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6715B1 - 비닐백 제조기 - Google Patents

비닐백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715B1
KR102076715B1 KR1020180096139A KR20180096139A KR102076715B1 KR 102076715 B1 KR102076715 B1 KR 102076715B1 KR 1020180096139 A KR1020180096139 A KR 1020180096139A KR 20180096139 A KR20180096139 A KR 20180096139A KR 102076715 B1 KR102076715 B1 KR 102076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paper
adhesive
paper
vinyl
plastic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호
Original Assignee
임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호 filed Critical 임성호
Priority to KR102018009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2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백(1)에 물품을 넣은 후, 비닐백(1)의 덮개(2)에 부착되어 접착면(4)을 보호하고 있던 이탈지(3)를 제거하여 접착면(4)을 노출시킨 후, 덮개(2)를 덮으면 접착면(4)의 접착력으로 덮개(2)가 고정되어 물품의 포장작업이 편리하도록 구성된 비닐백(1)의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가 접혀서 두겹 상태로 이송되는 비닐지(1a)와 일정간격으로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가 연속적으로 접착되어 이송되면서,
비닐지(1a)에 부착된 이탈지(3)의 비접착면(5) 부분이 열커터(72)로 열접착되는 동시에 그 중앙부분을 절단시키는 열접착/절단 작업으로 비닐백(1)이 제조됨으로서,
물품의 포장을 위하여 비닐백(1)의 덮개(2) 내면에 접착된 이탈지(3)를 제거할 때, 손쉽게 이탈지(3)의 비접착면(5) 부분을 잡아서 제거할 수 있고,
열커터(72)는 비닐지(1a)의 각 비닐백(1) 경계부분(덮개의 비접착면 위치)을 열접착/절단하는 과정에서 접착액(6)이 도포된 접착면(4)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열커터(72)로 접착액(6)이 전이되어 발생하던 열접착/절단의 불량을 방지하고, 열커터(72)의 열로 접착액(6)이 타면서 발생되던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백 제조기 {PLASTIC BAG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닐백(1)에 물품을 넣은 후, 비닐백(1)의 덮개(2)에 부착되어 접착면(4)을 보호하고 있던 이탈지(3)를 제거하여 접착면(4)을 노출시킨 후, 덮개(2)를 덮으면 접착면(4)의 접착력으로 덮개(2)가 고정되어 물품의 포장작업이 편리하도록 구성된 비닐백(1)의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가 접혀서 두겹 상태로 이송되는 비닐지(1a)와 일정간격으로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가 연속적으로 접착되어 이송되면서,
비닐지(1a)에 부착된 이탈지(3)의 비접착면(5) 부분이 열커터(72)로 열접착되는 동시에 그 중앙부분을 절단시키는 열접착/절단 작업으로 비닐백(1)이 제조됨으로서,
물품의 포장을 위하여 비닐백(1)의 덮개(2) 내면에 접착된 이탈지(3)를 제거할 때, 손쉽게 이탈지(3)의 비접착면(5) 부분을 잡아서 제거할 수 있고,
열커터(72)는 비닐지(1a)의 각 비닐백(1) 경계부분(덮개의 비접착면 위치)을 열접착/절단하는 과정에서 접착액(6)이 도포된 접착면(4)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열커터(72)로 접착액(6)이 전이되어 발생하던 열접착/절단의 불량을 방지하고, 열커터(72)의 열로 접착액(6)이 타면서 발생되던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비닐백(1)은 덮개(2) 내면에 이탈지(3)가 부착되어 접착면(4)을 보호하고 있고, 물품을 비닐백(1)에 넣고 이탈지(3)를 제거한 후, 덮개(2)를 덮으면 접착면(4)의 접착력으로 덮개(1)가 덮이면서 봉합되어 물품을 간단히 포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비닐백(1)은 종래기술에서는 도 1a에서와 같이 비닐지(1a)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비닐지(1a)의 덮개(2) 내면에 가열액상화된 접착액(6)을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접착면(4)이 덮개(2)의 양측단까지 형성되는 것이고,
도 1b에서와 같이 비닐지(1a)의 덮개(2) 내면에 도포된 접착액(6)에 의하여 형성된 접착면(4)에 이탈지(3)를 접착한 후,
도 1c에서와 같이 비닐지(1a)의 경계부분을 열커터(72)에 의하여 열접착/절단하여 비닐백(1)이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종래의 비닐백(1)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도 1c에서와 같이 열커터(72)로 비닐지(1a)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접착면(4)의 접착액(6)의 일부가 열커터(72)로 전이되는데,
반복적인 절단과정에서 전이된 접착액(6)이 열커터(72)에 쌓이면서 결국에는 이송중인 비닐지(1a)가 열커터(72)로 전이된 접착액(6)의 끈적임으로 인한 열접착이나 절단불량이 발생되고, 열커터(72)의 열에 의해 접착액(6)이 타면서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1d에서와 같이 비닐백(1)의 양측단 끝까지 접착면(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착면(4)에 달라붙은 이탈지(3)를 잡고 이탈지(3)를 제거시키기가 어려워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고,
도 1a에서와 같이 비닐백(1)에 형성된 접착면(4)은 접착액(6)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도포하는데, 접착면(4)이 형성된 부분은 접착액(6)의 높은 온도로 인하여 열변형되면서 구겨져서, 도 1c에서와 같이 비닐백(1)에 물품을 포장하면 구겨진 부분에 의하여 미관이 손상되어, 포장된 물품의 품격이 떨어져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접착면(4)에 이탈지(3)가 부착되어 구성된 비닐백(1)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04738호의 “촬영 방지용 보안 봉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닐백 제조기에서 이탈지(1)에 접착면(4)이 형성되도록 접착액(6)을 도포하되, 컨트롤러(76)의 제어에 의하여 비닐지(1a)의 절단폭에 대응하여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접착액(6)을 이탈지(3)에 도포한 후, 이 이탈지(3)를 비닐지(1a)의 덮개(2) 내면에 부착한 상태로,
이송시키면서, 비닐지(1a)의 비접착면(5)의 중앙부분을 열커터(72)가 열접착/절단하여 비닐백(1)이 제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비닐백(1)의 소재인 비닐지(1a)에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를 접착한 후,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비닐백 제조기에 있어서,
이탈지(3)에 접착액(6)을 도포하되, 접착면(4)을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하기 위하여,
이탈지롤(45)에서 이송되는 이탈지(3)가 한쌍의 이탈지이송롤러(21)사이에서 이송될 때에 접착액(6)을 도포할 수 있도록,
공기압력으로 작동되는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의 전후진로드(32)가 컨트롤러(76)의 제어에 의하여 전후진되는 것이므로,
전후진로드(32)의 전진으로 접착액도포장치(18)의 노즐(20)을 전진시켜서 이탈지(3)에 접착액(6)을 압출도포하고,
전후진로드(32)의 후진으로 노즐(20)을 후진시켜 도포작업을 중지하는 공정을 반복시행함으로서,
이탈지(3)에 접착액(6)이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백 제조기이다.
또한, 비닐지(1a)에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가 비닐지(1a)에 접착되도록 이송되는 이탈지(3)를 지지해주는 상측의 이탈지이송롤러(21)와 하측의 이탈지안내봉(29)을 지지하는 수직브래킷(30)을,
나선봉(14)에 의하여 좌우진하는 좌우슬라이더(12)에 고정하여 이송하는 이탈지(3)의 횡방향위치를 하측에서 이송되는 비닐지(1a)의 횡방향위치에 맞출 수 있도록 좌우슬라이더(12)가 이송핸들(22)의 회전으로 회전되는 나선봉(14)에 의하여 좌우진하여,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의 이송되는 횡방향위치가 비닐지(1a)의 이송되는 횡방향위치와 일치되도록 하여,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가 비닐지(1a)와의 접착위치에 정확하게 접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백 제조기이고,
또한,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와 접착된 비닐지(1a)가 비접착면(5)의 정확한 중앙위치에서 열접착/절단이 되도록 하기위하여,
피니언기어핸들(27)을 회전시켜 동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6)가 래크기어(25)와 맞물려서 전후진되므로 피니언기어(26)와 그 축으로 연결된 메인프레임(11)과 이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이탈지(3)와 접착된 비닐지(1a)가 일체가 되어 전후진할 수 있기 때문에,
열커터(72) 하측에 위치한 이탈지(3)와 접착된 비닐지(1a)의 열접착/절단위치를 전후진시킬 수 있으므로,
비닐지(1a)의 비접착면(5)의 정확한 중앙위치에서 열접착/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백 제조기이며,
또한, 이탈지롤(45)에서 이송되는 이탈지(3)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이탈지급송롤러(43)를 통과하여 하강하는 이탈지(3)가 승강장력조절구(47) 내부에서 승강운동하는 승강장력조절링(48)의 하단을 휘감고 상승하도록 하여,
이탈지(3)가 강하게 당겨지면 승강장력조절링(48)의 무게를 이기고 승강장력조절링(48)이 상승하면서 이탈지(3)의 장력 변화를 상쇄하고,
반대로 장력이 약해져 이탈지(3)가 늘어지면 승강장력조절링(48)의 무게에 의하여 승강장력조절링(48)이 하강하면서 이탈지(3)의 장력변화를 상쇄하므로 이탈지(3)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백 제조기이다.
본 발명은 이탈지(3)에 가열된 접착액(6)을 일정한 간격으로 도포하여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한 후, 비닐지(1a)의 덮개(2)에 이탈지(3)가 부착되므로, 비닐백(1)의 덮개(2)가 열변형 되지 아니하여, 포장되는 물품의 품격이 유지되고,
이탈지(3)가 접착된 비닐지(1a)를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할 때, 이탈지(3)의 비접착면(5) 부분을 절단하기 때문에 접착액(6)이 열커터(72)로 전이되어 발생되는 열접착/절단의 불량이 방지되며,
비닐백(1)을 사용할 때, 비접착면(5) 부분의 이탈지(3)를 손쉽게 잡아제거할 수 있어, 포장을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로서,비닐지에 고온의 접착액이 도포되어 접착면이 열변형되어 구겨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b는 종래기술로서, 도 1a의 비닐지의 접착면에 이탈지가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c는 종래기술로서, 도 1b의 이탈지가 부착된 비닐지를 열커터로 열접착/절단하여 구겨진 이탈지의 상태로 비닐백이 제조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d는 종래기술로서, 비닐백의 구겨진 접착면이 노출되는 상태로 이탈지가 제거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e는 종래기술로서 덮개의 내면에 도포된 접착액으로 인하여 덮혀진 덮개의 외면이 구겨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비닐백 제조공정을 거쳐서 비닐백이 제조되는 전체적인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비닐백 제조공정중 접착액 도포장치를 예신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주요부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도 3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접착액도포장치의 노즐로 접착액을 압출도포하여 이송중인 이탈지에 접착면이 일정간격을 두어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이송중인 이탈지에 비접착면이 형성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을 거쳐서 제조된 비닐백에 접착면과 비접착면이 형성된 이탈지가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비닐백의 사용을 위하여 이탈지를 제거하여 접착면이 노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c는 본 발명의 도 7b의 비닐백에서 이탈지를 제거한 후, 접착면의 접착력으로 덮개를 덮어서 비닐백을 봉합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우선 도 2에서와 같이 비닐백(1)이 제조되는 공정은 크게 비닐지공급부(51), 장력조절부(61) 및 접착절단부(71)로 구성되는데,
비닐지공급부(51)는 덮개(2) 형성을 위하여 한쪽편이 넓도록 접혀서 두겹으로 된 비닐지(1a)가 권취된 비닐롤(52)로 부터 비닐지(1a)를 장력조절부(61)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장력조절부(61)는 비닐지공급부(51)에서 이송되는 비닐지(1a)를 비닐지급송롤러(54)를 통하여 접착절단부(71)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댐퍼(64)의 작동으로 전후로 회동되는 장력조절암(63)을 구성하여,
비닐지(1a)가 이송되는 공정에서 변화되는 장력에 따라 장력조절암(63)이 전후로 움직이면서 장력조절롤러(62)의 위치를 변화시켜, 장력조절암(62)을 거쳐서 이송되는 비닐지(1a)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이송된다.
접착절단부(71)는 장력조절부(61)에서 이송된 비닐지(1a)가 이송벨트(74)를 거쳐서 이송되는 공정에서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하여 물품을 포장할 수 있는 비닐백(1)이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액도포장치(18)는 비닐백 제조공정의 장력조절부(61)와 접착절단부(7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닐지(1a)와 이탈지(3)가 이송되는 공정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번갈아서 형성된 이탈지(3)가 비닐지(1a)에 접착된 후, 열접착/절단하여 비닐백(1)이 제조되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도 2 내지 도 5를 예시하여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력조절부(61)와 접착절단부(71) 사이에 한쌍의 메인프레임(11)이 설치되고, 이 한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의 상측에는 좌우슬라이더(12)를 관통한 좌우슬라이더안내봉(13)이 구성되어, 좌우슬라이더안내봉(13)에 의하여 좌우슬라이더(12)가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의 상측 중앙에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좌우슬라이더(12)가 관통된 나선봉(14)이 구성되는데, 나선봉(14)의 일측에는 메인프레임(11)에 구성된 이송핸들(22)과 동축으로 연결되어, 이송핸들(22)로 회전시킬 때, 나선봉(14)이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좌우슬라이더(12)가 나선봉(14)의 나선을 타고 좌우슬라이더안내봉(13)을 따라 좌우로 이송된다.
한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의 하측에는 압착롤러(31)가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압착롤러(31)는 제1압착롤러(31a), 제2압착롤러(31b) 및 제3압착롤러(31c)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장력조절부(61)에서 이송되는 비닐지(1a)와 접착면(4)이 형성된 이탈지(3)가 이송중에 제1압착롤러(31a), 제2압착롤러(31b) 및 제3압착롤러(31c)를 거치면서 비닐지(1a)의 덮개(2) 내면과 이탈지(3)의 접착면(4)이 연속적으로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 압착롤러(31)는 제1압착롤러(31a) 내지 제3압착롤러(31c)가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송중인 비닐지(1a)와 이탈지(3)가 맞닿아 압착되면서 비닐지(1a)에 이탈지(3)가 접착될 수 있도록 압착롤러(31)의 위치와 개수 및 형태를 적합하게 변형하여 대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이탈지롤(45)에 권취된 이탈지(3)를 압착롤러(31)로 안내하기 위하여 이탈지롤러(28)와 이탈지안내봉(29)을 최적의 위치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치와 개수 및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좌우슬라이더(12)는 관통된 좌우슬라이더안내봉(13)에 의하여 좌우로 이송되는 것으로서, 좌우이송에 의하여 비닐지(1a)의 덮개(2)에 접착되는 이탈지(3)의 접착위치가 조절되는 것이다.
좌우슬라이더(12)의 상측에는 한쌍의 전후슬라이더안내봉(16)이 관통되어 전후슬라이더안내봉(16)에 의하여 전후로 이송되는 전후슬라이더(15)와 수평브래킷(42)이 구성된다.
전후슬라이더(15)는 상면에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가 고정되고,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에 의하여 전후진되는 접착액도포장치(18)가 구성되는데, 전후슬라이더(15)가 전후슬라이더안내봉(16)의 안내에 의하여 전후로 이송된 후, 전후슬라이더(15)상에 장착되어 공기압력으로 작동되는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의 전후진로드(32)의 전후운동으로 접착액도포장치(18)의 노즐(20)이 이송중인 이탈지(3)에 접착액(6)을 압출도포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로 이송된다.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는 컨트롤러(76)의 제어에 따라 공기압력에 의한 전후진로드(32)의 전진운동으로 접착액도포장치(18)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노즐(20)이 이송중인 이탈지(3)와 맞닿게 하거나 후방으로 이송되어 노즐(20)이 이탈지(3)와 이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접착액도포장치(18)는 접착액주입관(19)을 통하여 주입되는 접착액(6)을 가열하여 액상화한 상태로 컨트롤러(76)의 제어에 의하여 노즐(20)로 압출도포하는 것으로,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가 컨트롤러(76)의 제어에 의한 전후진로드(32)의 전진으로 접착액도포장치(18)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노즐(20)이 이탈지(3)와 맞닿으면 이송중인 이탈지(3)에 접착액(6)이 압출도포되어 접착면(4)이 형성되도록 하고,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가 컨트롤러(76)의 제어에 의한 전후진로드(32)의 후진으로 접착액도포장치(18)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면 노즐(20)이 이탈지(3)와 이격되면서 접착액의 도포를 중단하는 동안은 이송중인 이탈지(3)에 접착액(6)을 도포하지 아니하므로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한다.
수평브래킷(42)에는 일측에 수직브래킷(30)이 장착되고, 타측에 승강장력조절구(47)가 장착된다.
수직브래킷(30)의 상부에는 한쌍의 이탈지이송롤러(21)가 상하로 구성되어, 접착액도포장치(18)가 전방으로 이송되었을 때, 이송중인 이탈지(3)와 노즐(20)이 맞닿아 접착액(6)이 도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에는 이탈지(3)를 압착롤러(31)로 안내하는 다수의 이탈지롤러(28)와 이탈지안내봉(29)이 구성된다.
승강장력조절구(47)는 이탈지급송롤러(43)에 의하여 견인되는 이탈지(3)가 제1압착롤러(31a)로 이송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를 상쇄하여 이탈지(3)에 균일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승강장력조절구(47)에서 승강되는 승강장력조절링(48)이 구성된다.
승강장력조절링(48)은 이탈지(3)가 승강장력조절링(48)을 거쳐서 이송될 때, 장력이 강해져 이탈지(3)가 당겨지면 승강장력조절링(48)의 무게를 이기고 승강장력조절링(48)이 상승되면서 이탈지(3)의 장력 변화를 상쇄하고,
반대로 장력이 약해져 이탈지(3)가 늘어지면 승강장력조절링(48)의 무게에 의하여 승강장력조절링(48)이 하강하면서 이탈지(3)의 장력 변화를 상쇄하므로 이탈지(3)가 이송되는 공정에서 균일한 장력이 유지된다.
승강장력조절구(47)의 상부에 장착된 이탈지공급부(41)에는 이탈지(3)가 권취된 이탈지롤(45)과 이탈지(3)를 승강장력조절링(48)으로 이송시키는 이탈지급송롤러(43)가 구성된다.
이탈지(3)는 얇은 필름으로 고온의 접착액(6)이 도포되어도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되어있다.
컨트롤러(76)는 제조하고자 하는 비닐백(1)의 폭을 사용자가 설정하면 이탈지(3)에 일정한 간격으로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의 작동과 접착액도포장치(18)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설계되어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76)에 비닐백(1)의 폭이 15cm가 되도록 설정하면 컨트롤러(76)는 이송중인 이탈지(3)에 13cm 폭의 접착면(4)과 2cm 폭의 비접착면(5)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도포기추력장치(17)와 접착액도포장치(18)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으로 설정되어있는 것이다.
이탈지(3)가 부착된 비닐지(1a)가 접착절단부(71)의 이송벨트(74)에 의하여 이송되는 공정에서 이탈지(3)에 형성된 2cm 폭의 비접착면(5)의 중앙부분을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하면 13cm의 접착면(4)과 양측단에 각각 1cm 폭의 비닐백(1)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비접착면(5)의 폭은 2cm로 예시하였으나 컨트롤러(76)의 설정조건의 변경으로 비접착면(5)의 폭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b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탈지롤(45)에 권취된 이탈지(3)가 이탈지급송롤러(43)에 의하여 견인되어 승강장력조절구(47)의 승강장력조절링(48)과 이탈지롤러(28) 및 한쌍의 이탈지이송롤러(21)를 거쳐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비닐지공급부(51)와 장력조절부(61)를 거쳐서 이송되는 비닐지(1a)의 덮개(2)에 이탈지(3)가 접착될 수 있도록 비닐지(1a)와 이탈지(3)가 제1압착롤러(31a), 제2압착롤러(31b), 제3압차롤러(31c)를 거치면서 접착되어 접착절단부(71)로 이송되도록 한다.
비닐지(1a)의 덮개(2)에 이탈지(3)가 접착되는 위치는 좌우슬라이더안내봉(13)에 의하여 좌우로 이송되는 좌우슬라이더(12)로 조절할 수 있고,
이탈지이송롤러(21)에서 이송되는 이탈지(3)와 접착액도포장치(18)의 노즐(20)이 정확히 맞닿을 수 있도록 전후슬라이더안내봉(16)에 의하여 전후로 이송되는 전후슬라이더(15)로 도포기추력장치(17)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컨트롤러(76)는 비닐지(1a)와 이탈지(3)의 이송을 감지하고 도포기추력장치(17)와 접착액도포장치(18)를 제어하는데,
도 6a에서와 같이 도포기추력장치(17)의 전후진로드(32)의 전진에 의하여 접착액도포장치(18)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노즐(20)이 한쌍의 이탈지이송롤러(21)사이를 통과하는 이탈지(3)와 맞닿으면 비닐백(1)의 폭보다 짧은 폭의 접착면(4)이 형성되도록 이탈지(3)에 접찰액(6)을 도포하고,
도 6b에서와 같이 도포기추력장치(17)에 의하여 접착액도포장치(18)가 후방으로 이송되어 노즐(20)이 이송중인 이탈지(3)와 이격되면 접착액(6) 도포가 중단되어 이탈지(3)에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하되,
이탈지(3)에 형성된 접착면(4)의 폭과 비접착면(5) 폭의 합이 비닐백(1)의 폭과 일치하도록 도포기추력장치(17)의 작동과 접착액도포장치(18)의 작동을 컨트롤러(76)가 제어하는 것이다.
이렇게 일정한 간격의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형성된 이탈지(3)는 제1압착롤러(31a), 제2압착롤러(31b) 및 제3압착롤러(3c)를 거치면서 함께 이송되는 비닐지(1a)의 덮개(2)에 이탈지(3)의 접착면(4)의 접착력에 의하여 접착되어 이탈지(3)가 접착된 상태로 접착절단부(71)의 이송벨트(74)로 이송되고,
컨트롤러(76)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열커터(72)가 비닐지(1a) 상측의 이탈지(3)의 비접착면(5)이 형성된 위치를 열접착/절단하여 비닐백(1)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비닐백(1)은 도 7a에서와 같이 덮개(2)의 좌우측단에는 비접착면(5)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접착면(4)이 형성된 이탈지(3)가 부착된다.
이러한 비닐백(1)을 사용할 때는 도 7b에서와 같이 비닐백(1)에 물품을 넣은 후, 비접착면(5)이 형성된 이탈지(3) 부분을 잡아 들어올리면 이탈지(3)가 손쉽게 제거되어 접착면이 노출된다.
도 7c에서와 같이 덮개(2)를 접으면 접착면(4)의 접착력으로 덮개(2)가 비닐백(1)에 접착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물품을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비닐백(1)은 고온의 접착액(6)이 비닐백(1)에 직접 도포됨으로 인하여 발생 되었던 비닐백(1)의 열변형이 발생 되지 않기 때문에 비닐백(1)에 물품을 포장하면 물품의 품격이 돋보이게 되고,
열커터(72)가 접착면(2)이 아닌 비접착면(5) 부분과 맞닿게 됨으로 인하여 접착액(6)이 열커터(72)로 전이되지 않기 때문에 열커터(72)로 전이된 접착액(6)의 끈적임으로 인한 열접착이나 절단불량이 발생되지 않으며 접착액(6)이 타면서 발생하던 유해가스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열커터(72)가 이탈지(3)의 비접착면(5)이 형성된 부분의 비닐지(1a)를 절단할 때, 절단되는 위치가 비접착면(5)의 중앙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이 절단되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하여 비닐지(1a)가 절단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의 하측에 피니언기어(26)가 구성되고, 피니언기어(26)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피니언기어(26)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핸들(27)이 구성된다.
피니언기어(26)의 하측에는 받침레일(24)이 설치되어 메인프레임(11)이 전후로 이송되도록 회전되는 레일롤러(23)가 받침레일(24) 위에서 원활하게 회전되어 메인프레임(11)이 이송된다.
받침레일(24)의 상측에는 피니언기어(26)와 맞물리는 래크기어(25)가 하측에서 레일롤러(23)가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접착절단부(71)의 열커터(72)가, 이탈지(3)가 부착된 비닐지(1a)를 열접착/절단할 때, 이탈지(3)에 형성된 비접착면(5) 부분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열접착/절단되는 오차가 발생되면,
레일롤러(23)가 받침레일(24)을 따라 회전되면서 메인프레임(11)을 오차 길이만큼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피니언기어핸들(27)을 회전시키면 래크기어(25)와 맞물린 피니언기어(26)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레일롤러(23)가 받침레일(24) 위에서 회전되어 메인프레임(11)이 후방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열접착/절단의 위치가 수정되어 열커터(72)가 비접착면(5)이 형성된 부분의 중앙 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비닐지(1a)가 열커터(72)로 절단될 때, 메인프레임(11)이 전후로 이송되어 절단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피니언기어(26)와 래크기어(25)를 통하여 메인프레임(11)을 정밀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하여 열커터(72)의 절단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정확하게 비접착면(5)의 중앙 부분에서 비닐지(1a)를 절단할 수 있도록 이송중인 비닐지(1a)에 부착된 이탈지(3)의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을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컨트롤러(76)로 전달하는 감지센서(34)를 구성한다.
감지센서(34)는 초음파나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로 두께나 색상 및 초음파나 빛이 반사되었을 때 변화되는 파장 등을 이용하여 비닐지(1a), 이탈지(3), 접착면(4) 및 비접착면(5)을 검출한다.
이러한 감지센서(34)의 검출신호를 컨트롤러(76)가 판단하여 접착절단부(71)의 이송벨트(74)로 이송중인 비닐지(1a)가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될 때 이탈지(3)의 비접착면(5) 부분의 중앙을 절단하도록 열커터(72)의 작동을 제어하여 보다 균일하게 열접착/절단된 비닐백(1a)백이 제조될 수 있다.
1 : 비닐백
1a : 비닐지
2 : 덮개
3 : 이탈지
4 : 접착면
5 : 비접착면
6 : 접착액
11 : 메인프레임
12 : 좌우슬라이더
13 : 좌우슬라이더안내봉
14 : 나선봉
15 : 전후슬라이더
16 : 전후슬라이더안내봉
17 :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
18 : 접착액도포장치
19 : 접착액주입관
20 : 노즐
21 : 이탈지이송롤러
22 : 이송핸들
23 : 레일롤러
24 : 받침레일
25 : 래크기어
26 : 피니언기어
27 : 피니언기어핸들
28 : 이탈지롤러
29 : 이탈지안내봉
30 : 수직브래킷
31 : 압착롤러
31a: 제1압착롤러
31b: 제2압착롤러
31c: 제3압착롤러
32 : 전후진로드
34 : 감지센서
41 : 이탈지급송롤러
42 : 수평브래킷
43 : 이탈지급송롤러
45 : 이탈지롤
47 : 승강장력조절구
48 : 승강장력조절링
51 : 비닐지공급부
52 : 비닐롤
54 : 비닐지급송롤러
61 : 장력조절부
62 : 장력조절롤러
63 : 장력조절암
64 : 댐퍼
71 : 접착절단부
72 : 열커터
74 : 이송벨트
76 : 컨트롤러

Claims (4)

  1. 비닐백(1)의 소재인 비닐지(1a)에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를 접착한 후,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비닐백 제조기에 있어서,
    이탈지(3)에 접착액(6)을 도포하되, 접착면(4)을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하기 위하여,
    이탈지롤(45)에서 이송되는 이탈지(3)가 한쌍의 이탈지이송롤러(21)사이에서 이송될 때에 접착액(6)을 도포할 수 있도록,
    공기압력으로 작동되는 도포기추력장치(推力裝置 ; Actuator)(17)의 전후진로드(32)가 컨트롤러(76)의 제어에 의하여 전후진되는 것이므로,
    전후진로드(32)의 전진으로 접착액도포장치(18)의 노즐(20)을 전진시켜서 이탈지(3)에 접착액(6)을 압출도포하고,
    전후진로드(32)의 후진으로 노즐(20)을 후진시켜 도포작업을 중지하는 공정을 반복시행함으로서,
    이탈지(3)에 접착액(6)이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접착면(4)과 비접착면(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백 제조기.
  2. 비닐백(1)의 소재인 비닐지(1a)에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를 접착한 후,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비닐백 제조기에 있어서,
    비닐지(1a)에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가 비닐지(1a)에 접착되도록 이송되는 이탈지(3)를 지지해주는 상측의 이탈지이송롤러(21)와 하측의 이탈지안내봉(29)을 지지하는 수직브래킷(30)을,
    나선봉(14)에 의하여 좌우진하는 좌우슬라이더(12)에 고정하여 이송하는 이탈지(3)의 횡방향위치를 하측에서 이송되는 비닐지(1a)의 횡방향위치에 맞출 수 있도록 좌우슬라이더(12)가 이송핸들(22)의 회전으로 회전되는 나선봉(14)에 의하여 좌우진하여,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의 이송되는 횡방향위치가 비닐지(1a)의 이송되는 횡방향위치와 일치되도록 하여,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가 비닐지(1a)와의 접착위치에 정확하게 접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백 제조기.
  3. 비닐백(1)의 소재인 비닐지(1a)에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를 접착한 후,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비닐백 제조기에 있어서,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와 접착된 비닐지(1a)가 비접착면(5)의 정확한 중앙위치에서 열접착/절단이 되도록 하기위하여,
    피니언기어핸들(27)을 회전시켜 동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6)가 래크기어(25)와 맞물려서 전후진되므로 피니언기어(26)와 그 축으로 연결된 메인프레임(11)과 이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이탈지(3)와 접착된 비닐지(1a)가 일체가 되어 전후진할 수 있기 때문에,
    열커터(72) 하측에 위치한 이탈지(3)와 접착된 비닐지(1a)의 열접착/절단위치를 전후진시킬 수 있으므로,
    비닐지(1a)의 비접착면(5)의 정확한 중앙위치에서 열접착/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백 제조기.
  4. 비닐백(1)의 소재인 비닐지(1a)에 접착액(6)이 도포된 이탈지(3)를 접착한 후, 열커터(72)로 열접착/절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비닐백 제조기에 있어서,
    이탈지롤(45)에서 이송되는 이탈지(3)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이탈지급송롤러(43)를 통과하여 하강하는 이탈지(3)가 승강장력조절구(47) 내부에서 승강운동하는 승강장력조절링(48)의 하단을 휘감고 상승하도록 하여,
    이탈지(3)가 강하게 당겨지면 승강장력조절링(48)의 무게를 이기고 승강장력조절링(48)이 상승하면서 이탈지(3)의 장력 변화를 상쇄하고,
    반대로 장력이 약해져 이탈지(3)가 늘어지면 승강장력조절링(48)의 무게에 의하여 승강장력조절링(48)이 하강하면서 이탈지(3)의 장력변화를 상쇄하므로 이탈지(3)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백 제조기.
KR1020180096139A 2018-08-17 2018-08-17 비닐백 제조기 KR10207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39A KR102076715B1 (ko) 2018-08-17 2018-08-17 비닐백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39A KR102076715B1 (ko) 2018-08-17 2018-08-17 비닐백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715B1 true KR102076715B1 (ko) 2020-02-12

Family

ID=6956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39A KR102076715B1 (ko) 2018-08-17 2018-08-17 비닐백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6130A (zh) * 2020-03-02 2020-05-22 保定市宏腾科技有限公司 一种胶条粘接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318A (ja) * 2000-09-29 2002-04-10 Nordson Kk 紙製箱の結束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紙バンドへの接着剤の塗布ノズル
KR20080078642A (ko) * 2005-11-24 2008-08-2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첩부 장치 및 첩부 방법
JP2012012066A (ja) * 2010-06-30 2012-01-19 Duplo Seiko Corp 封緘装置
KR20150043067A (ko) * 2013-10-14 2015-04-22 이동발 원단 포장장치
KR20160094818A (ko) * 2015-02-02 2016-08-10 박재홍 포장시트 접착 타입 종이롤 포장 장치
KR101781421B1 (ko) * 2016-10-17 2017-10-23 (주) 케이 앤 지 스틸 내, 외경 접착력 향상과 조도 향상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코팅층을 갖는 강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318A (ja) * 2000-09-29 2002-04-10 Nordson Kk 紙製箱の結束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紙バンドへの接着剤の塗布ノズル
KR20080078642A (ko) * 2005-11-24 2008-08-2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첩부 장치 및 첩부 방법
JP2012012066A (ja) * 2010-06-30 2012-01-19 Duplo Seiko Corp 封緘装置
KR20150043067A (ko) * 2013-10-14 2015-04-22 이동발 원단 포장장치
KR20160094818A (ko) * 2015-02-02 2016-08-10 박재홍 포장시트 접착 타입 종이롤 포장 장치
KR101781421B1 (ko) * 2016-10-17 2017-10-23 (주) 케이 앤 지 스틸 내, 외경 접착력 향상과 조도 향상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코팅층을 갖는 강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6130A (zh) * 2020-03-02 2020-05-22 保定市宏腾科技有限公司 一种胶条粘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67220B (zh) 保护带剥离方法和保护带剥离装置
JP6510914B2 (ja) 薬剤包装装置
KR101447365B1 (ko) 패치 절단 및 포장장치
KR101344508B1 (ko) 롤 제품 자동 포장장치
WO2001047775A1 (fr) Dispositif d'emballage
KR102076715B1 (ko) 비닐백 제조기
TWI494250B (zh) 止回形注出噴嘴之安裝裝置
WO20070349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sensitive laminated body
US5635015A (en) Apparatus for cementless building of retreaded tires
EP22776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welding films in continuous
JP4898388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7302322A (ja) ストリップパック装置
JP3168333B2 (ja) 横型製袋充填方法および装置
JP4010613B2 (ja) フィルム切断装置
KR20220002842A (ko) 면봉 포장시트 접합장치
JP6543118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6204300B2 (ja) 製袋充填機における縦シール装置
JP2007008558A (ja) 包装装置
JP3782799B2 (ja) 包装方法及び包装物
JP5546336B2 (ja) キャップシール装置及びキャップシール方法
JP2008037634A (ja) シート貼合装置およびシート貼合方法
JP6646594B2 (ja) テープ貼付け装置及び横型ピロー包装機
TW201628925A (zh) 橫向枕式包裝機及橫向枕式包裝方法
JP5431222B2 (ja) ラッピング品製造ライン
CN118386602B (zh) 一种聚乙烯预开口连卷袋制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