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717B1 -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5717B1 KR102135717B1 KR1020180125375A KR20180125375A KR102135717B1 KR 102135717 B1 KR102135717 B1 KR 102135717B1 KR 1020180125375 A KR1020180125375 A KR 1020180125375A KR 20180125375 A KR20180125375 A KR 20180125375A KR 102135717 B1 KR102135717 B1 KR 1021357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d
- grenade
- fixed
- clamping member
- launch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422 bl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5/00—Testing or checking of ammun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01—Devices or processes for assembling ammunition, cartridges or cartridge elements from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에서 부품 받침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에서 부품 받침부를 사용한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10c : 내부 부품 20 : 발사관
100 : 제1유도탄 고정부 110 :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
120 : 제2유도탄 클램핑부재 121 : 제1플랜지부
121a : 제1클램핑 고정볼트 200 : 제2유도탄 고정부
210 :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 220 : 제4유도탄 클램핑부재
221 : 제2플랜지부 221a : 제2클램핑 고정볼트
300 : 제1발사관 고정부 310 : 제1발사관 클램핑부재
320 : 제2발사관 클램핑부재 321 : 제3플랜지부
321a : 제3클램핑 고정볼트 400 : 제2발사관 고정부
410 : 제3발사관 클램핑부재 420 : 제4발사관 클램핑부재
421 : 제4플랜지부 421a : 제4클램핑 고정볼트
500 : 제1베이스부 510 : 제1승하강 안내막대부재
511 : 제1클램핑 스토퍼부 512 : 제1클램핑 받침부
600 : 제2베이스부 610 : 제2승하강 안내막대부재
611 : 제2클램핑 스토퍼부 612 : 제2클램핑 받침부
700 : 제1승하강부 710 : 제1클램핑 승하강 스크류
720 : 제1승하강 조작부재 800 : 제2승하강부
820 : 제2승하강 조작부재 900 : 제1직선 이동부
910 : 제1직선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 1000 : 제2직선 이동부
1010 : 제2직선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 1100 : 길이방향 직선 이동부
1110 : 레일 연결부재
1120 : 길이방향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
1200 : 부품 받침부 1210 : 부품 받침부재
1220 : 제1동체 결합부재 1220a : 제1보조 받침부
1221 : 제1안착부 1230 : 제2동체 결합부재
1230a : 제2보조 받침부 1231 : 제2안착부
Claims (22)
- 유도탄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유도탄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유도탄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유도탄 고정부;
조립이 완료된 유도탄이 장입되는 발사관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발사관 고정부; 및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발사관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발사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는,
발사관 중 일부를 감싸는 제1발사관 삽입부가 위치된 제1발사관 클램핑부재; 및
발사관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발사관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발사관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발사관 클램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는,
발사관 중 일부를 감싸는 제3발사관 삽입부가 위치된 제3발사관 클램핑부재; 및
발사관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4발사관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3발사관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발사관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는,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1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
유도탄의 동체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도탄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는,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3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 및
유도탄의 동체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4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유도탄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유도탄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유도탄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유도탄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유도탄 고정부;
조립이 완료된 유도탄이 장입되는 발사관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발사관 고정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발사관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발사관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에는 제2유도탄 고정부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와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로 발사관을 거치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유도탄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유도탄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유도탄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유도탄 고정부;
조립이 완료된 유도탄이 장입되는 발사관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발사관 고정부; 및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발사관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발사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는,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1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
유도탄의 동체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도탄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는,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3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 및
유도탄의 동체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4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유도탄 클램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의 양측에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를 관통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승하강 안내막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에는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의 양측에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를 관통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승하강 안내막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 안내막대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가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제1클램핑 스토퍼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승하강 안내막대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가 안착되는 제1클램핑 받침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2승하강 안내막대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가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제2클램핑 스토퍼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승하강 안내막대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가 안착되는 제2클램핑 받침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유도탄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유도탄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유도탄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유도탄 고정부;
조립이 완료된 유도탄이 장입되는 발사관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발사관 고정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발사관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발사관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는,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1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
유도탄의 동체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도탄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는,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3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 및
유도탄의 동체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4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유도탄 클램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이동 몸체; 및
상기 제1이동 몸체의 상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제1승하강부에 의해 상, 하 이동되며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1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2이동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2베이스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3이동 몸체; 및
상기 제3이동 몸체의 상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승하강부에 의해 상, 하 이동되며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3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4이동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부는 상기 제1이동 몸체에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2이동 몸체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이동 몸체를 승하강시키는 제1클램핑 승하강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하강부는 상기 제3이동 몸체에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4이동 몸체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4이동 몸체를 승하강시키는 제2클램핑 승하강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부는,
상기 제1이동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클램핑 승하강 스크류를 작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승하강 조작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승하강부는,
상기 제3이동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2클램핑 승하강 스크류를 작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승하강 조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부는,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어 상기 제1클램핑 승하강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승하강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승하강부는,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어 제2클램핑 승하강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승하강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삭제
- 유도탄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유도탄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유도탄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유도탄 고정부;
조립이 완료된 유도탄이 장입되는 발사관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발사관 고정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발사관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발사관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와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좌, 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의 좌, 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직선 이동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도탄 또는 발사체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베이스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1직선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직선 이동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도탄 또는 발사체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되어 제2베이스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2직선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삭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전, 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길이방향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 직선 이동부는,
상기 제1직선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와 상기 제2직선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를 연결하는 레일 연결부재; 및
상기 레일 연결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도탄 또는 발사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레일 연결부재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길이방향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유도탄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유도탄 고정부;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유도탄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유도탄 고정부;
조립이 완료된 유도탄이 장입되는 발사관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발사관 고정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발사관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발사관 고정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도탄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유도탄의 내부 부품을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는 부품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1발사관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발사관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도탄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유도탄의 내부 부품을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는 부품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품 받침부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부품 삽입공간이 구비된 부품 받침부재;
상기 부품 받침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발사관 클램핑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도탄의 분리된 동체를 결합할 수 있는 제1동체 결합부재;
상기 부품 받침부재의 타단부 측에 위치되고 제3발사관 클램핑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도탄의 분리된 동체를 결합할 수 있는 제2동체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동체 결합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제1발사관 클램핑부재에 안착되어 볼트 체결되는 제1안착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동체 결합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제3발사관 클램핑부재에 안착되어 볼트 체결되는 제2안착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받침부재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품 삽입공간이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동체 결합부재와 상기 제2동체 결합부재는 동체의 일부분을 감싸되 적어도 동체의 절반을 초과하여 감싸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동체가 내부로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탄 고정부는,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1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
유도탄의 동체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도탄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도탄 고정부는,
유도탄의 동체 중 일부를 감싸는 제3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된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 및
유도탄의 동체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4유도탄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3유도탄 클램핑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유도탄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체 결합부재의 외측면에는 하부 측에 상기 제1유도탄 클램핑부의 제1유도탄 삽입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1보조 받침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동체 결합부재의 외측면에는 하부 측에 상기 제2유도탄 클램핑부재의 제2유도탄 삽입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보조 받침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받침부는 상기 제1유도탄 삽입부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가져 제1유도탄 삽입부 내에 안착되며,
상기 제2보조 받침부는 상기 제2유도탄 삽입부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가져 제2유도탄 삽입부 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5375A KR102135717B1 (ko) | 2018-10-19 | 2018-10-19 |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5375A KR102135717B1 (ko) | 2018-10-19 | 2018-10-19 |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4512A KR20200044512A (ko) | 2020-04-29 |
KR102135717B1 true KR102135717B1 (ko) | 2020-07-20 |
Family
ID=7046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5375A KR102135717B1 (ko) | 2018-10-19 | 2018-10-19 |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57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10365A (zh) * | 2021-07-03 | 2021-08-27 | 中国人民解放军海军士官学校 | 一种可移动舰炮弹药检测托架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8666B1 (ko) * | 2001-03-22 | 2004-02-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대전차 미사일 적재 장치 |
KR100713217B1 (ko) * | 2006-09-14 | 2007-05-02 | 국방과학연구소 | 유도탄 조립대 |
KR101691391B1 (ko) * | 2015-03-05 | 2016-12-30 | 국방과학연구소 | 유도탄 고정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85412A (en) * | 1986-02-14 | 1987-08-11 | Fmc Corporation |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 stowing bands |
KR101708001B1 (ko) | 2015-05-18 | 2017-02-17 | 국방과학연구소 | 유도무기 조립장치 |
-
2018
- 2018-10-19 KR KR1020180125375A patent/KR1021357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8666B1 (ko) * | 2001-03-22 | 2004-02-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대전차 미사일 적재 장치 |
KR100713217B1 (ko) * | 2006-09-14 | 2007-05-02 | 국방과학연구소 | 유도탄 조립대 |
KR101691391B1 (ko) * | 2015-03-05 | 2016-12-30 | 국방과학연구소 | 유도탄 고정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4512A (ko) | 2020-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3217B1 (ko) | 유도탄 조립대 | |
KR102135717B1 (ko) |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 |
CN104209690B (zh) | 用于大型薄壁筒体构件立式装配的柔性夹具 | |
KR101708001B1 (ko) | 유도무기 조립장치 | |
WO2017085751A1 (en) | Loading machine for cartridges with a metal case | |
US10458735B2 (en) | Combined loading device and combined loading method for shell and charge | |
CN112611255B (zh) | 一种火炮闭锁机抽壳试验装置及试验方法 | |
CN102564222B (zh) | 炮弹装载系统 | |
DE102020129424B4 (de) | Schlagzylinder | |
KR940002806B1 (ko) | 원자로용 정부노즐 부조립체의 예비 조립장치 및 방법 | |
KR102507486B1 (ko) | 항공기 랜딩기어 볼스크류의 샤프트핀 제거장치 | |
DE102008053154A1 (de) | Waffensystem, insbesondere für Kampffahrzeuge | |
CN114754963B (zh) | 飞机高速冲击动力测试用多级气炮金属膜片装填系统 | |
KR101904658B1 (ko) | 발사체 고정장치 | |
KR102467804B1 (ko) | 탄체 제조용 점진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체 제조방법 | |
KR102051447B1 (ko) | 발사체용 자동 조인 장치 | |
KR102278377B1 (ko) | 포탄 추출기 | |
JP7174165B2 (ja) | 砲身取付器及び機関砲 | |
CN208366153U (zh) | 通用型枪代炮射击支撑装置 | |
RU212593U1 (ru) | Экстрактор учебного снаряда из ствола самоходной гаубицы 2С19М2 | |
EP2363341B1 (de) | Vorrichtung zur Waffenlagerung in einem Unterseeboot | |
CN112730111A (zh) | 一种基于液压推力的垂向高速弹丸发射装置 | |
KR102010504B1 (ko) | 발사체용 포드의 장입 장치 | |
CN113602654B (zh) | 一种雷弹运输用夹紧装置及使用方法 | |
CN209735953U (zh) | 一种射钉弹的弹壳点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