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3880B1 -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880B1
KR102163880B1 KR1020190033837A KR20190033837A KR102163880B1 KR 102163880 B1 KR102163880 B1 KR 102163880B1 KR 1020190033837 A KR1020190033837 A KR 1020190033837A KR 20190033837 A KR20190033837 A KR 20190033837A KR 102163880 B1 KR102163880 B1 KR 102163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gage
trim
vehicle
partition
s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523A (ko
Inventor
박희상
이원종
성창모
류태욱
류승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88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8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은 차량의 러기지 보드의 전방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파티션 트림; 상기 파티션 트림의 대향 위치에서 상기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는 트렌스 버스 트림 및 상기 러기지 보드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러기지 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는 상이한 높이로 조절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MULITIPLE-STAGE LUGGAGE STRUCTURE OF TRU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차를 해결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다단 수납이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인 트렁크룸이 구비되고, 상기 트렁크룸의 저부에는 주행 중 타이어가 펑크 되거나, 손상될 경우 교체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가 구비되어 있다. 차량의 트렁크 공간은 러기지 보드를 기준으로 통상 러기지 보드의 아래 공간은 주행 중 타이거가 펑크되거나 손상될 경우 교체를 위한 스페어 타이어와 비상공구를 수납공간으로 사용되고, 러기지 보드 상부 공간은 운전자나 승객을 위한 일반적인 화물 적재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차량의 후방 적재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러기지 보드는 차량(1)의 리어 시트(2)의 후방 크기에 맞추어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는 단순히 트렁크룸 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태로만 설치되는 관계로 트렁크룸과 차실 후부를 구획하고 있는 리어 시트(2)의 쿠션부와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시트를 고정하는 구조는 트렁크 사용시 미관저하와 단차 발생으로 사용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리어 시트(2) 하단부위는 미관상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04-0024699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단차 발생을 방지하고 미관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러기지 보드의 전방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파티션 트림; 상기 파티션 트림의 대향 위치에서 상기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는 트렌스 버스 트림 및 상기 러기지 보드의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러기지 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트림의 양측면이 상기 러기지 트림에 각각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트림은 상기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트림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트림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양측부 하면에는 바닥 후크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와 상기 경사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지지부보다 차량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는 상기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상기 러기지 트림에 고정되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상기 러기지 트림에 고정되는 측방향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상기 러기지 트림에 후킹되는 측면 후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렌스 버스 트림은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이한 높이에서 지지하는 제 1 단차부와 제 2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차부의 높이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파티션 트림의 높이보다 낮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2 단차부의 높이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오목부의 높이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러기지 트림은 상기 파티션 트림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러기지 트림의 내측에는 상기 파티션 트림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와 결합되는 오목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러기지 트림의 내측에는 상기 파티션 트림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 후크부와 결합되는 측면 후크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러기지 트림의 내측에는 상기 파티션 트림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측방향 돌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중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지지부는 전방 하중 지지부와 상기 전방 하중 지지부의 높이보다 작은 후방 하중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트림은 상기 러기지 트림을 지지하도록 상부에 상측 지지부의 전면이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측 지지부에는 상측 지지 돌출부가 상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은 후방 시트 후방 적재 공간의 단차 발생 및 러기지 보드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지지 부위에서의 휨 모멘트 발생을 방지하고, 시트 고정부의 외관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다단 수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후방 적재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의 C-C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파티션 트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파티션 트림과 러기지 트림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8의 E-E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파티션 트림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6은 도 4의 C-C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1000)은 차량(1)의 러기지 보드(10)의 전방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파티션 트림(100),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대향 위치에서 상기 러기지 보드(10)를 지지하는 트렌스 버스 트림(200) 및 상기 러기지 보드(10)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러기지 트림(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러기지 보드(10)는 상이한 높이로 조절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기 러기지 보드(10)는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오목부(114)와 상기 트렌스 버스 트림(200)의 제 2 단차부(220)에 지지되거나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상측 지지부(138)와 상기 트렌스 버스 트림(200)의 제 1 단차부(2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기지 보드(10)의 양측은 상기 러기지 트림(300)에 의해 지지된다. 도면에서는 러기지 보드(10)의 상이한 높이의 지지 위치를 이해를 위해 함께 도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차부(210)의 높이(h1)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138)의 높이(h2)보다 낮고, 상기 제 2 단차부(220)의 높이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오목부(114)의 높이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파티션 트림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파티션 트림과 러기지 트림의 일부 모식도이며, 도 9는 도 8의 D-D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10은 도 8의 E-E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상기 파티션 트림(100)은 지면에 평행한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대향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경사부(120) 및 상기 경사부(120)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경사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지지부보다 차량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파티션 트림(100)은 측면을 기준으로 ㄴ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바닥부(110)와 상기 경사부(120) 사이에는 상기 러기지 보드(10)를 지지하는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110)의 양측부 하면에는 바닥 후크부(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닥 후크부(112)가 차량(1)의 리어 시트(2)의 후방 트렁크룸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바닥부(110)는 후방측 단부 부분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티션 트림(10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지지부(130)의 측면(131)에는 상기 러기지 트림(300)에 고정되는 결합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30)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상기 러기지 트림(300)에 고정되는 측방향 돌출부(1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30)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132)의 상부 위치에 상기 러기지 트림(300)에 후킹되는 측면 후크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러기지 트림(300)은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 고정되되, 상기 러기지 트림(300)의 내측에는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측면(13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132)와 결합되는 오목 결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 결합부(310)는 오목 결합부(310)와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러기지 트림(300)의 내측에는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측면(131)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 후크부(136)와 결합되는 측면 후크 고정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러기지 트림(300)의 내측에는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측면(131)에 형성되어 있는 측방향 돌출부(134)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중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중 지지부는 전방 하중 지지부(312)와 후방 하중 지지부(313)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 하중 지지부(313)의 높이는 상기 전방 하중 지지부(312)의 높이보다 작은 구조로서 조립시 차량 길이 방향 진입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결합 돌출부(132)와 상기 러기지 트림(300)의 오목 결합부(310)는 수직면을 형성하거나 단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파티션 트림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도 2 내지 도 10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2000)은 차량(1)의 러기지 보드(10)의 전방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파티션 트림(100),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대향 위치에서 상기 러기지 보드(10)를 지지하는 트렌스 버스 트림(200) 및 상기 러기지 보드(10)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러기지 트림(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파티션 트림(100)은 지면에 평행한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대향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경사부(120) 및 상기 경사부(120)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양측면이 상기 러기지 트림(300)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상기 파티션 트림(100)을 구성하는 지지부(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지지부(138)의 전면이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130)에 의해 상기 러기지 보드(10)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10)가 상이한 높이로 조절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2000)은 상기 상측 지지부(138)가 상기 지지부(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측 지지 돌출부(139)가 상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은 파티션 트림(100)의 양 측면을 양측의 러기지 트림(300)에 각각 결합하되,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132)와 상기 러기지 트림(30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 결합부(310)가 결합되도록 조립하고, 또한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측면 후크부(136)와 상기 러기지 트림(300)의 후크 고정부(316)를 체결한다.
이에 추가하여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바닥 후크부(112)를 트렁크룸의 평면과 조립하여 상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 후크부(112)는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오목 결합부(310)와 상기 측면 후크부(136)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러기지 트림(300)에 고정되는 측방향 돌출부(134)가 상기 러기지 트림(300)의 하중 지지부(31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러기지 보드(10)가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오목부(114)와 상기 트렌스 버스 트림(200)의 제 2 단차부(220)에 지지되도록 하거나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파티션 트림(100)의 상측 지지부(138)와 상기 트렌스 버스 트림(200)의 제 1 단차부(210)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은 후방 시트 후방 적재 공간의 단차 발생 및 러기지 보드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지지 부위에서의 휨 모멘트 발생을 방지하고, 시트 고정부의 외관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다단 수납할 수 있어 활용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1: 차량 2: 리어 시트
10: 러기지 보드 100: 파티션 트림
110: 바닥부 112: 바닥 후크부
114: 오목부 120: 경사부
130: 지지부 131: 측면
132: 결합 돌출부 134: 측방향 돌출부
136: 측면 후크부 138: 상측 지지부
139: 상측 지지 돌출부 200: 트렌스 버스 트림
210: 제 1 단차부 220: 제 2 단차부
300: 러기지 트림 310: 오목 결합부
312: 전방 하중 지지부 313: 후방 하중 지지부
316: 측면 후크 고정부

Claims (18)

  1. 차량의 러기지 보드의 전방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파티션 트림;
    상기 파티션 트림의 대향 위치에서 상기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는 트렌스 버스 트림; 및
    상기 러기지 보드의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러기지 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트림의 양측면이 상기 러기지 트림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파티션 트림은 측면에 상기 러기지 트림에 고정되는 결합 돌출부,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상기 러기지 트림에 고정되는 측방향 돌출부를 지지부로 형성하며, 상기 러기지 트림의 내측에 상기 파티션 트림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와 결합되는 오목 결합부, 상기 파티션 트림의 측방향 돌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 하중 지지부와 후방 하중 지지부로 이루어진 하중 지지부 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하중 지지부의 높이를 상기 전방 하중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하여 차량 길이 방향 진입 가이드를 위한 높이 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트림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트림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양측부 하면에는 바닥 후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경사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지지부보다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는 상기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상기 러기지 트림에 후킹되는 측면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스 버스 트림은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이한 높이에서 지지하는 제 1 단차부와 제 2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트림은 상기 파티션 트림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트림의 내측에는 상기 파티션 트림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 후크부와 결합되는 측면 후크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트림은 상기 러기지 보드를 지지하도록 상부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전면이 돌출되어 있는 상측 지지부와 상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측 지지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KR1020190033837A 2019-03-25 2019-03-25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Active KR10216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837A KR102163880B1 (ko) 2019-03-25 2019-03-25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837A KR102163880B1 (ko) 2019-03-25 2019-03-25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23A KR20200113523A (ko) 2020-10-07
KR102163880B1 true KR102163880B1 (ko) 2020-10-12

Family

ID=7284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837A Active KR102163880B1 (ko) 2019-03-25 2019-03-25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483A (ko) 2021-08-27 2023-03-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71570B (zh) * 2022-11-18 2025-07-08 合肥长安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行李箱前端支撑装饰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530B1 (ko) 2005-01-20 2006-06-19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보드 위치조절장치
JP2008273330A (ja) * 2007-04-26 2008-11-13 Suzuki Motor Corp 車両の荷室構造
JP2016041554A (ja) * 2014-08-18 2016-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荷室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787B1 (ko) 2002-09-16 2005-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러기지트레이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530B1 (ko) 2005-01-20 2006-06-19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보드 위치조절장치
JP2008273330A (ja) * 2007-04-26 2008-11-13 Suzuki Motor Corp 車両の荷室構造
JP2016041554A (ja) * 2014-08-18 2016-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荷室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483A (ko) 2021-08-27 2023-03-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23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8438B1 (en) Laterally moving cargo shade and net
JP2003291733A (ja) 自動車の後部荷室構造
US10040490B2 (en) Cargo system for a vehicle
KR102163880B1 (ko) 차량용 트렁크의 다단 러기지 시스템
US10821858B2 (en) Floor structure for automobile
EP2078636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vehicle luggage systems
US20200406828A1 (en) Multifunction articulating sport bar
CN102795268A (zh) 后座椅安装部结构
JP2008087650A (ja) 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4533760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フロアボード
US7073823B2 (en) Seat belt system for a vehicle
JP4239773B2 (ja) 自動車の後部荷室構造
JP2016041554A (ja) 車両用荷室構造
KR102506240B1 (ko) 차량용 루프박스
JP5004008B2 (ja) 車両の荷室構造
CN210437273U (zh) 车辆后地板总成及车辆
CN107554439A (zh) 具有带侧面碰撞增强部的支撑结构的控制台组件
JP7033002B2 (ja) 支持部材の固定構造
JP4728824B2 (ja) 車載工具の収納構造
KR102537895B1 (ko) 픽업차량의 격벽 설치구조
JP4816418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7127237B2 (ja) 車両の荷室構造
US20250178675A1 (en) Motor vehicle with roll bar
JP7680921B2 (ja) 車両荷室構造および車両用第2デッキ構築セット
JP7015476B2 (ja) ルーフパネル及びルー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