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0068B1 -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068B1
KR102160068B1 KR1020130057847A KR20130057847A KR102160068B1 KR 102160068 B1 KR102160068 B1 KR 102160068B1 KR 1020130057847 A KR1020130057847 A KR 1020130057847A KR 20130057847 A KR20130057847 A KR 20130057847A KR 102160068 B1 KR102160068 B1 KR 10216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s
concentration doped
type semiconductor
doped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208A (ko
Inventor
안순호
한창석
윤준호
김재헌
유시훈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068B1/ko
Priority to US14/893,466 priority patent/US20160104816A1/en
Priority to EP14801832.8A priority patent/EP3001465B1/en
Priority to PCT/KR2014/003032 priority patent/WO2014189207A1/ko
Priority to CN201480029199.9A priority patent/CN105229804B/zh
Priority to CN201910423045.2A priority patent/CN110246938B/zh
Publication of KR2014013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0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4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 H10H20/825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containing nitrogen, e.g. GaN
    • H10H20/825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containing nitrogen, e.g. GaN characterised by the dop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6Bodies having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s,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s or current-block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7Doping during depositing
    • H01L21/02573Conductivity type
    • H01L21/02579P-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5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nitrid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7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nitrid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6Bodies having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s,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s or current-blocking structures
    • H10H20/8162Current-block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저농도 도핑층, 언도프트층 및 고농도 도핑층을 갖는 p형 반도체층을 성장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저농도 도핑층 및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하는 동안에는 N2 가스와 H2 가스가 함께 공급되지만, 언도프트층을 성장하는 동안에는 H2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고 N2 가스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언도프트층 내에 함유되는 Mg의 도핑 농도를 더욱 낮출 수 있어 p형 반도체층 내의 홀의 이동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p형 반도체층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하는 발광 소자는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상기 활성층에서 전자와 홀이 결합하여 광을 방출한다. 활성층 내에서의 전자와 홀의 재결합율은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활성층 내 전자와 홀의 재결합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의 오버 플로우를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p형 AlGaN층의 전자 블록층이 채택되고 있다.
한편, p형 반도체층으로부터 활성층으로 주입되는 홀의 주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p형 반도체층 내의 도핑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특허등록번호 10-0838196)은 홀 주입층과 p형 콘택층을 구분하고 홀 주입층의 불순물 도핑 농도를 p형 콘택층보다 낮게 함으로써 홀 주입 효율을 증가시킨 것을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클래드층과 홀 주입층 사이에 언도프트층을 배치하거나 홀 주입층과 p형 콘택층 사이에 언도프트층을 배치하는 내용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따르면, 홀 주입층 내의 홀의 이동도를 증가시켜 활성층 내에 주입되는 홀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따르더라도, 상기 홀 주입층이 상대적으로 저농도의 도핑 농도를 갖도록 도핑되기 때문에, 홀의 이동도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나아가, Mg을 도핑하지 않는 언도프트층을 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언도프트층이, Mg 소스 가스를 제외하고는, 홀주입층 또는 p형 콘택층과 동일한 조건의 소스 가스 및 캐리어 가스를 이용하여 성장된다. 이 경우, Mg 소스 가스를 유입하지 않더라도 언도프트층 내의 Mg 불순물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따라서, 홀의 이동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특허등록번호 10-083819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활성층 내로의 홀 주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p형 반도체층 내의 언도프트층 내 불순물 농도를 낮출 수 있는 p형 반도체층 제조 방법 및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발광 소자는,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상기 p형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 및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블록층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p형 반도체층은 저농도 도핑층, 언도프트층 및 고농도 도핑층이 순차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언도프트층의 두께는 상기 저농도 도핑층과 상기 고농도 도핑층의 두께의 합보다 더 크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언도프트층을 저농도 도핑층과 고농도 도핑층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홀의 이동도를 증가시켜 홀 주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저농도 도핑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1E20/㎤~5E20/㎤이고, 상기 고농도 도핑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5E20/㎤~1E21/㎤이며, 상기 언도프트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2E19/㎤ 미만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언도프트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깊이에 따라 1E19/㎤ 이상 2E19/㎤ 미만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E20/㎤ 이상의 저농도 도핑층 및 5E20/㎤ 이상의 고농도 도핑층 사이에 배치되면서도 2E19/㎤ 미만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언도프트층을 배치함으로써 홀의 이동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농도 도핑층이 상기 전자 블록층에 접할 수 있다. 불순물이 도핑된 층을 전자 블록층에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홀을 전자 블록층을 통해 활성층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농도 도핑층은 p형 콘택층일 수 있으며, 따라서 콘택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으며, 수직형 또는 수평형일 수 있으나, 특정 칩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금속 유기화학 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은,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N2 가스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챔버 내의 기판 상에 저농도 도핑층을 성장하고;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및 N2 가스 가스를 공급하되, Mg 소스 가스 및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저농도 도핑층 상에 언도프트층을 성장하고;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N2 가스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언도프트층 상에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고농도 도핑을 성장하는 동안 H2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반도체층의 결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H2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언도프트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상기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은,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하기 전에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및 N2 가스를 공급하되,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및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챔버 내의 분위기를 질소와 NH3 분위기로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챔버 내에 잔류할 수 있는 H2 가스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내의 분위기를 질소와 NH3 분위기로 변경하는 시간은 3 내지 10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상기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H2 가스의 유량은 N2 가스의 유량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상기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H2 가스의 유량은 N2 가스의 유량의 3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고농도 도핑층 성장시키는 동안 NH3 가스의 유량은 H2 가스의 유량보다 적고,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N2 가스의 유량은 상기 NH3 가스의 유량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고농도 도핑을 성장시키는 동안 N2, H2 및 NH3의 유량비는 약 1:3:1이고,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N2, H2 및 NH3의 유량비는 약 3:0:1일 수 있다.
저농도 도핑층 및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키는 동안에는 H2 가스를 우세하게 공급함으로써 성장되는 반도체층의 결정 품질을 개선하고, 나아가, 언도프트층을 성장하는 동안에는 H2를 차단하된 N2 가스의 유량을 증가시켜 챔버 내 전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농도 도핑층, 상기 언도프트층 및 상기 고농도 도핑층의 순서로 성장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저농도 도핑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1E20/㎤~5E20/㎤이고, 상기 고농도 도핑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5E20/㎤~1E21/㎤이며, 상기 언도프트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2E19/㎤ 미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킨 후, 챔버 내에서 상기 p형 반도체층이 열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p형 반도체층 내에 도핑된 불순물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발광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은, 금속 유기화학 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챔버 내의 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 활성층, 전자 블록층 및 p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p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에 따라 성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블록층 상에 성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농도 도핑층과 고농도 도핑층 사이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언도프트층이 위치함으로써 홀의 이동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발광 소자의 홀 주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언도프트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를 더욱 낮출 수 있어 언도프트층 내의 홀의 이동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가스 및 온도 프로파일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는, 기판(21), 버퍼층(23), n형 반도체층(25), 초격자층(27), 활성층(29), 전자 블록층(31) 및 p형 반도체층(33)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패터닝된 사파이어 기판, 스피넬 기판, 탄화실리콘 기판 또는 질화갈륨 기판 등일 수 있다.
버퍼층(23)은 저온 버퍼층 및 고온 버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판(21)이 질화갈륨 기판인 경우, 버퍼층(23)은 생략될 수도 있다.
n형 반도체층(25)은 n형 콘택층을 포함한다. n형 반도체층(25)은 (Al, Ga, In)N 계열의 III족 질화물 반도체층으로 형성되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n형 반도체층(25)은 GaN층을 포함하며, n형 불순물 예컨대 Si이 도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초격자층(27)은 전류 분산을 향상시키고 활성층의 결정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초격자층(27)은 예를 들어 GaN/InGaN 또는 InGaN/InGaN을 반복하여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활성층(27)은 n형 반도체층(25)과 p형 반도체층(33) 사이에 위치하며, 단일의 웰층을 갖는 단일 양자우물 구조 또는 웰층과 장벽층이 교대로 적층된 다중양자우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웰층은 예컨대 InGaN으로 형성되며, 장벽층은 웰층에 비해 넓은 밴드갭을 갖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층, 예컨대 Ga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블록층(31)은 활성층(29)과 p형 반도체층(33) 사이에 위치하며, 활성층(29)으로부터 전자가 p형 반도체층(33)으로 오버 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자 블록층(31)은 통상 p형 반도체층(33)보다 넓은 밴드갭을 갖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층, 예컨대 AlGaN으로 형성될 수 있다.
p형 반도체층(33)은 저농도 도핑층(33a), 언도프트층(33b) 및 고농도 도핑층(33c)을 포함한다. 저농도 도핑층(33a), 언도프트층(33b) 및 고농도 도핑층(33c)은 불순물 농도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성의 질화갈륨계 반도체층, 예컨대 Ga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도시하지 않음)에서 유입된 홀이 에너지 장벽 없이 p형 반도체층(33)을 통과할 수 있다. 저농도 도핑층(33a)은 전자 블록층(31)에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고농도 도핑층(33c)은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콘택되는 p형 콘택층이 될 수 있다.
언도프트층(33b)의 두께는 저농도 도핑층(33a)과 고농도 도핑층(33c)의 두께의 합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농도 도핑층(33a)은 5~2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언도프트층(33b)은 60~11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고농도 도핑층(33c)은 10~3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저농도 도핑층(33a)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1E20/㎤~5E20/㎤, 고농도 도핑층(33c)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5E20/㎤~1E21/㎤, 언도프트층(33b)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2E19/㎤ 미만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언도프트층(33b)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깊이에 따라 1E19/㎤ 이상 2E19/㎤ 미만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언도프트층(33b)을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또한 불순물 농도를 낮춤으로써 홀의 이동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활성층(29) 내로의 홀 주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 특히 p형 반도체층(33) 성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스 및 온도 프로파일들이다. 여기서, p형 반도체층(33)은 금속유기화학 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성장되며, 나아가, 버퍼층(23), n형 반도체층(25), 초격자층(27), 활성층(29) 및 전자 블록층(31) 또한 금속유기화학 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동일챔버에서 인시츄로 성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챔버 내에 기판(21)이 로딩되고, 금속 소스 가스, 질소 소스 가스 및 캐리어 가스 또는 분위기 가스가 챔버 내로 공급되어 버퍼층(23), n형 반도체층(25), 초격자층(27), 활성층(29), 전자 블록층(31) 등의 반도체층들이 성장된다. 필요에 따라 n형 불순물의 소스 가스가 챔버 내로 공급될 수 있다.
금속 소스 가스는 Ga 소스 가스, Al 소스 가스 및/또는 In 소스 가스를 포함하며, 성장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층의 금속 성분에 따라 적합한 소스 가스가 공급된다. 예를 들어, Ga 소스 가스로는 TMGa 또는 TEGa를 사용할 수 있으며, Al 소스 가스로는 TMAl 또는 TEAl을 사용할 수 있고, In 소스 가스로는 TMIn 또는 TEIn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질소(N) 소스 가스로는 NH3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n형 불순물의 소스 가스로는 SiH4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가스 또는 분위기 가스로는 일반적으로 N2 및/또는 H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블록층(31) 성장이 완료된 후, 상기 챔버 내에서 금속 유기화학 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33)이 성장된다. p형 반도체층(33)은 대체로 100~300Torr의 압력에서 성장될 수 있다.
우선, 전자 블록층(31) 상에 저농도 도핑층(33a)이 예를 들어 970~990℃의 범위에서 성장된다. 저농도 도핑층(33a)은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예컨대, NH3) 및 갈륨 소스 가스(예컨대, TMGa 또는 TEGa)와 함께, Mg 소스 가스(예컨대 Cp2Mg), N2 가스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성장될 수 있다. 이때, N2 가스의 유량은 약 30~50L/min일 수 있으며, H2 가스의 유량은 140~160L/min일 수 있고, NH3 가스의 유량은 30~50L/min일 수 있다. 예컨대, N2:H2:NH3 유량비는 1:3:1일수 있다. 한편, Mg 소스 가스의 유량은 적한한 도핑 농도를 달성하도록 선택되며, 저농도 도핑층(33a) 내의 Mg 도핑 농도는 대략 1E20/㎤~5E20/㎤일 수 있다.
저농도 도핑층(33a)이 성장된 후, 언도프트층(33b)이 예를 들어 940~970℃의 범위에서 성장된다. 언도프트층(33b)은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예컨대, NH3), 갈륨 소스 가스(예컨대, TMGa 또는 TEGa) 및 N2 가스를 공급하되, Mg 소스 가스 및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성장된다. 예를 들어, N2 소스 가스는 140~160L/min, H2 소스 가스는 0L/min, NH3 가스는 30~50L/min일 수 있다. 특히, N2:H2:NH3의 유량비는 3:0:1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Mg 소스 가스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언도프트층(33b)을 성장하는 동안 저농도 도핑층(33a)으로부터 Mg이 언도프트층(33b)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자들은 언도프트층(33b) 성장 동안에 H2 가스를 공급할 경우, Mg의 유입이 더욱 가속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언도프트층(33b)을 성장하는 동안, H2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언도프트층(33b) 내의 불순물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언도프트층(33b) 내의 불순물 농도는 저농도 도핑층(33a) 및 고농도 도핑층(33c)의 도핑 농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저농도 도핑층(33a) 및 고농도 도핑층(33c)의 도핑 농도 범위에서 언도프트층(33b)의 도핑 농도는 2E19/㎤ 미만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언도프트층(33b)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깊이에 따라 1E19/㎤ 이상 2E19/㎤ 미만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도핑 농도는 언도프트층을 성장하는 동안 H2 가스를 공급하는 종래의 p형 반도체 성장 방법으로는 달성하기 곤란한 것이다.
한편, 언도프트층(33b)을 성장하기 전에, 챔버 내의 분위기를 질소 및 NH3 분위기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언도프트층(33b)을 성장하기 전에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및 N2 가스를 공급하되,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및 H2 가스의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챔버 내의 분위기를 질소 및 NH3 분위기로 변경하는 것은 약 3~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언도프트층(33b)이 성장된 후 고농도 도핑층(33c)이 예를 들어 910~940℃에서 성장된다. 고농도 도핑층(33c)은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예컨대, NH3), 갈륨 소스 가스(예컨대, TMGa 또는 TEGa), Mg 소스 가스(예컨대, Cp2Mg), N2 가스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언도프트층(33b) 상에 성장된다. 예를 들어, N2 가스는 30~50L/min, H2 가스는 140~160L/min, NH3 가스는 30~50L/min일 수 있다. 예컨대, N2:H2:NH3 유량비는 1:3:1일 수 있으며, Mg 소스 가스의 유량을 제외하면 저농도 도핑층(33b)의 성장 조건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Mg 소스 가스의 유량은 적한한 도핑 농도를 달성하도록 선택되며, 저농도 도핑층(33a) 내의 Mg 도핑 농도는 대략 5E20/㎤~1E21/㎤일 수 있다.
상기 고농도 도핑층(33c)이 성장된 후, 챔버 온도를 대략 700~800℃로 내려 N2 분위기에서 p형 반도체층(33)을 열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언도프트층(33b)을 성장하는 동안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언도프트층(33b) 내의 불순물의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저농도 도핑층(33a) 및 고농도 도핑층(33c)을 성장하는 동안에는 N2 가스와 H2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p형 반도체층(33)의 결정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n형 반도체층(25) 및 p형 반도체층(33)에 콘택하는 전극을 형성하고 개별 발광 다이오드 칩으로 분할함으로써 수평형 구조, 플립칩형 구조의 발광 소자가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p형 반도체층(33) 상부에 지지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기판(21)을 제거함으로써 성장 기판이 제거된 구조의 발광 소자, 예컨대 수직형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제작될 수도 있다.
(실험예)
언도프트층(33b)을 성장하는 동안 H2 가스의 공급 여부에 따른 광 출력 및 Mg 도핑 프로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하고 언도프트층(33b) 성장시 N2:H2:NH3 유량비만을 변경하여 발광 다이오드 칩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언도프트층(33b) 성장 조건은 N2:H2:NH3 유량비를 1:3:1로 한 것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유량비를 3:0:1로 변경하였으며, 압력은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위 실험에 따라 제작된 발광 다이오드 칩의 칩 레벨 광 출력을 측정한 결과, 언도프트층(33b)을 성장하는 동안 H2 공급을 차단한 실시예의 경우, 기준 시료에 비해 약 10% 이상 향상되었다.
한편, 위 실험에 따라 제작된 시료들의 Mg 도핑 프로파일을 동일한 조건에서 SIMS 분석을 하였다. 기준 시료의 경우, 저농도 도핑층(33a)과 언도프트층(33b)의 경계 근처에서 언도프트층(33b) 내에 약 3E19/㎤ 이상의 상당한 양의 Mg 도핑 농도가 관찰되었으며, 고농도 도핑층(33c)과 언도프트층(33b)의 경계 부분에서 저농도 도핑층(33a)과 언도프트층(33b)의 경계 부분으로 갈수록 Mg 도핑 농도가 상당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언도프트층(33b) 내의 Mg 도핑 농도는 깊이에 따라 약 8E18/㎤ 내지 약 3E19/㎤ 범위 내에 있었다.
이에 반해, 언도프트층(33b)의 성장 시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 실시예의 경우, 저농도 도핑층(33a)과 언도프트층(33b)의 경계 근처에서 언도프트층(33b) 내에 2E19/㎤ 미만의 Mg 도핑 농도가 관찰되었으며, 고농도 도핑층(33c)과 언도프트층(33b)의 경계 부분에서 저농도 도핑층(33a)과 언도프트층(33b)의 경계 부분으로 갈수록 Mg 도핑 농도가 완만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언도프트층(33b) 내의 Mg 도핑 농도는 깊이에 따라 1E19/㎤ 이상 2E19/㎤ 미만의 범위 내에 있었다.
따라서, 언도프트층(33b)을 성장하는 동안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저농도 도핑층(33a) 내의 Mg이 언도프트층(33b)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언도프트층(33b) 내의 Mg 도핑 농도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언도프트층(33b) 내의 Mg 도핑 농도를 낮춤으로써, 홀의 이동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홀 주입 효율이 향상되어 광 출력이 증가된 것으로 예상된다.
21: 기판 23: 버퍼층 25: n형 반도체층 27: 초격자층 29: 활성층 31: 전자 블록층 33: p형 반도체층 33a: 저농도 도핑층 33b: 언도프트층 33c: 고농도 도핑층

Claims (19)

  1.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상기 p형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 및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블록층을 포함하고,
    상기 p형 반도체층은 저농도 도핑층, 언도프트층 및 고농도 도핑층이 순차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저농도 도핑층, 언도프층 및 고농도 도핑층은 GaN으로 형성되고,
    상기 언도프트층의 두께는 상기 저농도 도핑층과 상기 고농도 도핑층의 두께의 합보다 더 크며,
    상기 언도프트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2E19/㎤ 미만인 발광 소자.
  2.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상기 p형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 및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블록층을 포함하고,
    상기 p형 반도체층은 저농도 도핑층, 언도프트층 및 고농도 도핑층이 순차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언도프트층의 두께는 상기 저농도 도핑층과 상기 고농도 도핑층의 두께의 합보다 더 크며,
    상기 저농도 도핑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1E20/㎤~5E20/㎤이고
    고농도 도핑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5E20/㎤~1E21/㎤이고,
    상기 언도프트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2E19/㎤ 미만인 발광 소자.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이 상기 전자 블록층에 접하며, 상기 고농도 도핑층이 p형 콘택층인 발광 소자.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수평형, 플립칩형 또는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칩인 발광 소자.
  5. 금속 유기화학 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N2 가스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챔버 내의 기판 상에 저농도 도핑층을 성장하고,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및 N2 가스 가스를 공급하되, Mg 소스 가스 및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저농도 도핑층 상에 언도프트층을 성장하고,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N2 가스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언도프트층 상에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하기 전에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및 N2 가스를 공급하되,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및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챔버 내의 분위기를 질소와 NH3 분위기로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상기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H2 가스의 유량은 N2 가스의 유량보다 더 많은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상기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H2 가스의 유량은 N2 가스의 유량의 3배 내지 5배인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고농도 도핑층 성장시키는 동안 NH3 가스의 유량은 H2 가스의 유량보다 적고,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N2 가스의 유량은 상기 NH3 가스의 유량보다 많은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상기 언도프트층 및 상기 고농도 도핑층의 순서로 성장 온도가 낮아지는 p형 반도체층 성장 방법.
  11. 발광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속 유기화학 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챔버 내의 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 활성층, 전자 블록층 및 p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p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것은,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N2 가스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전자 블록층 상에 저농도 도핑층을 성장하고,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및 N2 가스 가스를 공급하되, Mg 소스 가스 및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저농도 도핑층 상에 언도프트층을 성장하고,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N2 가스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언도프트층 상에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하기 전에 상기 챔버 내로 질소 소스 가스 및 N2 가스를 공급하되, 갈륨 소스 가스, Mg 소스 가스 및 H2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챔버 내의 분위기를 질소와 NH3 분위기로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분위기를 질소와 NH3 분위기로 변경하는 시간은 3 내지 10분인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상기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H2 가스의 유량은 N2 가스의 유량보다 더 많은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상기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H2 가스의 유량은 N2 가스의 유량의 3배 내지 5배인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고농도 도핑층 성장시키는 동안 NH3 가스의 유량은 H2 가스의 유량보다 적고,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N2 가스의 유량은 상기 NH3 가스의 유량보다 많은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및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N2, H2 및 NH3의 유량비는 1:3:1이고, 상기 언도프트층을 성장시키는 동안 N2, H2 및 NH3의 유량비는 3:0:1인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도핑층을 성장시킨 후, 챔버 내에서 상기 p형 반도체층을 열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1E20/㎤~5E20/㎤이고
    고농도 도핑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5E20/㎤~1E21/㎤이며,
    상기 언도프트층 내의 불순물의 농도는 2E19/㎤ 미만인 발광 소자 제조 방법.
KR1020130057847A 2013-05-22 2013-05-22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Active KR10216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47A KR102160068B1 (ko) 2013-05-22 2013-05-22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14/893,466 US20160104816A1 (en) 2013-05-22 2014-04-08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14801832.8A EP3001465B1 (en) 2013-05-22 2014-04-08 Light-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PCT/KR2014/003032 WO2014189207A1 (ko) 2013-05-22 2014-04-08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CN201480029199.9A CN105229804B (zh) 2013-05-22 2014-04-08 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201910423045.2A CN110246938B (zh) 2013-05-22 2014-04-08 发光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47A KR102160068B1 (ko) 2013-05-22 2013-05-22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08A KR20140137208A (ko) 2014-12-02
KR102160068B1 true KR102160068B1 (ko) 2020-09-25

Family

ID=5193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847A Active KR102160068B1 (ko) 2013-05-22 2013-05-22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04816A1 (ko)
EP (1) EP3001465B1 (ko)
KR (1) KR102160068B1 (ko)
CN (2) CN105229804B (ko)
WO (1) WO20141892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784A1 (ko) * 2022-02-07 2023-08-10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개선된 정공 주입 구조체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7358B (zh) * 2016-05-17 2018-06-26 华灿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外延片及其制作方法
WO2018039236A1 (en) * 2016-08-22 2018-03-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 with reduced unintentional calcium impurity incorporation
US11646357B2 (en) * 2017-08-25 2023-05-09 Enkris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preparing a p-type semiconductor structure, enhancement mod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140978B2 (ja) * 2019-05-27 2022-09-2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10635007B (zh) * 2019-09-12 2024-09-27 佛山市国星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抗静电外延结构及其制备方法
CN111341888B (zh) * 2020-03-07 2021-10-08 江苏太德光电科技有限公司 户外照明光源光效提高方法
CN114551664A (zh) * 2022-01-26 2022-05-27 江西兆驰半导体有限公司 一种led外延片、外延生长方法及led芯片
CN117174802B (zh) * 2023-11-02 2024-02-20 江西兆驰半导体有限公司 发光二极管的外延结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01B1 (ko) 1995-08-31 2002-10-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및질화갈륨계반도체의성장방법
JP2006237281A (ja) 2005-02-25 2006-09-07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027248A (ja) 2005-07-13 2007-02-01 Kyocera Corp p型III族窒化物半導体層の製造方法および発光素子
US20070096077A1 (en) 2005-10-31 2007-05-03 Nichia Corporatio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KR100838196B1 (ko) * 2007-07-20 2008-06-13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US20080315212A1 (en) * 2007-06-22 2008-12-25 Lattice Power (Jiangxi)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a p-type semiconductor structure
US20100133506A1 (en) 2007-06-15 2010-06-03 Rohm Co., Ltd.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itride semiconductor
WO2011102411A1 (ja) * 2010-02-19 2011-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7947B1 (en) * 1999-06-08 2001-09-11 Lumileds Lighting, U.S. Llc Method of forming transparent contacts to a p-type GaN layer
KR20090085594A (ko) * 2006-10-05 2009-08-07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GaN 계 LED 칩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발광 장치
KR100877774B1 (ko) * 2007-09-10 2009-01-16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KR101047691B1 (ko) * 2008-12-12 201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WO2010116424A1 (ja) * 2009-04-08 2012-10-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20120107991A1 (en) * 2010-10-21 2012-05-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agnesium doping in barriers in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s of iii-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s
KR20120100056A (ko) * 2011-03-02 2012-09-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WO2012140844A1 (ja) * 2011-04-12 2012-10-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96846B2 (ja) * 2011-06-30 2016-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430334A (zh) * 2012-02-28 2013-12-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氮化物半导体发光元件和具备该氮化物半导体发光元件的光源
DE102015113670A1 (de) * 2014-08-19 2016-02-25 Seoul Viosys Co., Ltd Leucht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01B1 (ko) 1995-08-31 2002-10-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및질화갈륨계반도체의성장방법
JP2006237281A (ja) 2005-02-25 2006-09-07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027248A (ja) 2005-07-13 2007-02-01 Kyocera Corp p型III族窒化物半導体層の製造方法および発光素子
US20070096077A1 (en) 2005-10-31 2007-05-03 Nichia Corporatio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US20100133506A1 (en) 2007-06-15 2010-06-03 Rohm Co., Ltd.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itride semiconductor
US20080315212A1 (en) * 2007-06-22 2008-12-25 Lattice Power (Jiangxi)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a p-type semiconductor structure
KR100838196B1 (ko) * 2007-07-20 2008-06-13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WO2011102411A1 (ja) * 2010-02-19 2011-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784A1 (ko) * 2022-02-07 2023-08-10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개선된 정공 주입 구조체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46938B (zh) 2022-06-28
EP3001465A4 (en) 2017-01-04
CN110246938A (zh) 2019-09-17
EP3001465A1 (en) 2016-03-30
EP3001465B1 (en) 2019-06-12
WO2014189207A1 (ko) 2014-11-27
CN105229804A (zh) 2016-01-06
KR20140137208A (ko) 2014-12-02
US20160104816A1 (en) 2016-04-14
CN105229804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071B1 (ko)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2160068B1 (ko)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2191213B1 (ko) 자외선 발광 소자
CN106653970B (zh) 一种发光二极管的外延片及其生长方法
US11557693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112753108A (zh) Iii族氮化物半导体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CN106876530B (zh) 一种氮化镓基发光二极管的外延片及其制作方法
CN106876531B (zh) 一种发光二极管的外延片及其制备方法
KR101692181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5609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090030652A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CN106299057A (zh) 一种可提高亮度带3d层的led外延结构
KR102359845B1 (ko)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0881053B1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KR101373804B1 (ko) 백색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20200127160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906972B1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KR100946031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0563B1 (ko) 전자 블록층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소자 및 전자 블록층 성장 방법
KR20160022032A (ko)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성장 방법,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4924B1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