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7602B1 -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 Google Patents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602B1
KR100907602B1 KR1020070086686A KR20070086686A KR100907602B1 KR 100907602 B1 KR100907602 B1 KR 100907602B1 KR 1020070086686 A KR1020070086686 A KR 1020070086686A KR 20070086686 A KR20070086686 A KR 20070086686A KR 100907602 B1 KR100907602 B1 KR 10090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fitting
extension
front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836A (ko
Inventor
한상식
Original Assignee
한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식 filed Critical 한상식
Priority to KR102007008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6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문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연장부에 절곡된 돌출부를 연장 형성하고, 현관문 및 문틀을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리한 후에 전면부와 후면부가 접촉하여 연결되는 부분에 단열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하고 동시에 열전도에 의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은, 벽면에 고정되는 문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단열재가 형성되는 현관문에 있어서, 현관문의 모서리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가 절곡되어 상기 문틀에 형성되는 요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현관문, 문틀, 전면부, 후면부, 연장부, 돌출부, 삽입부, 수용부, 끼움부

Description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Door and doorframe for preventing invasion and dewdrop}
본 발명은 현관문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연장부에 절곡된 돌출부를 연장 형성하고, 현관문 및 문틀을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리한 후에 전면부와 후면부가 접촉하여 연결되는 부분에 단열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하고 동시에 열전도에 의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에 관한 것이다.
세대 현관에 설치되는 현관문(1)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문틀(2)에 현관문(1)이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문틀(2)에는 패킹(5)을 끼워주게 된다.
현관문(1)이 닫힌 경우, 연장부(3)가 문틀(2)에 밀착되지 않고, 현관문(1)과 문틀(2)의 사이 특히 문틀(2)과 문틀(2)을 일부 덮어주는 연장부(3)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이러한 틈새는 침입자의 침입을 허용하는 원 인이 되기도 한다. 즉, 문틀(2)과 연장부(3)의 사이에 일자형 드라이버나 지렛대 등의 기구를 넣고 문틀(2)과 연장부(3)의 사이를 벌리게 되면, 문틀(2)에 형성된 잠금장치(4)의 측면이 파손되어 현관문(1)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는 문틀(2)과 연장부(3) 사이의 틈새가 벌어져 있어 드라이버나 지렛대 등의 기구가 쉽게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틀(2)이 일반적으로 두께 1.6㎜의 철판으로 제작되어 있어 현관문(1)이 강제로 벌어질 때 잠금장치(4)의 측면이 쉽게 파손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문틀과 연장부 사이의 틈에 보강판을 삽입하여 문틀과 연장부 사이의 틈을 없애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연장부와 문틀 사이가 여전히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침입자의 침입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실외와 접하는 현관문의 낮은 온도가 실내와 접하는 현관문으로 열전도 되어 실내 현관문의 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틀의 경우에도 문틀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문틀의 실외와 접하는 부분과 실내와 접하는 부분 사이에 열전도가 발생하여 실내 문틀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혀 문틀, 주변 벽면 및 현관문에 곰팡이나 얼룩 등이 발생하고, 현관문, 문틀 및 마감재를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관문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연장부에 절곡된 돌출부를 연장 형성하고, 문틀에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요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문틀과 현관문 사이의 틈에 일자형 드라이버나 지렛대 등의 기구의 삽입을 원천 봉쇄할 수 있는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현관문 및 문틀을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리하고, 전면부와 후면부가 접촉하여 연결되는 부분에 단열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발생하는 열전도를 차단하여 결로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은, 벽면에 고정되는 문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부와 후면부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형성되는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일단은 연장되어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문틀에 형성되는 요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타단에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의 일단에는 상기 연장부에 끼워지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의 타단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연장부에 상기 후면부의 삽입부가 위치하고, 상기 후면부의 수용부에 상기 전면부의 끼움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와 삽입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와 삽입부의 사이 및 상기 수용부와 끼움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패드는, 상기 체결공에 안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양측에 형성되는 패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침입 및 결로 방지용 문틀은, 벽면에 고정되고, 전면부와 후면부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형성되는 문틀에 있어서, 현관문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고,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이 형성되며, 일단에 끼움부가 형성되는 전면부; 및 일단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용부가 형성되는 후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면부의 수용부에 상기 전면부의 끼움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와 끼움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패드는, 상기 체결공에 안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양측에 형성되는 패드부를 포함한다.
현관문의 연장부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문틀에 돌출부가 삽입되는 요홈을 형성하여 연장부와 문틀 사이의 틈이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일자형 드라이버 또는 지렛대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침입자가 현관문 또는 문틀의 잠금장치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관문 및 문틀 각각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접촉하여 연결되는 부분에 단열패드를 형성하여,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발생하는 열전도를 차단하여 실내에 접하는 현관문 및 문틀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문틀, 현관문, 마감재 및 주변 벽면에 곰팡이나 얼룩 등의 발생과 오염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단열패드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형성하여 결로 현상 방지의 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는 문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 부에 단열재(40)가 형성되며, 연장부(12)와 돌출부(13)를 포함한다.
현관문(10)의 모서리가 연장되어 연장부(12)가 형성되며, 연장부(12)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문틀(20)에 형성되는 요홈(22)에 끼워지는 돌출부(13)가 형성된다.
현관문(10)은 제작의 편의성과 단열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전면부(11)와 후면부(16)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면부(11)는 일단에 형성되는 연장부(12)와 돌출부(13), 및 타단에 형성되는 끼움부(15)를 포함하며, 후면부(16)의 일단에는 전면부(11)의 연장부(12)에 끼워지는 삽입부(17)가 형성되고, 후면부(16)의 타단에는 전면부(11)의 끼움부(15)가 삽입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용부(18)가 형성된다. 즉, 전면부(11)의 연장부(12)에 후면부(16)의 삽입부(17)가 위치하고, 후면부(16)의 수용부(18)에 전면부(11)의 끼움부(15)가 위치하도록 용접 또는 거멀접기로 전면부(11)와 후면부(16)를 압착 접합하는 것이다.
현관문(10)이 전면부(11)와 후면부(16)로 분리되더라도 겨울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11)의 낮은 온도가 내부에 위치하는 후면부(16)에 전도되어 후면부(16)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수도 있으므로, 전면부(11)와 후면부(16)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확실한 결로 방지를 위하여 연장부(12)와 삽입부(17)의 사이 및 수용부(18)와 끼움부(15)의 사이에 단열패드(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열패드(30)를 “∪”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끼움부(15) 및 삽입부(17)를 완전히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열패드(30)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부(15)와 삽입부(17)에는 다수의 체결공(14)을 형성 하고, 체결공(14)에 안착되는 연결부(31)와, 연결부(31) 양측에 형성되는 패드부(32)를 포함하는 단열패드(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단열패드(30)는, 패드부(32) 사이에 다수의 연결부(31)가 형성되는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도 4a), 각각의 패드부(3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1)가 형성되는 다수의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4b). 다수의 체결공(14)을 형성하여 열전도되는 면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낮은 열전도계수를 가지는 단열패드(30)를 사용하여 열전도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패드부(32)는 끼움부(15) 및 삽입부(17)를 감쌀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관문(10)의 전면부(11)의 상부 및/또는 하부 모서리에 연장부(12)와 돌출부(13)를 추가로 형성하고, 후면부(16)의 상부 및/또는 하부 모서리에는 연장부(12)에 끼워지는 삽입부(17)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관문(10)의 전면부(11)의 상부 및/또는 하부 모서리에 끼움부(15)를 추가로 형성하고, 후면부(11)의 상부 및/또는 하부 모서리에는 끼움부(15)가 삽입되는 절곡된 수용부(18)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현관문(10)이 전면부(11)와 후면부(16)로 분리되어 결로 방지에 특징이 있는 경우에는 전면부(11)의 돌출부(13) 및 돌출부(13)에 대응하는 문틀(20)의 요홈(22)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현관문(10) 및 문틀(20)의 내부에는 우레탄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 글라스 울) 등의 단열재(40)를 삽입하여 실내의 단열을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및 결로 방지용 문틀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단열재(40)가 형성되며, 전면부(21)와 후면부(26)를 포함한다.
전면부(21)는 현관문(10)의 돌출부(13)가 삽입되는 요홈(22)과, 패킹(23)이 삽입되는 패킹홈(24), 및 일단에 형성되는 끼움부(25)를 포함하며, 후면부(26)의 일단에는 전면부(21)의 끼움부(25)가 삽입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용부(28)가 형성된다. 즉, 후면부(26)의 수용부(28)에 전면부(21)의 끼움부(25)가 위치하도록 용접 또는 거멀접기로 전면부(21)와 후면부(26)를 압착 접합하는 것이다.
문틀(20)의 전면부(21)와 후면부(26)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확실한 결로 방지를 위하여 수용부(28)와 끼움부(25)의 사이에 단열패드(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열패드(30)를 “∪”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끼움부(25)를 완전히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문틀에 형성되는 단열패드는 현관문에 형성되는 단열패드(도 4a 및 도 4b)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끼움부(25, 25a)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수용부(28, 28a)와 끼움부(25, 25a)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패드(30)는, 체결공(14)에 안착되는 연결부(31); 및 연결부(31) 양측에 형성되는 패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음, 방풍, 단열 및 결로 방지 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문틀(20)의 요홈(22)에 현관문(10)의 돌출부(13)와 밀착되는 패킹(29)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고, 문틀(20)의 요홈(22)에 패킹(29)이 형성되는 경우에 문틀(20)의 패킹홈(24)은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패킹홈(24)에 삽입되는 패킹(23)도 생략할 수 있다.
현관문(10)의 수용부(18)와 마주하는 문틀(20a)의 경우에는 요홈(22)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단열재(40)가 형성되며, 전면부(21a)와 후면부(26a)를 포함한다.
전면부(21a)는 현관문(10)의 수용부(18)를 위한 수용홈(22a)과, 패킹(23a)이 삽입되는 패킹홈(24a), 및 일단에 형성되는 끼움부(25a)를 포함하며, 후면부(26a)의 일단에는 전면부(21a)의 끼움부(25a)가 삽입되는 절곡된 수용부(28a)가 형성된다. 즉, 후면부(26a)의 수용부(28a)에 전면부(21a)의 끼움부(25a)가 위치하도록 용접 또는 거멀접기로 전면부(21a)와 후면부(26a)를 압착 접합하는 것이다.
수용부(28a)와 끼움부(25a)의 사이에 단열패드(30)를 형성하여 문틀(20a)의 전면부(21a)와 후면부(26a)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함으로써, 확실한 결로 방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부(21a)와 후면부(26a)가 구분없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패킹홈(24a)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패킹홈(24a)에 삽입되는 패킹(23a)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용홈(22a)에 현관문(10)의 수용부(18)와 밀착되는 패킹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의 기능 및 작용을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현관문(10)을 닫게 되면, 현관문(10)의 돌출부(13)가 문틀(20)의 요홈(22)에 삽입되므로 침입자는 연장부(12)와 문틀(20) 사이의 공간으로 일자형 드라이버 등을 삽입할 수 없어 현관문(10)의 잠금장치를 파손시킬 수 없게 된다. 이때, 현관문(10)은 전면부(11)와 후면부(16)로 구분되어 있고, 전면부(11) 와 후면부(16)가 접촉하여 연결되는 부분에는 단열패드(30)가 형성되므로, 전면부(11)의 낮은 온도가 후면부(16)로 전도될 수 없어 실내에 위치하는 후면부(16)에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요홈(22)에 돌출부(13)가 밀착되는 패킹(29)이 추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방음, 방풍, 단열 및 결로 방지 효과의 추가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돌출부(13)와 접하는 문틀(20)도 전면부(21)와 후면부(26)로 구분되어 있고, 전면부(21)와 후면부(26)의 접촉 부분에는 단열패드(30)가 형성되어 있어 실내에 위치하는 후면부(26)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수용부(18)와 접하는 문틀(20a) 역시 전면부(21a)와 후면부(26a)로 구분 형성되고, 전면부(21a)와 후면부(26a)의 접촉 부분에도 단열패드(30)가 형성되므로, 전면부(21a)와 후면부(26a)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후면부(26a)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수용부(18)는 문틀(20a)의 수용홈(22a)에 삽입되므로 외부의 찬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인 현관문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횡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횡단면도.
도 3a는 도 2a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3b는 도 2a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의 단열패드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의 다른 단열패드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현관문 11, 21, 21a: 전면부
12: 연장부 13: 돌출부
15, 25, 25a: 끼움부 16, 26, 26a: 후면부
17: 삽입부 18, 28, 28a: 수용부
20, 20a: 문틀 22: 요홈
22a: 수용홈 23, 23a, 29: 패킹
24, 24a: 패킹홈 30: 단열패드

Claims (6)

  1. 벽면에 고정되는 문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부(11)와 후면부(16)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형성되는 현관문(10)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의 일단은 연장되어 연장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문틀(20)에 형성되는 요홈(22)에 끼워지는 돌출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1)의 타단에는 끼움부(15)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16)의 일단에는 상기 연장부(12)에 끼워지는 삽입부(17)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16)의 타단에는 상기 끼움부(15)가 삽입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용부(18)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11)의 연장부(12)에 상기 후면부(16)의 삽입부(17)가 위치하고, 상기 후면부(16)의 수용부(18)에 상기 전면부(11)의 끼움부(15)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부(11)와 후면부(16)가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15)와 삽입부(17)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와 삽입부(17)의 사이 및 상기 수용부(18)와 끼움부(15)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패드(30)는, 상기 체결공(14)에 안착되는 연결부(31); 및 상기 연결부(31) 양측에 형성되는 패드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2. 벽면에 고정되고, 전면부(21)와 후면부(26)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형성되는 문틀(20)에 있어서,
    현관문(10)의 돌출부(13)가 끼워지는 요홈(22)이 형성되고, 패킹(23)이 삽입되는 패킹홈(24)이 형성되며, 일단에 끼움부(25)가 형성되는 전면부(21); 및
    일단에는 상기 끼움부(25)가 삽입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용부(28)가 형성되는 후면부(26)를 포함하여, 상기 후면부(26)의 수용부(28)에 상기 전면부(21)의 끼움부(25)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부(21)와 후면부(26)가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25)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8)와 끼움부(25)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패드(30)는, 상기 체결공(14)에 안착되는 연결부(31); 및
    상기 연결부(31) 양측에 형성되는 패드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및 결로 방지용 문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86686A 2007-08-28 2007-08-28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Active KR10090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686A KR100907602B1 (ko) 2007-08-28 2007-08-28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686A KR100907602B1 (ko) 2007-08-28 2007-08-28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36A KR20090021836A (ko) 2009-03-04
KR100907602B1 true KR100907602B1 (ko) 2009-07-14

Family

ID=4069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686A Active KR100907602B1 (ko) 2007-08-28 2007-08-28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6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47B1 (ko) 2012-05-08 2013-11-27 김창곤 현관문용 침입방지장치
KR101728422B1 (ko) 2015-01-09 2017-04-19 김영은 축봉이 결합된 방범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32B1 (ko) * 2018-04-02 2020-06-05 송교덕 현관 방화문 장치
KR102032700B1 (ko) * 2019-02-28 2019-11-11 한상식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KR102032702B1 (ko) * 2019-02-28 2019-11-08 한상식 내진성이 향상된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KR20240095611A (ko) 2022-12-16 2024-06-26 김병국 진공포장된 단열재가 내장된 단열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58Y1 (ko) * 2000-11-02 2001-04-16 주식회사동방강건 방화문용 문틀
KR200396281Y1 (ko) * 2005-07-04 2005-09-20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방화문의 외측패널과 내측패널 결합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58Y1 (ko) * 2000-11-02 2001-04-16 주식회사동방강건 방화문용 문틀
KR200396281Y1 (ko) * 2005-07-04 2005-09-20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방화문의 외측패널과 내측패널 결합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47B1 (ko) 2012-05-08 2013-11-27 김창곤 현관문용 침입방지장치
KR101728422B1 (ko) 2015-01-09 2017-04-19 김영은 축봉이 결합된 방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36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02B1 (ko)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KR2004487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101589054B1 (ko) 단열 방화문 설치구조
KR20100120867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KR20100011143U (ko) 열전달 차단부재가 마련된 방화문
KR102095390B1 (ko) 프로젝트 창호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6939B1 (ko) 전후방 결로방지부가 구비된 방화문
JP6017339B2 (ja) 窓ユニット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1021751B1 (ko)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JP6333767B2 (ja) 建具
KR20100025043A (ko) 도어 시스템
KR101902892B1 (ko) 방풍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200450905Y1 (ko) 냉동 창고용 도어 장치
KR101022962B1 (ko)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JP7107858B2 (ja) 建具用排水装置及び建具
KR100328412B1 (ko) 격자식 이중창호용 후레임
KR200431481Y1 (ko) 출입문 부착용 밀폐테
KR20150067669A (ko) 냉열 차단용 문과 문틀
KR101989578B1 (ko) 방화 및 단열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