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8359B1 -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359B1
KR102378359B1 KR1020150104361A KR20150104361A KR102378359B1 KR 102378359 B1 KR102378359 B1 KR 102378359B1 KR 1020150104361 A KR1020150104361 A KR 1020150104361A KR 20150104361 A KR20150104361 A KR 20150104361A KR 102378359 B1 KR102378359 B1 KR 10237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area
folding part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739A (ko
Inventor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359B1/ko
Priority to US14/981,493 priority patent/US9923156B2/en
Priority to CN201610319073.6A priority patent/CN106373490B/zh
Priority to CN202010870209.9A priority patent/CN111968509B/zh
Publication of KR2017001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웃폴딩부에 제1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인폴딩부에는 제1보호필름과 다른 재질인 제2보호필름이 부착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요에 따라 본체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하게 변형되는 특성을 갖출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이를 폴딩 가능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폴딩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서로 반대되는 폴딩 방향의 인폴딩부와 아웃폴딩부를 형성하여 구부러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아웃폴딩부를 포함한 제1영역에 부착된 제1보호필름 및, 상기 인폴딩부를 포함한 제2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제1보호필름과 다른 재질인 제2보호필름이 구비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아웃폴딩부에서 상기 제1보호필름에 압축응력이 작용하고, 상기 인폴딩부에서 상기 제2보호필름에 인장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필름이 상기 제2보호필름 보다 고강성 재료일 수 있다.
상기 제1보호필름은 금속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필름의 탄성계수는 10G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보호필름은 폴리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아웃폴딩부를 포함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인폴딩부를 포함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나머지 타측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인폴딩부를 제외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안쪽에 상기 인폴딩부 영역에 국한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아웃폴딩부를 제외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의 안쪽에 상기 아웃폴딩부 영역에 국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2보호필름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시청 측과 반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층과, 상기 표시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보호필름 및 제2보호필름과 반대편인 화상 시청 측 방향에 설치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표시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터치스크린패널과 편광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2보호필름, 상기 표시층,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기 편광층 및 상기 윈도우를 포함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층들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웃폴딩부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케이스 및 상기 제3케이스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폴딩부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에서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보호필름을 포함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적층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보호필름의 변형 가능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중 표시층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일반적으로 유연한 가요성 기판 위에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와 발광소자 및 그들을 덮어서 보호해주는 봉지층 등이 적층된 구조체를 표시층(120:도 3 참조)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단단한 글라스 기판 대신에 유연한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유연성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접고 펴기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S자로 접어둘 수가 있다.
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2,3케이스(210)(220)(230)를 포함하는 케이스(200)에 의해 폴딩과 언폴딩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2,3케이스(210)(220)(230)에 지지되며,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 그리고 제2케이스(220)와 제3케이스(230)가 각각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이 제1,2,3케이스(210)(220)(230)의 회전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양쪽 면 중 시청자가 화상을 시청하는 방향의 면인 도 1의 상면을 전면이라 하고, 그 반대측 면인 상기 제1,2,3케이스(210)(220)(230)와 대면하는 하면을 배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2,3케이스(210)(220)(230)는 폴딩 시에 도 2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S자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아웃폴딩부(A)와 인폴딩부(B)가 형성된다.
아웃폴딩부(A)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이 밖으로 노출되게 접히는 부위이고, 인폴딩부(B)는 상기 전면이 케이스(200) 안에 숨도록 접히는 부위를 말한다. 즉, 폴딩 시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는 아웃폴딩부(A)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케이스(220)와 제3케이스(230)는 인폴딩부(B)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 아웃폴딩부(A)와 인폴딩부(B)에서는 서로 반대방향의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 측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아웃폴딩부(A)에서는 압축응력이 작용하고, 인폴딩부(B)에서는 인장응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의 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 측에 배치된 보호필름(110:도 3 참조)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지 않으면 박리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상기 인폴딩부(B)에서는 인장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연신율이 좋은 연한 재질의 보호필름(110)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아웃폴딩부(A)에서는 압축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탄성계수가 높은 고강성 재질의 보호필름(110)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서 연한 재질의 보호필름(110)을 전체적으로 사용하면 압축응력이 작용하는 아웃폴딩부(A)에서 부분적으로 보호필름(110)이 본체에 밀착되지 못하고 떨어져 우글쭈글해지는 일명 버클링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반대로 고강성 재질의 보호필름(110)을 전체적으로 사용하면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인폴딩부(B)에서 인장에 대한 반발력이 너무 강해져 폴딩이 잘 안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에는 도 3과 같이 서로 다른 재질의 제1보호필름(111)과 제2보호필름(112)이 영역을 분할하여 부착된다.
일단, 도 3과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층(120)이 구비되어 있고, 그 배면에 상기한 제1,2보호필름(111)(112)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측으로 터치스크린패널(130)과 편광층(140) 및 윈도우(150)가 차례로 적층되어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층들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2보호필름(111)(112)과 아웃폴딩부(A) 및 인폴딩부(B)의 관계 및 폴딩과 언폴딩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그 전에 폴딩이 가능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층(120) 내부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표시층 (120)은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박막트랜지스터(121)와 유기발광소자(1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기발광소자(122) 안에 특히 가스와의 접촉에 취약한 발광층(122b)이 구비되어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가요성 기판(123)과 인접한 버퍼층(121a) 상부에 활성층(121f)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활성층(121f)은 N형 또는 P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갖는다. 이 활성층(121f)을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카드뮴(Cd), 게르마늄(Ge), 또는 하프늄(Hf) 과 같은 12, 13, 14족 금속 원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물질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활성층(212)은 G-I-Z-O[(In2O3)a(Ga2O3)b(ZnO)c](a, b, c는 각각 a≥0, b≥0, c>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121f)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21b)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121g)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21g)의 상부에는 소스 전극(121h)과 드레인 전극(121i)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21g)과 소스전극(121h) 및 드레인 전극(121i)의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121c)이 구비되어 있고, 소스전극(121h) 및 드레인 전극(121i)과 유기발광소자(122)의 애노드 전극(122a) 사이에는 패시베이션막(121d)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122a)의 상부로는 아크릴 등에 의해 절연성 평탄화막(121e)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화막(121e)에 소정의 개구부(122d)를 형성한 후, 유기발광 소자(122)를 형성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122)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박막트랜지스터(121)의 드레인 전극(121i)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공급받는 애노드 전극(122a)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되어 마이너스 전원을 공급하는 캐소드 전극(122c), 및 이 두 전극(122a)(122c)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발광층(122b)으로 구성된다.
이 발광층(122b)과 인접하여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유기발광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유기발광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적층될 수도 있다.
참고로 발광층(122b)은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화소들이 모여서 하나의 단위 픽셀을 이루도록 각 화소마다 분리돼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화소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체 화소 영역에 걸쳐서 공통으로 발광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발광층은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 수직으로 적층되거나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면 다른 색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방출된 백색광을 소정의 컬러로 변환하는 색변환층이나, 컬러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 전극(122c) 위에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박막봉지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표시층(120)을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상기 케이스(200)의 폴딩과 언폴딩 동작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언폴딩 시 도 4와 같이 펼쳐질 수 있고, 폴딩 시에는 도 5와 같이 S자로 접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2보호필름(111)(112)은 각각 패널(100)의 아웃폴딩부(A) 영역과 인폴딩부(B) 영역을 분담하도록 부착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 전체 영역을 반으로 나눠서 아웃폴딩부(A)가 포함된 일측 영역에 제1보호필름(111)이 부착되고, 인폴딩부(B)가 포함된 나머지 타측 영역에 제2보호필름(112)이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2와 같은 폴딩 상태가 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5와 같이 아웃폴딩부(A)와 인폴딩부(B)의 두 군데 폴딩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아웃폴딩부(A)는 제1보호필름(111)이 부착되어 있고, 인폴딩부(B)에는 제2보호필름(112)이 부착되어 있다.
압축응력이 작용하는 아웃폴딩부(A)에 부착되는 제1보호필름(111)에는 높은 강성이 요구되므로, 제1보호필름(111)은 금속필름과 같은 고강성 재질로 구성되며, 탄성계수가 10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인폴딩부(B)에 부착되는 제2보호필름(112)에는 유연성이 요구되므로, 제2보호필름(112)은 폴리머필름과 같이 상대적으로 연한 재질로 구성된다.
이렇게 되면, 서로 반대방향의 응력이 작용하는 아웃폴딩부(A)와 인폴딩부(B)에 서로 다른 재질의 제1,2보호필름(111)(112)이 부착되어 각각에 적합한 상태로 보호해주기 때문에, 아웃폴딩부(A)에서의 버클링 발생 위험도 줄일 수 있고, 인폴딩부(B)에서의 폴딩에 대한 반발력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평평하게 펼쳐서 화상을 시청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 및 제3케이스(230)를 일직선으로 펼쳐서 언폴딩 상태를 만든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평하게 펼쳐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을 통해 평면 화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에는 도 2와 같이 케이스(200)를 폴딩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아웃폴딩부(A)와 인폴딩부(B)를 형성하면서 S자로 접히게 된다. 이때, 압축응력이 작용하는 아웃폴딩부(A)에는 고강성은 제1보호필름(111)이 패널(100) 배면 측에 부착되어 있어서 버클링 현상이 억제되며,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인폴딩부(B)에는 제2보호필름(112)이 패널(100) 배면 측에 부착되어 있어서 폴딩에 대한 반발력이 줄어든다.
따라서, 아웃폴딩부(A)와 인폴딩부(B)를 함께 갖는 복합 폴딩 구조에서 보호필름(111)(112)의 버클링이나 폴딩에 대한 과다 반발력 등의 문제를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보호필름(111)과 제2보호필름(112)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을 반반씩 분담하는 구조를 예시하였는데, 도 6a와 같이 패널(100) 배면에 전체적으로 고강성의 제1보호필름(111)을 부착하고 인폴딩부(B)에만 국한해서 제2보호필름(112)을 부착할 수도 있다.
또는, 반대로 도 6b와 같이 패널(100) 배면에 전체적으로 유연성이 좋은 제2보호필름(112)을 부착하고 아웃폴딩부(A)에만 국한해서 제1보호필름(111)을 부착할 수도 있다.
즉, 제1보호필름(111)이 부착되는 제1영역과 제2보호필름(112)이 부착되는 제2영역을 어떻게 분할하든, 아웃폴딩부(A)에는 고강성의 제1보호필름(111)을 부착하고, 인폴딩부(B)에는 유연성이 좋은 제2보호필름(112)을 부착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에서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따라서 이를 채용하면 제품의 품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110: 보호필름
111,112:제1,2보호필름 120: 표시층
130: 터치스크린패널 140: 편광층
150: 윈도우 200: 케이스
210,220,230: 제1,2,3케이스
A: 아웃폴딩부 B: 인폴딩부

Claims (15)

  1. 폴딩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서로 반대되는 폴딩 방향의 인폴딩부와 아웃폴딩부를 형성하여 구부러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아웃폴딩부를 포함한 제1영역에 부착된 제1보호필름과, 상기 인폴딩부를 포함한 제2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제1보호필름과 다른 재질인 제2보호필름이 구비되며,
    상기 아웃폴딩부에서 상기 제1보호필름에 압축응력이 작용하고, 상기 인폴딩부에서 상기 제2보호필름에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이 상기 제2보호필름 보다 고강성 재료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은 금속필름을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필름의 탄성계수는 10Gpa 이상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호필름은 폴리머필름을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아웃폴딩부를 포함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인폴딩부를 포함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나머지 타측 영역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인폴딩부를 제외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안쪽에 상기 인폴딩부 영역에 국한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아웃폴딩부를 제외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의 안쪽에 상기 아웃폴딩부 영역에 국한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2보호필름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시청 측과 반대면에 부착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층과, 상기 표시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보호필름 및 제2보호필름과 반대편인 화상 시청 측 방향에 설치된 윈도우를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표시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터치스크린패널과 편광층이 더 구비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과 상기 제2보호필름, 상기 표시층,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기 편광층 및 상기 윈도우를 포함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층들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를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웃폴딩부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케이스 및 상기 제3케이스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폴딩부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4361A 2015-07-23 2015-07-23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378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61A KR102378359B1 (ko) 2015-07-23 2015-07-23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4/981,493 US9923156B2 (en) 2015-07-23 2015-12-28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201610319073.6A CN106373490B (zh) 2015-07-23 2016-05-13 可折叠显示装置
CN202010870209.9A CN111968509B (zh) 2015-07-23 2016-05-13 可折叠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61A KR102378359B1 (ko) 2015-07-23 2015-07-23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739A KR20170012739A (ko) 2017-02-03
KR102378359B1 true KR102378359B1 (ko) 2022-03-25

Family

ID=5783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361A Active KR102378359B1 (ko) 2015-07-23 2015-07-23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23156B2 (ko)
KR (1) KR102378359B1 (ko)
CN (2) CN1119685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38A (ko) 2014-10-28 2021-06-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KR102712562B1 (ko) * 2016-12-13 2024-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6873717B (zh) * 2017-02-06 2019-11-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具有该柔性显示模组的电子装置
KR102379216B1 (ko) 2017-04-24 2022-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153486B (zh) * 2017-06-05 2021-06-11 无锡第六元素电子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整面可折叠触摸屏及其制作方法、应用
JP2019003040A (ja) * 2017-06-15 2019-01-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7578707B (zh) * 2017-10-20 2019-09-2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694625B2 (en) * 2017-10-31 2020-06-23 L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KR102471758B1 (ko) * 2017-12-11 2022-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89831B1 (ko) 2017-12-29 2023-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07096B1 (ko) * 2018-01-05 2023-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37378B1 (ko) * 2018-01-30 2023-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24340B1 (ko) * 2018-02-22 2023-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493213A (zh) * 2018-03-13 2018-09-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终端设备
CN111344771A (zh) * 2018-05-28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GB201810642D0 (en) * 2018-06-28 2018-08-15 Oxford Space Systems Deployable membrane structure for an antenna
KR102645189B1 (ko) * 2018-11-20 2024-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859642B (zh) * 2018-12-17 2021-02-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668852B1 (ko) 2019-01-14 2024-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735596B1 (ko) * 2019-01-30 2024-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 결함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102006301B1 (ko) * 2019-03-24 2019-08-0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N109905507A (zh) * 2019-04-15 2019-06-18 林子春 三折叠柔性屏幕移动终端
CN111844934A (zh) * 2019-04-30 2020-10-30 东莞市旭嘉实业投资有限公司 一种用于柔性显示面板的保护贴膜
KR20200130574A (ko) 2019-05-10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221653A (zh) * 2019-05-14 2019-09-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屏
KR102793559B1 (ko) 2019-05-14 2025-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
CN110634396B (zh) * 2019-08-16 2022-07-0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KR102668512B1 (ko) 2019-08-30 2024-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1076494B2 (en) * 2019-08-30 2021-07-27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10675749A (zh) * 2019-09-24 2020-0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及终端设备
CN110599909B (zh) * 2019-09-25 2021-11-2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93529B1 (ko) * 2019-10-01 2024-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706598B (zh) * 2019-10-23 2024-09-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102806287B1 (ko) 2019-11-26 2025-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운영하는 방법
KR102784368B1 (ko) * 2019-12-02 2025-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210071177A (ko) 2019-12-05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3140155B (zh) * 2020-01-20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1187834A1 (ko)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폴딩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CN113744634A (zh) * 2020-05-29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1722674B (zh) * 2020-06-16 2024-0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的背板、柔性显示屏及电子设备
CN111739418A (zh) * 2020-06-22 2020-10-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1627337B (zh) * 2020-06-28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面板
KR20220030512A (ko) 2020-09-02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63814A (ko) 2020-11-09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67587A (ko) * 2020-11-16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4078385B (zh) * 2021-11-05 2023-05-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4627761B (zh) * 2022-03-01 2023-10-13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折叠屏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0405A1 (en) * 2011-07-06 2013-01-10 Rothkopf Fletcher R Flexible displa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709A (ko) 2006-10-20 2008-04-24 김종억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TWI424194B (zh) * 2007-07-20 2014-01-21 Ind Tech Res Inst 電子元件、顯示器及其製作方法
JP2009104002A (ja) * 2007-10-24 2009-05-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画像表示装置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20090062078A (ko) * 2007-12-12 2009-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강층이 형성된 연성회로기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WO2011132308A1 (ja) 2010-04-23 2011-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表示器具
WO2012074430A1 (ru) * 2010-12-02 2012-06-07 Nizienko Yury Konstantinovich Складной дисплей (варианты)
KR101482629B1 (ko) * 2011-06-30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76540B1 (ko) * 2011-12-28 2018-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329946B1 (ko) 2012-05-14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모바일 디바이스
KR20140060776A (ko) 2012-11-12 2014-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0585A (ko) * 2013-04-03 2014-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9209207B2 (en) * 2013-04-09 2015-12-08 Apple Inc. Flexible display with bent edge regions
KR102080011B1 (ko) * 2013-06-13 2020-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90713B1 (ko) * 2013-06-25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126712B1 (ko) 2013-09-30 2020-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76098B1 (ko) * 2013-11-25 2020-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132235B1 (ko) * 2013-11-28 2020-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516744B2 (en) * 2014-04-16 2016-12-06 Eastman Kodak Company Wrap-around micro-wire circuit method
US20160105950A1 (en) * 2014-10-10 2016-04-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d Flexible Substrates With Bends
CN204423231U (zh) * 2014-11-28 2015-06-24 浙江金徕镀膜有限公司 一种面板装置
CN204464289U (zh) * 2015-04-03 2015-07-08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0405A1 (en) * 2011-07-06 2013-01-10 Rothkopf Fletcher R Flexible displa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68509A (zh) 2020-11-20
CN111968509B (zh) 2022-06-24
US9923156B2 (en) 2018-03-20
CN106373490B (zh) 2020-09-18
KR20170012739A (ko) 2017-02-03
US20170025634A1 (en) 2017-01-26
CN106373490A (zh)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359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9568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78357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763281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437444B2 (en) Display device
KR102385232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JP7629978B2 (ja) 発光装置
KR102405121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240796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865921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16674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92877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5241777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261641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231763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90107246A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18420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475B1 (ko) 플렉시블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CN112086485A (zh) 显示设备
US112963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81385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1650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00274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