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847B1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1847B1 KR102091847B1 KR1020140080710A KR20140080710A KR102091847B1 KR 102091847 B1 KR102091847 B1 KR 102091847B1 KR 1020140080710 A KR1020140080710 A KR 1020140080710A KR 20140080710 A KR20140080710 A KR 20140080710A KR 102091847 B1 KR102091847 B1 KR 102091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molybdenum
- metal film
- copper
- based me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Wet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비교예 4의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Cu/MoNb 이중막질의 금속막을 식각한 후, 이미지를 주사 전자현미경(SEM, Hitach S-4700)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비교예 5의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Cu/MoNb 이중막질의 금속막을 식각한 후, 이미지를 주사 전자현미경(SEM, Hitach S-4700)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이다.
도 4는 비교예 7의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Cu/MoNb 이중막질의 금속막을 식각한 후, 이미지를 주사 전자현미경(SEM, Hitach S-4700)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이다.
도 5는 비교예 9의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Cu/MoNb 이중막질의 금속막을 식각한 후, 이미지를 주사 전자현미경(SEM, Hitach S-4700)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이다.
도 6은 비교예 10의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Cu/MoNb 이중막질의 금속막을 식각한 후, 이미지를 주사 전자현미경(SEM, Hitach S-4700)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이다.
A)과산화수소(H2O2) | B)중불화암모늄 | C)5-아미노테트라졸 | D)이미노디아세트산 | E)인산나트륨 | F)트리에틸렌 글리콜 | 글리콜산 | 황산암모늄 | 사이클로 헥실아민 |
일인산 암모늄 | EDTA | 불산 | 폴리에틸렌 글리콜 | G)탈이온수 | |
실시예 1 | 15 | 0.1 | 0.6 | 2.0 | 0.5 | 3.0 | - | 잔량 | ||||||
실시예 2 | 20 | 0.1 | 0.6 | 2.0 | 0.5 | 3.0 | - | 잔량 | ||||||
실시예 3 | 20 | 0.1 | 0.8 | 2.0 | 0.5 | 3.0 | - | 잔량 | ||||||
비교예 1 | 3 | 0.1 | 0.6 | 2.0 | 0.5 | 3.0 | - | 잔량 | ||||||
비교예 2 | 20 | 0.005 | 0.6 | 2.0 | 0.5 | 3.0 | - | 잔량 | ||||||
비교예 3 | 20 | 0.1 | 5.5 | 2.0 | 0.5 | 3.0 | - | 잔량 | ||||||
비교예 4 | 20 | 0.1 | 0.6 | 2.0 | 0.5 | 3.0 | 3.0 | 잔량 | ||||||
비교예5 | 20 | 0.10 | 0.6 | 2.0 | 0.5 | 3.0 | 1.0 | 잔량 | ||||||
비교예 6 | 20 | 0.1 | 0.6 | 2.0 | 0.5 | 3.0 | - | 3.0 |
- | 잔량 | ||||
비교예 7 | 20 | 0.1 | 0.6 | 2.0 | 0.5 | 3.0 | - | - |
1.0 | 잔량 | ||||
비교예 8 | 20 | 0.1 | 0.6 | 2.0 | 0.5 | 3.0 | - | - |
4.0 | 잔량 | ||||
비교예9 | 20 | 0.1 | 0.6 | 2.0 | 0.5 | 3.0 | 1.0 |
1.0 | 잔량 | |||||
비교예10 | 21.5 | 1 | 1 | 1.0 | 1.5 | 1.5 | 0.05 | 1.0 | 잔량 |
비고 | 식각속도(Å/sec) | 식각특성 | 잔사 | 처리매수에 따른 S/E변화량 (Cu 300~5000ppm) |
|
Cu | Mo-Nb | ||||
실시예1 | 70 | 15 | ○ | ○ | 0.05 |
실시예2 | 100 | 20 | ○ | ○ | 0.05 |
실시예3 | 80 | 20 | ○ | ○ | 0.10 |
비교예1 | - | - | Cu, Mo-Nb Unetch | Cu, Mo-Nb Unetch | - |
비교예2 | 90 | - | Mo-Nb Unetch | Mo-Nb Unetch | - |
비교예3 | - | - | Cu, Mo-Nb Unetch | Cu, Mo-Nb Unetch | - |
비교예4 | 120 | 20 | △ | 잔사발생 | 0.10 |
비교예5 | 110 | 20 | Cu 와 Mo-Nb 계면부 침식 | 잔사발생 | 0.05 |
비교예6 | 130 | 30 | Cu 와 Mo-Nb 계면부 침식 | 잔사발생 | 0.05 |
비교예7 | 90 | 5 | △ | 잔사발생 | 0.05 |
비교예8 | 60 | - | Mo-Nb Unetch | Mo-Nb Unetch | - |
비교예9 | 100 | 5 | Cu 와 Mo-Nb 계면부 침식 | 잔사발생 | 0.05 |
비교예10 | 70 | 10 | Cu 와 Mo-Nb 계면부 침식 | 잔사발생 | 0.05 |
Claims (10)
- a)기판 상에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b)상기 게이트 배선을 포함한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d)상기 반도체층 상에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e)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 또는 d)단계는 몰리브덴계 금속막 또는 구리계 금속막을 포함하는 막을 식각하여 각각의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리브덴계 금속막은 나이오븀(Nb) 또는 텅스텐(W) 중 하나 이상과 몰리브덴의 합금이며,
상기 식각에 사용되는 식각액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A)과산화수소(H2O2) 5.0 내지 25.0중량%, B)불소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 C)아졸 화합물 0.1 내지 5중량%, D)한 분자 내에 질소원자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용성 화합물 0.1 내지 5.0 중량%, E)인산염 화합물 0.1 내지 5.0 중량%, F)다가알코올형 계면활성제 0.001 내지 5.0 중량% 및 G)물 잔량을 포함하며,
상기 F)다가알코올형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성분 외에는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 무기산 또는 무기산염, 또는 지환족 아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몰리브덴계 금속막을 15~30Å/sec 의 속도로 식각하며, 상기 구리계 금속막을 70~120Å/sec의 속도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이 박막트랜지스터(TFT) 어레이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삭제
-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A)과산화수소(H2O2) 5.0 내지 25.0중량%;
B)불소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
C)아졸 화합물 0.1 내지 5중량%;
D)한 분자 내에 질소원자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용성 화합물 0.1 내지 5.0 중량%;
E)인산염 화합물 0.1 내지 5.0 중량%;
F)다가알코올형 계면활성제 0.001 내지 5.0 중량%; 및
G)물 잔량을 포함하며,
상기 F)다가알코올형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성분 외에는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 무기산 또는 무기산염, 또는 지환족 아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몰리브덴계 금속막을 15~30Å/sec 의 속도로 식각하며, 구리계 금속막을 70~120Å/sec의 속도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오븀(Nb) 또는 텅스텐(W) 중 하나 이상과 몰리브덴의 합금 및 구리계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용 식각액 조성물.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불소 화합물은 HF, NaF, NH4F, NH4BF4, NH4F·HF, KF, KHF2, AlF3 및 HBF4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오븀(Nb) 또는 텅스텐(W) 중 하나 이상과 몰리브덴의 합금 및 구리계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용 식각액 조성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C) 아졸 화합물은 트리아졸계 화합물, 아미노테트라졸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인돌계 화합물, 푸린계 화합물, 피라졸계 화합물, 피리딘계 화합물, 피리미딘계 화합물, 피롤계 화합물, 피롤리딘계 화합물 및 피롤린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오븀(Nb) 또는 텅스텐(W) 중 하나 이상과 몰리브덴의 합금 및 구리계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용 식각액 조성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D)한 분자 내에 질소원자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용성 화합물은 알라닌(alanine), 아미노부티르산(aminobutyric 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글리신(glycine), 이미노디아세트산(iminodiacetic acid),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nitrilotriacetic acid) 및 사르코신(sarcos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오븀(Nb) 또는 텅스텐(W) 중 하나 이상과 몰리브덴의 합금 및 구리계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용 식각액 조성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E)인산염 화합물은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및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오븀(Nb) 또는 텅스텐(W) 중 하나 이상과 몰리브덴의 합금 및 구리계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용 식각액 조성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3128514A TWI614550B (zh) | 2013-08-27 | 2014-08-19 | 液晶顯示裝置用陣列基板的製備方法及其多層膜用蝕刻液組合物 |
CN201410412157.5A CN104419930B (zh) | 2013-08-27 | 2014-08-20 | 蚀刻液组合物及液晶显示装置用阵列基板的制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1901 | 2013-08-27 | ||
KR1020130101901 | 2013-08-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764A KR20150024764A (ko) | 2015-03-09 |
KR102091847B1 true KR102091847B1 (ko) | 2020-03-20 |
Family
ID=5302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0710A Active KR102091847B1 (ko) | 2013-08-27 | 2014-06-30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1847B1 (ko) |
TW (1) | TWI61455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3675B1 (ko) * | 2015-03-24 | 2021-08-25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KR102310097B1 (ko) * | 2015-12-10 | 2021-10-08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KR102603630B1 (ko) * | 2016-04-25 | 2023-11-17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KR102677476B1 (ko) * | 2016-07-26 | 2024-06-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 제조 방법 |
KR102379073B1 (ko) * | 2017-03-28 | 2022-03-28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식각액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5328B1 (ko) * | 2002-12-12 | 2005-07-29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구리 몰리브덴막에서 몰리브덴 잔사를 제거할 수 있는식각용액 및 그 식각 방법 |
CN101392376A (zh) * | 2007-09-19 | 2009-03-25 | 长瀬化成株式会社 | 蚀刻组合物 |
KR101495683B1 (ko) | 2008-09-26 | 2015-02-26 | 솔브레인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의 구리 및 구리/몰리브데늄 또는 구리/몰리브데늄합금 전극용 식각조성물 |
KR101495619B1 (ko) * | 2008-10-10 | 2015-02-26 | 솔브레인 주식회사 | 고선택비를 갖는 구리(구리합금) 식각액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KR101529733B1 (ko) | 2009-02-06 | 2015-06-1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KR101702129B1 (ko) * | 2010-05-20 | 2017-02-06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CN103052907B (zh) * | 2010-07-30 | 2015-08-19 |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 用于制造液晶显示装置用阵列基板的方法 |
KR101845083B1 (ko) * | 2010-12-10 | 2018-04-04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2014
- 2014-06-30 KR KR1020140080710A patent/KR102091847B1/ko active Active
- 2014-08-19 TW TW103128514A patent/TWI614550B/zh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614550B (zh) | 2018-02-11 |
TW201508383A (zh) | 2015-03-01 |
KR20150024764A (ko) | 2015-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0342B1 (ko) |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선 형성 방법 및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
KR102160286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JP5735553B2 (ja) | エッチング液及びこれを用いた金属配線の形成方法 | |
KR101586500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CN104419930A (zh) | 蚀刻液组合物及液晶显示装置用阵列基板的制造方法 | |
KR102137013B1 (ko) |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404226B1 (ko) | 식각 조성물 | |
KR102091847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20220139260A (ko) | 식각 조성물 | |
KR20220119564A (ko) | 구리계 금속막 및 금속 산화물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각 방법 | |
KR102269327B1 (ko) | 식각액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20200112673A (ko) | 식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식각방법 | |
KR20170112886A (ko) | 구리계 금속막용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092350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1966442B1 (ko) | 액정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제조방법 | |
KR102505196B1 (ko) | 구리계 금속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20160112471A (ko) | 식각액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362555B1 (ko) | 구리계 금속막용 식각 조성물 | |
KR20120065019A (ko) | 액정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제조방법 | |
KR102368356B1 (ko) | 식각액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058168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384565B1 (ko) | 구리계 금속막용 식각 조성물 | |
KR102281191B1 (ko) | 식각액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CN115852371B (zh) | 铜系金属膜用蚀刻组合物、铜系金属配线和薄膜晶体管阵列基板 | |
KR102371074B1 (ko) | 구리계 금속막용 식각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