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502B1 -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Google Patents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0502B1 KR102080502B1 KR1020150135081A KR20150135081A KR102080502B1 KR 102080502 B1 KR102080502 B1 KR 102080502B1 KR 1020150135081 A KR1020150135081 A KR 1020150135081A KR 20150135081 A KR20150135081 A KR 20150135081A KR 102080502 B1 KR102080502 B1 KR 102080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de assembly
- battery cell
- electrode assemblies
-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01M2/0287—
-
- H01M2/1016—
-
- H01M2/3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전지셀들로 구성한 전지팩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지셀들이 접하는 부위의 수직 단면 상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지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평면도이다.
Claims (19)
-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의 전극조립체들과, 상기 전극조립체들이 내장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지 외층, 차단성의 금속층, 및 열용융성의 수지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폴딩형 구조, 또는 스택형 구조,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 또는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극조립체들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들이 평면 배열로 상기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들은 각각 전지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독립적인 전극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조립체들의 각 전극 단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들이 접하는 계면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전기 절연성 양면 접착 테이프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극조립체들 일부 또는 전부의 외면 및 전지케이스의 내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조립체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1 mm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들은 제 1 전극조립체와 제 2 전극조립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막 시트에 의해 외면이 감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들은 하나의 분리막 시트에 의해 외면이 감싸여 있고, 상기 분리막 시트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들의 계면에 개재되어 전기적 절연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들의 전극단자 중 일부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들의 전극단자 중 다른 일부는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들의 전극단자 중 일부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들의 전극단자 중 다른 일부는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따른 전지셀을 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7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웨어러블 전자기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5081A KR102080502B1 (ko) | 2015-09-24 | 2015-09-24 |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5081A KR102080502B1 (ko) | 2015-09-24 | 2015-09-24 |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6203A KR20170036203A (ko) | 2017-04-03 |
KR102080502B1 true KR102080502B1 (ko) | 2020-02-24 |
Family
ID=5858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5081A Active KR102080502B1 (ko) | 2015-09-24 | 2015-09-24 |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5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3931A (ko) * | 2019-07-29 | 2021-02-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290B1 (ko) * | 2002-12-18 | 2005-06-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고용량 파우치형 이차전지 |
KR100873308B1 (ko) * | 2006-06-05 | 2008-12-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두 개 이상의 유닛 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고용량 전지셀 |
-
2015
- 2015-09-24 KR KR1020150135081A patent/KR102080502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6203A (ko) | 2017-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0284B1 (ko) | 복수의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 전극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
KR101826861B1 (ko) |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617423B1 (ko) | 계단 구조의 하이브리드 전극조립체 | |
KR102088214B1 (ko) | 원스톱 절곡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장치 | |
KR101764841B1 (ko) | 경사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EP2922135A1 (en) | Battery cell having amorphous structure | |
KR20170055144A (ko) | 이중 절곡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
KR20170086766A (ko) | 실링 외주변의 기계적 강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1794939B1 (ko) | 서로 다른 크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그의 제조 방법 | |
CN207868298U (zh) | 包括弯曲结构的电极引线的袋型电池单元 | |
KR101554141B1 (ko) | 판상형 전지셀 | |
KR20170027976A (ko) |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전극 로딩 구조의 전지셀 | |
KR20160074209A (ko) | 각형 만곡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01632B1 (ko) |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수납부 크기가 상이한 전지셀 | |
KR102002315B1 (ko) | 용량과 크기가 상이한 단위셀들로 구성된 비정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2092114B1 (ko) | 전지셀들이 직교 배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팩 | |
KR102080502B1 (ko) |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
KR102019399B1 (ko) | 분리 유도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
KR20170088024A (ko) | 절곡 실링부와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높이 차이를 가진 파우치형 전지셀 | |
KR102052920B1 (ko) | 밀봉용 폴딩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20160131360A (ko) | 캡 부재들을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1738542B1 (ko) | 전극조립체 고정용 필름을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1717194B1 (ko) | 경사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2246030B1 (ko) | 서로 다른 크기의 단위셀들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
KR101650034B1 (ko) | 외면이 곡선형인 전지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6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1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7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