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5144B1 -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144B1
KR101305144B1 KR1020130055735A KR20130055735A KR101305144B1 KR 101305144 B1 KR101305144 B1 KR 101305144B1 KR 1020130055735 A KR1020130055735 A KR 1020130055735A KR 20130055735 A KR20130055735 A KR 20130055735A KR 101305144 B1 KR101305144 B1 KR 10130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tempered glass
space
inner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주)신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주)신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13005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1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중강화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하부프레임과 알루미늄재질의 내측고정프레임으로 분리결합시켜 열전도율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상기 내측고정프레임은 단열재가 삽입된 제 1공간프레임 및 제 2공간프레임과 보강고정구가 삽입된 제 3공간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단열성능과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과 맞닿는 부위로 개폐충격을 흡수하고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부재을 구비하되, 상기 열차단부재는 내측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압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프레임의 구조 변경없이 열차단부재만의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PROJECT WINDOW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측벽 설치된 창틀프레임에 설치되어 다중강화유리를 개방 또는 폐쇄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순환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강화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하부프레임과 알루미늄재질의 내측고정프레임으로 분리결합시켜 열전도율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상기 내측고정프레임은 단열재가 삽입된 제 1공간프레임 및 제 2공간프레임과 보강고정구가 삽입된 제 3공간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단열성능과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과 맞닿는 부위로 개폐충격을 흡수하고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부재을 구비하되, 상기 열차단부재는 내측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압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프레임의 구조 변경없이 열차단부재만의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기술이 발전되면서 각종 건축물, 특히 고층건물의 벽면은 미닫이창과 같은 구조가 점차 사라지면서 외부로부터 빛을 실내로 투광하거나 또는 외부로 투시할 수 있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강화유리 벽을 설치 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 외벽의 일부 혹은 전체를 강화유리로 시공할 경우, 이의 시공은 건물 구조체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커튼월 등과 같은 지지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 후 그 지지프레임에 강화유리를 안치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강화유리를 건물 구조체 외벽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물 외벽에는 건물 내부로의 환기를 위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일정 위치에 창문을 설치하고 이들 창문에 강화유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대 건축물이 초고층화, 밀집화될수록 창호의 크기 역시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높은 강도와, 신축이 적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발화온도가 기존 플라스틱 재질보다 높은 알루미늄이 바람직하지만, 알루미늄 재질은 열전도율이 높고 대류에 의한 손실이 크다는 단점을 가진다. 대부분 창호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알루미늄 프레임의 열손실에 의한 것이다.
종래의 프로젝트창(등록번호: 제10-0921654호)에 따르면 유리를 고정하는 창문프레임이 하나로 구성되어 금속의 열전도에 의해 단열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프로젝트창은 창문프레임이 별도의 보강수단이 없어 창문프레임을 개폐할 경우, 강화유리의 무게와 개폐충격에 창문프레임이 쉽게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프로젝트창은 강화유리의 두께를 다중으로 설치할 경우, 문틀과 창문프레임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문틀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호환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다중강화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하부프레임과 알루미늄재질의 내측고정프레임으로 분리결합시켜 열전도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다중강화유리를 지지하는 내측고정프레임은 단열재가 삽입된 제 1공간프레임 및 제 2공간프레임과, 보강고정구가 삽입된 제 3공간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단열성능와 함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과 맞닿는 부위로 개폐충격을 흡수하고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부재을 구비하되, 상기 열차단부재는 내측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압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프레임의 구조 변경없이 열차단부재만의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발명은,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건축물의 실내외 경계면에 배치되고, 프레임과의 접촉부위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호 간 높이가 다르게 배치된 다중강화유리;와, 상부는 상기 다중강화유리의 외측강화유리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부면 전체와 기밀되는 기밀부재가 삽입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연설되어 내측강화유리의 하부와 내측벽에 다단 밀착되어 지지하는 내측고정프레임;과, 상기 내측고정프레임과 일체로 연장되고 손잡이가 연결되는 단열 공기층를 갖는 창문프레임; 및 상기 창틀프레임에 고정되어 내측고정프레임과 창문프레임에 각각 밀착되면서 실내외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과 맞닿는 부위로 개폐충격을 흡수하고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내측고정프레임은, 상기 창문프레임의 타측에 연장되어 상기 내측강화유리의 측벽을 지지하고 내부로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가 내장된 제 1공간프레임과, 상기 제 1공간프레임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연장되되, 내부로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가 내장되어 상기 내측강화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2공간프레임과, 상기 제 2공간프레임의 하부 타측에 연장되어 일측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연설되고, 타측은 상기 열차단부재와 접촉되는 제 3공간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1공간프레임과, 제 2공간프레임은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가 부분 절개된 절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3공간프레임의 내부로는 다중강화유리의 고중량 및 개폐충격에 의한 제 3공간프레임의 형상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L" 형상의 금속 보강고정구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창문프레임과 맞닿는 부위에 개폐충격을 완화시키고 기밀성과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제 1가스켓이 결합되는 지지부가 더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열차단부재는 내측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압출성형될 수 있도록 PVC, 폴리아미드, PS 계열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열차단부재는 공기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열차단부재의 몸체 또는 상기 열차단부재와 맞닿은 내측고정프레임의 제 3공간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개폐충격을 완화하고 기밀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1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PVC, 폴리아미드, PS 계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창틀프레임과의 기밀성과 수밀성과 향상되도록 섬모가 연장되는 제 2가스켓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9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열차단부재는 제 1가스켓이 일체로 이형 압출성형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0발명은, 제 8발명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제 2가스켓이 일체로 이형 압출성형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에 따르면, 다중강화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하부프레임과 알루미늄재질의 내측고정프레임으로 분리결합시켜 열전도율을 최소화됨에 따라 단열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중강화유리를 지지하는 내측고정프레임은 단열재가 삽입된 제 1공간프레임 및 제 2공간프레임과, 보강고정구가 삽입된 제 3공간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단열성능와 함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과 맞닿는 부위로 개폐충격을 흡수하고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부재을 구비하되, 상기 열차단부재는 내측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압출성형으로 제작되어 지지프레임의 구조 변경 없이 열차단부재 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차단부재와 제 1가스켓과, 하부프레임의 제 2가스켓을 일체로 이형 압출성형시켜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하부프레임 및 열차단부재를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열차단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부프레임 및 열차단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측벽 설치된 창틀프레임(60)에 설치되어 다중강화유리(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순환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100)은 다중강화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하부프레임과 알루미늄재질의 내측고정프레임으로 분리결합시켜 열전도율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상기 내측고정프레임은 단열재가 삽입된 제 1공간프레임 및 제 2공간프레임과 보강고정구가 삽입된 제 3공간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단열성능과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과 맞닿는 부위로 개폐충격을 흡수하고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부재을 구비하되, 상기 열차단부재는 내측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압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프레임의 구조 변경없이 열차단부재만의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100)은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다중강화유리(10)와, 하부프레임(20)과, 내측고정프레임(30)과, 창문프레임(40)과, 지지프레임(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중강화유리(10)는 실시예로 3중 강화유리로 구성되며, 강화유리의 무게가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건축물의 실내외 경계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과 내측고정프레임(30)과의 접촉면적을 증대되도록 상호 간 높이가 다르게 배치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부가 상기 다중강화유리(10)의 외측강화유리(12) 하부에 고정되어 지지하고, 하부는 상기 창틀프레임(60)의 상부면 전체와 기밀되는 기밀부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하부프레임(20)은 금속 간의 열전도를 방지함과 더불어 강성을 유지하고 또한, 압출 성형될 수 있도록 PVC, 폴리아미드, PS 계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밀부재는 창틀프레임(60)과의 기밀성과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섬모(H)가 연장되는 제 2가스켓(G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0)은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제 2가스켓(G2)과 일체로 이형 압출성형되어 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외에 상기 제 2가스켓(G2)은 하부프레임(20)과 조립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일측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1)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결합부(21)의 형태는 "T" 형의 삽입구조, 또는 "ㄷ"형의 끼움구조 중 어느 하나이며,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ㄷ"형 끼움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창문프레임(40)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과 일체로 연장되고, 내부로는 단열 공기층이 형성되며, 면상에는 손잡이(41)가 결합된 구조이다.
이러한 창문프레임(40)은 손잡이(41)를 당겨 다중강화유리(10)를 창틀프레임(60)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기능 한다.
아울러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은 타측이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연설되어 내측강화유리(11)의 하부와 내측벽에 다단 밀착되어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내측고정프레임(30)은 상기 창문프레임(40)의 타측에 연장되어 상기 내측강화유리(11)의 측벽을 지지하고 내부로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가 내장된 제 1공간프레임(31)과, 상기 제 1공간프레임(31)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연장되되, 내부로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I)가 내장되어 상기 내측강화유리(1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2공간프레임(32)과, 상기 제 2공간프레임(32)의 하부 타측에 연장되어 일측은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연설되고, 타측은 상기 열차단부재(51)와 접촉되는 제 3공간프레임(3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공간프레임(31)과, 제 2공간프레임(32)은 금속 간에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가 부분 절개된 절개부(311,321)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공간프레임(33)의 내부로는 다중강화유리의 고중량 및 개폐충격에 의한 제 3공간프레임(33)의 형상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L" 형상의 금속 보강고정구(331)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의 구조는 단열재(I)가 삽입된 제 1공간프레임(31) 및 제 2공간프레임(32)를 통해 다중으로 열을 차단하고, 또한 보강고정구(331)가 삽입된 제 3공간프레임(33)를 통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50)은 내부로는 단열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 및 창문프레임(40)과 맞닿는 부위로는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과의 개폐충격을 흡수하고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부재(5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50)은 규격화되어 상기 창문프레임(40)을 지지하고 개폐충격과 기밀성과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제 1가스켓(G1)이 결합되는 지지부(52)가 더 연장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차단부재(51)는 내측고정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50)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압출 성형될 수 있도록 PVC, 폴리아미드, PS 계열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압출 성형되는 열차단부재(51)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구조 변경 없이 열차단부재(51)만의 교체하여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차단부재(51)는 도 3의 (b)와 같이, 공기층이 형성된 몸체(511)와, 상기 몸체(511)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0)과 결합되는 결합부(5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512)는 형태는 "T" 형으로 삽입구조, 또는 "ㄷ"형 끼움구조로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ㄷ"형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열차단부재(51)의 몸체(511) 또는 상기 열차단부재(51)와 맞닿은 내측고정프레임(30)의 제 3공간프레임(33) 중 어느 하나에는 개폐충격을 완화하고 기밀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1가스켓(G1)이 구비되는 구성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가스켓(G1)이 상기 열차단부재(51)의 몸체(511)에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 1가스켓(G1)은 공기층이 마련된 형태로 상기 열차단부재(51)의 몸체(511)와 일체로 이형 압출성형되어 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가스켓(G1)은 하부프레임(20)과 조립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작동도 및 열차단 효과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열차단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4와 같이, 창문프레임(40)에 결합된 손잡이(41)를 밀면 다중강화유리(10)를 창틀프레임(60)에서 개방시켜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창문프레임(40)에 결합된 손잡이(41)를 잡아당기면 상기 다중강화유리(10)는 창틀프레임(60)에 밀착되어 폐쇄되는데, 이 때 상기 창문프레임(40)은 지지프레임(50)의 연장된 지지부(52)의 제 1가스켓(G1)에 밀착되고, 동시에 내측고정프레임(30)의 제 3공간프레임(33)은 상기 지지프레임(50)에 결합된 열차단부재(51)의 제 1가스켓(G1)이 밀착된다.
이때 상기 각 제 1가스켓(G1)은 공기층이 마련되어 있어 개폐충격을 상쇄시키고, 또한 외부공기 및 습기를 차단하여 기밀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중강화유리(10)의 외측강화유리(12) 하부에 결합된 하부프레임(20)은 제 2가스켓(G2)의 섬모(H)가 상기 창틀프레임(60)의 면상에 접촉되면서 이 부분에서도 기밀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5과 같이, 다중강화유리(10)가 창틀프레임(60)에서 폐쇄된 상태에서는 먼저 지지프레임(50)과, 창문프레임(4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단열 공기층에 의해 실내외의 기온차에 대한 완충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하부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60)의 사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및 수분은 1차로 하부프레임(20)의 제 2가스켓(G2)의 의해 차단된다.
이때 하부프레임(20)은 합성수지 계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연결된 내측고정프레임(30)으로 열전도가 저하된다.
또한 보강고정구(331)가 삽입된 내측고정프레임(30)의 제 3공간프레임(33)를 거쳐 일부 열전도가 이루어진다 하더라고, 내측고정프레임(30)의 제 1공간프레임(31)과 제 2공간프레임(32)의 내부에 내장된 단열재(I)의 의해 2중 단열효과가 이루어지므로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중강화유리(10)를 폐쇄시킬 때 유입압력으로 제 2가스켓(G2)을 지나 내측고정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50)의 사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및 수분은 열차단부재(51)에 결합된 제 1가스켓(G1)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상기 열차단부재(51) 역시 합성수지 계열로 이루어지 때문에 상기 열차단부재(51)에 연결된 지지프레임(50)으로 열전도가 저하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과 열차단부재(51)를 거쳐 외부공기 및 수분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지지프레임(50)의 지지부(52)에 결합된 제 1가스켓(G1)에 의해 완전히 상쇄되기 때문에 기밀성 및 수밀성에 의한 열차단을 완벽이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6과 같이, 다중강화유리(10)를 2중 강화유리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강화유리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은 단일의 제 1공간프레임(31)만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공간프레임(31) 역시 내부에는 단열재(I)가 결합되어 있어 금속 간 열전도를 저하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물론,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은 2중 강화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과 상호 간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은 패럴렐(parallel)의 타입의 창호 시스템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프레임(50)과 내측고정프레임(30)의 사이에는 슬라이딩접촉부재(70)를 각각 결합시켜 강화유리를 개폐시킬 시 평행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또한 기밀성과 단열성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다중강화유리 11: 내측강화유리 12: 외측강화유리
20: 하부프레임 21: 결합부
30: 내측고정프레임 31: 제 1공간프레임 311: 절개부
32: 제 2공간프레임 321: 절개부
33: 제 3공간프레임 331: 보강고정구
40: 창문프레임 41: 손잡이
50: 지지프레임 51: 열차단부재 511: 몸체
512: 결합부 52: 지지부
60: 창틀프레임
70: 슬라이딩접촉부재
100: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G1: 제 1가스켓 G2: 제 2가스켓 H: 섬모
I: 단열재

Claims (10)

  1. 건축물의 외벽측에 설치된 창틀프레임(60)에 설치되어 다중강화유리(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순환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100)은,
    건축물의 실내외 경계면에 배치되고, 프레임과의 접촉부위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호 간 높이가 다르게 배치된 다중강화유리(10);
    상부는 상기 다중강화유리(10)의 외측강화유리(12)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창틀프레임(60)의 상부면 전체와 기밀되는 기밀부재가 삽입된 하부프레임(20);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연설되어 내측강화유리(11)의 하부와 내측벽에 다단 밀착되어 지지하는 내측고정프레임(30);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과 일체로 연장되고 손잡이(41)가 연결되는 단열 공기층를 갖는 창문프레임(40); 및
    상기 창틀프레임(60)에 고정되어 내측고정프레임(30)과 창문프레임(40)에 각각 밀착되면서 실내외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프레임(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과 맞닿는 부위로 개폐충격을 흡수하고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부재(51)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고정프레임(30)은,
    상기 창문프레임(40)의 타측에 연장되어 상기 내측강화유리(11)의 측벽을 지지하고 내부로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가 내장된 제 1공간프레임(31)과, 상기 제 1공간프레임(31)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연장되되, 내부로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I)가 내장되어 상기 내측강화유리(1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2공간프레임(32)과, 상기 제 2공간프레임(32)의 하부 타측에 연장되어 일측은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연설되고, 타측은 상기 열차단부재(51)와 접촉되는 제 3공간프레임(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간프레임(31)과, 제 2공간프레임(32)은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가 부분 절개된 절개부(311,32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공간프레임(33)의 내부로는 다중강화유리(10)의 고중량 및 개폐충격에 의한 제 3공간프레임(33)의 형상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L" 형상의 금속 보강고정구(331)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상기 창문프레임(40)과 맞닿는 부위에 개폐충격을 완화시키고 기밀성과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제 1가스켓(G1)이 결합되는 지지부(52)가 더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열차단부재(51)는 내측고정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50)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압출성형될 수 있도록 PVC, 폴리아미드, PS 계열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부재(51)는 공기층이 형성된 몸체(511)와, 상기 몸체(511)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0)과 결합되는 결합부(5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부재(51)의 몸체(511) 또는 상기 열차단부재(51)와 맞닿은 내측고정프레임(30)의 제 3공간프레임(33) 중 어느 하나에는 개폐충격을 완화하고 기밀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1가스켓(G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0)은 PVC, 폴리아미드, PS 계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창틀프레임(60)과의 기밀성과 수밀성과 향상되도록 섬모(H)가 연장되는 제 2가스켓(G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부재(51)는 제 1가스켓(G1)이 일체로 이형 압출성형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제 2가스켓(G2)이 일체로 이형 압출성형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KR1020130055735A 2013-05-16 2013-05-16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30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735A KR101305144B1 (ko) 2013-05-16 2013-05-16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735A KR101305144B1 (ko) 2013-05-16 2013-05-16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144B1 true KR101305144B1 (ko) 2013-09-12

Family

ID=4945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7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5144B1 (ko) 2013-05-16 2013-05-16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14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139B1 (ko) * 2013-10-28 2014-05-15 (주) 점보알텍 창호의 유리창 지지장치
KR101472743B1 (ko) 2014-05-15 2014-12-15 효성건업 주식회사 프로젝트 창호 및 커튼 월 창호
KR20150117024A (ko) * 2014-04-09 2015-10-19 디오펜코리아(주) 평탄한 창짝을 지니는 고에너지 효율의 창호 구조체
WO2015194741A1 (ko) * 2014-06-19 2015-12-23 (주)윈가람 창호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7393A (ko) * 2015-08-06 2017-02-15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KR101785078B1 (ko) 2017-02-24 2017-10-12 이정범 개방식 단열 커튼월
KR101958183B1 (ko) * 2018-08-16 2019-03-20 주식회사 중앙알텍 내구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CN110219548A (zh) * 2019-07-13 2019-09-10 山东华建铝业集团有限公司 一种外开隐扇窗
KR102095390B1 (ko) 2019-07-15 2020-03-31 문수용 프로젝트 창호
KR102121166B1 (ko) * 2020-01-10 2020-06-09 이지영 광투과율 조절기능을 가진 방화단열 커튼월
KR20200001540U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건원 단열 향상형 프로젝트 창호
KR102252107B1 (ko) * 2020-03-17 2021-05-14 (주)신성기업 프로젝트 창호 결합구조
CN115247529A (zh) * 2022-08-03 2022-10-28 福建省中博道和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断桥式钢铝合金结构及耐火窗
KR20240014932A (ko) * 2022-07-26 2024-02-02 박차성 단열등급을 향상시킨 히든바 커튼윌 단열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267A (ja) * 1993-11-11 1995-05-30 Fujisash Co 窓装置
KR200373243Y1 (ko) * 2004-10-30 2005-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용 프레임
KR100975604B1 (ko) * 2010-02-08 2010-08-17 김용호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077492B1 (ko) * 2011-04-22 2011-10-27 (주)신창산업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267A (ja) * 1993-11-11 1995-05-30 Fujisash Co 窓装置
KR200373243Y1 (ko) * 2004-10-30 2005-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용 프레임
KR100975604B1 (ko) * 2010-02-08 2010-08-17 김용호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077492B1 (ko) * 2011-04-22 2011-10-27 (주)신창산업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139B1 (ko) * 2013-10-28 2014-05-15 (주) 점보알텍 창호의 유리창 지지장치
KR20150117024A (ko) * 2014-04-09 2015-10-19 디오펜코리아(주) 평탄한 창짝을 지니는 고에너지 효율의 창호 구조체
KR101583588B1 (ko) * 2014-04-09 2016-01-08 디오펜코리아(주) 평탄한 창짝을 지니는 고에너지 효율의 창호 구조체
KR101472743B1 (ko) 2014-05-15 2014-12-15 효성건업 주식회사 프로젝트 창호 및 커튼 월 창호
WO2015194741A1 (ko) * 2014-06-19 2015-12-23 (주)윈가람 창호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7393A (ko) * 2015-08-06 2017-02-15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KR101710526B1 (ko) 2015-08-06 2017-02-27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KR101785078B1 (ko) 2017-02-24 2017-10-12 이정범 개방식 단열 커튼월
KR101958183B1 (ko) * 2018-08-16 2019-03-20 주식회사 중앙알텍 내구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WO2020036296A1 (ko) * 2018-08-16 2020-02-20 주식회사 중앙알텍 단열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KR20200001540U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건원 단열 향상형 프로젝트 창호
CN110219548A (zh) * 2019-07-13 2019-09-10 山东华建铝业集团有限公司 一种外开隐扇窗
CN110219548B (zh) * 2019-07-13 2024-11-15 山东华建铝业集团有限公司 一种外开隐扇窗
KR102095390B1 (ko) 2019-07-15 2020-03-31 문수용 프로젝트 창호
KR102121166B1 (ko) * 2020-01-10 2020-06-09 이지영 광투과율 조절기능을 가진 방화단열 커튼월
KR102252107B1 (ko) * 2020-03-17 2021-05-14 (주)신성기업 프로젝트 창호 결합구조
KR20240014932A (ko) * 2022-07-26 2024-02-02 박차성 단열등급을 향상시킨 히든바 커튼윌 단열창호
KR102747009B1 (ko) 2022-07-26 2024-12-27 주식회사 메이크월 단열등급을 향상시킨 히든바 커튼윌 단열창호
CN115247529A (zh) * 2022-08-03 2022-10-28 福建省中博道和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断桥式钢铝合金结构及耐火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144B1 (ko)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1077492B1 (ko)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0975604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200479863Y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KR101387586B1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JP6527756B2 (ja) 断熱ドア
KR20100081841A (ko) 시스템 창호
JP6616535B2 (ja) 断熱サッシ
KR20190074750A (ko) 친환경 복합 커튼월
JP2016070030A (ja) 断熱サッシ
KR101953406B1 (ko)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101400318B1 (ko) 창호 시스템
KR20140136653A (ko) 시스템 창호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2169716B1 (ko)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KR101384134B1 (ko) 고 기밀성 단열 창호
KR101597750B1 (ko) 창호틀 프레임의 조립 방법
KR20110036397A (ko) 커튼 웰 시스템 창호용 보조문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JP2016145503A (ja) 断熱サッシ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101293191B1 (ko) 입면 분할 창호에 구비되는 고 기밀성 단열 중간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