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1391B1 - 유도탄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탄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391B1
KR101691391B1 KR1020150031144A KR20150031144A KR101691391B1 KR 101691391 B1 KR101691391 B1 KR 101691391B1 KR 1020150031144 A KR1020150031144 A KR 1020150031144A KR 20150031144 A KR20150031144 A KR 20150031144A KR 101691391 B1 KR101691391 B1 KR 10169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stationary ring
guide
gear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814A (ko
Inventor
최승혁
김재하
이동주
고정완
강설묵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3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39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2Locking of ammunition in transport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5/00Testing or checking of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대; 상기 유도탄에 고정되도록 상기 유도탄의 외주면을 감싸고,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치차를 구비하는 고정링; 및 양측이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링 외주면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유도탄을 작업대에 구속시키도록 상기 제1치차에 결합되는 슬링을 포함하는 유도탄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도탄 고정 장치{MISSIL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도탄의 조립 또는 점검 시, 유도탄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탄 조립 또는 점검 시, 조립대 및 점검대 위에서 필요에 따라 유도탄을 구속시키기 위해 고정링과 슬링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탄 고정 장치(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고정링(2)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유도탄 고정 장치(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유도탄 고정 장치(0)는 고정링(2)을 유도탄(4)에 단단히 고정시킨 뒤, 고정링(2) 바깥쪽을 슬링(3)으로 말아 감고, 이 슬링(3)을 유도탄의 작업대(1)에 끼워 슬링(3)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유도탄(4)을 구속시키는 방식이었다.
고정링(2)의 외측 부분에는 홈부(2a)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홈부(2a)에는 다른 구성이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슬링(3)에 의해 일부분이 가압되어 유도탄을 고정시키는데 있어서, 슬링(3)과 고정링(2)은 서로 간의 상대 운동에 의해 슬링(3)이 고정링(2)에 미끄러질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구속 방식은 유도탄을 고정시킨 뒤 점검을 수행하면서 진동이나 힘이 가해졌을 시, 고정링(2)에 슬링(3)이 미끄러지면서 의도치 않은 유도탄의 움직임을 유발하여 점검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었으며, 유도탄의 구성품 및 점검장비의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조립이나 점검 시, 필요에 따라 고정된 유도탄을 다시 풀 때에 의도치 않은 유도탄의 회전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았으며, 무게가 많이 나가는 유도탄의 경우 갑작스러운 유도탄의 회전으로 인하여 조작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유도탄의 조립 또는 점검 시, 유도탄이 작업대 상에서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경우, 이로 인한 유도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탄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도탄의 조립 또는 점검 시, 고정된 유도탄을 다시 풀 때에 의도치 않은 유도탄의 회전으로 인한 조작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탄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도탄 고정 장치는 유도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대; 상기 유도탄에 고정되도록 상기 유도탄의 외주면을 감싸고,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치차를 구비하는 고정링; 및 양측이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링 외주면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유도탄을 작업대에 구속시키도록 상기 제1치차에 결합되는 슬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고, 상기 슬링의 일 측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링 고정 장치; 및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고, 상기 슬링이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슬링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슬링의 탄성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링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슬링은 상기 제1치차에 정합되는 제2치차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슬링은 상기 제1치차에 맞물리는 홀(hole)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링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링은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상기 유도탄에 결합된다.
상기 작업대에는 상기 유도탄을 상기 작업대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에 접촉되는 유도탄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탄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링에 접촉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도탄 고정 장치는 고정링에 제1치차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치차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슬링을 포함한다. 이런 구조로 인해, 유도탄의 조립 또는 점검 시, 유도탄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유도탄을 작업대에 구속시킬 수 있고, 유도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도탄 고정 장치는 슬링에 구비된 결합부는 제1치차에 정합되는 제2치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구조로 인해, 유도탄의 조립 또는 점검 시, 유도탄을 작업대에 보다 강하게 구속하여, 고정된 유도탄을 다시 풀 때에 의도치 않은 유도탄의 회전으로 인한 조작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도탄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링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도탄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고정링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슬링의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도탄 고정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도탄 고정 장치(100)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도탄 고정 장치(100)는 작업대(10), 고정링(20) 및 슬링(30)을 포함한다.
작업대(10)는 유도탄(4)의 조립 또는 점검 시, 상기 유도탄(4)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작업대(10)는 프레임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유도탄(4)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적절한 강성을 구비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작업대(10)에는 슬링(30)의 일 측을 고정시킬 수 있는 슬링 고정 장치(13), 슬링(30)의 타 측에 연결되어 슬링(30)의 탄성을 조절하는 슬링 조절 장치(17) 및 고정링(20)와 접촉하여 유도탄(4)을 작업대(10)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유도탄 지지부재(19)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고정링(20)은 유도탄(4)의 외주면을 감싸서, 유도탄(4)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고정링(20)은 유도탄(4)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슬링(30)에 의해 고정링(20) 외주면의 일부가 가압되어 유도탄(4)이 작업대(10)에 구속될 수 있게 된다.
고정링(2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고정링(20)은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유도탄(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런 구조로 인해, 유도탄(4)은 작업대(10)에 더욱 강하게 구속될 수 있다.
고정링(20)은 제1치차(27)를 구비하는데, 고정링(20)의 상세 구조에 관하여는 도 5의 설명 부분에서 서술하기로 한다.
슬링(30)은 고정링(20)의 연장부(23) 사이의 외주면에 고정링(20)의 일부를 가압하도록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슬링(30)은 고정링(2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외에도 유도탄(4)을 구속시키도록 고정링(20)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링(30)의 양 측은 작업대(10)에 연결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슬링(30)의 일 측은 작업대(10)의 일 측에 고정 결합되며, 슬링(30)의 타 측은 슬링(30)의 팽팽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업대(10)의 타 측에 연결된다.
슬링(30)은 후술하는 제1치차(27)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결합부(34)를 구비하는데, 결합부(34)는 슬링(30)을 고정링(20)에 결합 가능하게 하여, 고정링(20)에 의해 슬링(30)이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또한, 슬링(30)이 슬링 조절 장치(17)에 연결되는 경우, 결합부(34)는 슬링(30)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슬링(30)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34)는 제2치차(미도시) 또는 홀(hole, 37)을 포함한다.
결합부(34)가 제2치차를 포함하는 경우, 제2치차는 제1치차(27)와 정합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제1치차(27)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4)가 홀(37)을 포함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홀(37)은 제1치차(27)에 맞물리는 형상을 구비하여 제1치차(2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37)을 포함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도 6에서 좀 더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슬링(30)은 슬링 조절 장치(17)에 연결될 수 있는데 슬링(30)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도탄 고정 장치는 슬링 고정 장치(13) 및 슬링 조절 장치(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10) 상면의 일 측에는 상기 슬링(30)의 일 측이 고정되는 슬링 고정 장치(13)가 설치될 수 있다. 슬링 고정 장치(13)는 슬링(30)의 일 측이 감겨지도록 하여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슬링(30)의 일 측이 감겨지게 고정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슬링(30)의 일 측이 작업대(10)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작업대(10) 상면의 타 측에는 상기 슬링(30)의 타 측이 연결될 수 있는 슬링 조절 장치(17)가 또한 설치될 수 있다. 슬링(30)의 타 측은 슬링 조절 장치(17)에 연결되어, 슬링(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슬링 조절 장치(17)에는 제3치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슬링(30)의 타 측에는 상기 제3치차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치차 또는 홀(3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치차 또는 홀(37)은 슬링(30)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슬링 조절 장치(17)에 연결된다.
이런 구조로 인해, 슬링 조절 장치(17)에 슬링(30)의 타 측이 결합되고, 슬링(30)의 타 측을 당기거나 고정하여 슬링(30)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슬링(30)의 탄력을 조절함으로써, 고정링(20)에 가압되는 힘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작업대(10)의 중앙 부분에는 유도탄 지지부재(19)가 고정링(20)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유도탄 지지부재(19)는 유도탄(4)을 작업대(10)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3의 고정링(2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슬링(30)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고정링(20) 및 슬링(3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서술한다.
고정링(20)은 소정 두께를 구비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고정링(20)의 외주면 양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연장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3) 사이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치차(27)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치차(27)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연장부(23) 사이의 고정링(20) 외주면을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치차(27)에는 후술하는 슬링(30)의 결합부(34)가 결합되는데, 제1치차(27)와 결합부(34)는 슬링(30)과 고정링(20) 사이의 상대운동을 방지하고 슬링(30)이 고정링(20)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고정링(20)은 금속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외에도 슬링(30)과 유도탄(4) 사이에서 이들의 가압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링(2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링(20)은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유도탄(4)에 결합될 수 있다.
슬링(30)의 기능에 대하여는 전술하였으며, 슬링(30)의 결합부(34)가 제2치차 및 홀(37)을 포함할 수 있다고 전술하였는데, 이하에서는 슬링(30)의 결합부(34)가 홀(37)을 포함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슬링(30)은 가죽,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납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링(2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고정링(20)의 연장부(23)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이보다 작은 너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슬링(30)에는 고정링(20)의 제1치차(27)에 끼워질 수 있는 홀(37)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치차(27)가 형성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대략 30개 정도의 홀(37)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슬링(30)의 일례가 도시된다.
슬링(30)의 홀(37)이 고정링(20)의 제1치차(27)에 결합됨으로써, 슬링(30)은 고정링(2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유도탄(4)을 작업대(10)에 구속시킨다.
이하, 유도탄 고정 장치에 유도탄(4)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과정에 대하여 서술한다.
앞서, 도면을 참조로 서술한 부분과 중첩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도탄(4)의 조립 또는 점검 시에, 유도탄(4)에 고정링(20)을 복수 개 이격되도록 결합한 후, 작업대(10)에 고정링(20)이 결합된 유도탄(4)을 올려놓는다. 고정링(20)에는 제1치차(2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유도탄(4)이 작업대(10) 위에서 움직이지 않으며 지지되도록 작업대(10) 위의 유도탄 지지부재(19)에 놓여질 수도 있다.
작업대(10)의 일 측의 유도탄 고정 부재에 슬링(30)의 일 측을 고정한 후, 고정링(20)의 외주면의 일부를 슬링(30)이 가압하도록 한다. 슬링(30)의 제2치차 또는 홀(37)이 고정링(20)의 제1치차(27)에 결합되도록 한다.
슬링(30)의 타 측은 작업대(10)의 타 측의 슬링 조절 장치(17)에 연결될 수 있는데, 슬링 조절 장치(17)는 슬링(30)의 탄력을 강하게 하여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유도탄(4)을 작업대(10)에 구속시키도록 한다.
슬링(30)과 고정링(20)의 결합에 의해 유도탄(4)은 작업대(10)에 강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조립 또는 점검 시에, 유도탄(4)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조립 또는 점검이 끝난 후에는 슬링 조절 장치(17)를 조절하여, 슬링 조절 장치(17)에 연결된 상기 슬링(30)의 타 측을 이탈시키도록 한다.
그 후, 유도탄(4)을 작업대(10)로부터 내려 놓은 후, 고정링(20)을 유도탄(4)으로부터 탈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유도탄 고정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이고, 출원인의 권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원인의 권리는 이하에서 서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100 : 유도탄 고정 장치
10 : 작업대
13 : 슬링 고정 장치
17 : 슬링 조절 장치
19 : 유도탄 지지부재
20 : 고정링
23 : 연장부
27 : 제1치차
30 : 슬링
34 : 결합부
37 : 홀

Claims (7)

  1. 유도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대;
    상기 유도탄에 고정되도록 상기 유도탄의 외주면을 감싸고,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치차를 구비하는 고정링; 및
    양측이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링 외주면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유도탄을 작업대에 구속시키도록 상기 제1치차에 결합되는 슬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링은 상기 제1치차에 정합되는 제2치차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치차에 맞물리는 홀(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고, 상기 슬링의 일 측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링 고정 장치; 및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고, 상기 슬링이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슬링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슬링의 탄성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링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도탄 고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링은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상기 유도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에는 상기 유도탄을 상기 작업대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에 접촉되는 유도탄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링에 접촉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고정 장치.
KR1020150031144A 2015-03-05 2015-03-05 유도탄 고정 장치 KR101691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144A KR101691391B1 (ko) 2015-03-05 2015-03-05 유도탄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144A KR101691391B1 (ko) 2015-03-05 2015-03-05 유도탄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814A KR20160107814A (ko) 2016-09-19
KR101691391B1 true KR101691391B1 (ko) 2016-12-30

Family

ID=5710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144A KR101691391B1 (ko) 2015-03-05 2015-03-05 유도탄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512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029B1 (ko) * 2019-07-25 2021-03-03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17B1 (ko)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KR101375861B1 (ko) 2013-12-31 2014-03-17 국방과학연구소 슈-레일 발사가이드 시스템
KR101454292B1 (ko) 2013-05-15 2014-10-27 국방과학연구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끼움 쇠를 포함하는 분리형 횡방향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412A (en) * 1986-02-14 1987-08-11 Fmc Corporation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 stowing ba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17B1 (ko)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KR101454292B1 (ko) 2013-05-15 2014-10-27 국방과학연구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끼움 쇠를 포함하는 분리형 횡방향 지지대
KR101375861B1 (ko) 2013-12-31 2014-03-17 국방과학연구소 슈-레일 발사가이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512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KR102135717B1 (ko) * 2018-10-19 2020-07-20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814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391B1 (ko) 유도탄 고정 장치
US20150157885A1 (en) Anti-Falling Device
EP2799344A3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handling, transporting and/or positioning component parts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WO2019170477A3 (de) Schalungsanordnung
JP2019124309A (ja) 同心位置決め仮固定治具
JP6377830B1 (ja) 支保工用パイプサポートおよび長さ調整方法
US96239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a tendon flex bearing on a tension leg platform
JP2012171060A (ja) ナット落下防止装置
KR20140002714U (ko) ''t''자 형상 부재의 용접을 위한 고정용 지그
US4465314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A2043324A1 (en) Fall restraint cable support and method
JP2012026501A (ja) コンベヤベルトの接合部材及び接合方法
TR201907811T4 (tr) Kayışların tutulmasına yönelik bağlama sistemi.
JP7109667B2 (ja) 楔式ロープ端末部品の据付治具及び据付方法
JP6112024B2 (ja) ロープの留め装置
KR101667274B1 (ko)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CN106764285B (zh) 夹持结构和云台
CN106985091B (zh) 阶梯轴限位机构
JP2023042418A (ja) 牽引作業用の巻掛具
US11772249B2 (en) Serpentine belt tensioner compressor tool
KR101599330B1 (ko) 블록지지용 서포트
KR101409878B1 (ko) 브로치 이송 장치
AU2019902679A0 (en) The patent application is for a spring loaded self-locking latch that works on the rope tensioning device patent no.624531
JP2023083668A (ja) ボルト締結方法、ワーク支持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