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6098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098B1
KR102076098B1 KR1020130143533A KR20130143533A KR102076098B1 KR 102076098 B1 KR102076098 B1 KR 102076098B1 KR 1020130143533 A KR1020130143533 A KR 1020130143533A KR 20130143533 A KR20130143533 A KR 20130143533A KR 102076098 B1 KR102076098 B1 KR 102076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gion
disposed
area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887A (ko
Inventor
임유석
안병철
김창동
안태준
송상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98B1/ko
Priority to TW103140542A priority patent/TWI541997B/zh
Priority to CN201410677564.9A priority patent/CN104659062B/zh
Priority to US14/552,147 priority patent/US9209414B2/en
Publication of KR2015005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에 배치된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 대응되는 보호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ALY DEVIC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가장자리를 5mmR 이하의 반경을 가지도록 벤딩시키기 위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는 음극선과 표시장치(CRT)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소비 전력과 낮은 구동 전압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OLED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을 가진다.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리지드한 유리 기판 기반의 표시 장치들을 대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디스플레이 분야의 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 등의 얇은 기판에 구현되어 종이처럼 접거나 말아도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져 차세대 표시장치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종래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상,하부에 부착되는 기능성 필름들로 인해 300㎛ 이상의 패널 두께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패널의 두께 특성에 의해 패널을 물리적으로 일정 반경 이하의 벤딩(Bending)이 불가능하게 되어 표시 품질을 떨어뜨린다.
패널이 일정 반경 이하로 무리하게 벤딩하게 되면, 후속 공정인 커버 윈도우의 라미네이팅 공정 시 다량의 기포가 발생되거나, 패널의 탄성 특성에 의해 커버 윈도우에서 탈착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을 용이하게 벤딩시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에 배치된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 대응되는 보호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패널이 절곡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편광판을 제거함으로써, 패널을 용이하게 벤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패널이 절곡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기판을 제거함으로써, 패널을 용이하게 벤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패널이 절곡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제거함으로써, 패널을 용이하게 벤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패널이 절곡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의 내측에 차단층을 형성함으로써,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200)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300)과, 상기 유기 발광층(300) 상에 배치된 보호층(400)과, 상기 보호층(400) 상에 배치된 편광층(500)과, 상기 편광층(500)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600)를 포함한다.
기판(100)은 장방형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100)으로는 고온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인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카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ht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htyleneterepthalate) 등과 같은 고분자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금속 계열의 기판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1AA), 제2 영역(2AA) 및 제3 영역(3A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AA)은 화상을 전면에 표시하는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절곡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을 기준으로 5mmR 이하의 반경으로 절곡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제2 영역(2AA)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화상을 표시장치(1000)의 측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전원, 버튼 등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층(200)이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은 데이터라인, 스위칭 TFT, 구동 TFT, 스토리지 커패시터, 전원전압 공급배선 및 그라운드 전원 공급배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TFT는 N 타입의 MOSFET 또는 P 타입의 MOSFET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TFT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는 유기 발광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00)은 제1 전극층(미도시),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미도시), 유기 발광층(미도시),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미도시), 제2 전극층(미도시)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버퍼층, 오버코트층, 보호막을 관통하여 플렉서블 기판(100)에 형성된 구동 TFT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구동 TFT와의 접속 구조에 따라 반사막을 갖는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ITO, IZO 등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불투명 금속 재질을 가지는 반사막 상에서 화소 단위로 패터닝될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구동 TFT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정공을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에 인가한다.
제2 전극층은 제1 전극층이 애노드 전극일 경우,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층으로는 금속 재질의 단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전극층은 유전층들 사이에 협지된 제1 및 제2 층의 금속층을 가지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300) 상에는 보호층(Encap Layer, 40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400)은 유기 발광층(3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층(400)은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층(400)은 유기 절연막 또는 절연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절연막으로는 벤조사이클로부탄(BCB, benzocyclobutane), 아크릴계 유기화합물, 플루오르폴리아릴에테르(FPAE, Fluoropolyarrylether), 사이토프(cytop) 및 퍼플루오르사이클로부탄(PFCB, Perfluorocyclobutane)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 상에는 편광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500)은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편광층(500)은 내부에 편광 입자가 포함된 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층(500)은 기판(100)의 제1 영역(1AA) 및 제3 영역(3AA)에 대응되는 보호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500)은 기판(100)의 제1 영역(1AA), 제2 영역(2AA) 및 제3 영역(3AA) 전체 면에 형성된 후, 기판(100)의 제2 영역(2AA) 상에 배치된 편광층(500)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0)의 제2 영역(2AA)은 패널이 벤딩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제2 영역(2AA)에 배치된 편광층(500)을 제거하게 되면, 패널의 두께가 줄어들어 쉽게 5mmR 이하로 벤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편광층(500)을 기판(100)의 제2 영역(2AA)과 동일한 면적으로 제거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편광층(500)을 기판(100)의 제2 영역(2AA)보다 작은 영역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편광판(500)의 제거 영역이 제2 영역(2AA)보다 크게 즉, 제1 영역(1AA)과 제3 영역(3AA)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편광층(500) 상에는 커버 윈도우(6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600)는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윈도우(600)는 플라스틱, 유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6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200)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300)과, 상기 유기 발광층(300) 상에 배치된 보호층(400)과, 상기 보호층(400) 상에 배치된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500)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편광층을 제외한 구성을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기판(100)은 제1 영역(1AA), 제2 영역(2AA) 및 제3 영역(3AA)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1AA)은 화상을 전면에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절곡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을 기준으로 5mmR 이하의 반경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제2 영역(2AA)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화상을 표시장치의 측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편광층(500, 520)은 보호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500, 520)은 내부에 편광 입자가 포함된 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층(500, 520)은 제1 편광층(500)과 제2 편광층(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광층(500)은 기판(100)의 제1 영역(1AA) 및 제3 영역(3AA)에 대응되는 보호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편광층(520)은 기판(100)의 제2 영역(2AA)에 대응되는 보호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편광층(520)은 기판(100)의 제2 영역(2AA)에 대응되는 보호층(400) 상에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편광층(520)은 기판(100)의 절곡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편광층(520)은 기판(100)의 절곡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편광층(520)은 기판(100)의 절곡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편광층(520)은 기판(100)의 제2 영역(2AA)에 대응되는 보호층(400) 상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편광층(520)은 기판(100)의 제2 영역(2AA)에 대응되는 보호층(400) 상에 형성한 후, 기판(100)의 절곡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일부를 커팅(Cutting)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기판(100)의 제2 영역(2AA)은 패널이 벤딩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다수의 제2 편광층(520)을 기판(100)의 절곡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하게 되면, 패널은 쉽게 5mmR 이하로 벤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200)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300)과, 상기 유기 발광층(300) 상에 배치된 보호층(400)과, 상기 보호층(400) 상에 배치된 편광층(500)과, 상기 편광층(500)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00)을 제외한 구성을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기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인 제1 영역(1AA) 및 제3 영역(3AA)에만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장방형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100)으로는 고온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인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카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ht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htyleneterepthalate) 등과 같은 고분자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금속 계열의 기판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판(100)을 제1 영역(1AA), 제2 영역(2AA), 제3 영역(3AA)에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다른 구성 요소들을 형성한 후, 비표시 영역인 제2 영역(2AA)에 대응되는 기판(100)을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판(100)을 편광층(500)과 대응되도록 화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1AA)과 제3 영역(3AA)에만 대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두께를 줄여 쉽게 5mmR 이하로 벤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200)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300)과, 상기 유기 발광층(300) 상에 배치된 보호층(400)과, 상기 보호층(400) 상에 배치된 편광층(500)과, 상기 편광층(500)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 윈도우(600)를 제외한 구성을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기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1AA), 제2 영역(2AA) 및 제3 영역(3AA)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1AA)은 화상을 전면에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절곡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을 기준으로 5mmR 이하의 반경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제2 영역(2AA)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화상을 표시장치의 측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600)는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윈도우(600)는 플라스틱, 유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6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600)의 내측에는 차단층(620)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층(620)은 불투명한 재질의 수지 재질의 필름 또는 불투명의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층(620)은 기판(100)의 제2 영역(2AA)에 대응되는 커버 윈도우(6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단층(620)은 제2 영역(2AA)에서 빛샘 현상으로 인해 화상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200)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300)과, 상기 유기 발광층(300) 상에 배치된 보호층(400)과, 상기 보호층(400) 상에 배치된 편광층(500)과, 상기 편광층(500)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호층(400)을 제외한 구성을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기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1AA), 제2 영역(2AA) 및 제3 영역(3AA)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1AA)은 화상을 전면에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절곡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제1 영역(1AA)을 기준으로 5mmR 이하의 반경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AA)은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제2 영역(2AA)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AA)은 화상을 표시장치의 측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보호층(400)은 유기 발광층(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400)은 제1 보호층(420)과 제2 보호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420)은 유기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층(440)은 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층(420)은 기판(100)의 제1 영역(1AA), 제2 영역(2AA) 및 제3 영역(3AA)에 대응되는 유기 발광층(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층(440)은 기판(100)의 제1 영역(1AA) 및 제3 영역(3AA)에 대응되는 유기 발광층(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층(440)은 제1 보호층(420)의 전면에 형성된 후, 제2 영역(2AA)에 배치된 필름 재질의 보호층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보호층(440)을 편광층(500)과 대응되도록 화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1AA)과 제3 영역(3AA)에만 대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두께가 줄어들어 쉽게 5mmR 이하로 벤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편광층, 기판, 보호층의 일부를 삭제하여 패널의 두께를 최소화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스크린이 더 배치될 경우, 터치 스크린의 일부를 삭제하여 패널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기판 200: 박막 트랜지스터층
300: 유기 발광층 400: 보호층
500: 편광층 600: 커버 윈도우

Claims (9)

  1.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층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배치된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응되는 보호층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보호층 상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층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배치된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응되는 보호층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보호층 상에는 제2 편광층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편광층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절곡 방향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층은 기판의 절곡 방향의 수직으로 일부가 커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제1 보호층과, 제1 보호층 상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커버 윈도우의 내측에는 차단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제3 영역은 제1 영역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제2 영역은 제1 영역을 기준으로 5mmR 이하의 반경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제2 영역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이고, 제2 영역은 비표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30143533A 2013-11-25 2013-11-25 표시장치 Active KR102076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533A KR102076098B1 (ko) 2013-11-25 2013-11-25 표시장치
TW103140542A TWI541997B (zh) 2013-11-25 2014-11-21 顯示裝置
CN201410677564.9A CN104659062B (zh) 2013-11-25 2014-11-21 显示装置
US14/552,147 US9209414B2 (en) 2013-11-25 2014-11-2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533A KR102076098B1 (ko) 2013-11-25 2013-11-25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87A KR20150059887A (ko) 2015-06-03
KR102076098B1 true KR102076098B1 (ko) 2020-02-11

Family

ID=5318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533A Active KR102076098B1 (ko) 2013-11-25 2013-11-25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09414B2 (ko)
KR (1) KR102076098B1 (ko)
CN (1) CN104659062B (ko)
TW (1) TWI5419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1120B2 (en) 2013-11-28 2017-11-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17119B1 (ko) 2015-02-11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3053B1 (ko) * 2015-02-16 2021-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983626B2 (en) 2015-06-05 2021-04-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 and touch sensor structures
KR102401013B1 (ko) * 2015-07-15 2022-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78359B1 (ko) * 2015-07-23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3838B1 (ko) * 2015-08-24 2022-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JP6396879B2 (ja) * 2015-11-20 2018-09-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59839B1 (ko) * 2016-04-12 2023-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4599B1 (ko) * 2016-05-10 2023-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89214B1 (ko) 2016-06-03 2023-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6022B1 (ko) 2016-07-06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4309B1 (ko) * 2016-09-30 202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JP6998652B2 (ja) * 2016-11-11 2022-01-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45631B1 (ko) * 2016-11-22 2024-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디드 표시 장치
KR102496467B1 (ko) * 2016-11-23 2023-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707429B2 (en) 2016-12-28 2020-07-07 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211416B2 (en) 2016-12-28 2019-02-19 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8400138B (zh) 2016-12-28 2020-11-0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和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6816530B (zh) * 2016-12-30 2019-02-1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792402B1 (ko) * 2017-01-31 2025-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152580B2 (en) * 2017-03-30 2021-10-19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364634B1 (ko) * 2017-08-29 2022-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91396B1 (ko) * 2017-09-28 202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01414B1 (ko) 2017-10-31 2022-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1009B1 (ko) * 2018-01-02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346377B (zh) * 2018-01-19 2020-09-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8231800B (zh) 2018-02-02 2019-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TWI678801B (zh) * 2018-06-01 2019-1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102568908B1 (ko) * 2018-08-13 2023-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9560113A (zh) * 2018-12-04 2019-04-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装置
CN109686746B (zh) * 2019-01-04 2021-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移动终端及显示基板的制备方法
KR102822477B1 (ko) * 2019-02-11 2025-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792198B1 (ko) * 2019-05-30 2025-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79898A (ko) * 2019-12-20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823806B1 (ko) * 2019-12-31 2025-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416056A (zh) * 2020-03-27 2020-07-1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8335A1 (en) * 2009-06-04 2010-12-09 Tae-Woong Kim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076649A1 (en) * 2011-09-27 2013-03-28 Scott A. Myers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101319543B1 (ko)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5426040B2 (ja) 2013-02-26 2014-0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JP6132762B2 (ja) 2010-04-16 2017-05-24 フレックス ライティング 2,エルエルシー フィルムベースのライトガイドを備える前面照射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587A (ko) * 2010-12-31 2012-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Oled용 접이식 편광 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8335A1 (en) * 2009-06-04 2010-12-09 Tae-Woong Kim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32762B2 (ja) 2010-04-16 2017-05-24 フレックス ライティング 2,エルエルシー フィルムベースのライトガイドを備える前面照射デバイス
US20130076649A1 (en) * 2011-09-27 2013-03-28 Scott A. Myers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101319543B1 (ko)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5426040B2 (ja) 2013-02-26 2014-0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59062B (zh) 2018-03-27
CN104659062A (zh) 2015-05-27
US9209414B2 (en) 2015-12-08
US20150144921A1 (en) 2015-05-28
TW201521198A (zh) 2015-06-01
TWI541997B (zh) 2016-07-11
KR20150059887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098B1 (ko) 표시장치
US1082601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016335B2 (en) Polarizing pl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80552B1 (ko) 커버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1095774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process key
US951512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90326B2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s well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CN104518000B (zh) 柔性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KR20110068169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553373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23407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136053A (ko) 표시 장치
KR10266769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007132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ubstrates having crack guide grooves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facing away from each other
US10777618B2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1083104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081052A (ko) 패드부 전극 구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210038509A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2039897B2 (en)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edge burn-in
KR10213997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08785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0746B1 (ko) 표시장치
KR20230099126A (ko) 표시장치
KR10072699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7738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