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L1-L1' of the
토출스텝 P5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을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5, the angle between D-D' and B-B' forms an obtuse angle.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전방 측)으로 이동되지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 반대 측(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discharge step P4, the
그래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좀 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So,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6><Discharge step P6>
토출스텝 P6의 모듈베인(200) 상태를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풍으로 정의한다. The state of the
상기 수직풍은 모듈베인(200)을 구성하는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수직으로 배치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구(102)의 하측으로 토출된다는 의미이다. The vertical wind does not mean that the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6을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6에서, 토출공기는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은 최소화되고,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이 극대화된다. 상기 토출스텝 P6의 수직풍은 토출스텝 P5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In the state of discharging step P5, discharging step P6 may be formed by rotating the driving
토출스텝 P6는 토출스텝 P5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조금 더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The discharge step P6 is adjusted so that both the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b)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토출구 보다 높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낮게 위치된다. When providing the discharge step P6, the rear end (222b)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rt, the front end (222a)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ort, and the first The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구(102)를 향하게 배치된다. When providing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6)은 토출스텝 P5 상태에서의 간격(S5)보다 넓게 이격된다. In the discharging step P6, the distance (S6) between the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5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When the discharge step proceeds from P5 to P6, the distance between the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5 to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5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5보다 높게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5 to P6, the
즉,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되기 때문에,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That is,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5 to P6, the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5 to P6, the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5 to the discharge step P6,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상기 토출스텝 P6에서, 베인모터(230)는 110도(P5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56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6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4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6 기울기)를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6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discharge step P6,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xes forming the rotation center of each link is as follows.
상기 토출스텝 P5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Similar to the discharge step P5, in the discharge step P6, the second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third joint part 226 of the
토출스텝 P6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Based on the discharge step P6, the third joint part 226 is further moved downward, and the second
토출스텝 P6에서,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조인트부(216)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 측으로 조금 더 돌출되어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6, based on the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5 상태와 유사하다. In the state of discharge step P6, the arrangement of the axes in the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The driving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코어링크축(243)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6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상기 토출구의 전방측 가장자리(102a)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When providing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6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더 높게 위치된다. Whe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6, the first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낮게 위치된다. When providing the discharge step P6, the 2-2 vane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5 to the discharge step P6, the second
측면에서 볼 때, 토출스텝 P6에서, 제 2 조인트부(217)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겹쳐질 수 있다.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겹쳐지는 위치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제 1 베인(210)을 보다 수직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As viewed from the side, in the discharge step P6,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다만, 토출스텝 P6에서, 제 2 조인트부(217)는 L1-L1'을 넘어 전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 보다 전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제 2 조인트부(217)가 과도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 베인모터를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in the discharge step P6, the second
이와 같이 구동링크(240)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스텝 P6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와 스토퍼(270)의 일측단(270a)이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상기 스토퍼(270)에 지지되고,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In this way, in order to prevent over-rotation of the driving
토출스텝 P6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180도 이상의 둔각(D-D'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형성한다. In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changing from the discharge step P5 to the discharge step P6, the 1-1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코어링크축(243) 하측에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이 위치되고,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하측에 제 2 조인트부(217)가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 하측에 제 3 조인트부(226)가 위치되고, 제 3 조인트부(226) 하측에 제 1 조인트부(216)가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6 state, the 2-2 vane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3 조인트부(226) 및 코어링크축(243) 사이에 위치된다. Whe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6, the 2-1
다음으로,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i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6, the relativ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inks are as follows.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더 회전될 수 있다.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discharge step P5 to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는 토출스텝 P5 상태와 유사하다. In the discharge step P6 stat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가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보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전방에 위치된다. When providing the discharge step P6, the 2-1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5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discharge step P6, L1-L1' of the
토출스텝 P6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은 토출스텝 P5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 보다 크다. In the discharge step P6, the obtuse angle between D-D' and B-B' is greater than the obtuse angle in the discharge step P5, D-D' and B-B'.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discharge step P4, the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2 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discharge step P4, the
그래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승된다. 그러나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하강된다. 즉, 토출스텝 P4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움직임이 달라진다. So,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1 to the discharge step P4, the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을 보다 수직게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6 상태일 때,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코어링크축(243)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When proceeding from the discharge step P4 to the discharge step P6, the
토출스텝 P6에서 베인모듈(200)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최대로 이격된다. When the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2 조인트부(217) 또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 1 베인링크(250)와 오버랩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6,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2 조인트부(217) 또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 선상 또는 후방에 위치된다. In the discharge step P6,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구(102) 내측에 위치되고, 사이드커버(314)의 외측면 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이 토출구(102)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구(102)의 공기를 보다 수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In the discharge step P6,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프론트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200 : 베인모듈
210 : 제 1 베인 212a :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
212b :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
216 : 제 1 조인트부 217 : 제 2 조인트부
220 : 제 2 베인 222a :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
222b :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226 : 제 3 조인트부 230 : 베인모터
240 : 구동링크 241 : 제 1 구동링크축
242 : 제 2 구동링크축 243 : 코어링크축
245 : 구동링크바디 246 : 제 1 구동링크바디
247 : 제 2 구동링크바디 248 : 코어바디
250 : 제 1 베인링크 260: 제 2 베인링크
251 : 제 1-1 베인링크축 252 : 제 1-2 베인링크축
261 : 제 2-1 베인링크축 262 : 제 2-2 베인링크축
300 : 프론트패널 310 : 프론트바디
320 : 흡입그릴 330 : 프리필터
400 : 모듈바디 410 : 제 1 모듈바디
420 : 제 2 모듈바디 500 : 엘리베이터100: case 101: inlet
102: discharge port 103: suction passage
104: discharge passage 110: case housing
120: front panel 130: indoor heat exchanger
140: indoor ventilation fan 200: vane module
210:
212b: rear end of the first vane
216: first joint portion 217: second joint portion
220:
222b: rear end of the second vane
226: third joint 230: vane motor
240: drive link 241: first drive link shaft
242: second drive link shaft 243: core link shaft
245: driving link body 246: first driving link body
247: second drive link body 248: core body
250: first vane link 260: second vane link
251: 1-1 vane link shaft 252: 1-2 vane link shaft
261: 2-1 vane link shaft 262: 2-2 vane link shaft
300: front panel 310: front body
320: suction grill 330: pre-filter
400: module body 410: first module body
420: second module body 500: elevator
Claims (15)
상기 프론트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로어토출유로;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베인;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거리(LS1)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거리(LS2) 보다 길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 front panel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toward the lower side;
A lower discharge passage formed on the front panel,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port,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van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assembled to the front panel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assembled to the front panel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and disposed behi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n a discharge direction;
Includes; a discharge guid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ing a part of the lower discharge pass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LS1)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is longer than the distance (LS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vane. Indoor unit.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unit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a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a discharge guide is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로어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상기 흡입구 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에서 상기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함몰된 부분에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guide forms the lower discharge passage,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suction port among the lower discharge passages, and is formed concavely from the lower discharge passage toward the suction port,
An indoor unit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is positioned in the recess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가이드면;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가이드면;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3 가이드면; 및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4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제 1 가이드면보다 상기 흡입구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 및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확장깊이(T)를 형성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guide,
A first guide surface exposed to the lower discharge passage and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A second guide surface exposed to the lower discharge passage, forming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first guide surface, and positioned under the first guide surface;
A third guide surface exposed to the lower discharge passage, forming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second guide surface, and positioned below the second guide surface; And
A fourth guide surface exposed to the lower discharge passage, forming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third guide surface, and positioned under the third guide surface; and
The third guide surface is disposed closer to the suction port side than the first guide surface,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herein the second and third guide surfaces form an expanded depth (T) concavely depressed toward the inlet.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높이에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The indoor unit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positioned at a height of the third guide surface at a rear end of the second van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3 가이드면에서 상기 제 4 가이드면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베인의 저면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단면적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hird guide surface to the fourth guide surface.
상기 제 1 가이드면 및 제 3 가이드면을 수직하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and third guide surfaces.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단은 상기 제 2 베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4 가이드면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end of the fourth guide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second vane, and the fourth guide surface has a smooth curved surface.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상기 프론트패널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상기 프론트패널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인모터와 결합되며, 상기 베인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에 전달하는 구동링크;
상기 프론트패널 및 제 1 베인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베인링크;
상기 구동링크 및 제 2 베인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베인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제 1 베인과 상대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구동링크바디; 및 상기 제 2 베인링크와 상대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구동링크바디;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ane motor assembled on the front panel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vanes;
A driving link assembled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front panel, coupled to the vane motor,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to the first and second vanes;
A first vane link assembled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front panel and the first vane;
The drive link and the second vane and a second vane link assembled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further comprises,
The driving link includes a first driving link body that is assemb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first vane; And a second driving link body assemb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second vane link.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베인바디; 상기 제 2 베인바디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조인트리브; 상기 제 2 베인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베인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인축은 상기 제 2 가이드면 하측에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vane,
A second vane body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A second joint rib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vane body and coupled to the second vane link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Includes; a pair of second vane shafts formed on the second vane bod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panel,
The second vane shaft is an indoor unit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ositioned below the second guide surface.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provide a discharge step P1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discharge steps,
A rear end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rt, a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ort, and a rear end of the first vane is a front side of the second vane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n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third guide surface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ourth gu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provide a discharge step P1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discharge steps,
A rear end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rt, a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ort, and a rear end of the first vane is a front side of the second vane Is located lower than the e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n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formed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third guide surface is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between a lower end of the fourth gu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저면 및 토출가이드 사이에 누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누설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누설공간의 평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9,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leak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ane and the discharge guide, and the flat sectional area of the leakage spac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eakage space. Indoor unit.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이 조립되는 케이스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드레인팬에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9,
It further includes; a case housing which is installed hanging from the ceiling of the room and the front panel is assembled,
An indoor heat exchanger disposed inside the case housing and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refrigerant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A drain pa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stor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further comprising,
The discharge guide is an indoor unit of a ceiling air conditioner formed on the drain pa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U2018330131A AU2018330131B2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PCT/KR2018/010449 WO2019050311A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114121 | 2017-09-06 | ||
KR1020170114121 | 2017-09-06 | ||
KR1020170121408 | 2017-09-20 | ||
KR20170121408 | 2017-09-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7348A KR20190027348A (en) | 2019-03-14 |
KR102201562B1 true KR102201562B1 (en) | 2021-01-12 |
Family
ID=6575971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6756A Active KR102201562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0180106320A Active KR102165467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0180106394A Active KR102165468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0180106647A Active KR102080512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0180106319A Active KR102078277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6320A Active KR102165467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0180106394A Active KR102165468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0180106647A Active KR102080512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0180106319A Active KR102078277B1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6) | EP3680571A4 (en) |
KR (5) | KR102201562B1 (en) |
CN (9) | CN111295554B (en) |
AU (8) | AU2018330129B2 (en) |
ES (2) | ES2974022T3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73781A (en) | 2023-11-20 | 2025-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23313A (en) * | 2019-11-18 | 2020-04-17 | 南通康净环保科技有限公司 | Filtering device for air return opening of central air-conditioning fan coil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KR102802810B1 (en) * | 2020-03-02 | 2025-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416909B1 (en) * | 2020-05-07 | 2022-07-04 | 이정민 | Multi-functional air purifier |
KR20210154030A (en) * | 2020-06-11 | 2021-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N116018481A (en) * | 2020-08-11 | 2023-04-25 | 三星电子株式会社 | ceiling air conditioner |
CN112066517B (en) * | 2020-09-18 | 2021-06-0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Fault detection method for transmission mechanism of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
KR20220065337A (en) | 2020-11-13 | 2022-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EP4350228A4 (en) * | 2021-06-07 | 2024-10-09 | Midea Group Co., Ltd.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CN115507439B (en) * | 2021-06-07 | 2025-05-27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CN116897263A (en) * | 2021-07-12 | 2023-10-17 | 三星电子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CN113719999B (en) * | 2021-09-03 | 2024-12-3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guide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KR102703422B1 (en) | 2021-09-28 | 2024-09-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KR20230055133A (en) | 2021-10-18 | 2023-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KR20230060193A (en) | 2021-10-27 | 2023-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KR20230060192A (en) | 2021-10-27 | 2023-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KR20230157731A (en) * | 2022-05-10 | 2023-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240124701A (en) | 2023-02-09 | 2024-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240124702A (en) | 2023-02-09 | 2024-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N116657966B (en) * | 2023-06-19 | 2024-01-12 | 广州澳企实验室技术股份有限公司 | High-precisio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icroelectronic hundred-grade clean laboratory |
KR102763461B1 (en) | 2024-08-06 | 2025-02-04 | 주식회사 안랩 |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for describing functionality of malicious function inherent in script based on generative ai and for improving quality of description on its own |
Family Cites Families (6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2447A (en) * | 1984-11-16 | 1986-06-10 | Sanyo Electric Co Ltd | Fluid deflecting device |
JPH01217148A (en) * | 1988-02-25 | 1989-08-30 | Sanyo Electric Co Ltd | Air direction varying device |
JPH035661A (en) * | 1989-05-31 | 1991-01-11 | Toshiba Corp | Air conditioner set in ceiling |
JP3069577B2 (en) * | 1990-10-01 | 2000-07-24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3293976B2 (en) * | 1993-09-17 | 2002-06-1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changing device |
JP3424779B2 (en) * | 1995-06-09 | 2003-07-07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JPH09145140A (en) * | 1995-11-24 | 1997-06-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N1164004A (en) * | 1996-03-21 | 1997-11-05 | 三星电子株式会社 |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for air conditioner |
JP3356257B2 (en) * | 1996-06-06 | 2002-12-16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Air conditioner |
JPH10132320A (en) * | 1996-11-01 | 1998-05-22 | Sanyo Electric Co Ltd | Air conditioner |
JP3302906B2 (en) * | 1997-07-15 | 2002-07-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KR100256413B1 (en) * | 1997-12-15 | 2000-05-15 | 윤종용 | Left and right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of air conditioner |
JPH11237112A (en) * | 1998-02-24 | 1999-08-31 | Fujitsu General Ltd | Air conditioner |
JP3885846B2 (en) * | 1998-04-17 | 2007-02-28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Air conditioner |
JP3440016B2 (en) * | 1999-02-25 | 2003-08-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3438684B2 (en) * | 1999-11-05 | 2003-08-1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
JP3624808B2 (en) * | 2000-08-11 | 2005-03-0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decorative panel, air outlet unit, and air conditioner |
JP3899459B2 (en) * | 2002-01-10 | 2007-03-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Recessed ceiling air conditioner |
KR100526207B1 (en) * | 2003-06-10 | 2005-1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direction control device of air conditioner |
JP3988081B2 (en) * | 2003-06-12 | 2007-10-10 | 豊田合成株式会社 |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
JP2005147436A (en) * | 2003-11-12 | 2005-06-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 conditioner |
JP4098704B2 (en) * | 2003-11-14 | 2008-06-11 | シャープ株式会社 | Wind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JP3700718B2 (en) * | 2003-11-27 | 2005-09-2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KR100679838B1 (en) | 2005-10-05 | 2007-0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eiling air conditioners |
KR20070044342A (en) * | 2005-10-24 | 2007-04-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ouver motor mounting structure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0678316B1 (en) * | 2006-01-19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70077642A (en) * | 2006-01-24 | 2007-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s and indoor units |
JP4720644B2 (en) * | 2006-06-26 | 2011-07-1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4430649B2 (en) * | 2006-10-20 | 2010-03-10 | 三星電子株式会社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JP2008122003A (en) * | 2006-11-14 | 2008-05-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ir conditioner |
JP4365432B2 (en) * | 2007-09-07 | 2009-11-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KR100907604B1 (en) * | 2007-11-09 | 2009-07-14 |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energy saving air conditioning system |
JP4561924B2 (en) * | 2008-07-18 | 2010-10-1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JP2010060223A (en) | 2008-09-04 | 2010-03-18 | Sharp Corp | Air conditioner |
KR101477814B1 (en) * | 2008-10-21 | 2014-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N101539315A (en) * | 2009-04-23 | 2009-09-23 |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operation mode thereof |
CN201672642U (en) * | 2010-04-27 | 2010-12-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guid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JP2013133963A (en) * | 2011-12-26 | 2013-07-08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JP5408227B2 (en) * | 2011-10-31 | 2014-02-0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
BR112013024707A2 (en) * | 2011-12-06 | 2016-12-20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JP2013124805A (en) * | 2011-12-14 | 2013-06-24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JP5720600B2 (en) * | 2012-02-10 | 2015-05-2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Indoor unit |
JP5745480B2 (en) * | 2012-09-12 | 2015-07-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5754429B2 (en) * | 2012-09-13 | 2015-07-2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
KR101312640B1 (en) * | 2013-06-14 | 2013-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N103322661B (en) * | 2013-06-20 | 2016-11-02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The control method of air outlet air guide structure, air-conditioner and air-conditioner |
KR20150041340A (en) * | 2013-10-08 | 2015-04-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
WO2015111281A1 (en) * | 2014-01-24 | 2015-07-30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KR101662377B1 (en) * | 2014-01-27 | 2016-10-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oiner |
KR102335152B1 (en) * | 2014-02-28 | 2021-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and blade unit applying the same |
CN203848467U (en) * | 2014-05-14 | 2014-09-24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Courtyard machine panel and courtyard machine |
KR102393966B1 (en) * | 2015-02-18 | 2022-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WO2016207946A1 (en) * | 2015-06-22 | 2016-12-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6498598B2 (en) * | 2015-12-21 | 2019-04-10 |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
JP6682901B2 (en) * | 2016-02-22 | 2020-04-1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
CN105571098A (en) * | 2016-02-23 | 2016-05-1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air outlet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
CN205878344U (en) * | 2016-06-29 | 2017-01-11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
KR20180037514A (en) * | 2016-10-04 | 2018-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air conditioner |
KR101833303B1 (en) * | 2016-12-24 | 2018-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
CN106678982B (en) * | 2017-02-16 | 2022-07-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outlet panel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CN107062399B (en) * | 2017-04-10 | 2019-05-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CN108224733B (en) * | 2018-03-06 | 2023-06-30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Gear set transmission mechanism of air conditioner |
-
2018
- 2018-09-06 AU AU2018330129A patent/AU2018330129B2/en active Active
- 2018-09-06 EP EP18854348.2A patent/EP3680571A4/en active Pending
- 2018-09-06 CN CN201880071876.1A patent/CN111295554B/en active Active
- 2018-09-06 ES ES18854349T patent/ES2974022T3/en active Active
- 2018-09-06 EP EP18854349.0A patent/EP3680572B1/en active Active
- 2018-09-06 EP EP23216196.8A patent/EP4332446A3/en active Pending
- 2018-09-06 KR KR1020180106756A patent/KR102201562B1/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1880071881.2A patent/CN111316045B/en active Active
- 2018-09-06 AU AU2018330131A patent/AU2018330131B2/en active Active
- 2018-09-06 KR KR1020180106320A patent/KR102165467B1/en active Active
- 2018-09-06 KR KR1020180106394A patent/KR102165468B1/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2111519577.XA patent/CN114165912B/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1880071848.XA patent/CN112204315B/en active Active
- 2018-09-06 AU AU2018327937A patent/AU2018327937B2/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2210475228.0A patent/CN114738986B/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2111182942.2A patent/CN113864870B/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2111045041.9A patent/CN113739400B/en active Active
- 2018-09-06 EP EP18854669.1A patent/EP3680573A4/en active Pending
- 2018-09-06 KR KR1020180106647A patent/KR102080512B1/en active Active
- 2018-09-06 AU AU2018330128A patent/AU2018330128B2/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1880071875.7A patent/CN111566413B/en active Active
- 2018-09-06 KR KR1020180106319A patent/KR102078277B1/en active Active
- 2018-09-06 AU AU2018330127A patent/AU2018330127B2/en active Active
- 2018-09-06 EP EP18854263.3A patent/EP3693676A4/en active Pending
- 2018-09-06 EP EP18853201.4A patent/EP3680570B1/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1880071874.2A patent/CN111295553B/en active Active
- 2018-09-06 ES ES18853201T patent/ES3030693T3/en active Active
-
2022
- 2022-05-04 AU AU2022202993A patent/AU2022202993B2/en active Active
- 2022-05-04 AU AU2022202992A patent/AU2022202992B2/en active Active
- 2022-09-05 AU AU2022228087A patent/AU2022228087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73781A (en) | 2023-11-20 | 2025-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1562B1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088828B1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639774B1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697590B1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802810B1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262738B1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