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8079B1 - 광확산판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광확산판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079B1
KR102178079B1 KR1020180155968A KR20180155968A KR102178079B1 KR 102178079 B1 KR102178079 B1 KR 102178079B1 KR 1020180155968 A KR1020180155968 A KR 1020180155968A KR 20180155968 A KR20180155968 A KR 20180155968A KR 102178079 B1 KR102178079 B1 KR 10217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usion
diffusion plate
less
light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492A (ko
Inventor
모토히코 오카베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0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의 광확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의 광확산판으로서, 수지 매트릭스와, 이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는 확산제를 갖고, 상기 수지 매트릭스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와 수평균 분자량 Mn의 비 Mw/Mn이 1.8 이상 3.2 이하이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3.0×104 이상 6.5×104 이하이다. 광확산판의 평균 두께가 0.1mm 이상 1.0mm 이하이면 된다.

Description

광확산판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LIGHT DIFFUSION PLATE AND DIRECT TYPE BACKLIGHT UNIT}
본 발명은 광확산판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용의 백라이트에는 LED가 사용되고 있다. LED를 사용한 백라이트의 방식으로서는 에지형 및 직하형의 2종류가 알려져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는 화면의 상하 또는 좌우에 LED를 직선적으로 배열 설치하는 것으로, 직하형 백라이트는 화면의 뒤쪽의 전체면에 LED를 2차원적으로 배열 설치하는 것이다. 에지형 백라이트는 화면의 뒤쪽에 LED를 배열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한편, 직하형 백라이트는 화면의 뒤쪽에 LED를 배열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만, 다수의 LED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휘도가 얻어진다.
종래, 직하형 백라이트는 대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채용되고 있었지만, LED의 소형화에 의해, 소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의 채용도 검토되고 있다. 소형이며 얇은 액정 표시 장치에 채용되는 직하형 백라이트는 박형화된 광확산판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박형화된 광확산판에는, 광확산성 및 투명성에 더하여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광확산판에는 형성 재료로서 폴리메타크릴스타이렌이나 폴리스타이렌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재료에 따라서는, 광확산판의 박형화에 있어서 충분한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형성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광확산판이 제안되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광확산판은 점도 평균 분자량이 12000 이상 15000 미만이며, 분자량 1000 미만의 저분자량 함유율이 2.5질량% 이하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 확산제를 첨가한 광확산판이며, 치수안정성, 광학 특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광확산판은 2mm 전후의 두께로 성형되는 것을 주안으로 하여 검토된 것이다. 그러나, 보다 얇은 광확산판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광확산판의 최적의 광학 특성 및 기계적 강도에 대해 더한층의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광확산판의 성형에 있어서, 형성 재료의 유동성의 확보를 위해 광확산판의 성형 온도가 불가피하게 높게 설정되는 경우, 광확산판의 내부에 미용해물, 변질물 등에 유래하는 결함이 발생하여, 광확산판의 광학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광확산판의 형성 재료를 용해한 상태에서 겔상 이물 제거 필터를 사용하여 이들 결함을 분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광확산판은 확산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결함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이들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광확산판의 형성 재료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
일본 특허공개 2007-179018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의 광확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발명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의 광확산판으로서 수지 매트릭스와, 이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는 확산제를 갖고, 상기 수지 매트릭스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와 수평균 분자량 Mn의 비 Mw/Mn이 1.8 이상 3.2 이하이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3.0×104 이상 6.5×104 이하이다.
당해 광확산판은 수지 매트릭스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가 상기 하한 이상이므로,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당해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가 상기 상한이하이며, 또한 Mw/Mn이 상기 하한 이상이므로, 높은 온도에서의 성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시에 있어서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성형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저분자량 성분은 성형시에 열화되기 쉽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고분자량 성분은 성형시에 미용해물로 되기 쉽다. 당해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Mn이 상기 상한 이하이므로, 저분자량 성분 및 고분자량 성분이 적다. 이 때문에, 당해 광확산판은 제조시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저분자량 성분 및 고분자량 성분에 유래하는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당해 광확산판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여기에서, 주성분이란 가장 함유량이 많은 성분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함유량이 50질량% 이상의 성분을 나타낸다.
당해 광확산판은 평균 두께가 0.1mm 이상 1.0mm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당해 광확산판은 얇게 성형되고 또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상기 수지 매트릭스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확산제의 함유량이 0.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확산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1.0㎛ 이상 7.0㎛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당해 광확산판은 적절한 확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당해 광확산판은 황색도가 12 이하이면 된다. 광확산판이 노랗게 되는 것은 성형시의 수지의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당해 광확산판은 황색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므로, 열화가 적은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 황색도란 JIS-K7373(2006)에 준거하여 계산되는 값을 나타내고, 평균 두께가 1.0mm의 광확산판에 대해 측색 색차계를 사용하여 3자극값(X, Y, Z)을 구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다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확산판을 구비한다.
당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상기 광확산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광확산판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광확산판]
당해 광확산판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의 광확산판으로, 두께가 대략 균일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광확산판은 수지 매트릭스와, 이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는 확산제를 가지고 있다. 당해 광확산판은 일방의 면으로부터의 입사광을 타방의 면으로 투과시킬 때, 이 투과광을 수지 매트릭스 중의 확산제에 의해 확산시킴으로써 출사광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당해 광확산판은 압출 성형품이면 되고, 예를 들면, 20인치 정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의 광확산판으로서 채용된다.
당해 광확산판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의 광확산판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당해 광확산판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0.1mm가 바람직하고, 0.2mm가 보다 바람직하고, 0.3m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당해 광확산판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0mm가 바람직하고, 0.9mm가 보다 바람직하고, 0.8mm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확산판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에 미치지 않으면, 당해 광확산판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가공시나 신뢰성 시험시 등에 있어서 갈라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당해 광확산판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당해 광확산판이 충분히 박형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당해 광확산판은 열화가 적은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광확산판은 투명 또는 백색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당해 광확산판의 황색도의 하한으로서는 0이 바람직하다. 한편, 당해 광확산판의 황색도의 상한으로서는 12가 바람직하고, 11.7이 보다 바람직하고, 11.5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확산판의 황색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당해 광확산판을 채용한 백라이트로부터의 출사광이 황색으로 되기 때문에, 액정 패널의 출력 화상이 황색으로 변색되어, 색채 재현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수지 매트릭스>
당해 광확산판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 매트릭스의 주성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분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서도, 투명성, 내충격성, 난연성, 치수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채용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매트릭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면 되고, 주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외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매트릭스에 대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함유량의 하한으로서는 90질량%가 바람직하고, 9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유량의 상한은 100질량%이어도 되지만, 이 상한으로서는 99질량%가 바람직하고, 9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에 미치지 않으면, 당해 광확산판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가공시나 신뢰성 시험시 등에 있어서 갈라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함유량이 바람직한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다른 수지를 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당해 광확산판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수지 매트릭스의 주성분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고, 제조시에 있어서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성형 온도를 선택 가능한 분자량이다.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의 하한은 3.0×104이며, 3.1×104이 바람직하고, 3.2×104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Mw의 상한은 6.5×104이며, 6.4×104이 바람직하고, 6.3×104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상기 하한에 미치지 않으면, 당해 광확산판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가공시나 신뢰성 시험시 등에 있어서 갈라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당해 광확산판의 제조시에 있어서 성형 온도를 높일 필요성이 생겨,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제조시에 있어서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 GPC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와 수평균 분자량 Mn과의 비 Mw/Mn의 하한은 1.8이며, 1.9가 바람직하고, 2.0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 Mw/Mn의 상한은 3.2이며, 3.1이 바람직하고, 3.0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 Mw/Mn이 상기 하한에 미치지 않으면, 당해 광확산판의 제조시에 있어서 성형 온도를 높일 필요성이 생겨,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비 Mw/Mn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저분자량 성분 및 고분자량 성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당해 광확산판의 제조시에 있어서 저분자량 성분 및 고분자량 성분에 유래하는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확산제>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는 확산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대략 구상의 입자이며, 수지 매트릭스 중의 투과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확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비드, 아크릴 비드 등의 유기 입자, 실리카 등의 무기 입자가 채용된다.
수지 매트릭스 100질량부에 대한 확산제의 함유량의 하한으로서는 0.2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3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유량의 상한으로서는 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8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7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에 미치지 않으면, 수지 매트릭스 중의 투과광이 균일하게 확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당해 광확산판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가공시나 신뢰성 시험시 등에 있어서 갈라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확산제의 평균 입자 직경의 하한으로서는 1.0㎛가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2.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확산제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으로서는 7.0㎛가 바람직하고, 6.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가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에 미치지 않으면, 충분한 확산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확산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수지 매트릭스 중의 투과광이 균일하게 확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광확산판의 제조 방법]
당해 광확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압출 성형 장치로 수지 재료와 확산제를 혼련함으로써 펠릿을 작성하는 컴파운드 공정과, 압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컴파운드 공정 후의 펠릿을 압출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점)
당해 광확산판은 수지 매트릭스를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하고, 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를 적절한 하한 이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당해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를 적절한 상한 이하로 하고, Mw/Mn을 적절한 하한 이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조시에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당해 광확산판은 제조시에 있어서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성형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Mn을 적절한 상한 이하로 하고 있으므로, 저분자량 성분 및 고분자량 성분이 적다. 이 때문에, 당해 광확산판은 제조시에 있어서 저분자량 성분 및 고분자량 성분에 유래하는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당해 광확산판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확산판에 관해서만 설명했지만,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이 상술의 광확산판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술의 광확산판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광확산판이므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이 광확산판을 구비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o.1∼No.12의 광확산판]
압출 성형에 의해 No.1∼No.12의 광확산판을 작성했다. 광확산판의 평균 두께는 1.0mm로 했다. 수지 매트릭스에 대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함유량을 100질량%로 하고, 수지 매트릭스 100질량부에 대한 확산제의 함유량을 1질량부로 했다. 또한 확산제로서 평균 입자 직경 3.0㎛의 실리콘 비드를 사용했다. 광확산판의 성형 온도에 대해서는, 수지 재료의 유동성이 압출 성형에 적합한 것으로 되는 온도를 채용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Mn, 및 광확산판의 성형 온도를 표 1에 나타낸다.
[광확산판의 평가]
작성한 No.1∼No.12의 광확산판에 대해, 황색도 및 결함의 함유율을 측정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검토하기 위해 가요성 시험을 행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황색도는 측색 색차계를 사용하여 3자극값(X, Y, Z)을 구하고, 이 값으로부터 JIS-K7373(2006)에 준거한 계산에 의해 도출했다.
결함의 함유율에 대해서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200㎛ 이상의 길이를 갖는 변색 영역을 관찰하고, 1m2당의 변색 영역의 수를 결함의 함유율로 했다.
가요성 시험으로서는 외경 20mm의 통체의 둘레에 광확산판을 180도 둘러 감고, 광확산판에 갈라짐이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수법을 채용했다. 또한, 표 1에서는, 광확산판에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A로 하고, 광확산판에 갈라짐이 발생한 것을 B로 하고 있다.
Figure 112018122333366-pat00001
No.1∼No.4의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가 3.0×104 이상 6.5×104 이하이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Mn이 1.8 이상 3.2 이하이다. No.1∼No.4의 광확산판은 황색도가 12 이하이고, 결함의 함유율이 6 이하이며, 가요성 시험에 있어서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No.1∼No.4의 광확산판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이 억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No.5∼No.6의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가 3.0×104 미만이다. No.5∼No.6의 광확산판은 가요성 시험에서 갈라짐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No.5∼No.6의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가 작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No.7∼No.8의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가 6.5×104 초과이다. No.7∼No.8의 광확산판은 황색도가 12 초과이며, 결함의 함유율이 131 이상인 것이 확인되었다. 즉, No.7∼No.8의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가 크기 때문에,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어, 성형시에 수지의 열화도 진행했다고 할 수 있다.
No.9∼No.10의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Mn이 1.8 미만이다. 또한, No.11∼No.12의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Mn이 3.2 초과이다. No.9∼No.12의 광확산판은 황색도가 12 초과이며, 결함의 함유율이 12 이상인 것이 확인되었다. 즉, No.9∼No.12의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Mw/Mn이 적절한 범위 내에 없기 때문에,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어, 성형시에 수지의 열화도 진행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얇게 성형된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광확산판을 구비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의 광확산판으로서,
    수지 매트릭스와, 이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는 확산제를 갖고,
    상기 수지 매트릭스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와 수평균 분자량 Mn의 비 Mw/Mn이 2.0 이상 3.2 이하이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3.2×104 이상 6.5×104 이하이며,
    당해 광확산판의 황색도가 12 이하인 광확산판.
  2. 제1항에 있어서,
    당해 광확산판의 평균 두께가 0.1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매트릭스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확산제의 함유량이 0.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확산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1.0㎛ 이상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확산판을 구비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5. 삭제
KR1020180155968A 2017-12-26 2018-12-06 광확산판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Active KR102178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9155 2017-12-26
JP2017249155A JP7364321B2 (ja) 2017-12-26 2017-12-26 光拡散板及び直下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92A KR20190078492A (ko) 2019-07-04
KR102178079B1 true KR102178079B1 (ko) 2020-11-12

Family

ID=6695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968A Active KR102178079B1 (ko) 2017-12-26 2018-12-06 광확산판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02335B2 (ko)
JP (1) JP7364321B2 (ko)
KR (1) KR102178079B1 (ko)
CN (1) CN109959982B (ko)
TW (1) TWI698487B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928A (ja) * 1997-05-09 1999-01-26 Asahi Chem Ind Co Ltd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の押出方法及び該樹脂を用いた導光板
JP2003012790A (ja) * 2001-06-28 2003-01-15 Mitsubishi Gas Chem Co Inc 芳香族―脂肪族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KR100845757B1 (ko) * 2002-08-30 2008-07-11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칼라액정표시장치
US7314652B2 (en) * 2003-02-28 2008-01-01 General Electric Company Diffuser for flat panel display
EP1721923A4 (en) * 2004-02-26 2009-09-23 Teijin Chemicals Ltd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70045287A (ko) * 2004-08-24 2007-05-02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JP5261921B2 (ja) * 2005-11-30 2013-08-14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光拡散板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光拡散板
US20090207496A1 (en) * 2005-11-30 2009-08-20 Haruo Sasaki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Plates, and Light Diffusion Plate
WO2007077874A1 (ja) * 2006-01-06 2007-07-12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導光板用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導光板
JP5073226B2 (ja) * 2006-05-11 2012-11-14 出光興産株式会社 光拡散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拡散板
JP2011053233A (ja) * 2007-12-27 2011-03-17 Sharp Corp 車載用バックライト用の導光板、車載用バックライト、および車載用液晶表示装置
JP2009168961A (ja) * 2008-01-15 2009-07-30 Nippon Zeon Co Ltd 光拡散板、直下型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205876A (ja) * 2008-02-26 2009-09-10 Asahi Rubber Inc 導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51107A (ja) * 2011-06-06 2012-12-20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WO2014066784A1 (en) 2012-10-25 2014-05-0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method of manufacture, uses thereof
JP6181936B2 (ja) 2013-02-25 2017-08-16 恵和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
JP6203513B2 (ja) * 2013-03-28 2017-09-27 恵和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携帯型コンピュータ及び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189906A (ja) * 2014-03-28 2015-11-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10654972B2 (en) * 2015-11-04 2020-05-1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CN206270522U (zh) * 2016-12-26 2017-06-20 微鲸科技有限公司 扩散板、直下式背光源模组及直下式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96269A1 (en) 2019-06-27
TWI698487B (zh) 2020-07-11
TW201927902A (zh) 2019-07-16
US10802335B2 (en) 2020-10-13
KR20190078492A (ko) 2019-07-04
JP7364321B2 (ja) 2023-10-18
JP2019113797A (ja) 2019-07-11
CN109959982A (zh) 2019-07-02
CN109959982B (zh)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6793B (zh) 一种反射薄膜及其制备方法
CN102197323B (zh) 光扩散板及其用途
NL1035794C2 (en) Light diffuser plate.
KR20160137574A (ko) 반사 시트, 면 광원 장치용 반사 유닛 및 면 광원 장치
KR102178079B1 (ko) 광확산판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US20100040850A1 (en) Resin composition and diffusion plate
JP2006098912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製直下型バックライト用光拡散板
US7440049B2 (en)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6063121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拡散性部材
JP2006063122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拡散性部材
CN101993569A (zh) 具有耐热、抗冲击性的树脂组成物、成型品与扩散板
KR20110076320A (ko) 복합 기능을 갖는 프리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5626B1 (ko) 광학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220166586A (ko) 유기 가교 입자를 포함하는 pmma 광확산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170026A (ja) 光拡散シート
WO2012029508A1 (ja) 導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面光源装置
JP2007192861A (ja) 光拡散板
JP6358867B2 (ja)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拡散部材
KR101932306B1 (ko)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EP3715111A1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N1754911A (zh) 光漫射聚碳酸酯树脂组合物
JPH08231808A (ja) 導光板用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JP5180444B2 (ja) 光拡散シート
KR20100064697A (ko) 집광형 광학 시트
JP2012188504A (ja) 導光板用樹脂組成物および導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