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2191B1 -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 Google Patents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191B1
KR102122191B1 KR1020197015834A KR20197015834A KR102122191B1 KR 102122191 B1 KR102122191 B1 KR 102122191B1 KR 1020197015834 A KR1020197015834 A KR 1020197015834A KR 20197015834 A KR20197015834 A KR 20197015834A KR 102122191 B1 KR102122191 B1 KR 10212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ke oven
constructing
orthopedic
sta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688A (ko
Inventor
슌이치 가메자키
šœ이치 가메자키
세이지 에노에다
준 오카다
히사히로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1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9/00Other details of coke ovens
    • C10B29/02Brickwork, e.g. casings, linings,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21B7/06Linings for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02Brick hot-blast stoves
    • C21B9/06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06Linings or walls formed from bricks or layer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pecific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3Linings or walls comprising porous br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4Casings; Linings; Walls; Roof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27D1/042Bricks shaped for use in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4Casings; Linings; Walls; Roof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27D1/06Composite bricks or blocks, e.g. panels,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4Casings; Linings; Walls; Roof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27D1/06Composite bricks or blocks, e.g. panels, modules
    • F27D1/063Individual composite bricks or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Breaking away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21Making linings by using shaped elements, e.g. br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2001/0046Means to facilitate repair or replacement or prevent quick w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2001/0046Means to facilitate repair or replacement or prevent quick wearing
    • F27D2001/0053Furnace constructed in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대형의 모듈 벽돌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시키면서, 높은 정밀도로 정형 내화물을 쌓아, 효율적으로 코크스로를 건설할 수 있는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을 제공한다.
코크스로의 갱신 또는 신설을 위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으로서, 상기 코크스로의 건설 장소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 복수의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블록을 제조하는 블록 제조 공정과, 상기 블록을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운반하는 블록 운반 공정과,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위치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모르타르 도포 공정과, 상기 모르타르가 도포된 위치에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블록 설치 공정을 갖고, 상기 블록의 길이 방향 길이가 상기 코크스로의 노 길이의 1/4 이상 2/3 이하이며, 상기 블록의 높이가 2 m 미만인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Description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METHOD FOR BUILDING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로 전체의 갱신이나 신설을 위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대형의 모듈 벽돌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시키면서, 높은 정밀도로 정형 내화물을 쌓아, 효율적으로 코크스로를 건설할 수 있는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에 사용되는 야금용 코크스는, 실로식 (室爐式) 코크스로에서 석탄을 건류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실로식 코크스로는, 탄화실과, 그 탄화실에 열을 공급하는 연소실을 노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탄화실과 연소실을 가로막는 내화 벽돌 등의 내화물을 개재하여 연소실로부터 탄화실에 열이 공급된다. 실로식 코크스로에는 100 개 이상의 노실을 구비하는 것도 있고, 그 전체 길이는 100 m 이상, 높이는 10 m 이상에 달하는 거대 벽돌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코크스로를 구성하는 내화물은, 1000 ℃ 를 초과하는 고온과, 석탄을 건류시켜 얻어진 코크스를 수평으로 압출하여 취출할 때의 마찰에 노출되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손상된다. 그래서, 코크스로는, 용사 (溶射) 등의 방법에 의한 간이 보수나, 요구 (窯口) 를 주로 한 부분적인 고쳐 쌓기 보수를 실시하면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는 40 ∼ 50 년이 수명으로 되어 있고, 노후화된 코크스로의 갱신이나 신설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코크스로의 건설 (축로 (築爐)) 은, 통상, 벽돌 등의 정형 내화물을 축로공이 수동 쌓기함으로써 실시되고 있다. 그 작업 공정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은 것이다.
코크스로는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지만, 상하의 정형 내화물의 접속면은 수평이며,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아래에서부터 1 단째, 2 단째로 세어진다. 코크스로의 신설 또는 정형 내화물 구조의 갱신 공사에서는, 총계 수백 명의 축로공을 수십 명씩 일정한 범위마다 배치하고, 노의 바닥부부터 순서대로, 1 일당 1 단 또는 2 단씩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간다.
상기의 작업에 있어서의 개개의 정형 내화물의 쌓아 올리기는, 이하와 같이 실시된다. 먼저, 사용하는 정형 내화물을, 미리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작업 높이로 반입하고, 시공하는 위치 근처에 배치시켜 둔다. 또, 모르타르는, 혼련기로 제조한 후, 용기에 넣어, 크레인 등으로 작업 장소에 반입하고, 소분하여 시공 위치 부근에 배치시켜 둔다. 축로공은, 정형 내화물을 쌓는 위치에, 흙손을 사용하여 소정의 줄눈 두께가 되도록 모르타르를 도포하고 (버터드 조인트), 이어서,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정형 내화물을 집어, 공기가 물리지 않도록 모르타르 상에 정형 내화물을 쌓는다. 쌓인 정형 내화물의 위치를, 수평기 등을 사용하여 조정한 후, 다음의 정형 내화물을 쌓는 위치로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순서를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1 단분의 정형 내화물을 쌓아 간다. 1 단분의 정형 내화물 쌓아 올리기 작업이 종료되면, 요구 정밀도가 달성되어 있는지의 확인을 실시하고, 문제가 발견된 경우에는 그 부분을 다시 쌓은 후, 다음 단의 쌓아 올리기 작업에 들어간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수동 쌓기에 의한 축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코크스로에 사용되는 정형 내화물은, 1 개 5 ∼ 10 ㎏ 정도의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작업 장소에 대한 사전 배치와 실제 쌓아 올리기 모두 중노동으로, 작업자에게 있어서 상당한 부하가 된다.
또, 코크스로는, 일반적인 건축물용의 벽돌과 달리, 상면으로부터 본 형상이 장방형, 사다리꼴, L 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정형 내화물을 복잡하게 조합하여 건조 (建造) 할 필요가 있는 것에 더하여, 코크스로의 정형 내화물 구조에는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연소실의 벽면은, 요철이 1 ㎜ 이하인 것과 같은, 높은 평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코크스로용의 정형 내화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화 벽돌은 소성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개개의 내화 벽돌의 치수에 1 ∼ 2 ㎜ 정도의 오차가 있다. 그 때문에, 내화 벽돌을 단순하게 쌓아 올려도 필요한 정밀도를 만족시킬 수는 없어, 벽돌 치수의 편차를 고려한 후, 최종적인 코크스로의 치수 정밀도가 얻어지도록 수작업으로 조정을 실시하면서, 복잡한 형상의 벽돌을 쌓아 올려 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코크스로의 정형 내화물 쌓기 작업에는 매우 고도의 기능이 요구되지만, 그러한 숙련된 축로공은 항상 부족하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리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적은 일손으로 실시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일체적으로 성형한 대형의 모듈 벽돌을 사용하여 코크스로의 가열벽의 고쳐 쌓기 부분을 보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모듈 벽돌은, 형틀 내에 내화물의 슬러리를 흘려 넣은 후 소성하여 사전에 제조되는 것으로, 코크스로의 연소실을 형성하는 연도 (煙道) 와 탄화실 벽면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통상적인 수동 쌓기에서 사용되는 내화 벽돌보다 큰 치수의 모듈 벽돌을 사용하기 때문에, 코크스로 내에서의 보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서는, 코크스로의 내화 벽돌벽의 보수가 필요한 지점에 외형틀과 소모 내형틀 (중자 (中子)) 을 장착하고, 상기 형틀의 내부에 내화물의 캐스터블재를 흘려 넣은 후 소성하여 경화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에 있어서는, 애당초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보수를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213388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1-503254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슬러리를 소성하여 제조한 대형의 모듈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모듈에 열이 가해졌을 때에 변형이 발생하여 균열될 우려가 있다. 또, 모듈을 현장에 운반할 때 등에 균열이 생기면, 모듈이 큰 만큼, 균열도 길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기술에서도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정형 내화물과 비교하여 큰 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 소성하고 있기 때문에, 열이 가해졌을 때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얻어지는 보수 부분의 정밀도는 형틀의 정밀도에 의존하는데, 보수 현장에 있어서, 복잡한 형상의 외형틀과 소모 내형틀을 양호한 정밀도로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추가로,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기술은, 모두 코크스로의 부분적인 보수를 위한 것으로, 코크스로 전체의 갱신이나 신설에 적용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보수의 경우, 일시적, 부분적인 것인 것, 또는, 작업이 열간이 되는 것 등으로부터, 시공 정밀도보다 시공 스피드가 중시된다. 그에 반해, 신로 (新爐) 의 건설에 있어서는, 장기에 걸쳐 노를 운용하는 것이 전제가 되기 때문에, 보수의 경우에 비해 현격히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코크스로 전체의 갱신이나 신설을 위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으로서, 대형의 모듈 벽돌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시키면서, 높은 정밀도로 정형 내화물을 쌓아, 효율적으로 코크스로를 건설할 수 있는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코크스로의 갱신 또는 신설을 위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으로서,
상기 코크스로의 건설 장소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 복수의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블록을 제조하는 블록 제조 공정과,
상기 블록을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운반하는 블록 운반 공정과,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위치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모르타르 도포 공정과,
상기 모르타르가 도포된 위치에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블록 설치 공정을 갖고,
상기 블록의 길이 방향 길이가 상기 코크스로의 노 길이의 1/4 이상 2/3 이하이며, 상기 블록의 높이가 2 m 미만인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2. 상기 블록의 적어도 1 개가 상기 코크스로의 축열실을 구성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3. 상기 블록의 적어도 1 개가 상기 코크스로의 연소실을 구성하는, 상기 1또는 2 에 기재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4. 추가로,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있어서 정형 내화물을 수동 쌓기하는 정형 내화물 수동 쌓기 공정을 갖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5. 상기 블록 제작 공정에 있어서의 블록의 제조를 로봇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6. 상기 블록 제작 공정에 있어서의 블록의 제조를 정형 내화물 쌓아 올리기용 아암형 로봇과 모르타르 도포용 아암형 로봇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청구항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본 발명의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에 의하면, 대형의 모듈 정형 내화물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시키며, 높은 정밀도로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코크스로 전체의 갱신이나 신설을 위한 코크스로의 건설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코크스로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형 내화물, 및 그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제조되는 블록에 대해, 상, 하, 수평, 수직, 및 높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의 개략을 플로도에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은, 코크스로의 갱신 또는 신설을 위한 것으로,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1) ∼ (4) 의 공정을 적어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3) 및 (4) 의 공정을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서 실시하는 한편, (1) 의 공정을 상기 코크스로의 건설 장소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1) 코크스로의 건설 장소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 복수의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블록을 제작하는 블록 제조 공정,
(2) 상기 블록을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운반하는 운반 공정,
(3)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위치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모르타르 도포 공정, 및
(4) 모르타르가 도포된 위치에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블록 설치 공정.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크스로의 갱신 또는 신설」에는, 기존의 코크스로의 정형 내화물 구조물을 해체, 제거한 후에 기존의 기초 상에 정형 내화물 구조물을 새롭게 건설하는 경우 (패드업), 또는, 완전하게 신규로 코크스로를 건설하는 경우, 기존의 코크스로에 인접하여 신규의 노단 (爐團) 을 증설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이하, 상기 (1) ∼ (4) 의 각 공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블록 제조 공정]
블록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코크스로의 건설 장소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 복수의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블록을 제조한다.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있어서는, 그 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코크스로를 건설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성이 나쁜 건설 장소에 있어서 축로공이 1 개씩 정형 내화물을 수동 쌓기하는 작업을 저감시키고, 건설 장소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크스로의 건설 장소 이외의 장소」로는, 코크스로의 건설 현장과는 상이하고, 또한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장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장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크스로의 건설을 실시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된 임시 가건물에 인접하는 토지 등의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인접하는 장소, 그 코크스로를 제철소 내에 건설하는 경우이면, 그 제철소 내의 다른 장소 등에서 블록 제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블록의 제조는, 코크스로 건설 장소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에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운반에 드는 시간이나 비용을 고려하면,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인접하는 장소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제조 공정은, 1 개 지점에서 집약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율상 바람직하지만, 복수의 장소에서 실시하고, 각각의 장소에서 제조된 블록을 1 개의 코크스로 건설 현장에 운반, 반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블록은, 코크스로의 어느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블록으로 할 수도 있지만,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부분이나, 반복 구조를 갖는 부분을 블록화하면, 작업 효율의 향상 효과가 크기 때문에, 상기 블록의 적어도 1 개를 축열실 및 연소실 중 어느 것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블록 중, 축열실 또는 연소실을 구성하는 것의 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든 (100 %) 블록을 축열실 또는 연소실을 구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정형 내화물]]
상기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정형 내화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벽돌이나 프리캐스트 블록 등, 임의의 정형 내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동 쌓기로 코크스로를 건설할 때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정형 내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정형 내화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 방법으로 축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와 동일한 노의 설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적어도 종래와 동등한 노의 성능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대형의 모듈 벽돌을 사용한 경우에는, 균열이 생긴 경우에 모듈 전체에 걸쳐서 균열이 퍼질 우려가 있지만, 통상적인 정형 내화물을 사용하면, 만일 정형 내화물에 균열이 생겼다고 해도, 그 균열의 전파를 1 개의 정형 내화물 내에서 그치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통상적인 정형 내화물이란, 모듈 벽돌이 아닌, 수동 쌓기용의 정형 내화물 전반을 가리키는데, 그 치수는, 일반적으로는, 높이 10 ∼ 15 ㎝, 수평 방향의 길이가 20 ∼ 40 ㎝ 이다.
[[수동 쌓기에 의한 블록의 제조]]
상기 블록의 제조는, 수동 쌓기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서 정형 내화물을 수동 쌓기하는 경우와는 달리,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동일한 수동 쌓기라 하더라도 작업자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서 정형 내화물을 쌓는 경우에는, 쌓아 올려진 정형 내화물의 높이에 맞추어 족장 (足場) 을 조립하고, 그 위에서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코크스로 건설 장소와는 다른 장소에서 정형 내화물을 쌓는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족장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발밑이 양호한 지면 상에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로봇에 의한 블록의 제조]]
또, 상기 블록의 제조는, 로봇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록의 제조 공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정형 내화물의 수동 쌓기라는 중노동에 종사하는 작업원의 수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고도의 기능이 요구되는 정형 내화물 쌓아 올리기 작업의 일부 또는 전부를 로봇에 의해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블록의 제조에 사용하는 로봇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로봇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정형 내화물 등을 핸들링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식의 아암을 갖는 아암형 로봇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암형 로봇의 일례로는, 산업용 로봇의 일종인 수직 다관절형 로봇을 들 수 있다. 또, 정형 내화물 쌓아 올리기용 아암형 로봇과 모르타르 도포용 아암형 로봇을 사용하여 블록을 제조할 수도 있다.
[[블록 제조 라인]]
또한, 수동 쌓기로 실시할지 로봇을 사용할지에 관계없이, 블록의 제조 라인은 1 개로 할 수도 있고, 복수로 할 수도 있다. 복수의 라인에서 블록을 제조하면,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대한 블록의 공급 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의 관점에서는 블록의 제조 라인의 수를 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조 라인의 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필요 이상으로 라인 수를 늘려도, 그 후의 블록 운반 공정이나,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있어서 실시되는 모르타르 도포 공정이나 블록 설치 공정이 율속 (律速) 공정이 되기 때문에, 더 이상 코크스로의 건설 스피드를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비용 대비 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라인 수는, 코크스로의 규모나 각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 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블록의 사이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블록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조되는 블록의 길이 방향 길이를, 건설하는 코크스로의 노 길이의 1/4 이상 2/3 이하, 상기 블록의 높이를 2 m 미만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블록의 제조를 수동 쌓기로 실시하는 경우, 블록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으면, 높은 위치에 정형 내화물을 쌓기 위해서, 족장을 조립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작업 플로어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노동 안전 위생 규칙 제518조의 규정에 의해, 높이가 2 m 이상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추락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작업 플로어를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블록의 높이가 2 m 미만이면, 정형 내화물을 수동 쌓기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경우라도, 족장 등을 설치하여 고소 (高所)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다. 또, 로봇을 사용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블록의 높이가 2 m 미만이면, 정형 내화물을 쌓는 위치의 높이를 일반적인 아암형 로봇의 아암의 가동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로봇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블록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다. 한편, 상기 블록의 높이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정형 내화물 2 단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블록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건설하는 코크스로의 노 길이의 1/4 이상 2/3 이하이면 문제없지만, 후술하는 블록 운반 공정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블록의 길이 방향 길이는 코크스로의 노 길이의 1/4 이상 1/2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블록의 길이 방향 길이」란, 블록의 수평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가리키고, 「블록의 높이」란, 그 블록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블록의 길이 방향 길이」 및 「블록의 높이」에는, 블록의 측면, 상면, 및 바닥면에 형성된 다월 등의 요철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 「코크스로의 노 길이」란, 코크스로를 구성하는 개개의 연소실 및 탄화실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코크스로의 노 길이는 15 ∼ 17 m 정도이다.
[블록 운반 공정]
상기 블록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블록은, 건조 (乾燥) 가 종료된 후,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운반된다. 블록 운반 공정에 있어서의 블록의 운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블록의 제조 장소와 코크스로의 건설 장소의 거리 등에 따라, 트럭이나 트랜스포터 (자주 운반 대차), 크레인 등의 임의의 방법을 단독 또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블록의 길이 방향 길이가 코크스로의 노 길이의 1/4 이상 2/3 이하, 블록의 높이가 2 m 미만으로 비교적 블록이 소형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운반 방법, 수단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억제된다. 예를 들어,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임시 가건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블록 제조 장소로부터 상기 임시 가건물까지는 트랜스포터로 운반하고, 임시 가건물 내에서는 천정 크레인과 스테이지 잭을 병용하여 시공 위치까지 운반할 수 있다. 또, 블록 운반 공정에 있어서는, 블록 제조 장소로부터 코크스로 건설 장소의 시공 위치까지 직접 블록을 운반할 수도 있지만, 먼저, 블록 보관 장소로 운반하여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축로의 진척 상황에 따라 상기 블록 보관 장소로부터 코크스로 건설 장소의 시공 위치까지 블록을 운반해도 된다.
[모르타르 도포 공정]
다음으로, 블록을 설치하는 위치에, 모르타르를 도포한다. 모르타르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형 내화물을 쌓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블록의 바닥면이나 측면이 접촉되는 위치, 바꿔 말하면, 블록이 설치되는 위치의 상면이나 측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면 된다.
모르타르를 도포한 면 중, 설치되는 블록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 즉, 수평 방향의 줄눈이 되는 부분에는, 스페이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당해 부분에는, 블록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소기의 줄눈 두께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그 위에서부터 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줄눈 두께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페이서로는, 줄눈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설치 공정]
다음으로, 상기 모르타르 도포 공정에 있어서 모르타르가 도포된 위치에, 블록을 설치한다. 블록의 설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크레인 등으로 들어 올린 블록을, 모르타르가 도포된 면에 위치를 조정하면서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블록 단위로 시공함으로써, 정형 내화물을 1 개씩 수동 쌓기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시키고, 높은 정밀도로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릴 수 있다.
[정형 내화물 수동 쌓기 공정]
본 발명의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에 있어서는, 이상의 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코크스로를 건설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상기 블록을 사용하여 코크스로 전체를 건설할 수도 있지만, 코크스로의 일부는 블록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다른 부분은 수동 쌓기로 제작할 수도 있다. 특히,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부분이나, 반복 구조를 갖는 부분을 블록화하면, 작업 효율의 향상 효과가 크기 때문에, 축열실 및 연소실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을 블록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그 이외의 부분, 예를 들어, 구조가 복잡한 코벨 등에 대해서는 수동 쌓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에 의하면, 대형의 모듈 벽돌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시키면서, 높은 정밀도로 정형 내화물을 쌓아, 효율적으로 코크스로를 건설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코크스로 전체의 갱신이나 신설에 매우 유효하다.

Claims (3)

  1. 코크스로의 신설을 위한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으로서,
    상기 코크스로의 건설 장소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 복수의 정형 내화물을 쌓아 올려 블록을 제조하는 블록 제조 공정과,
    상기 블록을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운반하는 블록 운반 공정과,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위치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모르타르 도포 공정과,
    상기 모르타르가 도포된 위치에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블록 설치 공정을 갖고,
    상기 블록의 적어도 1 개가 상기 코크스로의 축열실을 구성하고,
    상기 블록의 길이 방향 길이가 상기 코크스로의 노 길이의 1/4 이상 2/3 이하이며, 상기 블록의 높이가 2 m 미만이고,
    상기 블록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록의 제조를, 정형 내화물 쌓아 올리기용 아암형 로봇과 모르타르 도포용 아암형 로봇을 사용하여, 복수의 제조 라인에서 실시하는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적어도 1 개가 상기 코크스로의 연소실을 구성하는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코크스로 건설 장소에 있어서 정형 내화물을 수동 쌓기하는 정형 내화물 수동 쌓기 공정을 갖는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KR1020197015834A 2015-03-30 2016-03-25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Active KR102122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9895 2015-03-30
JP2015069895 2015-03-30
PCT/JP2016/001762 WO2016157871A1 (ja) 2015-03-30 2016-03-25 コークス炉の建設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832A Division KR20170130481A (ko) 2015-03-30 2016-03-25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88A KR20190064688A (ko) 2019-06-10
KR102122191B1 true KR102122191B1 (ko) 2020-06-12

Family

ID=570041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832A Ceased KR20170130481A (ko) 2015-03-30 2016-03-25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KR1020197015834A Active KR102122191B1 (ko) 2015-03-30 2016-03-25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832A Ceased KR20170130481A (ko) 2015-03-30 2016-03-25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279290B1 (ko)
JP (1) JP6008071B1 (ko)
KR (2) KR20170130481A (ko)
CN (1) CN107429166B (ko)
TW (1) TWI609954B (ko)
WO (1) WO2016157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9753B2 (ja) * 2016-10-14 2020-11-25 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およびその改修方法
JP2019035024A (ja) * 2017-08-16 2019-03-07 株式会社メガテック コークス炉の燃焼室を補修するための一体成形煉瓦、およびそれを用いた補修方法
JP6502435B2 (ja) * 2017-08-23 2019-04-17 株式会社メガテック コークス炉補修用のモジュールブロックの水平配列方法
JP6970636B2 (ja) * 2018-03-26 2021-11-24 日本製鉄株式会社 コークス炉構築工法及びコークス炉構築用仮設上屋
KR102567594B1 (ko) 2019-03-26 2023-08-1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코크스로 축로시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그리고 코크스로 축로 방법
JP7136147B2 (ja) * 2020-02-28 2022-09-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の建設方法及びモジュール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7235025B2 (ja) * 2020-10-27 2023-03-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モジュールブロック製造方法、炉建設方法、および測定システム
CN112574763A (zh) * 2020-12-30 2021-03-30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采用机器人砌筑焦炉砌体的焦炉砌筑工艺
CN112812788B (zh) * 2021-02-05 2024-07-09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焦炉智能砌筑机及焦炉连续砌筑工艺
JP7363841B2 (ja) * 2021-03-18 2023-10-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モジュールブロック形状測定方法、モジュールブロック形状測定システム、および、炉建設方法
CN113150797B (zh) * 2021-05-20 2024-07-09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机器砌筑焦炉的工艺方法及系统
CN113773864B (zh) * 2021-10-09 2022-10-0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用于焦炉炭化室炉口垂直缝填缝的自爬升机器人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968A (ja) 1999-07-05 2001-01-23 Kawasaki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補修方法
JP2003226878A (ja) 2002-02-05 2003-08-15 Jfe Steel Kk コークス炉燃焼室の炉壁補強部材
JP2010222414A (ja) 2009-03-19 2010-10-07 Jfe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熱間補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4230C (en) 1990-02-09 2001-07-03 Robert E. Kolvek Coke oven repair
EP1067167A3 (en) * 1999-07-05 2003-02-05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repairing coke oven and apparatus for taking-in bricks for repair
JP3397724B2 (ja) * 1999-07-05 2003-04-21 川崎製鉄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へのレンガ取り込み装置
JP2009521630A (ja) * 2005-12-30 2009-06-04 ゴールドウィング ノミニーズ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複数のレンガで建築物を建設するための自動レンガ積みシステム
US20080209849A1 (en) * 2007-03-02 2008-09-04 Saturn Machine & Welding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Coke Oven Wall
US20110083314A1 (en) * 2007-03-02 2011-04-14 Saturn Machine & Welding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coke oven wall
BRPI0818840A2 (pt) 2007-11-01 2015-04-22 Fosbel Intellectual Ltd Métodos para reparar uma parede de tijolos refratários em um forno e para substituir toda ou uma parte de uma parede de aquecimento de tijolos cerâmicos em um forno de coque
CN101265411B (zh) * 2008-03-27 2012-04-25 上海交通大学 功率源与挂表架自动对接与脱离装置
KR100978138B1 (ko) * 2009-01-22 2010-08-25 주식회사 후상 코크스 오븐의 연소실 온도측정장치
US8266853B2 (en) * 2009-05-12 2012-09-18 Vanocur Refractories Llc Corbel repairs of coke ovens
JP5223875B2 (ja) * 2010-03-11 2013-06-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の補修方法
WO2012078036A2 (en) * 2010-12-09 2012-06-14 Heatteq Refractories Holding B.V. Prefabricated coke oven wall, heavy lift construction for lifting and moving such a prefabricated coke oven wall, and method for repairing an existing coke oven battery
JP5962629B2 (ja) * 2013-10-23 2016-08-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の炉体構築方法
JP6098555B2 (ja) * 2014-03-19 2017-03-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の炉体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968A (ja) 1999-07-05 2001-01-23 Kawasaki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補修方法
JP2003226878A (ja) 2002-02-05 2003-08-15 Jfe Steel Kk コークス炉燃焼室の炉壁補強部材
JP2010222414A (ja) 2009-03-19 2010-10-07 Jfe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熱間補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9166A (zh) 2017-12-01
KR20170130481A (ko) 2017-11-28
EP3279290B1 (en) 2021-07-21
WO2016157871A1 (ja) 2016-10-06
KR20190064688A (ko) 2019-06-10
TWI609954B (zh) 2018-01-01
EP3279290A1 (en) 2018-02-07
JP6008071B1 (ja) 2016-10-19
CN107429166B (zh) 2020-07-24
EP3279290A4 (en) 2018-02-28
JPWO2016157871A1 (ja) 2017-04-27
TW201641679A (zh)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191B1 (ko) 코크스로의 건설 방법
JP6572485B2 (ja) コークス炉の建設方法
JP6573837B2 (ja) コークス炉の燃焼室の補修方法
JP6819703B2 (ja) 築炉方法
JP3397723B2 (ja) コークス炉の補修方法
AU2008320668A1 (en) Repair of heating walls in a refractory furnace
JP2019167503A (ja) コークス炉構築工法及びコークス炉構築用仮設上屋
JP7006521B2 (ja) コークス炉の築炉方法
JP6844332B2 (ja) 室炉式コークス炉の炉頂部の築造方法、及び室炉式コークス炉の炉頂部構造
CN102373063B (zh) 一种焦炉砌筑受料方法
JP5991478B2 (ja) コークス炉の部分積替え補修方法
JP6981321B2 (ja) コークス炉の築造方法
JP7371668B2 (ja) 炉建設方法
JP2020070341A (ja) コークス炉の解体建設方法
JP7259810B2 (ja) 炉建設方法およびスペーサ選択方法
JP7235025B2 (ja) モジュールブロック製造方法、炉建設方法、および測定システム
JP2016041782A (ja) コークス炉の構築方法
JP2024160572A (ja) 施工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施工計画作成システム、施工方法、施工計画作成支援方法、及び、施工計画作成方法
CN109945655B (zh) 一种强化轧钢加热炉辐射传热的预制块及筑炉工艺
JP6543310B2 (ja) コークス炉のピニオンウォールに隣接する燃焼室の構築方法
JP2020008197A (ja) プレキャスト耐火物ブロック、プレキャスト耐火物ブロック群、及びプレキャスト耐火物ブロックを用いた築炉構造
CN101762163B (zh) 台车离线施工方法
JP2017025301A (ja) コークス炉定型耐火物積み方法および定型耐火物供給装置
WO2025046733A1 (ja) コークス炉の補修方法および補修装置
CN119958287A (zh) 一种火道墙在线修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9053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7029832

Filing date: 2017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