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4658B1 - 발사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발사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658B1
KR101904658B1 KR1020170063920A KR20170063920A KR101904658B1 KR 101904658 B1 KR101904658 B1 KR 101904658B1 KR 1020170063920 A KR1020170063920 A KR 1020170063920A KR 20170063920 A KR20170063920 A KR 20170063920A KR 101904658 B1 KR101904658 B1 KR 101904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projectile
clamp
fastening holes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훈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6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6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5/00Ground equipment for vehicles, e.g. starting towers, fuel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7/00Launching-apparatus for projecting missiles or projectiles otherwise than from barrels, e.g. using spig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폐 가능한 클램프와 어댑터를 구비하여 발사체 지상 시험시 안전하고 원활하며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부피와 무게를 줄여 이송시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발사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별도의 유압펌프(hydraulic pump)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에너지에 의해 신축동작하는 복수 개의 유압 실린더와, 상기 각 유압 실린더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전체가 도넛형태 또는 원추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에 연동하여 발사체를 쉽고 간단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s)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발사체에 쉽고 원활하게 장착되도록 림(rim) 형태의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를 체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발사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클램프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일 측으로 굽혀져 상단과 하단이 상호 다른 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사체 고정장치{Projectile fixed apparatus}
본 발명은 발사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폐 가능한 클램프와 어댑터를 구비하여 발사체 지상 시험시 안전하고 원활하며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부피와 무게를 줄여 이송시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발사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켓이나 유도탄과 같은 발사체를 지상 시험시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장치가 사용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에는 이렉터(Erector)를 이용하여 로켓이나 유도탄, 미사일, 인공위성과 같은 발사체를 안전하게 기립시킨 후, 발사체에 부착된 고정치구와 발사대 및 시험시설 기초부에 고정치구를 연결하여 발사체를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종래 발사체 고정장치는 발사체에 사각 또는 삼각형의 대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치구를 부착하고, 발사대 및 시험시설 기초부에 고정치구를 연결하여 발사체를 고정토록 하기 때문에 발사체를 이송할 경우 대형 이송수단을 사용하여야 하고, 또 대형 이송수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이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사체에 부착되는 대형 프레임 형태의 고정치구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이송이나 장착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476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해 부피와 하중을 줄여 소형이송수단으로 원활한 이송을 이루게 하여 이송장치의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한 개폐 동작을 이루게 하여 발사체의 견고한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발사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별도의 유압펌프(hydraulic pump)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에너지에 의해 신축동작하는 복수 개의 유압 실린더와, 상기 각 유압 실린더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전체가 도넛형태 또는 원추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에 연동하여 발사체를 쉽고 간단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s)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발사체에 쉽고 원활하게 장착되도록 림(rim) 형태의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를 체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발사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클램프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일 측으로 굽혀져 상단과 하단이 상호 다른 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각 세그먼트의 하단에는 발사체의 외주 면과 고르게 접촉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원활한 위치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세그먼트는 상부는 좁은 아크를 이루는 윤편형(輪片型)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부에 비해 넓은 아크를 이루는 윤편형(輪片型)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는 원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구멍 중, 양단 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체결구멍은 상기 각 세그먼트의 상면을 통해 형성된 체결구멍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장치의 하중을 현저하게 줄여 이송시 유료비용을 절감하고, 이송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발사체를 쉽고 간단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의 요부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과 클램프 및 발사대의 일부 분해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의 확대 분리도 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의 클램프와 발사체에 장착된 어댑터를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의 클램프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대에 발사체 기립시킨 후,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클램프를 이동시켜 발사체를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를 하강시켜 어댑터와 클램프를 체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100)는 구동수단(110)과 클램프(120) 및 어댑터(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110)은 별도의 유압펌프(hydraulic pump)(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에너지에 의해 신축동작하는 복수 개의 유압 실린더(111)와, 상기 각 유압 실린더(111)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 실린더(111)는 별도의 브래킷(113)에 의해 고정되는 본체(111a)와 상기 본체(111a)에 결합 되어 신장(伸張) 되거나 수축(收縮) 동작하는 피스톤 로드(11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111b)의 선단에는 연결핀(P)에 의해 링크(112)와 원활하고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상호 간격을 갖는 결합홀(h)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112)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2a)과 상기 수직 프레임(112a) 중, 어느 하나 예컨대, 내측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112a)을 연결하도록 결합 되는 수평 프레임(112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2a)은 클램프(120)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일 측으로 굽혀져 상단과 하단이 상호 다른 축을 형성하게 된다.
또,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2a) 중, 바깥 측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112a)은 중간 부분이 상기 피스톤 로드(111b)와 결합 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112a)은 중간 부분이 수평 프레임(112b)의 일단과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112a)의 하단 부분은, 복수 개의 체결 홀(h)이 형성되는 하부 브래킷(DB)을 통해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결합 되고, 상단 부분은 상부 브래킷(UB)을 통해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브래킷(DB)은 발사 시험시설 기초부에 설치되는 발사대(140)의 일 측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상부 브래킷(UB)은 상기 클램프(120)의 일 측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수단(110)은, 별도의 조작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111)를 동작시키면 피스톤 로드(111b)가 신장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112a)이 하부 브래킷(DB)과 상부 브래킷(UB)을 통해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상기 클램프(120)가 슬라이딩 전진하여 발사대(140)에 안착 되는 로켓 또는 미사일과 같은 발사체(20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별도의 조작 스위치(미도시)를 반대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 로드(111b)가 수축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112a)이 하부 브래킷(DB)과 상부 브래킷(UB)을 통해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상기 클램프(120)가 후진하여 발사체(20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120)는 전체가 도넛 또는 원추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구동수단(110)의 동작에 연동하여 발사체(200)를 쉽고 간단하며 견고하게 고정(구속)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121a), (121b)가 형성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s)(12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클램프(120)는 발사체(200)의 외주 면보다 조금 크게 돌출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고정장치에 비해 부피와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각 세그먼트(121)의 하단에는 발사체(200)의 외주 면과 고르게 접촉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원활한 위치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21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121c)은 하단 양쪽에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며 내측은 좁고 바깥 측은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추후 설명할 발사 시험시설 기초부에 설치된 발사대(140)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 지그(141)의 스토퍼(141a)가 가이드 홈(121c)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므로, 클램프(120)가 편심 없이 발사체(200)의 외면과 긴밀하게 접지(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세그먼트(121)는 상, 하 지름이 다른 원기둥 형태의 발사체(200)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 내측 면은 좁은 아크를 이루는 윤편형(輪片型)으로 형성되고, 하부 내측 면은 상부 내측 면에 비해 넓은 아크를 이루는 윤편형(輪片型)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세그먼트(121)는 상면은 상기 어댑터(130)와 체결되고, 하면은 추후 설명할 발사대(140)의 장착 지그(141)의 상면과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각 세그먼트(121)의 상면 체결구멍(121a)은 어댑터(130)의 체결구멍(131a), (132a)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면 체결구멍(121b)은 장착 지그(141)의 체결구멍(141b)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20)는 발사체(200)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130)는 발사체(200)에 쉽고 원활하게 장착되도록 반원 림(rim) 형태의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를 체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편(13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어댑터(130)를 반원 림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발사체(200)와 결합시 부피와 무게를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클램프(120)와 어댑터(130)를 체결함으로써 발사체(200)를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 및 연결편(133)의 상면에는 원주를 따라 복수 개의 체결구멍(131a), (132a), (133a)이 두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편(133)의 체결구멍(133a)은 제1 어댑터(131) 및 제2 어댑터(132)의 양단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체결구멍(131a), (132a)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33)은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의 양단에 걸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체결구멍(133a)을 체결구멍(131a), (132a)과 일치시킨 후,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또한, 상기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는 원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구멍(131a), (132a) 중, 양단 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체결구멍(131a), (132a)은 상기 클램프(120)의 각 세그먼트(121)의 상면을 통해 형성된 체결구멍((121b)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어댑터(130)를 발사체(2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를 발사체(200)의 외주 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연결편(133)을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 사이에 위치시키고, 체결구멍(133a)을 체결구멍(131a), (132a)와 일치시킨 후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각 세그먼트(121)의 상면에 형성된 각 체결구멍(121a)과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에 형성된 체결구멍(131a), (132a)을 일치시킨 후,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발사체(200)를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100)는 도넛 또는 원통 형태의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클램프와 림 형태의 어댑터를 이용하여 발사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사각 또는 삼각형의 대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고정장치에 비해 무게와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발사체(200)를 이송할 경우 대형 이송수단(미도시)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대형 이송수단을 개발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 아니라, 발사체에 어댑터의 장착과 어댑터와 클램프의 체결시 작업시간도 줄이고 이송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100)는 발사 시험시설 기초부에 설치되는 발사대(140)와, 상기 발사대(140)의 중앙 상면에 설치되는 스토퍼(141a)를 구비하는 장착 지그(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 지그(141)는 클램프(120)의 밑면과 대응되는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에는 클램프(120)의 각 세그먼트(121)의 밑면에 형성된 체결구멍(121c)과 동일한 축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체결구멍(14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20)는 각 세그먼트(121)의 상면이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어댑터(130)의 밑면과 체결되고, 각 세그먼트(121)의 밑면은 상기 장착 지그(141)의 상면과 체결된다.
또, 상기 스토퍼(141a)는 각 세그먼트(121)의 하단에 형성된 각 가이드 홈(121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세그먼트(121)의 전진동작시 장착 지그(141)의 스토퍼(141a)가 가이드 홈(121c)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안내하므로 편심 없이 발사체(200)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발사체(200)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클램프(120)는 전진하기 전의 위치에 펼쳐져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사체(200)의 외주 면에 어댑터(130)를 장착한 후 별도의 이렉터 시스템(미도시)을 이용하여 발사체(200)를 발사대(140)에 기립되도록 장착한다.
다음, 별도의 조작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수단(110)을 구성하는 유압 실린더(111)의 피스톤 로드(111b)가 신장하여 수직 프레임(112a)을 밀게 되면서 수직 프레임(112a)은 하부 브래킷(DB)과 상부 브래킷(UB)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120)를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121)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111b)의 신장 동작에 연동하여 전진하는 각 세그먼트(121)는 가이드 홈(121c)에 의해 발사대(140)에 형성된 장착 지그(141)의 스토퍼(141a)에 정확하게 안내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120)를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121)가 전진하여 닫혀지게 되면 발사대(140)에 기립 장착된 발사체(200)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다음, 상기 클램프(120)의 각 세그먼트(121)는 하면이 상기 장착 지그(141)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세그먼트(121)의 하면 체결구멍(121b)은 장착 지그(141)의 체결구멍(141b)과 동일한 축을 이루게 되므로 체결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후, 상기 발사체(200)를 약간 하강시켜 어댑터(130)의 밑면과 상기 클램프(120)의 상면이 상호 접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120)의 각 세그먼트(121) 상면에 형성된 각 체결구멍(121a)과 제1 어댑터(131)와 제2 어댑터(132)에 형성된 각 체결구멍(131a), (132a)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발사체(200)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어댑터(130)와 상기 클램프(120)를 체결함으로써, 발사체(2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 고정장치를 발사체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은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장치의 하중을 현저하게 줄여 이송시 유료비용을 절감하고, 이송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발사체를 쉽고 간단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발사체 고정장치 110 : 구동수단
111 : 유압 실린더 111a : 본체
111b : 피스톤 로드 112 : 링크
112a : 수직 프레임 112b : 수평 프레임
120 : 클램프 121 : 세그먼트(segments)
121a, 121b : 체결구멍 121c : 가이드 홈
130 : 어댑터 131 : 제1 어댑터
132 : 제2 어댑터 133 : 연결편
131a, 132a, 133a : 체결구멍 140 : 발사대
141 : 장착 지그 141a : 스토퍼
141b : 체결구멍 200 : 발사체
DB : 하부 브래킷 UB : 상부 브래킷
h : 결합 홀

Claims (5)

  1. 삭제
  2. 별도의 유압펌프(hydraulic pump)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에너지에 의해 신축동작하는 복수 개의 유압 실린더와, 상기 각 유압 실린더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전체가 도넛형태 또는 원추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에 연동하여 발사체를 쉽고 간단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s)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발사체에 쉽고 원활하게 장착되도록 림(rim) 형태의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를 체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발사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클램프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일 측으로 굽혀져 상단과 하단이 상호 다른 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고정장치.
  3. 제2에 있어서,
    상기 각 세그먼트의 하단에는 발사체의 외주 면과 고르게 접촉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원활한 위치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고정장치.
  4. 제2에 있어서,
    상기 각 세그먼트는 상부는 좁은 아크를 이루는 윤편형(輪片型)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부에 비해 넓은 아크를 이루는 윤편형(輪片型)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고정장치.
  5. 제2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는 원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구멍 중, 양단 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체결구멍은 상기 각 세그먼트의 상면을 통해 형성된 체결구멍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고정장치.
KR1020170063920A 2017-05-24 2017-05-24 발사체 고정장치 Active KR10190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20A KR101904658B1 (ko) 2017-05-24 2017-05-24 발사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20A KR101904658B1 (ko) 2017-05-24 2017-05-24 발사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658B1 true KR101904658B1 (ko) 2018-10-04

Family

ID=6386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920A Active KR101904658B1 (ko) 2017-05-24 2017-05-24 발사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5048A (zh) * 2021-06-01 2021-08-24 东方空间技术(山东)有限公司 火箭发射平台以及火箭发射平台的使用方法
CN114577062A (zh) * 2022-02-25 2022-06-03 西安航天发动机有限公司 一种桁架类结构加载试验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459B1 (ko) * 2003-12-09 2005-08-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켓 발사 이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459B1 (ko) * 2003-12-09 2005-08-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켓 발사 이륙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5048A (zh) * 2021-06-01 2021-08-24 东方空间技术(山东)有限公司 火箭发射平台以及火箭发射平台的使用方法
CN114577062A (zh) * 2022-02-25 2022-06-03 西安航天发动机有限公司 一种桁架类结构加载试验平台
CN114577062B (zh) * 2022-02-25 2024-02-09 西安航天发动机有限公司 一种桁架类结构加载试验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36117A (en) Clamp means
US4381092A (en) Magnetic docking probe for soft docking of space vehicles
KR101904658B1 (ko) 발사체 고정장치
US3566505A (en) Apparatus for aligning two sections of pipe
GB2324489A (en) Underwater connection of pipe flanges and bolt therefor
US10119563B2 (en) Offset bushing and method of use
US3104122A (en) Arm attachment device
CN104084335B (zh) 自动喷涂机的喷涂盘
US4998842A (en) Overcenter collet space station truss fastener
US11987399B2 (en) Offshore rocket transport and launch method
KR100661749B1 (ko) 물체 결합-분리 장치
US2959129A (en) Missile-stage connecting and releasing device
CN114754625B (zh) 一种火箭起竖装置及起竖方法
US20220258886A1 (en) Separation system for a satellite
KR102194735B1 (ko) 발사체, 치구 및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슈 정렬 방법
CN107560498A (zh) 一种箭体推进装置
CA1301436C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the end of a first elongated syntheticpiece with at least the end of a second elongated synthetic piece, for the coupling thereof
RU2769847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и отделения полезной нагрузки
MX2012012160A (es) Sistema de iluminacion fluorescente portatil con mecanismo de bisagra de larga duracion.
US7210824B2 (en) Collapsible lampshade structure
CN217330893U (zh) 一种模拟弹发射器
EP3695150A1 (en) Connection device for joining two pipe sections
SU1608768A1 (ru) Рефлектор
US2378691A (en) Portable ground mortar
JP3240862U (ja) ドローンの折り畳み式ア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