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5390B1 - 프로젝트 창호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390B1
KR102095390B1 KR1020190084945A KR20190084945A KR102095390B1 KR 102095390 B1 KR102095390 B1 KR 102095390B1 KR 1020190084945 A KR1020190084945 A KR 1020190084945A KR 20190084945 A KR20190084945 A KR 20190084945A KR 102095390 B1 KR102095390 B1 KR 102095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curtain wall
installation groove
proje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용
Original Assignee
문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용 filed Critical 문수용
Priority to KR102019008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트 창호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튼월 프레임의 일측단에 단차진 형태의 설치홈부를 형성하고 설치홈부에 프로젝트 창짝의 창짝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프로젝트 창짝에 의해 커튼월 프레임의 개구부 유효폭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밀성 향상을 통한 단열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일측 내부에 롤방충망 매립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두께 방향으로 단차진 형태의 설치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튼월 프레임; 상기 커튼월 프레임의 설치홈부에 창짝프레임이 삽입되고 링크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여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창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트 창호{project window}
본 발명은 프로젝트 창호에 관한 것으로, 커튼월 프레임의 개구부 유효폭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밀성 향상을 통한 단열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은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함은 물론 채광 등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건물외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커튼월의 기본구조는 유리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바와 수직바로 구성되며, 수평바와 수직바를 조립하여 구성된 구획부에 유리패널을 설치하여 커튼월을 구성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커튼월은 유리패널을 두고 외부와 격리되어 있음에 따라 환기 등을 위해 일정간격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커튼월을 아랫열림 방식 또는 옆열림 방식 등 하나의 열림방식으로 개폐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 이러한 열림 방식의 창호를 프로젝트(project) 창호라고 칭하고 있다.
상기한 프로젝트창호는 창문프레임을 둘러싸고 있는 부품, 즉 하드웨어의 상호작용에 의해 창문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하드웨어는 창문프레임에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고, 핸들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어 진다.
종래의 프로젝트 창호는 커튼월프레임 내부에 고정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창짝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프로젝트 창호는 커튼월 프레임에 별도의 고정프레임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커튼월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의 유효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로젝트 창호에 롤형 방충망을 설치할 경우에도, 커튼월 프레임의 내측면에 롤형 방충망을 별도로 설치하게 됨으로써 개구부의 유효폭이 좁아지고 별도로 롤형 방충망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방충망 설치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305144호 공개특허번호 제10-2014-0085687호 등록특허번호 제10-138758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월 프레임의 일부가 프로젝트 창틀이 되고(별도의 프로젝트 창틀은 없어지고) 프로젝트 창문도 기존의 커튼월 프레임 내부에 묻혀 외부 또는 내부에서 프로젝트 창이 별도로 보이 않아 프로젝트 창호를 열지 않으면 프로젝트 창호의 설치 유무를 알지 못하도록 하며, 프로젝트 창짝에 의해 커튼월 프레임의 개구부 유효폭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밀성 향상을 통한 단열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두께 방향으로 단차진 형태의 설치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튼월 프레임; 상기 커튼월 프레임의 설치홈부에 창짝프레임이 삽입되고 링크를 통해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창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튼월 프레임은, 실내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에서 실외측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되, 단차진 상태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창짝프레임을 매립하기 위한 설치홈부를 형성하고, 실외측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프레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창짝은,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고 링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프레임; 상기 창짝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강화유리 상기 창짝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강화유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커튼월 프레임과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과 창짝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열전달을 차단해주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강화유리의 가장자리를 감싸 강화유리를 보호해주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단에서 수평판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강화유리의 측면을 지지하고 단열재를 통해 창짝프레임과 연결되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진 지지부; 상기 측면판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해주는 제2기밀부재; 상기 수평판에 결합되어 수평판의 외면을 마감해주고 열전달을 차단해주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에 설치되어 커튼월 프레임과의 기밀을 유지해주는 제3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강화유리의 가장자리를 감싸주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단열재 통해 창짝프레임과 연결되는 내측지지부와, 상기 단열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외측지지부와, 상기 외측지지부에 연결되어 강화유리의 가장자리를 감싸주는 측면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부; 상기 내측지지부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해주는 제2기밀부재; 상기 단열재에 설치되어 제2프레임부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4기밀부재; 상기 외측지지부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5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부는, 내부에 롤방충망 매립부가 형성되고 롤방충망을 펼쳐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튼월 프레임에 설치홈부를 형성하여 프로젝트 창짝의 창짝프레임이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고 롤방충망 또한 매립됨으로써 개구부의 유효폭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프레임부의 내측프레임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기밀부재를 통해 단차부의 수직면과 수평면 모두를 기밀시켜 2중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밀효율이 보다 향상되고 이로 인해 단열 효율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트 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트 창호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트 창호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제2프레임부가 설치된 프로젝트 창호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커버프레임이 설치된 프로젝트 창호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 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트 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트 창호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트 창호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개구부(150)을 형성하는 커튼월 프레임(100)과, 상기 커튼월 프레임(100)에 링크(280)를 통해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창짝(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튼월 프레임(100)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커튼월 프레임(100)은 두께 방향으로 단차진 형태의 설치홈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트 창짝(200)의 창짝프레임(210)이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튼월 프레임(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내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부(110)와 상기 제1프레임부(110)의 일측에서 제1프레임부(110)와 단차진 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트 창짝(200)의 창짝프레임(21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부(130)를 형성해주는 제2프레임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부(110)의 내부에는 롤방충망 매립부(111)를 형성하여 롤방충망(113)이 제1프레임부(110)의 내측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롤방충망 매립부(111)가 형성된 제1프레임부(110)에는 롤방충망(113)을 펼쳐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홀(11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롤방충망 매립부(111)는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부에 형성된다.
또한 수직부에는 상기 롤방충망(113)이 가이드 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롤방충망 가이드홈(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부(110)에는 단차진 형태의 설치홈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면에 설치되어 창짝프레임(210)과 접하게 됨으로써 창짝프레임(210)과 커튼월 프레임(110) 사이에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기밀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부(120)는, 상기 제1프레임부(110)의 일측에서 제1프레임부(110)와 단차진 상태로 연속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설치홈부(130)를 형성하는 내측프레임(121)과, 상기 내측프레임(121)과 단열재(125)를 통해 연결되는 외측프레임(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2프레임부(120)는 본 발명의 프로젝트 창호가 커튼월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경우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로젝트 창호가 커튼월 프레임(100)의 내측에 위치할 경우의 제2프레임부(120)는 도 5 에서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부(110)의 일측에서 제1프레임부(110)와 단차진 상태로 연속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설치홈부(130)를 형성하는 내측프레임(121)과, 상기 내측프레임(121)에서 연장되어 고정창(300)이 거치되는 받침프레임(126)과, 상기 받침프레임(126)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열전달을 차단해주는 단열커버(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내측프레임(121)에는 후술되는 커버프레임(230)과의 기밀 효율이 향상되도록 단차부(122)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프레임(121)에는 프로젝트 창짝(200)이 개구부(150)을 차폐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편(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커튼월 프레임(100)은 상기 설치홈부(130)가 형성됨으로써 프로젝트 창짝(200)의 창짝프레임(210)이 설치홈부(13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커튼월 프레임(100)의 개구부(150) 유효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제1프레임부(110)에 롤방충망 매립부(111)를 형성하고 롤방충망(113)이 매립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롤방충망(113) 설치에 의한 커튼월 프레임(100)의 개구부(150) 유효폭 저하를 방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로젝트 창짝(200)은, 상기 설치홈부(130)에 삽입되고 링크(25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프레임(210)과, 상기 창짝프레임(2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강화유리(220)와, 상기 창짝프레임(210)에 연결되고 상기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강화유리(220)를 보호해주고 커튼월 프레임(100)과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커버프레임(230)과, 상기 커버프레임(230)과, 창짝프레임(2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열전달을 차단해주는 단열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창짝프레임(210)은 링크(280)를 통해 커튼월 프레임(100)의 제2프레임부(120)에 연결되어 커튼월 프레임(100) 상에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창짝프레임(210)은 제2프레임부(120)의 설치홈부(130)에 삽입되어 개구부(15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개구부(150)가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커튼월 프레임(100)의 내측 개구부(150) 보다 창짝프레임(210)의 강화유리(220)가 넓은 상태를 유지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창짝프레임(210)에는 핸들(211)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211)은 상기 제2프레임부(120)에 설치되는 걸림편(123)에 걸려지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개구부(150)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강화유리(220)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강화유리를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프레임(230)은 상기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감싸줌으로써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보호해주는 수평판(241)과, 상기 수평판(241)의 일측단에서 수평판(241)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강화유리(220)의 측면을 지지하고 단열재(240)를 통해 창짝프레임(210)과 연결되는 측면판(242)으로 이루어진 지지부(240)와, 상기 측면판(242)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122)의 수직면(122a)과 수평면(122b)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해주는 제2기밀부재(250)와, 상기 수평판(241)에 결합되어 수평판(241)의 강성을 보강하고 수평판(241)의 외면을 마감해주고 열전달을 차단해주는 덮개부(260)와, 상기 덮개부(260)에 설치되어 커튼월 프레임(100)과의 기밀을 유지해주는 제3기밀부재(2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기밀부재(250)는 지지부(240)의 측면판(242)에 끼워지고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단차부(122) 수직면에(122a) 밀착되는 몸체부(250a)와, 상기 몸체부(250a)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단차부(122)의 수평면(122b)에 밀착되는 날개부(2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기밀부재(250)는 단차부(122)의 수직면(122a)과 수평면(122b) 모두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단열 효율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프레임(230)은 도 6에서와 같이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감싸줌으로서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보호해주고 일측단이 단열재를 통해 창짝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타측단은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감싸주도록 설치되는 지지부(240)와, 상기 지지부(240)의 일측단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122)의 수직면(122a)과 수평면(122b)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해주는 제2기밀부재(250)와, 상기 지지부(240)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제2프레임부(120)와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4기밀부재(252) 및 제5기밀부재(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40)는,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감싸주는 단열재(243)와, 상기 단열재(243)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창짝프레임(210)과 단열재(270)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기밀부재(250)가 설치되는 내측지지부(244)와, 상기 단열재(243)의 타측에 연결되는 외측지지부(245)와, 상기 외측지지부(245)에 연결되어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감싸주는 측면지지부(24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4기밀부재(252)는 단열재(243)에 설치되고, 상기 제5기밀부재(253)는 외측지지부(245)에 설치되어 제2프레임부(120)와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단열재(243)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금속재질의 외측지지부(245)와 내측지지부(244)의 열전달을 차단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밀부재들을 통해 프로젝트 창짝(200)과 커튼월 프레임(1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되, 커튼월 프레임(100)의 제2프레임부(120)에 단차부(122)를 형성하고 열 손실을 줄여주고, 프로젝트 창짝(200)에 설치되는 제2기밀부재(250)를 통해 단차부(122)를 2중으로 기밀시켜 줌으로써 기밀효율이 보다 향상되어 단열효과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커버프레임(230)의 제2기밀부재(250)는 몸체부(235)와 날개부(236)를 통해 단차부(122)의 수직면(122a)과 수평면(122b)에 밀착되어 보다 기밀 효율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단열 효과가 증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트 창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프로젝트 창짝(200)이 차폐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프로젝트 창짝(200)의 핸들(211)을 회전시켜주면 핸들(211)과 걸림편(123)과의 걸림이 해제되고, 프로젝트 창짝(200)을 실외측으로 밀어주면 링크(280)의 작동에 의해 프로젝트 창짝(200)이 회전되어 개구부(15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개구부(150)를 차폐할 경우에는 프로젝트 창짝(200)의 핸들(211)을 잡고 실내측으로 당긴 후 핸들(211)을 회전시켜 핸들(211)의 잠금수단이 걸림편(123)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개구부(150)를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창짝(200)은 창짝프레임(210)의 제1기밀부재(140)에 밀착되어 1차적으로 기밀이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프레임(230)의 제3기밀부재(251), 제4기밀부재(252), 제5기밀부재(253)가 제프레임부(120)에 밀착되어 추가적인 단열이 이루어지고, 제2기밀부재(250)의 몸체부(250a)가 내측프레임(121)의 단차부(122) 수직면(122a)에 밀착되고 날개부(250b)가 수평면(122b)에 밀착되어 기밀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롤방충망 매립부(111)에 매립된 롤방충망(113)을 펼쳐 설치함으로써 개구부를 통해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해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프로젝트 창호는, 커튼월 프레임(100)에 설치홈부(130)를 형성하여 프로젝트 창짝(200)의 창짝프레임(210)이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고 롤방충망(113) 또한 매립됨으로써 개구부(150)의 유효폭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제2프레임부(120)의 내측프레임(121)에 단차부(122)를 형성하고 커버프레임(230)의 제2기밀부재(250)를 통해 단차부(122)의 수직면(122a)과 수평면(122b) 모두를 기밀시켜 2중으로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밀효율이 보다 향상되고 이로 인해 단열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커튼월 프레임 (110) : 제1프레임부
(111) : 롤방충망 매립부 (112) : 개구홀
(113) : 롤방충망 (120) : 제2프레임부
(121) : 내측프레임 (122) : 단차부
(123) : 걸림편 (124) : 외측프레임
(125) : 단열재 (126) : 받침프레임
(127) : 단열커버 (130) : 설치홈부
(140) : 제1기밀부재 (200) : 프로젝트 창짝
(210) : 창짝프레임 (211) : 핸들
(220) : 강화유리 (230) : 커버프레임
(240) : 지지부 (241) : 수평판
(242) : 측면판 (243) : 단열재
(244) : 내측지지부 (245) : 외측지지부
(246) : 측면지지부 (250) : 제2기밀부재
(250a) : 몸체부 (250b) : 날개부
(251) : 제3기밀부재 (252) : 제4기밀부재
(253) : 제5기밀부재 (260) : 덮개부
(270) : 단열재 (280) : 링크

Claims (6)

  1.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개구부(150)를 형성하고 프로젝트 창짝(200)의 창짝프레임(210)이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두께 방향으로 단차진 형태의 설치홈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커튼월 프레임(100);
    상기 커튼월 프레임(100)의 설치홈부(130)에 창짝프레임(210)이 삽입되고 링크(280)를 통해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창짝(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튼월 프레임(100)은, 실내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부(110)와, 상기 제1프레임부(110)에서 실외측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되, 단차진 상태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창짝프레임을 매립하기 위한 설치홈부(130)를 형성하고, 실외측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의 단차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제2프레임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젝트 창짝(200)은 상기 설치홈부(130)에 삽입되어 개구부(150)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링크(28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프레임(210)과, 상기 창짝프레임(2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강화유리(220)와, 상기 창짝프레임(210)과 연결되고 상기 강화유리(2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커튼월 프레임(100)의 단차부(122)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커버프레임(230)과, 상기 커버프레임(230)과 창짝프레임(2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열전달을 차단해주는 단열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프로제트 창짝(200)의 창짝프레임(210)이 설치홈부(130)에 삽입됨으로써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110)의 내부에는 롤방충망(113)을 설치하기 위한 롤방충망 매립부(111)가 형성되고 롤방충망(113)을 펼쳐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홀(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4945A 2019-07-15 2019-07-15 프로젝트 창호 Active KR10209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45A KR102095390B1 (ko) 2019-07-15 2019-07-15 프로젝트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45A KR102095390B1 (ko) 2019-07-15 2019-07-15 프로젝트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90B1 true KR102095390B1 (ko) 2020-03-31

Family

ID=7000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45A Active KR102095390B1 (ko) 2019-07-15 2019-07-15 프로젝트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272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두진테크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CN116044064A (zh) * 2022-12-27 2023-05-02 江苏金贸建设集团有限公司 外循环对流双层通风玻璃环保幕墙
KR102665576B1 (ko) 2024-01-25 2024-05-16 주식회사 나비시스템 단열성 및 시공성이 개선된 개방식 커튼월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44B1 (ko) 2013-05-16 2013-09-12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KR101387586B1 (ko) 2012-04-12 2014-04-21 (주)신창산업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KR20140085687A (ko)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포스코 프로젝트 타입의 창호 시스템
KR20140136655A (ko) * 2013-05-21 2014-1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KR20150000653U (ko) * 2014-12-05 2015-02-11 (주)두린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KR20150116579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효성금속 커튼월용 창호
KR20180026732A (ko) * 2015-07-30 2018-03-13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586B1 (ko) 2012-04-12 2014-04-21 (주)신창산업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KR20140085687A (ko)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포스코 프로젝트 타입의 창호 시스템
KR101305144B1 (ko) 2013-05-16 2013-09-12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KR20140136655A (ko) * 2013-05-21 2014-1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KR20150116579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효성금속 커튼월용 창호
KR20150000653U (ko) * 2014-12-05 2015-02-11 (주)두린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KR20180026732A (ko) * 2015-07-30 2018-03-13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272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두진테크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2507325B1 (ko) 2021-02-08 2023-03-08 주식회사 두진테크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CN116044064A (zh) * 2022-12-27 2023-05-02 江苏金贸建设集团有限公司 外循环对流双层通风玻璃环保幕墙
CN116044064B (zh) * 2022-12-27 2023-12-22 江苏金贸建设集团有限公司 外循环对流双层通风玻璃环保幕墙
KR102665576B1 (ko) 2024-01-25 2024-05-16 주식회사 나비시스템 단열성 및 시공성이 개선된 개방식 커튼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390B1 (ko) 프로젝트 창호
KR102368036B1 (ko) 커튼월 창 단열구조체
US6581588B2 (en) Door of insulating glass for a cooking chamber of a cooking appliance
KR100907602B1 (ko)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2197Y1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100774489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US20200238795A1 (en) Window assembly having flush frame to sash
JP5941291B2 (ja) サッシ
KR20180065305A (ko) 창호
KR102053957B1 (ko) 창호
KR101949136B1 (ko) 단열 창호
KR20150067669A (ko) 냉열 차단용 문과 문틀
JPH08177318A (ja) 引違い窓の窓枠
US10829980B2 (en) Astragal and sealing for the same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JP7003094B2 (ja) 開口部建材
JP2020002581A (ja) 窓装置
KR101840693B1 (ko) 개방면적이 넓은 미서기창
KR101498070B1 (ko) 도어
EA004010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рания проема в здании, в частност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JP6895420B2 (ja) サッシ
KR102162261B1 (ko) 먼지 차단 장치
KR100645421B1 (ko) 이중단열창
KR200373247Y1 (ko) 미서기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