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7141B1 -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141B1
KR102077141B1 KR1020130061250A KR20130061250A KR102077141B1 KR 102077141 B1 KR102077141 B1 KR 102077141B1 KR 1020130061250 A KR1020130061250 A KR 1020130061250A KR 20130061250 A KR20130061250 A KR 20130061250A KR 102077141 B1 KR102077141 B1 KR 10207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ort layer
light emitting
hole transport
electr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410A (ko
Inventor
김나정
장승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141B1/ko
Priority to US14/023,430 priority patent/US9142795B2/en
Publication of KR2014014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6Hole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a multilayer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7Electron transporting layers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an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6Multilayers, e.g. transparent mult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발광층;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있고, 제1 정공 수송층, 제2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1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사이의 버퍼층으로 이루어진 정공 수송층; 및 상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되,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은 각각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이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전압을 걸면 자체가 발광하는 물질을 이용한 소자로서 고휘도, 우수한 콘트라스트, 다색화, 대시야각, 고응답속도 및 저구동전압의 장점을 갖는다.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이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하고 있다. 전압을 인가하면 애노드로부터 정공이, 캐소드로부터 전자가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들은 유기 발광층 내에서 인접한 분자 사이에서 전자 교환을 일으키며 반대 전극으로 이동하여 간다. 그리고 어떤 분자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한 경우 높은 에너지의 여기 상태(excited state)를 갖는 분자 여기자(exiton)를 형성한다. 분자 여기자가 낮은 에너지의 바닥 상태(ground state)로 돌아오면서 재료 고유의 빛을 방출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발광층과 함께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정공 수송층 등을 채용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컬러 부화소들을 규칙적으로 배치하고, 미세공동 효과(microcavity effect)를 이용하여 풀 컬러를 표현할 수 있다. 컬러에 따른 수명 및 특성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효율이 높고 수명이 향상된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발광층;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있고, 제1 정공 수송층, 제2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1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사이의 버퍼층으로 이루어진 정공 수송층; 및 상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되,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은 각각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를 개시한다.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은 LiQ(lithium quinolate, 리튬 퀴놀레이트), BAlq(Bis(2-methyl-8-quinolinolate)-4-(phenylphenolato)Aluminium, 비스(2-메틸-8-퀴놀레이트)-4-(페닐페노라토)알루미늄), Alq3(Tris(8-hydroxy-quinolinato)aluminium,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 Bebq2(beryllium bis(benzoquinolin-10-olate), 또는 베릴륨 비스(벤조퀴놀린-10-오레이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은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TAZ(3-(4-Biphenyl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3-(4-비페닐릴)-4-페닐-5-터트-부틸페닐-1,2,4-트리아졸), NTAZ(4-(Naphthalen-1-yl)-3,5-diphenyl-4H-1,2,4-triazole, 4-(나프탈렌-1-일)-3,5-디페닐-4H-1,2,4-트리아졸), tBu-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ADN(9,10-di(naphthalene-2-yl)anthrascene, 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 또는 하기 화학식 201, 202 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3047946604-pat00001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합은 약 400Å 내지 약 2,500Å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약 5Å 내지 약 20Å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에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1:3 내지 1:7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수송층에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2:1 내지 5: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라서 제1 화소영역, 제2 화소영역 및 제3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 별로 분리된 애노드; 상기 애노드 위의 제1 정공 수송층;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위의 버퍼층; 상기 버퍼층 위의 제2 정공 수송층;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위에 있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1 발광층,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제2 발광층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3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 위의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 위의 캐소드; 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은 각각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이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를 개시한다.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은 LiQ, BAlq, Alq3, 또는 Bebq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은 BCP, Bphen, TAZ, NTAZ, tBu-PBD, ADN, 또는 상기 화학식 201, 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영역은 적색을 표시하는 화소 영역이고, 상기 제2 화소영역은 녹색을 표시하는 화소 영역이고, 상기 제3 화소영역은 청색을 표시하는 화소 영역일 수 있다.
정공 수송층 내에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이 혼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개재하여 정공의 이동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각각의 상대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구동 전압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각각의 상대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구동 전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3, 4 및 비교예 3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각각의 상대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3, 4 및 비교예 3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구동 전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여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유기 발광 소자(100)는 애노드(111), 정공 주입층(121), 정공 수송층(123), 발광층(125), 전자 수송층(127) 및 캐소드(131)을 포함한다. 정공 수송층(123)은 제1 정공 수송층(123a), 제2 정공 수송층(123c) 및 이들 사이의 버퍼층(123b)으로 이루어져 있다.
애노드(111)는 상대적으로 일함수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111)는 예를 들면, ITO(인듐 주석 산화물), IZO(인듐 아연 산화물), ZnO(아연 산화물), AZO(Al 도핑된 아연 산화물), In2O3(인듐 산화물) 또는 SnO2(주석 산화물)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노드(111)는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121)이 애노드(111) 위로 형성되어 있다. 정공 주입층(121)은 예를 들면, 구리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DNTPD (N,N'-diphenyl-N,N'-bis-[4-(phenyl-m-tolyl-amino)-phenyl]-biphenyl-4,4'-diamine, N,N'-디페닐-N,N'-비스-[4-(페닐-m-톨일-아미노)-페닐]-비페닐-4,4'-디아민), m-MTDATA(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 triphenylamine, 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TDATA(4,4'4"-Tris(N,N-diphenylamino)triphenylamine,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2T-NATA(4,4',4"-tris{N,-(2-naphthyl)-N-phenylamino}-triphenylamine, 4,4',4"-트리스{N,-(2-나프틸)-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ate),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Pani/DBSA(Polyaniline/Dodecylbenzenesulfonic acid, 폴리아닐린/도데실벤젠술폰산), Pani/CSA(Polyaniline/Camphor sulfonicacid, 폴리아닐린/캠퍼술폰산) 또는 PANI/PSS (Polyaniline)/Poly(4-styrenesulfonate), 폴리아닐린/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또는 LG101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공 주입층(121)은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LB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2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증착법에 의하여 정공 주입층(121)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 조건은 정공 주입층(121)의 재료로 사용하는 화합물, 목적으로 하는 정공 주입층(121)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증착온도 100℃ 내지 500℃, 진공도 10-8 Torr 내지 10-3 Torr, 증착 속도 0.01Å/sec 내지 100Å/sec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스핀 코팅법에 의하여 정공 주입층(121)을 형성하는 경우, 그 코팅 조건은 정공 주입층(121)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화합물, 목적하는 하는 정공 주입층(121)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약 2,000rpm 내지 5,000rpm의 코팅 속도, 코팅 후 용매 제거를 위한 열처리 온도는 약 8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정공 주입층(121)의 두께는 약 100Å 에서 약 10,000Å, 바람직하게는 약 100Å 내지 약 1,000Å일 수 있다. 정공 주입층(121)의 두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저하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정공 주입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1 정공 수송층(123a)이 정공 주입층(121)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정공 수송층(123a)은 예를 들어, N-페닐카바졸, 폴리비닐카바졸 등의 카바졸 유도체, TPD(N,N'-bis(3-methylphen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N,N'-비스(3-메틸페닐)-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 NPB(N,N'-di(1-naphthyl)-N,N'-diphenylbenzidine,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 TCTA(4,4',4"-tris(N-carbazolyl)triphenylamine, 4,4',4"-트리스(N-카바졸일)트리페닐아민) 등과 같은 트리페닐아민계 물질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정공 수송층(123a)은 진공 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LB법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증착법 및 스핀 코팅법에 의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 조건 및 코팅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공 주입층의 형성과 거의 동일한 조건범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정공 수송층(123a) 물질로는, 예를 들어, N-페닐카바졸, 폴리비닐카바졸 등의 카바졸 유도체, TPD(N,N'-bis(3-methylphen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N,N'-비스(3-메틸페닐)-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 등과 같은 트리페닐아민계 물질, NPB(N,N'-di(1-naphthyl)-N,N'-diphenylbenzidine,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 TCTA(4,4',4"-tris(N-carbazolyl)triphenylamine, 4,4',4"-트리스(N-카바졸일)트리페닐아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정공 수송층(123a)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300Å 내지 1,000Å 일 수 있다.
버퍼층(123b)이 제1 정공 수송층(123a) 위에 형성되어 있다. 버퍼층(123b)은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23b)의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LiQ(lithium quinolate, 리튬 퀴놀레이트), BAlq(Bis(2-methyl-8-quinolinolate)-4-(phenylphenolato)Aluminium, 비스(2-메틸-8-퀴놀레이트)-4-(페닐페노라토)알루미늄), Alq3(Tris(8-hydroxy-quinolinato)aluminium,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 Bebq2(beryllium bis(benzoquinolin-10-olate), 또는 베릴륨 비스(벤조퀴놀린-10-오레이트))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퍼층(123b)의 전자 수송성 유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TAZ(3-(4-Biphenyl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3-(4-비페닐릴)-4-페닐-5-터트-부틸페닐-1,2,4-트리아졸), NTAZ(4-(Naphthalen-1-yl)-3,5-diphenyl-4H-1,2,4-triazole, 4-(나프탈렌-1-일)-3,5-디페닐-4H-1,2,4-트리아졸), tBu-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ADN(9,10-di(naphthalene-2-yl)anthrascene, 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 또는 하기 화학식 201, 202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3047946604-pat00002
버퍼층(123b)에서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1:3 내지 1:7일 수 있다. 버퍼층(123b) 내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일 때 발광층에서 전자와의 전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정공의 이동 속도를 적절히 낮출 수 있다.
버퍼층(123b)의 두께는 예를 들어 5Å 내지 20Å 범위일 수 있다. 버퍼층(123b)의 두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저하없이 만족스러운 정도로 정공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버퍼층(123b)은 상기 금속 유기 화합물과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을 공증착(co-deposition)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정공 수송층(123c)이 버퍼층(123b)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정공 수송층(123c)은 N-페닐카바졸, 폴리비닐카바졸 등의 카바졸 유도체, TPD, NPB, TCTA 등과 같은 트리페닐아민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정공 수송층(123c)은 제1 정공 수송층(123a)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정공 수송층(123c)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00Å 내지 1,500Å일 수 있다. 제1 정공 수송층(123a), 버퍼층(123b) 및 제2 정공 수송층(123c)으로 이루어진 정공 수송층(123)의 두께는 약 400Å 내지 2,500Å 일 수 있다. 정공 수송층(123)의 두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 상승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정공 수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정공 주입층(121), 제1 정공 수송층(123a) 및 제2 정공 수송층(123c)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된 정공 주입 물질, 정공 수송 물질 외에 막의 도전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하-생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생성 물질은 예를 들어, p-도펀트일 수 있다. 상기 p-도펀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테트라시아노퀴논디메테인(TCNQ) 및 2,3,5,6-테트라플루오로-테트라시아노-1,4-벤조퀴논디메테인(F4TCNQ) 등과 같은 퀴논 유도체, 텅스텐 산화물 및 몰리브덴 산화물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공 주입층 또는 상기 정공 수송층이 상기 전하-생성 물질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전하-생성 물질은 상기 층들 중에 균일하게(homogeneous) 분산되거나, 또는 불균일하게(unhomogeneous) 분포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정공 수송층(123)의 상부에 발광층(EML)(125)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층(EML)은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LB법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진공 증착법 및 스핀코팅법에 의해 발광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공 주입층의 형성과 거의 동일한 조건범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25)의 물질로는 공지의 발광 재료(호스트 및 도펀트를 모두 포함함) 중 1종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호스트로서, 예를 들어, Alq3(트리스(8-퀴놀리노레이트)알루미늄), CBP(4,4'-bis(N-carbazolyl)-1,1'-biphenyl, 4,4'-비스(N-카바졸일)-1,1'-비페닐), PVK(poly(n-vinylcabazole), 폴리(n-비닐카바졸)), ADN(9,10-di(naphthalene-2-yl)anthracene, 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 TCTA(4,4',4''-Tris(carbazol-9-yl)-triphenylamine, 4,4',4''-트리스(카바졸-9-일)-트리페닐아민), TPBI(1,3,5-tris(N-phenylbenzimidazole-2-yl)benzene, 1,3,5-트리스(N-페닐벤즈이미다졸-2-일)벤젠), TBADN(3-tert-butyl-9,10-di(naphth-2-yl) anthracene, 3-터트-부틸-9,10-디(나프트-2-일) 안트라센), DSA(distyrylarylene, 디스티릴아릴렌), E3 또는 CDBP(4,4′-bis(9-carbazolyl)-2,2′-dimethyl-biphenyl, 4,4′-비스(9-카바졸일)-2,2′-디메틸-비페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펀트로서 공지의 도펀트를 사용할 수 있다. 공지의 도펀트는 형광 도펀트 및 인광 도펀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광 도펀트는, Ir, Pt, Os, Re, Ti, Zr, Hf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 유기 금속 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지의 적색 도펀트로서 PtOEP(Pt(II) octaethylporphine: Pt(II) 옥타에틸포르핀), Ir(piq)3 (tris(2-phenylisoquinoline)iridium: 트리스(2-페닐이소퀴놀린)이리듐), Btp2Ir(acac) (bis(2-(2'-benzothienyl)-pyridinato-N,C3')iridium(acetylacetonate): 비스(2-(2'-벤조티에닐)-피리디나토-N,C3')이리듐(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지의 녹색 도펀트로서, Ir(ppy)3 (tris(2-phenylpyridine) iridium: 트리스(2-페닐피리딘) 이리듐), Ir(ppy)2(acac) (Bis(2-phenylpyridine)(Acetylacetonato)iridium(III): 비스(2-페닐피리딘)(아세틸아세토) 이리듐(III)), Ir(mppy)3 (tris(2-(4-tolyl)phenylpiridine)iridium: 트리스(2-(4-톨일)페닐피리딘) 이리듐), C545T (10-(2-benzothiazolyl)-1,1,7,7-
tetramethyl-2,3,6,7-tetrahydro-1H,5H,11H-[1]benzopyrano [6,7,8-ij]-quinolizin-11-one: 10-(2-벤조티아졸일)-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11H-[1]벤조피라노 [6,7,8-ij]-퀴놀리진-11-온)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지의 청색 도펀트로서, F2Irpic (Bis[3,5-difluoro-2-(2-pyridyl)phenyl](picolinato)iridium(III): 비스[3,5-디플루오로-2-(2-피리딜)페닐(피콜리나토) 이리듐(III)), (F2ppy)2Ir(tmd), Ir(dfppz)3, DPVBi (4,4'-bis(2,2'-diphenylethen-1-yl)biphenyl: 4,4'-비스(2,2'-디페닐에텐-1-일)비페닐), DPAVBi (4,4'-Bis[4-(diphenylamino)styryl]biphenyl: 4,4'-비스(4-디페닐아미노스티릴)비페닐), TBPe (2,5,8,11-tetra-tert-butyl perylene: 2,5,8,11-테트라-터트-부틸 페릴렌)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층(125)이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할 경우, 도펀트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호스트 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15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125)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약 1,000Å, 예를 들어 약 200Å 내지 약 600Å일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의 두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 상승없이 우수한 발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수송층(127)이 발광층(125)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전자 수송층(127)은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수송층(127)의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LiQ, BAlq, Alq3, 또는 Bebq2 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층(127)의 전자 수송성 유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BCP, Bphen, TAZ, NTAZ, tBu-PBD, ADN, 또는 하기 화학식 201, 202 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3047946604-pat00003
전자 수송층(127)에서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가 2:1 내지 5:1일 수 있다. 전자 수송층(127) 내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일 때 발광층에서 전하 균형을 이루도록 적절한 전자의 이동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수송층(127)은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을 공증착(co-deposition)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층(127)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약 1,000Å, 예를 들어 약 150Å 내지 약 500Å일 수 있다. 전자 수송층(127)의 두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전자 수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자 수송층(127)의 상부에 캐소드(131)으로부터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 주입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주입층(미도시)은 LiF, NaCl, CsF, Li2O, BaO 등과 같은 전자 주입층 형성 재료로서 공지된 임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주입층(미도시)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주입층(미도시)의 두께는 약 1Å 내지 약 100Å 또는 약 5Å 내지 약 70Å일 수 있다. 전자 주입층(미도시)의 두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전자 주입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전자 수송층(127) 또는 전자 주입층(미도시) 위에 캐소드(131)가 형성되어 있다. 캐소드(131)는 낮은 일함수를 갖는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캐소드(131)를 예를 들어 리튬(Li),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알루미늄-리튬(Al-Li), 칼슘(Ca), 마그네슘-인듐(Mg-In), 마그네슘-은(Mg-A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면 발광 소자를 얻기 위하여 상기 물질의 박막으로 투과형 전극을 형성하거나, 또는 ITO, IZO를 이용하여 투과형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캐소드(131)는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캐소드(131)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20~300Å 또는 약 50~200Å일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100)는 기판(미도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기 발광 소자(100)의 애노드(111) 또는 캐소드(131)가 기판(미도시)과 접촉할 수 있다. 애노드(111)가 기판(미도시)과 접촉할 경우 일반적인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할 수 있고, 캐소드(131)가 기판(미도시)과 접촉할 경우 인버티드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기판(미도시)은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투명성, 표면 평활성, 취급 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편, 실리콘, 스텐리스 스틸과 같은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유기 발광 소자(200)는 적색 발광 영역(R), 녹색 발광 영역(G) 및 청색 발광 영역(B)의 부화소(sub-pixel) 영역을 포함하는 풀 컬러 유기 발광 소자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200)는 애노드(111), 정공 주입층(121), 정공 수송층(123), 광학 보조층(124), 발광층(125), 전자 수송층(127) 및 캐소드(131)을 포함한다. 정공 수송층(123)은 제1 정공 수송층(123a)과 제2 정공 수송층(123c) 및 이들 사이의 버퍼층(123b)을 포함한다. 광학 보조층(124)은 적색 발광 영역(R)의 제1 광학 보조층(124a) 및 녹색 발광 영역(G)의 제2 광학 보조층(124b)을 포함한다. 발광층(125)은 적색 발광 영역(R)의 적색 발광층(125R), 녹색 발광 영역(G)의 녹색 발광층(125G) 및 청색 발광 영역(B)의 청색 발광층(125B)를 포함한다.
도 2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를 도 1의 유기 발광 소자(100)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의 유기 발광 소자(200)는 적색 발광 영역(R) 및 녹색 발광 영역(G) 내에 각각 제1 광학 보조층(124a) 및 제2 광학 보조층(124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정공 수송층(123a)은 예를 들어 300Å-1,0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고, 버퍼층(123b)은 예를 들어 5Å-2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고, 제2 정공 수송층(123c)은 예를 들어 100Å-2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광학 보조층(124a) 및 제2 광학 보조층(124b)은 미세 공동(microcavity)에 의한 공진(resonance)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층으로서, 발광층(125)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른 광학적 공진 거리를 보상하여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광학 보조층(124a) 및 제2 광학 보조층(124b)은 예를 들어 제1 정공 수송층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광학 보조층(124a)은 예를 들어 500Å-1,300Å(Red)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고, 제2 광학 보조층(124b)은 예를 들어 200Å-1,000Å(Green)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적색 발광층(125R), 녹색 발광층(125G) 및 청색 발광층(125B)은 각각 유기 발광 소자(100)와 관련하여 기술한 발광층(125)의 호스트와 적색 도펀트, 호스트와 녹색 도펀트 및 호스트와 청색 도펀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적색, 녹색 및 청색 이외의 다른 색상의 부화소들로 이루어진 풀 컬러 유기 발광 소자에도 상기 정공 수송층(123)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애노드/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캐소드의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유기 발광 소자로서뿐만이 아니라 기판/캐소드/(전자 주입층)/전자 수송층/버퍼층/발광층/정공 수송층/정공 주입층/애노드와 같은 인버티드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유기 발광 소자는 배면 발광뿐만 아니라 전면 발광의 유기 발광 소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적색)
코닝사(Corning)의 15Ω/㎠ (1200Å) ITO 유리 기판을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순수를 이용하여 각각 5분간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간 자외선 오존 세정하여 기판 위의 애노드를 형성하였다. 상기 ITO 유리 기판 상부에, TDATA를 진공 증착하여 650Å 두께의 정공 주입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정공 주입층 상부에 NPB를 진공 증착하여 590Å 두께의 제1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상부에 화합물 201과 LiQ을 5:1 (중량비)로 혼합한 층을 진공 증착하여 10Å 두께의 버퍼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버퍼층의 상부에 NPB를 진공 증착하여 1,000Å 두께의 제2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상부에 적색 호스트로서 CBP 물질 92 중량% 와 적색 도펀트로서 Ir(piq)3 물질 8 중량 %를 사용하여 400Å 두께의 적색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적색 발광층 상부에 화합물 201과 LiQ을 1:3 (중량비)으로 혼합한 층을 진공 증착하여 300Å 두께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자 수송층 위에 Al을 진공 증착하여 1,200Å 두께의 캐소드를 형성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녹색)
제2 정공 수송층을 1000Å 대신 7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적색 발광층 대신 녹색 발광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였다. 녹색 발광층은 녹색 호스트로서 CBP 물질 95 중량% 와 녹색 도펀트로서 Ir(ppy)3 물질 5 중량 %를 사용하여 2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청색)
제2 정공 수송층을 1000Å 대신 1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적색 발광층 대신 청색 발광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였다. 청색 발광층은 청색 호스트로서 ADN 물질 98 중량% 와 청색 도펀트로서 DPVBi 물질 2 중량 %를 사용하여 2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4 (청색)
1:3 (중량비) 대신 1:2 (중량비)의 L201:LiQ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적색)
버퍼층을 사용하지 않고, 정공 주입층 상부에 NPB를 진공 증착하여 1,600Å 두께의 정공 수송층을 형성한 것과 1:3 (중량비) 대신 1:1 (중량비)의 L201:LiQ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2 (녹색)
버퍼층을 사용하지 않고, 정공 주입층 상부에 NPB를 진공 증착하여 1,300Å 두께의 정공 수송층을 형성한 것과 1:3 (중량비) 대신 1:1 (중량비)의 L201:LiQ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3 (청색)
버퍼층을 사용하지 않고, 정공 주입층 상부에 NPB를 진공 증착하여 700Å 두께의 정공 수송층을 형성한 것과 1:3 (중량비) 대신 1:1 (중량비)의 L201:LiQ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각각의 상대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에서,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상대 휘도가 비교예 1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상대 휘도 보다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구동 전압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의 상대 전압(V)은 초기 구동 전압과의 차이를 나타낸 값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구동 전압의 차이가 커지면 소자의 수명저하 및 전력효율 감소로 전체적인 패널의 소비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에서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의 차이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정공 수송층 사이의 보조층의 추가에 따라 구동 전압의 상승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각각의 상대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의 그래프에서,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상대 휘도가 비교예 2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상대 휘도 보다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구동 전압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의 상대 전압(V)은 초기 구동 전압과의 차이를 나타낸 값이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이 비교예 2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 보다 약간 높게 유지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3, 4 및 비교예 3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각각의 상대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에서, 실시예 3 및 4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상대 휘도가 비교예 3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상대 휘도 보다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 3, 실시예 4 및 비교예 3의 유기 발광 소자의 시간에 따른 구동 전압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의 그래프의 상대 전압(V)은 초기 구동 전압과의 차이를 나타낸 값이다. 도 8의 그래프에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이 비교예 3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 보다 다소 높게 유지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7의 그래프에서 시간에 따른 휘도를 측정을 위하여 ㈜ 맥사이언스 사의 M6000 OLED 수명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초기 휘도를 백색광 150nit을 발광하기 위한 기준 휘도로부터 설정하였다. 도 3, 도 5 및 도 7의 그래프로부터 정공 수송층 사이에 버퍼층을 사용한 구조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유기 발광 소자 모두에서 수명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 구동 전류, 휘도, 전류 효율, 전력 효율 및 색좌표를 나타내었다.
구동전압
(V)
구동전류
(mA/cm2)
휘도
(Cd/cm2)
전류효율
(Cd/A)
전력효율
(lm/W)
색좌표
(x)
색좌표
(y)
색상
비교예 1 5.76 10.84 1500 13.84 7.56 0.661 0.338 적색
실시예 1 5.22 7.83 1500 19.16 11.53 0.670 0.329
비교예 2 4.90 9.93 3500 35.25 22.59 0.246 0.676 녹색
실시예 2 4.77 9.32 3500 37.55 24.74 0.245 0.666
비교예 3 3.77 10.00 350 3.50 2.92 0.145 0.075 청색
실시예 3 3.85 6.87 350 5.10 4.16 0.145 0.076
실시예 4 3.45 7.35 350 4.76 4.34. 0.144 0.076
표 1에서 적색 발광의 경우 비교예 1보다 실시예 1의 경우가 같은 휘도에 대하여 구동 전압 및 구동 전류가 더 낮고 전류 효율 및 전력 효율이 더 높고, 녹색 발광의 경우 비교예 2보다 실시예 2의 경우가 같은 휘도에 대하여 구동 전압 및 구동 전류가 더 낮고 전류 효율 및 전력 효율이 더 높고, 청색 발광의 경우 비교예 3보다 실시예 4의 경우가 같은 휘도에 대하여 구동 전압 및 구동 전류가 더 낮고 전류 효율 및 전력 효율이 더 높았다.
도 3 내지 도 8의 그래프 및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 구동 전류, 휘도, 전류 효율, 전력 효율과 같은 소자의 특성이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01: 기판 111: 애노드
121: 정공 주입층 123: 정공 수송층
123a: 제1 정공 수송층 123b: 버퍼층
123c: 제2 정공 수송층 125: 발광층
127: 전자 수송층 131: 캐소드

Claims (20)

  1.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발광층;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있고, 제1 정공 수송층, 제2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1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사이의 버퍼층으로 이루어진 정공 수송층; 및
    상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되,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은 각각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이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퍼층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과 각각 직접(directly) 접하는, 유기 발광 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은 LiQ(lithium quinolate, 리튬 퀴놀레이트), BAlq(Bis(2-methyl-8-quinolinolate)-4-(phenylphenolato)Aluminium, 비스(2-메틸-8-퀴놀레이트)-4-(페닐페노라토)알루미늄), Alq3(Tris(8-hydroxy-quinolinato)aluminium,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 Bebq2(beryllium bis(benzoquinolin-10-olate), 또는 베릴륨 비스(벤조퀴놀린-10-오레이트))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은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TAZ(3-(4-Biphenyl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3-(4-비페닐릴)-4-페닐-5-터트-부틸페닐-1,2,4-트리아졸), NTAZ(4-(Naphthalen-1-yl)-3,5-diphenyl-4H-1,2,4-triazole, 4-(나프탈렌-1-일)-3,5-디페닐-4H-1,2,4-트리아졸), tBu-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ADN(9,10-di(naphthalene-2-yl)anthrascene, 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 하기 화학식 201, 또는 하기 화학식 202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Figure 112019082610832-pat00004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합은 400Å 내지 2,500Å 범위의 두께를 갖는 유기 발광 소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5Å 내지 20Å 범위의 두께를 갖는 유기 발광 소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에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1:3 내지 1:7인 유기 발광 소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에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2:1 내지 5:1인 유기 발광 소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사이의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9. 삭제
  10. 제1 화소영역, 제2 화소영역 및 제3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 별로 분리된 애노드;
    상기 애노드 위의 제1 정공 수송층;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위의 버퍼층;
    상기 버퍼층 위의 제2 정공 수송층;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위에 있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1 발광층,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제2 발광층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3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 위의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 위의 캐소드; 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은 각각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이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퍼층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과 각각 직접(directly) 접하는, 유기 발광 소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은 LiQ, BAlq, Alq3, 또는 Bebq2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은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TAZ(3-(4-Biphenyl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3-(4-비페닐릴)-4-페닐-5-터트-부틸페닐-1,2,4-트리아졸), NTAZ(4-(Naphthalen-1-yl)-3,5-diphenyl-4H-1,2,4-triazole, 4-(나프탈렌-1-일)-3,5-디페닐-4H-1,2,4-트리아졸), tBu-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ADN(9,10-di(naphthalene-2-yl)anthrascene, 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 하기 화학식 201, 또는 하기 화학식 202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Figure 112019082610832-pat00005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의 합은 400Å 내지 1,200Å 범위를 갖는 유기 발광 소자.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5Å 내지 20Å의 두께를 갖는 유기 발광 소자.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에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1:3 내지 1:7인 유기 발광 소자.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에서 상기 전자 수송성의 금속 유기 화합물 대 상기 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2:1 내지 5:1인 유기 발광 소자.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 내의 상기 제2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의 제1 공진 조절층; 및
    상기 제2 화소 영역 내의 상기 제2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2 발광층 사이의 제2 공진 조절층; 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사이의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19.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영역은 적색을 표시하는 화소 영역이고, 상기 제2 화소영역은 녹색을 표시하는 화소 영역이고, 상기 제3 화소영역은 청색을 표시하는 화소 영역인 유기 발광 소자.
  20. 삭제
KR1020130061250A 2013-05-29 2013-05-29 유기 발광 소자 Active KR10207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250A KR102077141B1 (ko) 2013-05-29 2013-05-29 유기 발광 소자
US14/023,430 US9142795B2 (en) 2013-05-29 2013-09-10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250A KR102077141B1 (ko) 2013-05-29 2013-05-29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410A KR20140140410A (ko) 2014-12-09
KR102077141B1 true KR102077141B1 (ko) 2020-02-14

Family

ID=5198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250A Active KR102077141B1 (ko) 2013-05-29 2013-05-29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42795B2 (ko)
KR (1) KR102077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209B1 (ko) 2013-03-26 2020-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도너 기판 및 도너 기판 세트
WO2015194839A1 (en) * 2014-06-17 2015-12-23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buffer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2423171B1 (ko) * 2015-03-16 2022-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299156B (zh) * 2015-05-22 2018-05-25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Oled面板结构及其制作方法
CN105098094B (zh) * 2015-07-20 2017-11-17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oled元件
KR102427671B1 (ko) 2015-09-07 2022-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62839B1 (ko) 2015-10-28 2022-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그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611215B1 (ko) * 2018-03-12 202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2738041B1 (ko) 2019-12-12 2024-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4529B2 (en) 1998-11-18 2002-05-07 Eastman Kodak Company Full color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having an integrated shadow mask
US7205716B2 (en) 2003-10-20 2007-04-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US7402946B2 (en) 2003-11-28 2008-07-22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absorbent fil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712096B1 (ko) 2004-02-19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60036328A (ko) 2004-10-25 200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292294B2 (en) 2004-11-03 2007-11-06 Chunghwa Picture Tubes,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on TFT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CD panel
KR100669772B1 (ko) 2004-11-1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03836B1 (ko) 2004-11-30 2006-07-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0491B1 (ko) 2005-04-28 2007-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아이콘부를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85844B1 (ko) 2005-08-26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면발광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4655942B2 (ja) 2006-01-16 2011-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7791271B2 (en) 2006-02-24 2010-09-07 Global Oled Technology Llc Top-emitting OLED device with light-scattering layer and color-conversion
US20070257943A1 (en) 2006-05-08 2007-11-0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rendering color EL display and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resolution
JP5530608B2 (ja) * 2007-09-13 2014-06-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US8063552B2 (en) 2007-10-22 2011-11-22 Global Oled Technology Llc 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KR101411677B1 (ko) 2007-11-27 2014-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US7955719B2 (en) * 2008-01-30 2011-06-07 Global Oled Technology Llc Tandem OLED device with intermediate connector
US7816677B2 (en) 2008-02-12 2010-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7825581B2 (en) 2008-02-12 2010-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92051A (ko) * 2008-02-26 2009-08-3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81971B1 (ko) 2009-01-23 2010-09-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청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615764B1 (ko) 2009-10-21 2016-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772662B1 (ko) 2010-10-22 2017-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TWI562424B (en) * 2011-03-25 2016-12-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Light-emitting panel,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emitting panel
KR101838270B1 (ko) * 2011-05-25 2018-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81281B1 (ko) * 2013-02-08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410A (ko) 2014-12-09
US9142795B2 (en) 2015-09-22
US20140353596A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141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2075524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945930B1 (ko) 유기 발광 소자
US1057383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1671343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318419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989057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329051B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
KR102455727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72798B1 (ko) 보조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90704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2083985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99776A (ko) 유기 발광 소자
KR20140108006A (ko) 유기 발광 장치
KR102147845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642117B1 (ko) 유기 발광 소자
KR20160013345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59073A (ko) 유기 발광 소자
KR102251735B1 (ko) 유기 발광 장치용 재료, 유기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62793B1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108156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150143965A (ko) 유기 발광 소자
KR20200041301A (ko)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