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937B1 -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7937B1 KR102067937B1 KR1020190088069A KR20190088069A KR102067937B1 KR 102067937 B1 KR102067937 B1 KR 102067937B1 KR 1020190088069 A KR1020190088069 A KR 1020190088069A KR 20190088069 A KR20190088069 A KR 20190088069A KR 102067937 B1 KR102067937 B1 KR 102067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drying
- food waste
- sewage
- drying furn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6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claims 2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but recent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pl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의 내, 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폐열이 회수되는 구성을 나타낸 좌측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폐열이 회수되는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열풍이 이동되는 구성을 나타낸 우측면 요부도.
도 6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을 평면에서 바라본 평단면도.
도 7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제1분진제거수단 및 에어펄싱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제1분진제거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제2분진제거수단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1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에서 외기유입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2는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의 사이클론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후단의 환경설비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3: 응축기 4: 2차워터스크러버
10: 몸체 11: 프레임
20: 건조로 21: 투입구
22: 배출구 23: 연결구
30: 스크류 컨베이어 31: 모터
32: 모터축 321: 베어링
33: 스크류 34: 패들
40: 열풍공급부 41: 버너
411: 열풍공급관 42: 열풍하우징
43: 열풍연결관 44: 열풍재순환부
441: 재순환배관 442: 블로어
50: 수증기 배출부 51: 수평관
511: 에어펄싱부 5111: 분사부
52: 제1배출관 53: 제1배출스크류
54: 증기수용부 55: 제2배출관
60: 제1분진제거수단 61: 모터
62: 샤프트 63: 브러시
70: 제2분진제거수단 71: 실린더
72: 플런저 73: 밀착부
74: 연결바 80: 외기유입부
81: 공간부 82: 외기홀
83: 유입홀 90: 사이클론
91: 원통부 92: 증기배출관
93: 제2배출스크류 94: 분진배출구
Claims (14)
-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프레임(11)이 복수의 층으로 공간이 마련되도록 조립되고 전체적인 형틀을 이루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층마다 설치되되, 각각의 층은 연결구(23)를 통해 하나의 통로로 연결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구비되고, 하부 타측에 건조 처리 대상물인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가 건조 처리된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2)가 구비되는 건조로(20);
상기 건조로(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1)로 투입된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30);
상기 건조로(20) 하부를 감싸도록 측단면이 'U'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건조로(20)를 가열하기 위한 열풍 에너지를 공급하며, 폐열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열풍재순환부(44)가 구비된 열풍공급부(40);
상기 건조로(20)와 연통되도록 수직 설치되며 건조 처리 과정에서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해 모이는 복수의 제1배출관(5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통해 수증기 및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수증기 및 분진이 배관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펄싱부(511)가 구비된 수증기 배출부(50); 및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 설치되어 배관 내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제1분진제거수단(60)을 포함하되,
상기 수증기 배출부(50)는,
상기 각 층의 건조로(20)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상기 건조로(20)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측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공간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삼각형 형상의 공간을 통해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모여진 후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복수의 수평관(51);
상기 복수의 수평관(51)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관(51)에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해 모이는 복수의 제1배출관(52);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서 이송되는 수증기 및 분진 중 일정 부피 이상 및 무게로 인해 낙하되는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스크류(53);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하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을 통과하는 수증기 및 분진이 임시적으로 머무르는 공간인 증기수용부(54); 및
상기 증기수용부(54) 상단 일측에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한데 모여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제2배출관(55);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진제거수단(60)은,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1);
상기 모터(61) 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관(52) 내에 삽입되는 샤프트(62); 및
상기 샤프트(62)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배출관(52) 내벽에 흡착된 분진을 일정 시간마다 제거하는 브러시(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
상기 모터(31)에 설치되는 모터축(32);
상기 모터축(32) 상에 설치되되, 건조 처리 대상물이 이송되는 진행방향의 전단에 배치되어 건조 처리 대상물을 이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류(33); 및
상기 모터축(32) 상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류(33)와 인접하게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모터축(32)이 회전함에 따라 건조 처리 대상물이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교반하기 위한 패들(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40)는,
열풍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버너(41);
상기 각 층의 건조로(20) 하부를 감싸 듯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버너(41)에서 생산된 열풍 에너지가 공급되어 상기 건조로(20)를 가열하는 열풍하우징(42);
상기 각 층의 열풍하우징(42)이 하나의 통로가 되도록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열풍연결관(43); 및
상기 열풍하우징(42)을 통과하고 난 후 발생하는 폐열을 수거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열풍재순환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재순환부(44)는,
상기 열풍하우징(42)에서 배출되는 폐열과 수거된 폐열을 상기 버너(41)로 주입하기 위해 폐열이 이송하는 재순환배관(441); 및
상기 재순환배관(441)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열풍하우징(42)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수거하기 위한 흡입력 및 상기 버너(41)로 폐열을 불어 넣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어(4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펄싱부(511)는,
상기 건조로(20)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부근에 설치되는 'U'자 형상의 분사부(5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직교되어 십자(+)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63)는,
상기 샤프트(62) 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의 높이마다 설치되되,
각 높이마다 서로 엇갈린 방향을 향하도록 어긋나게 설치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하나의 층 위치에 해당하는 것은 세 방향을 향해 동일한 각도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에 흡착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평관(51)에 설치되는 제2분진제거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분진제거수단(70)은,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에 설치되는 실린더(71);
상기 실린더(71)에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플런저(72); 및
상기 플런저(72)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플런저(72)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평관(51) 내측 내주면에 흡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밀착부(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73)는,
상기 수평관(51) 내경과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부분은 관통된 형태로 띠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72)와 상기 밀착부(73)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상기 밀착부(73) 내측부분에서 상기 플런저(72)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연결바(74)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74)는,
상기 플런저(72)와 상기 밀착부(73)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플런저(72)를 기준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건조로(2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분진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73)와 상기 복수 개의 연결바(7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20) 일측 벽에 설치되고 외부공기를 상기 건조로(2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유입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유입부(80)는,
상기 건조로(20) 일측 벽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부보다 하부 부피가 작게 내부공간이 형성된 공간부(81);
상기 공간부(81) 상부에 타공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홀(82); 및
상기 공간부(81) 내의 상기 건조로(20) 일측에 타공되어 상기 외기홀(8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건조로(2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건조로(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이클론(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90)은,
유입된 유체가 회전하는 원통부(91);
상기 원통부(91) 상부에 설치되고, 환경설비 측 방향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관(92);
상기 원통부(91)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91)로 유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스크류(93); 및
상기 제2배출스크류(93) 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출스크류(93)에 의해 이송되는 분진이 배출되기 위한 분진배출구(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069A KR102067937B1 (ko) | 2019-07-22 | 2019-07-22 |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069A KR102067937B1 (ko) | 2019-07-22 | 2019-07-22 |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7937B1 true KR102067937B1 (ko) | 2020-01-17 |
Family
ID=6937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8069A Active KR102067937B1 (ko) | 2019-07-22 | 2019-07-22 |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793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7839B1 (ko) | 2020-07-08 | 2021-01-04 | 한경원 | 열풍 건조장치 |
CN112378214A (zh) * | 2020-11-18 | 2021-02-19 | 安徽省宏伟制粉有限责任公司 | 一种面粉烘干装置 |
CN113769493A (zh) * | 2021-09-16 | 2021-12-10 | 东华大学 | 一种污泥干化尾气脉冲除尘装置 |
CN113983785A (zh) * | 2021-10-13 | 2022-01-28 | 新乡市阳光电源制造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池粉料高温真空干燥设备 |
KR102620614B1 (ko) * | 2023-06-01 | 2024-01-04 | (주)이화상사 |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0228A (ko) * | 2000-05-29 | 2000-08-05 | 양동만 | 슬러지 건조장치 |
KR20050095222A (ko) * | 2004-03-25 | 2005-09-29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골재 제조용 건조장치 |
KR100958761B1 (ko) * | 2009-09-01 | 2010-05-18 | 정창의 | 회전형 건조장치 |
KR101252451B1 (ko) | 2012-05-11 | 2013-04-16 | 유영동 |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 |
KR20190051293A (ko) * | 2017-11-06 | 2019-05-1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배관 내벽 세척장치 |
-
2019
- 2019-07-22 KR KR1020190088069A patent/KR10206793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0228A (ko) * | 2000-05-29 | 2000-08-05 | 양동만 | 슬러지 건조장치 |
KR20050095222A (ko) * | 2004-03-25 | 2005-09-29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골재 제조용 건조장치 |
KR100958761B1 (ko) * | 2009-09-01 | 2010-05-18 | 정창의 | 회전형 건조장치 |
KR101252451B1 (ko) | 2012-05-11 | 2013-04-16 | 유영동 |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 |
KR20190051293A (ko) * | 2017-11-06 | 2019-05-1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배관 내벽 세척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7839B1 (ko) | 2020-07-08 | 2021-01-04 | 한경원 | 열풍 건조장치 |
CN112378214A (zh) * | 2020-11-18 | 2021-02-19 | 安徽省宏伟制粉有限责任公司 | 一种面粉烘干装置 |
CN113769493A (zh) * | 2021-09-16 | 2021-12-10 | 东华大学 | 一种污泥干化尾气脉冲除尘装置 |
CN113983785A (zh) * | 2021-10-13 | 2022-01-28 | 新乡市阳光电源制造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池粉料高温真空干燥设备 |
KR102620614B1 (ko) * | 2023-06-01 | 2024-01-04 | (주)이화상사 | 미생물가용 연속식 건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7937B1 (ko) |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
CN108996859B (zh) | 高浓度石油污泥绿色清洗-热脱附集成技术处理方法与处理系统 | |
KR100935446B1 (ko) |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 방법과 그 장치 | |
CN103539332B (zh) | 一种污泥干化焚烧发电一体化系统及方法 | |
KR101387010B1 (ko) |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 |
KR101387011B1 (ko) |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 |
KR100793115B1 (ko) | 폐기물 처리 장치 | |
CN109231756A (zh) | 一种用于污泥干化处理装置 | |
JP4051415B2 (ja) | ゴミの焼却、焼却後の廃ガスの集塵・中和・触媒の反応処理装置及び触媒後の肥料化プラント並びにその構造 | |
KR101339563B1 (ko) | 유기성 슬러지 일괄처리장치 | |
KR101389475B1 (ko) | 반응효율을 최적화한 대기오염 방지시설 | |
KR100935447B1 (ko) |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 | |
CN203653400U (zh) | 一种污泥干化焚烧发电一体化系统 | |
KR101165560B1 (ko) | 폐기물 소각장치 | |
KR200280671Y1 (ko) |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장치 | |
KR101142256B1 (ko) | 생활 폐기물 소각재와 난연성 폐기물을 혼합 압착하기 위한 생활 폐기물 소각재 공급장치. | |
KR200226144Y1 (ko) |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 |
KR200285274Y1 (ko) | 스크류형 슬러지 건조장치 | |
KR20000054505A (ko) |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 |
KR20020043513A (ko)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다단형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1160469B1 (ko) | 생활 및 난연성 폐기물 혼합 소각시 발생되는 배가스 처리 시스템 | |
KR100933437B1 (ko) |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무연화장치 | |
KR101170902B1 (ko) | 생활 및 난연성 폐기물 혼합 소각을 위한 혼합압착 시스템. | |
KR101083033B1 (ko) |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폐수처리 보일러 | |
KR101170903B1 (ko) | 생활 및 난연성 폐기물 혼합 소각을 위한 난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