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959B1 -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3959B1 KR102183959B1 KR1020190049093A KR20190049093A KR102183959B1 KR 102183959 B1 KR102183959 B1 KR 102183959B1 KR 1020190049093 A KR1020190049093 A KR 1020190049093A KR 20190049093 A KR20190049093 A KR 20190049093A KR 102183959 B1 KR102183959 B1 KR 1021839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ard ring
- metal guard
- anode
- schottky barrier
- me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29/87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00—Diodes
- H10D8/60—Schottky-barrier diodes
-
- H01L29/435—
-
- H01L29/45—
-
- H01L29/47—
-
- H01L29/66143—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05—Source, drain, or gate electrodes for FETs comprising highly resistive materi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2—Electrodes ohmical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4—Electrodes comprising a Schottky barrier to a semiconducto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00—Diodes
- H10D8/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051—Manufacture or treatment of Schottky di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1—Gallium [Ga]
Landscapes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층의 표면에 금속가드링을 형성함으로써, 애노드 모서리에 집중된 전계를 분산하여 항복전압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가드링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에 이온주입 공정으로 가드링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공정비용이 크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종래에 이온주입 공정으로 가드링을 형성할 수 없었던 산화갈륨 재질 등에 대해서도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금속가드링의 간격 변화에 따른 항복전압을 금속가드링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에 대하여 항복전압이 인가된 조건에서 소자내부의 전계 및 포텐셜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금속가드링의 개수 변화에 따른 전류-전압 특성과 항복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에 대하여 항복전압이 인가된 조건에서 소자내부의 전계 및 포텐셜 분포를 금속가드링의 개수에 따라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금속가드링의 개수와 폭의 변화에 따른 항복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금속가드링이 5개인 경우에 금속가드링의 폭 변화에 따른 항복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항복전압이 인가된 조건에서 소자내부의 전계 및 포텐셜 분포를 금속가드링의 폭에 따라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와 비교예의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에 대한 정전류-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종래의 이온주입 방식의 가드링이 형성된 수직형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300: 캐소드 400: 애노드
500: 금속가드링 600: 보호막
700: 가드링
Claims (20)
- 산화갈륨 재질에 제1 도펀트로 도핑된 고농도층;
상기 고농도층 위에 형성되고, 산화갈륨 재질에 제1 도펀트로 도핑되되 상기 고농도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도핑농도가 낮은 전송층;
상기 고농도층의 하면에 오믹 접촉된 금속 재질의 캐소드; 및
상기 전송층의 상면 일부에 쇼트키 접촉하도록 형성된 금속 재질의 애노드를 포함하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전송층의 상면에 쇼트키 접촉된 금속 재질의 금속가드링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금속가드링은 상기 애노드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애노드를 둘러싸도록 위치된 것이고,
상기 금속가드링은 적어도 4개 이상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0.2 내지 0.8㎛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금속가드링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금속가드링 상호간에 이격된 거리가, 애노드에 가장 가까운 금속가드링과 애노드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 청구항 3에 있어서,
금속가드링 상호간에 이격된 거리가,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하는 금속가드링의 모서리로부터 확장되는 공핍영역의 범위 내에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다음 금속가드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 청구항 4에 있어서,
금속가드링의 모서리로부터 확장되는 공핍영역이 상기 전송층의 도핑농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애노드와 금속가드링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집중되는 전계의 크기가 반도체 소재의 임계항복전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가드링을 덮고 상기 애노드만 노출시키는 보호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 삭제
- 청구항 1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도펀트로 도핑된 기판을 준비하는 기판 준비 단계;
상기 기판의 상부에 제1 도펀트로 도핑되고 상대적으로 도핑농도가 낮은 전송층을 성장시키는 전송층 성장 단계;
상기 기판의 하면에 오믹 접촉된 금속 재질의 캐소드를 형성하는 캐소드 형성 단계; 및
상기 전송층의 상면 일부에 쇼트키 접촉하도록 금속 재질의 애노드를 형성하는 애노드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층의 상면에 쇼트키 접촉된 금속 재질의 금속가드링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금속가드링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가드링 형성 단계는, 상기 애노드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고, 상기 애노드를 둘러싸도록 금속가드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금속가드링 형성 단계가 상기 애노드 형성 단계에서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금속가드링 형성 단계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 복수의 금속가드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복수의 금속가드링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하며,
금속가드링 상호간에 이격된 거리가, 애노드에 가장 가까운 금속가드링과 애노드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금속가드링 상호간에 이격된 거리가,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하는 금속가드링의 모서리로부터 확장되는 공핍영역의 범위 내에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다음 금속가드링이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금속가드링의 모서리로부터 확장되는 공핍영역은 상기 전송층의 도핑농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애노드와 금속가드링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집중되는 전계의 크기가 반도체 소재의 임계항복전계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금속가드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금속가드링을 덮고 상기 애노드만 노출시키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5, 청구항 7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고전압 스위칭이 가능한 전력반도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093A KR102183959B1 (ko) | 2019-04-26 | 2019-04-26 |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093A KR102183959B1 (ko) | 2019-04-26 | 2019-04-26 |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5185A KR20200125185A (ko) | 2020-11-04 |
KR102183959B1 true KR102183959B1 (ko) | 2020-11-27 |
Family
ID=7357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9093A Active KR102183959B1 (ko) | 2019-04-26 | 2019-04-26 |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39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8828B1 (ko) * | 2022-12-02 | 2024-06-2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근적외선 감지용 포토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86246A (ja) * | 2017-04-27 | 2018-11-22 |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 Ga2O3系半導体素子 |
JP6455514B2 (ja) | 2014-06-18 | 2019-01-23 | 富士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3964A (ko) | 2008-04-29 | 2009-11-03 | 한국전기연구원 | 고전압 쇼트키장벽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KR20160099239A (ko) * | 2015-02-12 | 2016-08-22 |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 2deg 층을 구비하는 질화물계 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60121719A (ko) * | 2015-04-10 | 2016-10-20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계완화형 플로팅 메탈링을 가진 sic쇼트키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KR101872069B1 (ko) | 2015-05-22 | 2018-06-28 |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 플로팅 구조를 갖는 쇼트키 다이오드 |
-
2019
- 2019-04-26 KR KR1020190049093A patent/KR10218395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55514B2 (ja) | 2014-06-18 | 2019-01-23 | 富士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2018186246A (ja) * | 2017-04-27 | 2018-11-22 |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 Ga2O3系半導体素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5185A (ko) | 2020-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82594B2 (ja) | ゲート・トレンチと、埋め込まれた終端構造とを有するパワー半導体デバイス、及び、関連方法 | |
CN102084487B (zh) | 具有电流浪涌能力的结势垒肖特基二极管 | |
EP2710635B1 (en) | Sic devices with high blocking voltage terminated by a negative bevel | |
US20130140584A1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5554042B2 (ja) | ジャンクション・バリア・ショットキ・ダイオードに関する方法と、そのダイオー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JP5774205B2 (ja) | 半導体装置 | |
EP1905089B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 |
US20230307529A1 (en) | Support shield structures for trenched semiconductor devices | |
US10134920B2 (en) |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 |
US9761706B2 (en) | SiC trench transisto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 |
JP2004528728A5 (ko) | ||
EP4036986A1 (en) | Silicon carbide vertical conduction mosfet devi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
KR102183959B1 (ko) | 항복전압 특성이 개선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
CN111164759A (zh) | 具有高电流容量的馈线设计 | |
US9484415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94769B1 (ko) | 다중 에피 성장법으로 구현된 p 쉴드 구조의 전력 반도체 및 그 제조 방법 | |
EP4340034A1 (en) | Mps diode having a non-uniformly doped reg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230030549A1 (en) | Multi-Layer Hybrid Edge Termination for III-N Power Devices | |
JP2025036072A (ja) | ワイドバンドギャップ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 |
US9018685B2 (en) | Semiconductor structure for an electronic interruptor power switch | |
KR20170080318A (ko) | 탄화규소 에피 웨이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 |
KR20120058216A (ko) | 전력 반도체 소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